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전통춤과 음악에 드러난 중국의 초(楚)문화 양상

        방수경(Xiuqing Fang),류은주(Eunjoo R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3

        한국 전통 춤은 우선, 심미적 이상으로 ‘대상무형, 천인합일(大象無形, 天人合壹)’의 이념을 추구하고, 심미적 품격으로는 ‘정중유동, 동중유정(靜中有動,、動中有靜)’의 특징을 추구한다. 춤 동작의 방식 면에 있어서는 섬세하고 조화로운 특성을 추구한다. 특히, 숨결과 염력, 지체와 영혼의 조화가 어우러지는 ‘이기대동, 이의대행(以氣帶動, 以意帶行)’을 한국 전통 춤의 특유한 성격으로 구분 지을 수 있는데, 이러한 춤 이면의 이상, 품격, 특징에서 드러난 한국 전통 춤은 특정 문화 정신을 숭상하고 그들만의 예술을 구현해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춤에 있어서 사람들이 추구하는 정신을 반영하거나 삶을 구현할 때, 또는 예술화할 때 초(楚)문화 무속·도선(道禪) 사상을 흡수하여 발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 전통 판소리와 무악(巫樂) 등에서도 중국의 초문화 영향을 찾아볼 수 있으므로 한국 춤과 음악에서 드러나는 한국 고유의 정신과 초문화의 사상들이 어떻게 융합되어 전승되어 오고 있는지 예술사적인 흐름에서 두 문화의 연관성을 해독하는 것이 필요함을 인지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국내에 미비했던 연구 분야인 한국 무용 및 음악을 중심으로 하는 전통예술에서 발견되는 중국의 초문화의 영향력을 역사학적이고 심미적인 접근을 통해 밝혀내고자 한다. 나아가 두 나라의 문화적 가치가 서로 연계되고 융합되었던 과거의 모색을 통해 현재와 미래의 문화예술 발전에 필요한 시사점을 던지고자 한다. Overall, Korean traditional dance has pursued Daesangmuhyeong (大象無形)-the idea that a huge shape is intangible-and Cheoninhapil (天人合壹)-the idea that heaven and people are united-as an aesthetic ideal. On the other hand, it has followed the characteristics of Jeongjungyudong (靜中有動)-the idea that miraculous enlightenment is thoroughly investigated in silence-and Dongjungyujeong (動中有靜)-the idea that serenity is in the movement-in the aesthetic dignity. The delicate and harmonious feature has been chased in its dance motion. In particular, the unique nature of Korean traditional dance is distinguished as Igidaedong (以氣帶動) and Iuidaehaeng (以意帶行), which means that breath and psychokinesis, as well as body and soul, are in harmony. Korean traditional dance revealed in the ideal, dignity, and characteristics lying behind it has revered the particular cultural spirit and given shape to their intrinsic art. This means that we can see the spirit that people sought as reflected in their dance or was manifested by being fused with the supercultural shamanism and Doseon idea related to geomancy, when people realized or sublimated their lives in art. Since we can also find the effect of Chinese superculture in Korean traditional pansori and shaman music, I recognized the need to interpret the connection between two cultures in the flow of art history, in particular, how the Korean unique spirit and supercultural ideas foun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dance were blended and passed on. Henc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Chinese superculture, which can be found in Korean traditional art based on Korean traditional dance and music (domestic research on this is inadequate) using the historical and aesthetic approach. Furthermore, I would like to deduce th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development of the present and future culture and art by searching the past when the cultural value of the two was linked and fused.

      • KCI등재

        R.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살로메>에 드러난 음악적 메타포

        방수경(Xiuqing Fang),류은주(Eunjoo R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4

        R. 슈트라우스는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작곡가 중 한 사람이다. 1892년부터 본격적으로 오페라에 발을 들여놓은 R. 슈트라우스의 오페라 작곡 스타일은 바그너 악극의 성격을 계승하면서도 <살로메>를 통해 독자적인 음악적 면모를 드러냈다. 이 극의 음악은 선명한 주제, 풍부하고 변화가 가득한 색채, 복잡한 다층적 짜임새, 그리고 다양한 묘사 수단을 특징으로 하여 상징주의적인 음악적 기법을 시도하며 강렬한 감각을 선사하였다.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음악적 형식에 그치지 않고 극의 전개와 생생하게 맞물리는 묘사와 암시성을 드러내며 19세기 후반의 예술관과 상징주의를 구현해냈다. 화성법은 R. 슈트라우스가 상징성을 추구하는 중요한 수단이다. R. 슈트라우스는 <살로메>에서 더 많은 부가적인 화음을 사용했으며, 화음의 수직적 구조는 기존 3도씩 쌓아올린 것을 위주로 기존 화음에 반음계적 기법을 더하여 화음 구조를 다양하게 만들었다. 이들 화음은 주로 부가적인 화음, 비화성음, 지속음, 교회선법의 특징음이 있으며 공통화음으로 전조하는 그 밖의 화음까지 기능성을 약화시키는 동시에 색채감을 강조하였다. R. 슈트라우스는 색채적인 화음과 잦은 전조를 추구하였고 조성의 범위를 넓히는 화음 및 화성진행을 사용하면서 조성감이 모호해지는 기법을 구사하여 심층적인 인물의 성격과 서사의 갈등 및 복선을 드러냈다. 본 논문에서는 R. 슈트라우스가 <살로메>에서 색채감을 중심으로 드러낸 낭만주의적이고 상징주의적인 표현을 ‘메타포’의 개념에 적용하고 극의 서사와 적극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음악적’ 메타포로서 기능함을 제시하였다. 색채 중심의 화성과 불협화 된 R. 슈트라우스의 독자적 음악언어는 이후 독일 표현주의에서 조성이 해체되는 것뿐만 아니라 20세기 현대음악에 심대한 영향을 미쳤다. Richard Straus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sers from late 19th- to early 20th-century Europe. Strauss went into opera in earnest in 1892. His “Salome” showcases the unique musical aspects of his opera composition style; it has also inherited the characteristics of Wagner’s musical dramas. The music in “Salome” draws strongly on the senses; it also attempts symbolistic musical techniques and features distinct themes; rich, ever-changing colors; complex, multi-layered structures; and various means of description. Rather than embodying such superficial musical forms, it manages to embody the late 19th-century’s artistic view and symbolism, revealing that the play’s description and intimation are vividly interconnected with its development. For Strauss, the law of harmony is an important means of pursuing symbolism. In “Salome,” he used many more added note chords, an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structure of chords, he achieved structural diversification by adding chromatic scale techniques to the existing chords based on the harmonizing by triad method. The chords include mainly “additional chords,” “nonharmonic tones,” “sustain notes,” and “character notes of church modal scales.” Those that are in addition to the “other chords modulating with [the] pivot chord” highlight the coloristic sense while weakening functionality. Strauss sought coloristic harmony and frequent modulations, revealed the in-depth personality of characters and conflicts, and double-crossed the descriptions, making use of a technique that blurs the sense of tonality, while using chords and chord progressions to widen the range of tonality. This study applied Strauss’ romantic and symbolic expressions, with a focus on the sense of color in “Salome” and the concept of “metaphor.” The study suggests that these work as a “musical” metaphor by creating an active link with the play’s descriptions. Strauss’ unique musical language with regard to color-oriented harmony and discordance later had a profound impact on modern music in the 20th century and the deconstruction of tonality in German expressionism.

      • KCI등재

        고대 악기의 보존과 활용에 대한 고찰 : 중국 전통 현악기 축(筑)의 역사적 고찰을 중심으로

        방수경(Xiuqing Fang),류은주(Eunjoo Ry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10

        축(筑)은 중국 고대 현악기로서 선진 시대에 기원하여 한나라에 융성했으나 송나라 이후 소멸되었다. 2200여 년 간 소멸되었던 축은 1973년에 출토된 중국 호남성 장사시 마왕퇴(馬王堆) 1호 한묘의 채색칠관의 그림을 통해서 발견되었고, 이후 음악고고학자들의 발굴과 연구가 지속되어져 왔다. 그러나 미비한 고대 문헌과 제한적인 출토량으로 축에 대한 형성과 구조, 연주법에 대해 합치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축이 기원되었다고 추정되는 선진시대, 가장 활발히 연주되었던 한나라, 삼국시대 이후의 축에 대한 형상과 구조 및 연주법 대해 각 왕조의 사료들과 출토된 유물을 통해 세부적으로 정리한다. 송나라 시기에 축이 소멸했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의 의견에 따르면 비파와 같은 외래 악기, 음향이 우월한 양금 등의 악기가 보급되고 당시의 정치적 압력이 축이 연주되기에 부정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라 제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외에 축이 소멸된 내재적, 외재적 원인을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21세기에 축이 복원됨으로써 언론과 사회적 관심을 집중 받았던 시기를 조명하고, 여러 고대의 악기가 복원되고 연주된 사례들과 비교해 보면서 전통악기의 복원과 활용에 대한 가치를 함의해볼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전통음악과 악기가 보존되기 위해 필요한 자세와 사회적 태도에 대해 고찰한다. The zhu was an ancient Chinese string instrument that originated in the early Qin era, prospered in the Han dynasty, and disappeared after the Song dynasty. It disappeared for 2,200 years until it was discovered in a tomb at Mawang Dui, Changsha, Hunan province. Since then, music archaeologists continued to excavate and study, but due to the lack of ancient literary sources and limited excavation, its formation, structure, and playing techniques are still under debate. This study details the shape, formation, and playing techniques through historical sources and excavated artifacts from the early Qin era, where the zhu is thought to have originated in the Han dynasty where the zhu prospered, and after the Three Kingdoms Era. Some scholars argue that zhu disappeared in the Song era due to foreignorigin instruments such as the pipa, instruments with superior sound such as yangqin, and negative political pressure at the time. This study considers other intrinsic and extrinsic causes of the disappearance of zhu. Lastly, this study highlights the period where the zhu attracted media coverage and social attention, compares it with other cases of ancient instrument restoration, and examines the value of restoring and utilizing ancient instruments as well as the social condition to facilitate traditional music and instrument rest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