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시민의 지지도와 정치의식: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를 중심으로

        박희제,김명심,Bak, Hee-Je,Kim, Myungsim 기술경영경제학회 2016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24 No.3

        이 논문은 전국적인 설문조사자료를 분석하여 과학연구에 대한 한국인의 지지도가 어떠하며, 어떤 집단이 이러한 지지를 견인하고 있는지를 순수 기초 연구, 산업발전을 목표로 하는 응용연구, 일반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로 나누어 살펴본다. 분석결과 사회적 정치적 가치 지향에 따라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를 포함한 연구 유형별 지지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주관적 정치성향이 진보적일수록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를 다른 유형의 연구들에 비해 지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보수적일수록 기초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높아졌고 신자유주의적 가치지향에 가까울수록 응용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높아졌다. 한편 한국사회에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가 지나친 응용연구에 대한 비판으로 대두된 반면, 일반시민들은 이를 응용연구보다 기초연구와 대비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가 전문가주의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시민참여를 강조하는 반면, 과학자의 권위와 전문성에 대한 신뢰도 수준이 높을수록 오히려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득 수준이 낮을수록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에 대한 지지도가 다른 두 유형의 연구에 대한 지지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y analyzing a nationwide survey on Korean publics, this study examines the social determinants of public support for three types of scientific research-basic research aimed at pure knowledge, applied research toward industrial application, and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which aims to enhance ordinary citizens' quality of life. The present study find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ocial- and political value orientations on the level of public support for respective types of research. As ones have more progressive in their subjective political orientations, they are more likely to support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than other types of research, while conservatives tend to support basic research and those with neo-liberal ideology tend to support applied research. The Korean public also tends to perceive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as a counter to basic research while it has been developed against the conventional emphasis on applied research in Korea. Also, the level of support for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increases with the higher level of trust in scientific authority and expertise, while it has been developed against expertism and included public engagement in science as an important element. Finally, those who have lower income tend to support for research for social problem-solving than other types of research.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한국인의 과학기술자에 대한 인식분석: 세대, 성, 전공계열의 영향을 중심으로

        박희제 기술경영경제학회 2005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3 No.1

        By analyzing a national survey of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public perceptions of scientists and engineers in Korea. A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the gap in the view of scientists and engineers across generation, gender, and class fields(or major fields). This paper shows that generation has the strongest effect on public perceptions of scientists and engineers among all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examined in this study. Those over 50 are more likely to have the conventional idealized images of scientists and the stereotypical negative images of scientists simultaneously, while the 20s are less likely to accept the idealized image of scientists. The survey result thus may suggest that the younger generation began to depart from a patriotic and moral description of scientists and engineers-for the younger generation, science and engineering is losing moral respect but becomes perceived as an ordinary occupation. Contrary to the popular belief, however, gender has little effect on public perceptions of scientists and engineers. This finding questions the assertion that female students possess more negative attitudes toward scientists and engineers than male students, and thus are reluctant to develop careers related to science and engineering. By uncovering that class fields (or major areas) have no effect on the image of scientists, this study also call into question the assertion in the science wars that the inadequate appreciation of science particularly among those who do not major in science and engineering is responsible for inadequate support for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후보

        국내 도로교통기술 R&D 추진방향 및 연구과제 도출

        박희제,연지윤,강연수 한국교통연구원 2009 交通硏究 Vol.16 No.3

        Advance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have been being in rapid growth along with the rise of advanced Information Telecommunication (IT) technologies. Advanced countries such as USA, Japan, many others in Europe have been spending huge amount of money for the developmental enhancement of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hile it has not been really focused in our country where more than 20 trillion won has been annually being spent for transportation industry. Expansion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has been a major concern rather than the development of various advance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hich provide sound solutions for more efficient and sustainable transportation environment. In order for transportation industry to be one of the high value-added industries,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road map to boost advance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is required. This study aimed at setting up mid- and long-term goals and strategies for the future transport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 the national level by diagnosing technology R&D status and trend of our country compared with those of advanced countries.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environments that relate the future R&D were investigated and e-mail surveys of transportation researchers, policy makers, and practitioners were conducted to gauge their perceptions on the levels of future need of a variety of advance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첨단교통기술 시장은 첨단 IT 기술의 발전과 함께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막대한 재원을 교통시설투자와 함께 교통기술개발에 전략적ㆍ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연간 20조 원 내외의 막대한 재원을 교통에 투자하고 있지만, 교통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는 미미한 편이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양적 성장에 치중하던 국내 교통산업을 첨단기술 기반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교통기술개발을 위한 발전 방향 제시 및 이에 따른 투자가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도로교통을 중심으로 국내 교통기술 R&D 진행 현황과 현재 미국, 일본, 유럽 등 선진국에서 추진 중인 연구동향의 비교ㆍ분석을 통하여, 향후 2017년까지 국내에서 추진되어야 할 도로교통 분야의 교통기술 R&D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비교ㆍ분석 결과, 국외의 도로교통분야의 교통기술 R&D는 국가 차원의 중ㆍ장기 계획을 통한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반면, 국내에서는 5년 이하의 단기 계획에 머무르고 있고, 연구 추진목표에 있어서도 국외의 도로교통 분야의 교통기술 R&D는 안전성 및 효율성 제고, 지속성, 긴급상황 대비 등 다양한 목표에 따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반해, 국내에서 진행 중인 도로교통분야의 교통기 술 R&D는 대부분 효율성 제고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향후 2017년까지 도로교통분야의 교통기술 R&D의 중ㆍ장기적 추진 방향과 목표 및 전략을 제시하고, 교통전문가를 대상으로 교통기술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개발해야 할 도로교통기술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목표는 ‘미래형 신국가교통시스템 구현’이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적 목표로 안전성 제고, 효율성 향상, 환경성 제고 부분으로 구분하였다. 각각의 전략적 목표는 다시 사전대응기술(before)과 사후처리기술(after)로 구분하여 각 항목에 해당하는 도로교통기술을 나열하였다. 나열된 개발기술은 점수를 차등 부여하는 방법으로 우선순위를 선정한 후 로드맵 작성의 기초자료로 사용하였다. 설정된 중ㆍ장기 교통기술 R&D 추진방향 및 전략은 연구개발 진행에 있어 선택과 집중을 가능하게 하여 향후 친환경ㆍ고효율ㆍ고안전의 교통체계 확립으로 더욱 강화된 국가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

        유전자변형식품을 통해 본 한국인의 과학기술 이해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 분석

        박희제,안성우 비판사회학회 2005 경제와 사회 Vol.- No.65

        이 논문은 여덟 차례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일반시민들의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를 탐색한다. 이번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는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시민들의 태도가 매우 양면적(ambivalent)임을 보여준다. 일반시민들은 과학의 편익과 위험을 모두 인식하고 있었고 그 과학기술이 적용되는 맥락에 따라 과학기술의 편익을 다르게 판단하고 있었다. 이때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시민들의 판단근거로는 불확실성의 회피, 제품의 소비상황에 대한 고려, 그리고 국제관계를 포함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맥락에 대한 고려가 이용되고 있었다. 이 연구는 또한 우리사회의 일반시민들이 과학자를 객관적이며 이해무관심한 진리의 탐구자로 바라보는 전통적인 인식으로부터 거리를 두어가는 과정에 있음을 시사한다. 이들은 특히 과학자와 이들의 연구가 연구를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국가나 기업의 이해관계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과학기술과 과학자에 대한 양면적인 인식에도 불구하고 과학기술은 전문가의 영역이며 국가발전을 위해 반드시 발전해야 할 것이라는 인식 역시 광범위하게 발견되었다.

      • KCI등재

        인간공학적 요소를 반영한 첨단차량 추종모형

        박희제,배상훈,정희진 대한교통학회 2008 大韓交通學會誌 Vol.26 No.2

        기존의 첨단차량 추종거동 모형은 선행차량과의 상대거리와 관계없이 동일한 속도이면 추종상태를 유지하는 비현실적 제약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추종상황에서 차량간 적정 상대거리를 유지함과 동시에 추종차량 운전자의 안전성과 안락함을 고려하기 위해 인간공학요소를 반영한 보다 현실적인 추종거동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인간공학요소의 반영을 위하여 운전자의 개별특성, 환경적 요소, 속도 및 거리관계에 의해 나타나는 운전자의 불안감도(MOA, Measurement of Alarm)를 퍼지모형 구축을 통해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불안감도를 경감시키고 적정 안전거리를 확보하도록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기 개발된 GGM(General GM)모형과 동일한 시나리오에 따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수행 결과, 선행차량과의 상대거리에 관계없이 속도가 동일하면 추종을 그대로 유지하는 GGM모형과 달리, 제안된 모형은 선행차량과의 상대거리가 안전거리 이하 또는 이상이면 상대거리를 안전거리만큼 넓히거나 좁힌 후 추종상태를 유지하였다. 이는 제안된 모형이 기존의 모형에 비해 더욱 안전한 거동을 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GGM모형이 상대거리와 속도 관계에 의해 높은 불안감도를 유지하는 반면, 제안된 모형은 불안감도를 허용 불안감도까지 경감시켜 추종거동을 유지하여 운전자의 안락함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운전자 불안감도의 경감 측면과 도로이용의 효율성 측면에서 제안된 모형이 기존의 GGM모형을 대폭 현실화시킨 것으로 판단되었다. Conventional car following models are controlled when the velocity of following vehicle is equal to preceding vehicle without consideration of relative distance. Also, since the car following models are hardly consider the driver's behaviors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in driving, the models can't be adopted in reality. Hence, we developed the car following model applying Human Factors to consider driver's safety and comfortness. We simulated to compare the suggested model with the existing model, GGM(General GM). As results of simulations, the GGM model followed the preceding vehicle when the velocity of following vehicle was equal to preceding vehicle without relation of relative range. The other side, when the relative range was less or over than safety range, the suggested model made the relative range equal to safety range. Accordingly, we could be sure that the model would decrease the driver's discomfort and intensify the safety on driving without unnecessary waste of road. We identified that the suggested model is more realistic than the conventional GGM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