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상담자의 탈북주민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조영아 ( Young A Cho ),방기연 ( Kee Yeon Bang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0 人間理解 Vol.31 No.1

        본 연구는 탈북주민을 상담한 상담자들의 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밝힘으로써 탈북주민 상담자들의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갖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탈북주민 상담을 지속적으로 해온 상담자 7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했고 면담 자료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상담자는 자신이 상담 전문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인지 의문을 가졌다. 탈북주민 상담을 시작하면서 상담자는 낯선 상담주제와 상담환경으로 자신감을 상실하였고 상담의 효과에 대해 불안해했다. 또한 외상 경험을 들으며 대리외상화를 경험했지만 적절한 수퍼비전을 받지 못해 소진을 경험했다. 상담을 통해서 북한 사람이나 문화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고 효과적인 개입능력이 향상됨을 경험했다. 탈북주민에게 신뢰감을 주기 위한 인성적 자질을 쌓으려고 노력하였고, 인생의 경험에 대해 수용하고 회복하는 힘이 늘어남을 경험했다. 또한 상담자 자신의 편견에 대해 예민해지면서 탈북주민에 대해 적극적인 옹호자로 변화되어감을 경험하였다. 연구 결과가 탈북주민 상담과 상담자 교육에 미치는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seven counselors` experiences in helping North Korean refugees.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analysis. Counselors reported having been confused about their roles because they often had to perform roles of teacher, neighbor, and social worker. In helping the refugees, the counselors experienced loss of confidence because of the counseling contents and environment they were not familiar with. Also, they experienced burnout due to role conflicts, vicarious traumatization, and lack of supervision. However, they recognized their own biases about North Koreans, becoming more congruent and accepting about their experiences. As they became more sensitive to their own biases, they became advocates for North Korean refugees. Implications for counseling the refugees and counselor education are discussed.

      • KCI등재

        그룹 홈 종사자의 무연고 탈북 청소년과의 거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현아(Kim Hyun-A),방기연(Bang Kee-Ye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그룹 홈 종사자 10명을 면접하고, 합의적 질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그룹 홈 종사자의 무연고 탈북 청소년과의 관계 경험, 그룹 홈 운영의 어려움과 대처 전략, 종사자의 보람과 비전, 그룹 홈 운영에 대한 제안을 조사하였다. 부모와의 동반관계 경험의 부족으로 인해 탈북 청소년은 그룹 홈 종사자에게 마음을 열지 않았고, 생활 규칙을 수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부모역할을 담당하는 종사자와 함께 생활하면서 점차 친밀하고 신뢰로운 관계를 맺게 되었다. 그룹 홈 종사자들은 탈북 청소년 그룹 홈이 아동복지법의 인가를 받기 어려운 점과, 재정적 어려움, 업무과다의 어려움을 경험했지만, 청소년과 함께 지내는 기쁨과 탈북 청소년의 남한 적응, 그리고 통일과 사회통합이라는 비전을 통해 소진을 극복하였다. 그룹 홈 종사자들은 18세 이상의 탈북 청소년과 연고 청소년들도 그룹 홈에서 생활하는 것이 남한 적응에 보다 효과적이라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연고 탈북 청소년을 위한 그룹 홈 및 사회적 지지망 형성의 필요성과 그룹 홈 종사자가 탈북 청소년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하였다. 논의에서는 탈북 청소년을 돕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기술하였고,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of workers at group homes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making use of their own testimony and perspectives. Ten group home workers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method. The group home workers had initial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a rapport with the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due to their lack of a preexisting companion relationship experiences. However, as they began to better understand the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hey began to create an alternative family relationship with them. It took approximately about one year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o become adjusted to Korean society and South Korean people. The group home workers experienced financial difficulties and heavy workload, but found meaning in their work through helping and living with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hey recommended prospective group home workers should have knowledge, skills, and understanding regarding both group home management and North Korean people and culture. This study also included a number of important policy recommendations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