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ronobacter sakazakii의 산 저항성

        장성란,방우석,Jang, Sung-Ran,Bang, Woo-Suk 한국축산식품학회 2011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는 표준균주 C. sakazakii(CAFM2)와 4개의 야생균주(EB 1, EB 5, EB 7, EB 41)를 사용하여 pH를 조정한 산성 환경에서의 저항성을 살펴보았다. C. sakazakii는 pH 4.5 TSB에서 5시간, 10시간 동안 적응한 경우, pH 4.5 TSB에서 적응하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EB 7을 제외한 모든 균주가 pH 2.5 TSB에서의 D값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약산성 환경에서 적응한 균주는 강산성 환경에서의 저항성이 증가하였다. C. sakazakii는 pH 4.5 TSB에서 배양한 경우, pH 7.2 TSB에서 배양한 경우와 비교하여 모든 균주가 pH 2.5 TSB에서의 D값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약산성 환경에서 배양한 균주는 강산성 환경에서의 저항성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C. sakazakii는 약산성 환경에 적응한 경우 강산성 환경에서의 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acid adaptation response는 C. sakazakii와 관련된 식품 가공 산업에서의 hurdle technology를 적용하는데 있어서 안전성 확보와 관련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sistance of Cronobacter sakazakii in acidic environments. The D-values of CAFM2 (ATCC 29544), EB 1, EB 5, and EB 41 at pH 2.5 in TSB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when cells were adapted at pH 4.5 in TSB for 5-h then when cells were not adapted at pH 4.5 in TSB. The D-values of CAFM2, EB1, and EB 41 at pH 2.5 in TSB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when cells were adapted at pH 4.5 in TSB for 10-h then when cells were not adapted at pH 4.5 in TSB. The D-values of CAFM2 and EB1 at pH 2.5 in TSB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when cells were adapted at pH 4.5 in TSB for 24-h then when cells were not adapted at pH 4.5 in TSB. The adaptation of C. sakazakii to mild acidic environments may result in increased resistance to severe acidic environments. The D-values of all test strains at pH 2.5 in TSB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when cells were cultured at pH 4.5 then when they were cultured at pH 7.2 in TSB. These data indicate that cells cultured in mildly acidic environments may result in increased resistance to severe acidic environments. The acid adaptation of C. sakazakii showed an increased resistance to acidic environments. The acid adaptation response of C. sakazakii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food safety, which should be considered when food preservation measures are developed.

      • SCOPUSKCI등재

        산겨릅나무 추출물의 간암세포의 증식억제 효과

        권하나(Ha Na Kwon),방우석(Woo-Suk Bang),김주영(Joo-Young Kim),박정륭(Jyung Rewng Park),전정례(Jeong Ryae Jeon)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6

        본 연구는 간암세포 HepG2의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천연소재 발굴을 목적으로, 산겨릅나무 분획 추출물을 이용하여 간암세포 HepG2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간암세포의 생존율에 분획별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분획물을 24시간, 48시간 동안 농도별로 처리하여 살아있는 세포를 계수한 결과 24시간 처리 시 모든 분획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며 유기용매 분획물들이 수용성 용매 추출물보다 높은 생육 억제 활성을 보였다. 48시간 처리 시에도 같은 경향이 나타났으며 24시간에 비하여 세포 생존율이 비슷하거나 조금 더 감소하였다. MTT assay를 통한 세포 생존 억제율의 측정 결과 BuOH 분획물은 간암세포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생존 억제율을 증가시켰다. 형광현미경을 이용한 세포형태 관찰에서는 BuOH 분획물의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의 형태가 응축되고 무정형으로 세포사멸이 나타나 apoptotic cell의 전형적인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Hong 등(10)의 연구에서 산겨릅나무의 추출물 중 ethyl acetat와 butanol 분획에서 뛰어난 항산화성과 항지질과산화 활성이 있음을 밝힌 내용과 Shin 등(11)의 위암, 간암, 폐암 및 유방암 세포 등에서 암세포 생육억제효과의 보고와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을 통해 산겨릅나무가 간암세포의 성장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앞으로 식용 및 약용자원으로서 활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cancer effects of Acer tegmentosum M. extracts. HepG2 hepatocarcinoma cells were treated with ethanol, chloroform, ethylacetate, butanol, aqueous fraction and hot water extract.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was evaluated by trypan blue exclusion, MTT-based viability assay and morphology. The trypan blue test showed that anticancer effect of the A. tegmentosum M. extracts on HepG2 cells increased gradually in proportion to the increasing concentration of the fractions. The butanol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nticancer activity against HepG2 cells (p<0.05). The MTT assay indicated that the growth inhibition by the butanol fraction was dose-depend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tegmentosum M. has the potential to inhibit the growth of hepatocarcinoma cells.

      • KCI등재

        461nm 청색 LED를 이용한 식중독세균의 살균효과

        도정선 ( Jung Sun Do ),방우석 ( Woo Suk Bang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3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0 No.3

        이 연구는 3가지 유형의 식중독균인 E. coli O157: H7, S. aureus 그리고 V. parahaemolyticus의 in vitro를 통해 461nm LED의 살균효과를 입증하였다. Bacterial cultures는 약 15 ℃에서 10시간동안 LED에 노출되었다. 3종의 E. coli, ATCC 8739, ATCC43894, ATCC35150과 3종의 S. aureus, ATCC43300, ATCC19095, ATCC 27664의 bacteria cultures는 각각 461nm LED에서 10시간 조사된 후 평균적으로 6, 2.5, 6, 2.5, 2, 1.5log CFU/ml감소하였다.(p<0.005). 반면에 V. parahaemolyticus, ATCC43969는 461nm에서 4시간 노출된 후 6log CFU/ml감소하였다. 이 결과는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 모두 불활성화 되었으며 461nm LED노출에 의해 그람양성균보다 그람음성균이 더 민감함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 결과는 LED의 사용이 식품보존과 응용기술로써 잠재력이 있음을 나타낸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the bactericidal effect of 461nm visible-light LED on three common foodborne bacteria: 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Tests were conducted against pathogen strains that were treated with 461nm LED for 10 h at 15℃. The E. coli (ATCC 43894, ATCC 8739 and ATCC 35150) and the S. aureus (ATCC 27664, ATCC 19095 and ATCC 43300) had average reductions of 2.5, 6.6, 1.5, 2.5 and 2.0 log CFU/mL, respectively, after they were exposed for 10 h to 461nm LED light (p<0.05). In contrast, V. parahaemolyticus (ATCC 43969) had 6 log CFU/mL reductions after it was exposed for 4 h to 461nm LED light.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the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were inactivated with 461nm LED light exposure. Also, the Gram-negative bacteria were more sensitive to the LED treatment than the Gram-positive bacteria. These results show the potential use of 461nm LED as a food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technology.

      • KCI등재

        흑도라지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이수진 ( Soo Jin Lee ),방우석 ( Woo Suk Bang ),홍주연 ( Ju Yeon Hong ),권오준 ( O Jun Kwon ),신승렬 ( Seung Ryeul Shin ),윤경영 ( Kyung Young Yoon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3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20 No.4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도라지를 이용하여 흑도라지를 제조하고 이들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을 일반 도라지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흑도라지는 도라지를 60℃ 항온기에서 15일간 증숙한 후 30℃ dry oven에서 3시간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흑도라지의 메탄올 추출물이 28.38 mg/g으로 가장 높았다. 흑도라지가 생도라지보다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냈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은 흑도라지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Hydroxyl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2000 ㎍/mL의 농도까지는 흑도라지의 메탄올 추출물이 소거능이 좋앗으나, 8000㎍/mL의 농도에서는 흑도라지 열수 추출물이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도라지 추출물의 항균활성 결과는 균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었으나, 흑도라지 열수 추출물이 일반 세균 2종을 포함하여, 기관지염 관련 미생물 3종에서도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고도 흑도라지는 생도라지에 비해 높은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으 이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the hot-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raw and black Doraji to increase its utilization. In order to prepare the black Doraji, it was steamed for 15 days at a temperature of 60t; and men it was dried at II temperature of 30t; for 3 hr. The methanol extract from the black Doraji (BM) contained the highest levels of total polyphenols among the extracts, and the total potypheool content of the extract from a black Dora)i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xtract from a raw Dora)i.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hot-water extract from II black Doroft (BW) was the highest (7.94 mgQElg) among the sample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the concentrations of the Doron extracts, The 8M has the highest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llong the extracts. Each extract showed a slight difference in the antibacterial activity accordtng to the tested strains. The Black Doraji showed a higher antimicrobial activity compared to the raw Dorji. The hot-water extracts demonstrated higher activities than the methanol extracts, and the BW revealed the strongest activity. In this study, the black Dorji showed more effect of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than the raw Doraji. These results will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improving the. sitological value and the black Doraji can be used as a valuable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nutraceutical foods.

      • SCOPUSKCI등재

        461-nm LED조사와 산의 병행처리가 Staphylococcus aureus와 Escherichia coli 생육에 미치는 영향

        김세훈(Se-Hun Kim),방우석(Woo-Suk Bang)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4

        이 연구는 15℃에서 10시간동안 pH 5 환경과 461-nm LED를 조사하였을 때 S. aurues (MRSA 포함), E. coli (E.coli O157:H7 포함)의 살균 효과를 측정하고자 수행하게 되었다. 461-nm LED만을 10시간동안 조사하였을 때. S. aureus (MRSA 포함)은 4 log CFU/mL 감소하였다. 그리고 E. coli (E. coli O157:H7 포함)는 9시간동안 조사하였을 때 불활성화되었다. 그러나 pH 5와 461-nm LED를 함께 조사한 결과, 모든 균주들은 7시간동안 조사하였을 때 불활성화되었다. 이 가시광선 불활성화 결과는 외인성의 광감각제없이 이루어 졌다. 461-nm LED만을 조사하였을 때, 가장 높은 D값은 S. aureus (ATCC 27664)으로 5.05시간이었으며 가장 낮은 D값은 E. coli O157: H7 (ATCC 35150)으로 1.39시간이었다. pH 5와 461-nm LED를 함께 조사한 결과, 가장 높은 D값은 S. aureus (ATCC 19095)의 1.58시간이었으며, 가장 낮은 D값은 S. aureus (ATCC 27664)의 0.83시간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pH 5와 461-nm LED를 함께 조사한 것이 461 nm LED 한가지 환경보다 살균효과가 증가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disinfection effects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Escherichia coli treated with 461-nm LED and pH 5 at 15oC for 10 h. S. aureus strains were decreased by about 4 log CFU/mL after 461- nm LED irradiation treatment alone for 10 h. E. coli strains were inactivated by irradiation. However, when microorganisms were subjected to a combined treatment of 461-nm LED and pH 5, both strains were inactivated by irradiation for 7 h. The highest D-value was 5.05 h for S. aureus ATCC 27664 and the lowest D-value was 1.39 h for E.coli O157: H7 ATCC 35150 (p<0.05) with 461-nm LED irradiation. For the combined treatment (461-nm LED and pH 5), the highest D-value was 1.58 h for S. aureus ATCC 19095, whereas the lowest D-value was 0.83 h for S. aureus ATCC 27664 (p<0.05). These data showed that bactericidal effects of a combination of pH 5 with 461-nm LED irradiation were enhanced compared to 461-nm LED irradiation alone.

      • SCOPUSKCI등재

        보골지, 오미자, 계혈등 추출물의 항균활성

        최은정(Eun-Jeong Choi),장성란(Sung-Ran Jang),강옥주(Ok-Ju Kang),방우석(Woo-Suk Bang) 한국식품과학회 2013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5 No.4

        약용식물 3종에 대한 항균활성 결과, 보골지와 오미자 분획층에서 계혈등 분획층보다 높게 나타났다. 계혈등과 보골지 n-hexane 분획층에서 그람 음성균보다 그람 양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5), 항균활성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계혈등 n-hexane 분획층의 L. monocytogenes에 대한 MIC는 7.765 (mg/mL), 보골지 n-hexane 분획층의 B.cereus, L. monocytogenes, E. coli 균에 대한 MIC는 2.03 (mg/mL), 오미자 분획층의 (L. monocytogenes), E. coli 균에 대한 MIC는 8.5 (mg/mL)로 나타났으며, 오미자 n-hexane 분획층의 MIC가 모든 균주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약용식물 추출물의 항균활성에 대한 열 안정성 실험결과, L. monocytogens에 대한 계혈등 n-hexane 분획층을 제외하고는 100℃에서 10분간의 열처리에도 항균 활성의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 보골지와 오미자 n-hexane 분획층에서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약용 식물은 다양한 생리활성 및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천연 항균제의 유용한 자원으로 이용 될 수 있으며, 식품산업 발달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safe natural food preservatives from medicinal herbs and to evaluate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medicinal plants against microorganisms. Medicinal herbs were extracted 3 times with methanol at 45℃ for 3 h and fractionated with n-hexane.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the fraction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diameter of the inhibition zone by using an agar-well diffusion assay. The MIC of fractions for the inhibition of microorganisms was determined using a microplate reader.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fractions were greater against gram positive bacteria than against gram negative bacteria,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fractions were concentration dependent. While these results have implications,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microbial inactivation need to be further elucidated. The results showed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safer food preservatives.

      • KCI등재

        전해수 생성온도에 따른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의 살균 효과

        이정민(Jeong Min Lee),정현정(Hyun-Jung Chung),방우석(Woo Suk Ba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8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온도의 물로 제조한 전해수를 이용하여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대한 살균력을 확인하였다. 전해수의 물성은 물의 온도가 높아질수록 pH와 유효 잔류염소 농도 값이 높아졌으나, 산화환원전위 값은 감소하였다. 4, 22, 40°C의 물을 이용하여 생성한 전해수에 Escherichia coli O157:H7을 15분 동안 처리하였을 때 각각 1.18, 4.47, 5.46 log CFU/mL 감소하였으며, Staphylococcus aureus는 각각 0.72, 4.90, 5.54 log CFU/mL 감소하였다. 이를 통해 전해수를 생성하는 물의 온도가 증가할수록 살균 효과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4, 40°C의 물을 이용하여 생성한 전해수에 균주를 처리한 경우, Listeria monocytogenes의 D 값(일정한 온도에서 90 %의 미생물이 사멸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각각 6.60, 1.57분으로 나타나 가장 낮았으며, 22°C 전해수에서는 Salmonella Enteritidis의 D 값이 2.92분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을 비교하였을 때 모든 온도에서 D 값에 대한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본 연구 결과는 전해수를 제조할 경우 높은 온도의 물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미생물 살균 효과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전해수를 생성할 때 물의 온도를 고려하여 높은 살균력을 나타내는 전해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물의 온도 외에도 물의 경도나 물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살균 전해수를 제조함으로써 식품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Electrolyzed activated water (EAW) has been reported to exhibit strong bactericidal effects on foodborne microorganisms. However, the disinfection efficacy of EAW is affected by factors such as water source and hardness. This study investigated bactericidal effects of EAW against three gram-positive (Bacillus ce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Staphylococcus aureus) and three gram-negative (Cronobacter sakazakii,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Enteritidis) foodborne pathogens. Six strains were treated with EAW prepared at different water temperatures (4, 22, and 40°C) for 15 min, and D-values were gener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lowest D-values for Lis. monocytogenes by EAW produced at 4°C and 40°C were 6.60 and 1.57 min, respectively. The lowest D-value for Sal. Enteritidis by EAW produced at 22°C was 2.92 min. D-values of all strains treated by EAW produced at 40°C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ose treated by EAW produced at 4°C (P<0.05).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pplying EAW produced at warm temperature is more effective for reducing foodborne pathogens for food safety.

      • KCI등재

        자가숙성발효 후 흑마늘의 S-Allyl-L-cystein, Diallyl Disulfide 및 Total Amino Acids 분석

        김문수(Mun-Su Kim),김민주(Min-Ju Kim),방우석(Woo-Suk Bang),김근성(Keun-Sung Kim),박성수(Sung-Soo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5

        남해산 생마늘 및 흑마늘의 일반성분 분석, 아미노산 함량 및 마늘의 주요 황 함유 생리활성물질인 수용성 S-allyl-L-cysteine(SAC) 및 지용성 diallyl-disulfide(DADS)의 함량을 분석하여 발효 전후 이들 성분에 대한 함량 변화를 비교하였다. 일반성분의 함량은 생마늘과 자가숙성발효마늘에서 큰 변화가 없었다. 흑마늘 내의 17종 아미노산중 13종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하였다. 특히 함황아미노산인 cysteine 및 methionine의 함량(㎎/100 g)이 각각 295.25±5.08에서 381.86±14.86로, 47.2±3.92에서 66.6±1.08로 증가하였고, histidine의 함량(㎎/100 g)은 319.19±5.42에서 796.62±7.01로 크게 증가하였다. SAC 및 DADS의 함량(㎍/g)은 245.35±1.35에서 522.51±1.19로, 0.275±0.015에서 8.710±0.45로 각각 2배와 30배 이상으로 생마늘에 비하여 흑마늘내의 함량이 매우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자가숙성발효라는 제조과정에서 생마늘의 alliin이 1차적으로 효소와 기타 화학적 반응에 의해 allicin으로 전환된 후, allicin으로부터 다른 일련의 복합적인 화학반응에 의하여 많은양의 SAC 및 DADS가 생성된 결과에 의하여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자가숙성 발효 과정 중 이러한 SAC 및 DADS 등과 같은 마늘 내 함황화합물들의 지표물질 생성확인은 인체에 유익한 생리활성을 보유한 많은 종류의 다른 함황화합물들이 동시에 흑마늘 내에서 생성되었음을 암시한다. 그러나 흑마늘의 제조과정은 85~95%의 습도, 60~70 ℃에서 40여일 정도 장기간의 숙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숙성과정은 특정 미생물 또는 효소를 이용하여 단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SAC 및 DADS 등과 같이 생리활성이 높은 함황화합물들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가공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Garlic (Allium sativum L.) is one of the oldest cultivated plants and has been used throughout the world as a food supplement and a folk medicine for thousands of years. Raw garlic has been processed into a variety of commercial garlic products for consumer convenience. The latest new processing technology, "spontaneous short-term fermentation", has been developed to process raw garlic into black garlic. The physiologically active effects of garlic have been attributed to its organosulfur compounds. In this study, the proximate compositions and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raw Namhae garlic and black garlic were determined. The two major organosulfur compounds of garlic, S-allyl-L-cysteine (SAC), and diallyl-disulfide (DADS), were also analyzed using RP-HPLC. The proximate compositions were not different between raw and black garlic. The amount of 13 amino acids was greater in black garlic than in raw garlic among a total of 17 amino acids considered. The black garlic had 2-fold higher levels of SAC and 30-fold higher levels of DADS than the raw garlic.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consuming black garlic produced by spontaneous short-term fermentation is more effective than consuming raw garlic, in order for consumers to take more physiologically active organosulfur compounds (SAC and DADS), which are the compounds that are good for consumer health.

      • KCI등재

        저온 환경에서 Cronobacter sakazakii의 저항과 생존

        김세훈 ( Se Hun Kim ),장성란 ( Sung Ran Jang ),정현정 ( Hyun Jung Chung ),방우석 ( Woo Suk Bang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구 한국농산물저장유통학회) 2011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Vol.18 No.4

        Cronobacter sakazakii has been isolated from a wide range of environmental sources and from several foods of animal and plant origi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sistance of C. sakazakii (ATCC 12868, ATCC 29004, and ATCC 29544) in cold, cold-freeze thaw, cold-acid, and cold starvation-freeze thaw stress. The number of C. sakazakii decreased to 1 log CFU/mL at 5℃ (cold storage) for 10 days. When C. sakazakii was cultivated at a low temperature (13℃), the population of C. sakazakii ATCC 12868 and 29004 increased to 10(9) CFU/mL, and the population of C. sakazakii ATCC 29544 increased to 10(8) CFU/mL. For C. sakazakii ATCC 12868 and 29004, the cold-adapted cells (5℃ 24 hr) decreased by 4 log CFU/mL, and the low-temperature-cultivated cells (13℃) decreased by 0.5 log CFU/mL. In this study, low-temperature cultivation enhanced the freeze-thaw cross-resistance due to the metabolic changes in the cells. Cold stress (5℃ 48 hr, 13℃ cultivation) enhanced the cold-acid cross-resistance. The cold-starved cells in the sterilized 0.1% peptone water enhanced the freeze-thaw cross-resistance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Therefore, the increased tolerance of the cold-adapted or low-temperature-cultivated C. sakazakii cells to freeze-thaw, acid, or starvation suggests that such environme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processing minimally processed foods or foods with extended shelf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