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과 교육경험에 관한 연구

        방현희(Bang, Hyunhee),이미정(Lee, Mij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역할을 탐색하고, 그들의 역할 수행의 전문성 증대를 위해 시행하고 있는 교육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여 방문교육지도사를 위한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를 기초로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들에 대한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연구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방문교육지도사들의 역할과 교육에 대한 인식을 그들의 활동경험에 의하여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과 교육경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은 업무의 특성상 다문화적 역량이 요구되므로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수용성 등의 다문화적 효능감을 바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둘째, 방문교육지도사는 교사로서의 역할과 함께 멘토(mentor)로서의 역할을 한다. 셋째, 방문교육지도사를 위한 교육에 대해서는 현실성 없고 실무활용도가 낮은 교육인 경우가 많다고 인식하고 있다. 넷째, 교육내용에 관해서 상담교육이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보수교육에 대해서 장기적인 안목으로 체계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위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방문교육지도사의 교육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방문교육지도사의 역할과 교육은 다문화적 효능감을 기반으로 이행되어야 하므로 이와 관련된 교육프로그램과 교재의 개발을 제안한다. 교사로서의 전문성 증대 위하여 전문영역의 교차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각적으로 확장된 사례연구를 통한 현장경험의 공유를 공식화가 필요하다. 또한 다문화가족 방문교육지도사의 교육을 위한 전문 강사 풀(pool)의 마련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education experience through investigating the role that recognized by multi-cultural families' home educators and confirming their recognition for education that is being implemented to expand professionalism. To approach the purpose, researcher pursued an investigation through the depth interviews to multicultural families' home educators based on documentary research. And the researcher grasped their perceptions about the role and education's experience of home educators through their activity experiences.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could be drawn about the role of home seducators. First,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m has to be based on multicultural self-efficacy lik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receptive and so on. It is because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is required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Second, the home educators' role has to be played not only as a teacher but also as a mentor. Third, there were perceptions that the education for home educators is lack of practical use and reality in numerous cases. Further more, researcher suggests the cross training in expertise field to solve the role ambiguity and the formulation on sharing the local experience through the multilateral expanded case stud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s follows proposed for education of the home educators. The role and the education for home educator is based on multicultural self-efficacy. In this regard, the proposal as follows the development of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materials. Further more, researcher suggests the cross training in expertise field to solve the role ambiguity and the formulation on sharing the local experience through the multilateral expanded case study. Therefore the pool of expert instructor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has to be instituted for education of home visiting educators.

      • KCI등재

        이중적 어려움 : 다문화가정 그리고 장애

        이영선(Lee, Youngsun),김금희(Kim, GumHee),민기연(Min, Ki-Yeon),박미숙(Park, MiSuk),박순덕(Park, Soonduk),방현희(Bang, Hyunhee),선곡유화(Seongok, Yuhoa),이석란(Lee, Sokran),전경미(Chun, Kyungmi),팜티휀짱(Pham, Thi Huyen Trang),이설희(L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5 특수교육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낯선 환경과 문화권에서 장애자녀를 양육하며 이중적 소외를 경험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부모, 특히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 적응을 시작으로 장애 자녀의 양육, 특수교육 및 지원프로그램 참여 등 장애가정으로서의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장애자녀를 둔 다문화가정의 부모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서울, 경기, 인천, 경북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의 부모 2쌍(필리핀, 베트남 출신의 여성 및 그들의 한국인 남편)과 여성결혼이민자 9명(필리핀인 2명, 중국인 3명, 베트남인 2명, 일본인 2명)을 포함한 총 1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심층인터뷰는 개별로 이루어졌고 면대면 또는 전화인터뷰로 진행되었다. 분석 자료는 전사 작업을 통해 요인별, 영역별로 정리하여 범주화 되었으며, 이 결과는 “다문화가정 그리고 장애자녀의 부모”, “학교라는 높은 벽 그리고 작은 나”라고 하는 2개의 대주제와 5개의 하위 주제로 정리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자녀를 둔 여성결혼이민자 및 다문화가정이 직면한 어려움에 대한 이해와 특수교육 현장에서 이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describes the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especially female marriage immigrants having a child with disability in Korea. Using purposive sampl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 sets of parents and nin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and translated verbatim and analyzed using content analysis. Two main themes regarding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s were derived from the data: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families; multicultural family and a parent of a child with disability; and their experiences and needs as working with professional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and practice regarding serving multicultural families in special education system were discussed. It is also suggested that more cultural studies focusing on diverse population with specific needs should be conducted in furthe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