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金順男의 音樂世界에 관한 硏究 : 초기작품 중 상렬(喪列), 철공소(鐵工所), 탱자의 분석

        박희순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민족음악 활동의 초창기라고 할 수 있는 1940년대에 활동한 민족음악가 중의 한사람인 김순남(金順男 1917 - 1983)은 그의 작품들이 전부 서양음악적인 관점에서만 분석되어왔다. 민족음악은 자주적인 음악활동의 확립과 전통음악을 되찾고, 서양음악을 재통합하여 새로운 양식을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민족음악은 자칫 전통음악도 아니며, 서양음악도 아닌 애매모호한 형태의 작품을 지칭하는 용어로 오인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김순남의 작품 가운데에서 어떤 요소들이 첨가되었기 때문에 김순남을 민족음악가로 구분하였는가를 밝히고 그 음악이 민족음악의 정의와 부합하는지 살펴보려고 한다. 특히 그의 작품 중 가곡「상렬(喪列)」,「철공소(鐵工所)」,「탱자」에 나타난 특징들을 이제까지 연구되어진 서양음악의 관점이 아닌 전통음악적인 관점에서 박자, 가사, 반주형태, 리듬구조, 형식으로 항목을 나누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상렬(喪列)」,에서는 3박, 4박, 5박이 마디 단위로 변화하는 변박자의 형식을 갖추고 있어서 시조(시조시를 노래하는 전통성악곡, 12쪽 참조)의 5박, 8박의 변박과 비교할 수 있고,「철공소(鐵工所),는 2/2의 한 가지 박자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탱자」는 박자 구성 중에서 기준이 되는 음표의 변화로 형식을 나눌 수 있다. 둘째, 김순남의 가곡은 가사의 의미전달보다는 멜로디 자체를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다. 전통음악에서는 잉어걸이 장단이 사용되는데 김순남의 가곡도 위와 같은 형태가 사용되지만 전통음악에서 처럼 리듬을 다양하게 하기 위함이 아니라, 멜로디를 중시하기 위해서 잉어걸이 수법이 사용된 것 같다. 따라서, 멜로디에 맞추어서 가사를 붙이는 방식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반주형태는 각 노래마다 형식이 바뀌어짐에 따라 특징적인 반주형이 출현한다. 이러한 반주형은 여러 차례의 반복과 변화를 통해 전체적인 반주선율을 이루게 된다. 네째, 리듬구조는 작곡의 기본적인 방법인 리듬의 축소, 확대, 반복의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다섯째, 김순남의 초기 가곡은 모두 <A -B -A'>의 구조로 된 서양 음악의 가요 형식이다. 위와 같이 분석된 그의 작품「상렬(喪列)」.「철공소(鐵工所)」.「탱자」에서는 시조 변박의 사용, 곡(哭)소리, 한숨소리, 잉어걸이, 세마치 장단의 변형구조 사용 등의 전통적인 음악요소를 찾을 수 있었고,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것을 작품의 소재로 사용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이제까지 민족음악이라고 분석되어졌던 그의 후반기 작품에서는 초기 작품들처럼 한 부분이 아닌 전체적인 구조들에서 전통음악적인 요소를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민족음악가로 알려져 있는 김순남의 초기작품들은 후기 완전한 민족음악을 완성하기 위한 과도기적인 작품들이라고 판단되며, 아울러 앞으로 민족음악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본 연구가 참고되리라 생각한다. Kim Sun-nam worked as a national musician at the beginning period of Korean National Music Movement in 1940s. All the works of him, however, have been analyzed only from the viewpoint of Western music. The purpose of the movement was to revive the tradition of Korean music, to establish the independence of Korean music and to create the new mode of music through the reunification of Western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term national music had some chance to be misunderstood. In other words, it seemed that it indicated the ambiguous form of music, neither entire Korean traditional music nor entire Western music. In this paper, therefore, I will attempt to account for the reason his works can be categorized into National music by investigating whether his works meet the definition of National Music. Specifically, I will give the full explanation about the musical properties of his song works including time, accompaniment, rhythmic structure and form described in Sung-ryol (喪列), Chul-gong-so(鐵工所) and A trifoliate orange from the viewpoint not of established Western music bu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ang-ryol is in the form of changing time: its time is changed three quarters time into four quarters time, five quarters time by the phrase. On the other hand, Chul-gong-so and A trifoliate orange have the single time. Second, the song works of him have a tendency to focus on the melody itself rather than delivery of words. So, he used the way he first made the melody and then made the words to the melody. Third, as the form of his song work changes from work to work, the characteristic accompaniment appears in each song work. This form of accompaniment constructs the whole accompaniment melody through many times of repetition and change. Fourth, for the rhythmic structure, he used the basic method of composition -reduction, enlargement and repetition of rhythm. Finally, all of his early song works are traditional and have the structure of A-B-A' . Sang-ryol, Chul-gong-so and A trifoliate orange out of his works are estimated to be the works in a transition period led to late national works fo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traditional musical properties in them. As well, I hope this study will be a help to define the limit of Traditional Music.

      • 젖갈류 발효과정중의 정미물질함량의 변화와 미생물학적 연구

        박희순 淑明女子大學校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motolerant와 thermophilic fungi의 분리 동정과 그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도 부천시 역곡동과 서울시 강남구 신원동의 논 토양을 시료로 사용하였다. 토양 채취기로 상충(0 ~ 10cm), 중층( 10 ~ 20cm )과 하층( 20 ~ 30cm ) 깊이의 토양을 채취하여 saline에 토양을 희석하여 이것을 37℃에서 배양하였으며 또 한가지 방법으로는 내열성 균류를 분리하기 위하여 토양희석액을 70℃에서 15분간 열처리한 후 Malt extract-Yeast extract Agar(MYA) 도말하여 24℃에서 배양하였다. 고온성 균류의 경우에 있어서 분리된 전체 균수는 계절이나 장소에 관계없이 토양의 밑으로 내려갈수록 감소하였다. 상층에서는 여러종류의 species가 분리되었으나 중층과 하층으로 내려갈수록 나타나는 species빈도는 낮아졌다. 우점종인 Aspergillus fumigatus의 수직적 분포는 현저한 깊이에따라 그 수가 감소하였다. 두 장소에서 14 species와 9 genera가 분리 동정되었으며 공통된 species는 Tal. stipitatus, A. flavus, A. fumigatus, A. terreus, P. piceum등이며, Sporotrichum thermophile, Tal. ucrainicus, Malbranchea pulchella, var. sulfrea 는 한국 미기록 중이다. 내열성 균의 계절적 변이를 보면, 봄보다 여름에 그 분포가 높으며 가을과 겨울에는 전반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내열성 균류의 경우, 전체균의 수직적 분포도가 깊을수록 그 분포도가 적었으며, 나타나는 species빈도도 밑으로 내려갈 수록 적었다. 우점종인 Tal. stipitatus의 분포도 깊이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다. 계절적 내열성 균의 분포를 보아도 두 장소 모두 봄보다 여름이 높고, 가을과 겨울에 가장 낮은 분포를 보여주었다. 두 장소에서 20 species와 10 genera가 분리 동정되었으며 두 장소의 공통된 종은 Tal. stiipitatus, A. fumigatus, A. versicolor, P. funiculosum, P. verrucosum. 분리된 곰팡이중 Tal. helicus, var. major, Emeriicella nidulans, var. nidulans, Chaetomium subspirale, Neosartorya fisheri, var. fisheri는 한국에서는 미기록 중이다. Fishes salted such as shrimp, sea arrow, squid, shell and oyster were made and fermented at 28C for 6 days. And the changes in the amounts of amino acids, fatty acids, nucleotide of them and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were investigated. Eighteen kinds of amino acids showed the trends of increase in contents in proportion to fermentation time for 7 days but tyrosine and prolin was slightly decreased. In fatty acid contents, there was little change during the fermentation. The content of ATP, CDP, UMP, Xanthin and UTP also showed no change. XMP contents of the salted shrimp, squid, oyster were found to be 100mg/l during fermentation and that of the salted shell 200 mg/l and they are increased sliphily. In the content of GMP, the salted oyster showed 2,000 mg/l, ten times higher than other samples. IMP of samples were similar to the trends of GMP but especially the salted squid showed the lowest value, 50 mg/l.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t contains the highest because it has high content of GMP and IMP. The number of general bacteria increased until 7 days and then decreased. The cell number in Staphylococcus aureus and Coliform group showed the highest value and then there was no change.

      • 천연염색과 조각보 만들기 수업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및 적용

        박희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interest and attitude about student's Technology-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to recognize the change of cognition on Traditional image through applying the making of Natural Dyeing and Jogakbo in the unit of "Making daily necessity to use textile fabric"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first year high school. For this, LT Cooperative learning as class method is applied, Teaching - learning plan of 10 times, group activity paper, learning materials and photograph materials for course of practice are developed. Through application of these things, the change of cognition on traditional image and the change of students' learning interest and attitude pre and post testing are checked. The study subjects are 62 students of a S-girl's high school, which is located at Sang-Ju city, Gyeong-Kuk. Injection of program for the progress of the study studies students for 3 hours per week and the program continues for 4 weeks. The examining instrument for this study consult the examining instrument of Se-Jeong-Ho (2002), Se-Jeong-Ja (2002) and Sin-Eun-Young (2002). The instrument is used in accordance with the researcher's aim, noting th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 use of instrument. General contents to the practical contents of making of Natural dyeing and Jogakbo are analyzed with opening questions and examination after testing. Statistical analysis of materials calculates average and standard deflection in order to recognize the change of testing group before and after testing with the practical use of SPSS Win 12.0 program, executing t-test, independent correspondence sample, calculating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abridged result of study following this: First, in making of Natural dyeing and Jogakbo, teaching-learning plan applying LT cooperative studying and learning materials have been developed. The guide line that this study develops has the characteristic that applies the education about traditional culture in curriculum in apposition with existing study in clothing teaching-learning. Second, after applying the developed lesson plan, the result show that the change in learning interest and attitude about Technology- Home Economics curriculum is positively improved. Examination and presentation of various materials through internet improve students motivation and interest, examining the change of color in the process of dyeing and extracting direct dyes in practice raises up the interest of practice, this process not only remain in theory and being very effective at the achievement of studying goal through direct experience. In addi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LT cooperative learning and voluntary and active student's participation, interest degree and attitude about cooperative learning is upgraded. After executing the class on making of Natural dyeing and Jogakbo ,the interest and concern about tradition is very positively upgraded through the result analyzing the change of cognition on traditional image. That is, the view that considers tradition as old-fashioned and non-understandable, and that students these days are not connected with this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changed to the active and positive cognition that more often experience various traditional culture through interesting and happy experience. Even though the application and creativity in various parts of traditional image and the pride on tradition is more or less highly marked in the pre-examination before testing, these points are more improved through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fabric directly dyed and then making of Jogakbo The Teaching - learning plan and learning materials developed through these results have high possibility of application as educational contents about traditional culture in the field of education . After executing the class on making of Natural dyeing and Jogakbo ,the learning interest degree and attitude is very positively upgraded, and the cognition on traditional image has been changed to the active and positive cognition.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기술․가정 교과 「직물을 이용한 생활용품 만들기」단원에 천연염색과 조각보 만들기를 적용하여 전통이미지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고 학생들의 기술․가정 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수업 방법으로 LT 협동학습을 적용하였으며, 10차시 분량의 교수․학습 지도안과 모둠 활동지, 학습 자료와 실습 과정을 위한 사진자료 등을 개발하였다.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실험 전과 후의 학생들의 학습 흥미도와 태도 변화 및 전통이미지 인식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은 경북 상주시 소재의 S여고 1학년 2개반 학생 62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진행을 위한 프로그램 투입은 매주 3시간으로 4주 동안 이루어졌다. 본 연구를 위한 검사 도구는 서정호(2002)와 서정자(2002) 및 신은영(2002)의 검사 도구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사전․사후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천연염색과 조각보 만들기 실습 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개방형 문항과 함께 사후검사로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통계적 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실험집단의 사전․사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 대응 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천연염색과 조각보 만들기에서 LT 협동학습 모형을 적용한 교수․학습 지도안 및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가 개발한 수업 지도안은 의생활 교수․학습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교과 내용에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을 적용하였고, 개발된 교수․학습 지도안과 학습 자료들은 교육현장에서 다른 사람이 실습 시 똑같이 따라할 수 있도록 활용성을 고려하여 제작하였다. 둘째, 개발된 수업 지도안을 적용한 후 기술․가정 교과에 대한 학습흥미도와 태도 변화를 조사한 결과, 매우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인터넷을 통하여 다양한 자료를 조사하고 발표함으로써 학습의 동기유발과 흥미를 갖게 하였으며, 실습에서 직접 염료를 추출하여 염색하고 매염하는 과정에서 달라지는 색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실습의 흥미를 높였다. 이는 이론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체험함으로써 학습목표 달성에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LT 협동학습을 적용하여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학생들의 참여로 인하여 협동학습에 대한 흥미도와 태도도 향상되었다. 또한 천연염색과 조각보 만들기 수업을 실시한 후 전통이미지 인식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전통에 대한 관심과 흥미가 매우 긍정적으로 향상되었다. 이는 전통이라는 인식이 고리타분하고 딱딱하며 요즈음 학생들 문화와는 동떨어진 것이라는 인식으로부터 흥미롭고 즐거운 체험을 통하여 다양한 전통문화를 더 자주 체험하고 쉽다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인식으로 변화되었다. 전통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분야의 활용성과 창조성 및 전통에 대한 자긍심은 사전검사에서도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직접 염색한 천을 디자인하여 조각보를 만드는 과정을 통하여써 더욱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천연염색과 조각보 제작을 통한 수업은 학습 흥미도와 태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통이미지 인식의 변화에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개발된 교수․학습 지도안과 학습 자료들은 교육현장에서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 선(線)이미지로 표현된 강박적 욕망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작품 <유기체적 지층>을 중심으로

        박희순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Human has been civilize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nature in order to survive. As a result, they had to count the cost of suppression of primitive desires. The suppressed desire which was accumulated in unconscious came back and kept running steadily in the life of human. Although we thought that we are living an independent life since we are living in a civilized world, in fact, we have been in a double bind of life that resonates between the suppressed unconscious desire and order of civilization. This research aimed to focus on finding out relationship between desire and civilization while analyzing series of‘Organic Layer’, my works made from 2014 to 2015 concerning the desire. Especi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desires in human life and following aspects making themselves in different way and make meaning from them, by signifying repetitive flow of lines expressed consistently in painting into compulsive attribute of desire and looking into the characteristic of desire and its origin. The painting called ‘Organic Layer’ which was a subject of analysis is a metaphorical expression for world in which survival and foundation of life is constructed with desire and also, has a great deal of difference with the interest in biology or geology. Though human desire exist everyday in their life, people do not notice of it and are influenced by fantastic temptation derived from desire. Jacques Lacan performed analysis for desire and insisted that it cannot be met since it premises a lack instinctive lack. Instead,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denied a desire itself as a lack while understanding it can be met and productive. They claimed that a desire means the intention to do something in a new way. Thus, they opposed to set limits to desire within human. They thought the desire can work as a factor for production as various body parts can connect and move. Nietzsche suggested the theory of eternal recurrence stating every existing things want to have much more and to become stronger which can be understood as the will to power and furthermore, the will never be halted but repeats returning back. Baruch Spinoza who affected Nietzsches explained the principle of desire as conatus which state that limited aspects in nature have instinct to maintain homeostasis as long as they exist contrary to nature, the eternal substance and make efforts in their own way for self-preservation. Some theory regarding desire such as desire as lack of existence and production, will to power repeating difference and conatus as a desire of continuance of aspects seriously affected my works. The interpretations on repeatability of desire which is the characteristics common to these reasons and specifically attributes of repeating desire which are not fixed and show difference played a key role as expressional elements in my works. The desire can transcend visual and physical form. Paul Klee (1879 – 1940) said that modern painting is not to reappear something visible but visualize something invisible. The desire inhabiting beyond the consciousness and giving an impetus to our life is invisible, does not occupy physical space and come into existence through outward behavior. The desire is conditioned to exist in a hidden way in order to avoid censorship of consciousness skillfully. In this way, a line image was selected in order to reproduce invisible desire, as a formative element. The interlacing line image repeatedly represents remark on compulsive attribute of desire, statement about unlimited self-propagation of desire and consequent danger of dissociation of being and impulsion for self-preservation of organism which can be overlapped, bifurcated showing various, generative image off. The line image had no choice but to be abstract since it was chosen as a way to embody invisible desire in order to come to as a thing visible. One line in painting represents a normal signifier which does not have a meaning itself. This signifier can generate its meaning when it gets related with other lines and becomes furcated. In this way, since the meaning is generated by relationship between line and line, lines which consist of painting are not remaining as a fixed meaning but having significations that proliferate infinitely and change themselves according to the mutual interaction and flows. In addition, lines in painting expose it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which remind of musical rhythm while crossing over, overlapping and repeating. Continual rhythm of repetition generating unequal repetition and difference makes visual vibration. Like this, the rhythm of line image which keep repeating and changing continuously represent the expression concerning will to power that returns forever as long as life goes on while the will to live which is returning was interpreted as enjoyable and lively amusement.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specifically repetition of desire and compulsive attribute while exploring ambivalent aspects of desire through analysis on works which was expressed in line image. Thereby, it can be understood that this research was to elucidate existential situation of human who is very irrational and contradictory and to look for possibility of desire to work as productive and positive energy. 인간은 생존을 위해 자연을 극복하고, 자연 상태에서 분리되어 문명화되었지만, 그 결과 원초적 욕망이 억압되는 대가(代價)를 치러야 했다. 무의식 속에 축적되어 있는 억압된 욕망은 다시 돌아와 인간의 삶에서 끊임없이 작동된다. 문명화된 세계 속에 살고 있는 우리는 스스로 주체적인 삶을 살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억압된 무의식적인 욕망과 문명의 질서 사이에서 공명하는 삶의 딜레마에 빠져있다. 본 연구는 욕망을 주제로 2014년 – 2015년에 작업한 본인의 회화작품 <유기체적 지층>을 분석하여 욕망과 문명의 관계성을 파악(把握)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회화 속에서 일관성 있게 표현된 선의 반복적 흐름을 욕망의 강박적 속성으로 의미화 하고, 욕망의 특성과 발생기원 등을 알아봄으로써 인간의 삶속에 펼쳐지는 여러 욕망의 차원과 그로 인해 다양하게 발현되는 양상들을 분석하고 의미화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고의 분석 대상인 회화 <유기체적 지층>은 생존과 삶의 토대가 욕망으로 구축되어 있는 세계에 대한 은유적 표현이며, 생물학이나 지질학적 관심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인간의 욕망은 삶의 일상 속에 존재하지만 의식은 그것을 감지하지 못한 채 욕망이 만들어낸 환상적 유혹에 지배된다. 욕망은 원초적 결여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절대 충족될 수 없다는 것이 라캉의 욕망에 대한 분석이다. 이와 달리 들뢰즈와 가타리는 결여로서의 욕망 자체를 부정하고 욕망을 생산적이고 충족될 수 있는 것이라고 파악한다.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욕망이란 무엇인가를 새로운 방식으로 ‘하고자 함’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욕망을 굳이 인간에게 제한시키는 것을 반대한다. 그들은 욕망을 다양한 신체들이 접속하고 작동하므로 무언가를 생산하는 요인으로 보았다. 니체는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더 많은 것을 갖고자 하며 더 강한 존재가 되고자 하는 ‘힘에의 의지’를 갖고 있으며 그 의지는 중단되지 않고 다시 돌아오기를 반복한다는 ‘영원회귀’ 사유를 통해 욕망의 새로운 차원을 제시하였다. 니체에게 영향을 주었던 스피노자는 영원한 실체인 자연과 달리 자연속의 유한한 양태들은 자기가 존재하는 한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본능이 있고 자기보존을 위해서 자신만의 고유한 방식으로 노력한다는 코나투스(conatus)로서의 욕망원리를 설명하였다. 존재결여로서의 욕망, 생산으로서의 욕망, 차이로 반복하는 힘에의 의지, 양태들의 지속의 욕망인 코나투스 등, 욕망에 관한 이와 같은 담론들은 나의 작업에 크게 영향을 준 내용들이다. 이 사유들에서 볼 수 있는 공통적인 특징인 욕망의 반복성, 특히 고정되지 않고 차이를 드러내며 반복하는 욕망의 속성에 대한 해석들은 나의 작품에서 핵심적인 표현요소이다. 욕망은 시각적이고 물리적인 형태를 초월한다. 클레(Paul Klee 1879 – 1940)는 “현대 회화는 가시적인 것을 재현하는 게 아니라 비가시적인 것을 가시화한다.”라고 말했다. 우리의 의식 너머에 서식하며 우리의 삶을 추동하는 욕망은 눈에 보이지 않고, 물리적 공간을 점유하지도 않으며, 외양적 행위를 통해 존재를 드러내지도 않는다. 욕망은 교묘하게 의식의 검열을 피해 감추어진 방식으로 존재한다. 이처럼 눈에 보이지 않는 비가시적인 욕망의 재현을 위해 선택한 조형적인 요소가 선(線)이미지이다. 반복적으로 얽혀있는 선이미지는 욕망의 강박적 속성에 대한 발언이고, 무제한적인 욕망의 자기증식과 그에 따른 존재의 해체 위험에 대한 진술이며, 중첩되며 분기(分岐)하여 다양한 생성적 이미지를 드러내는 유기체의 자기보존을 위한 충동이다. 비가시적인 욕망을 형상화 하여 가시적인 것으로 드러나게 하는 방법으로 선택한 선이미지는 추상적일 수밖에 없다. 그림 속의 선 한 가닥은 그 자체로는 의미를 갖지 못하는 일반적인 기표이다. 이 기표는 다른 선들과 관계를 맺고 분기할 때 비로소 의미들이 발생한다. 이처럼 선과 선의 관계에 의해 의미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림을 이루어내는 선들은 하나의 고정된 의미에 머물지 않고 상호 마주침과 흐름에 따라 무한히 증식하고 변이되는 의미를 갖는다. 또한 그림 속의 선들은 교차하고 중첩, 반복되면서 음악적인 리듬을 연상시키는 형태적 특성을 드러낸다. 동일하지 않은 반복과 차이를 생성하는 반복의 연속적 리듬은 시각적 진동을 만들어 낸다. 이처럼 끊임없이 반복하며 변주하는 선이미지의 율동은 삶이 지속되는 한 영원히 회귀하는 힘의 의지에 대한 표현이고, 회귀하는 삶의 의지를 생기 넘치는 즐거운 유희로 해석한 것이다. 본 논문은 특히 욕망의 반복과 그 강박적 속성에 집중하고 그것을 선 이미지로 표현한 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욕망의 양가(兩價)적인 측면을 탐구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불합리하고 모순적인 인간의 실존적 상황을 해명하고, 욕망이 생산적이고 긍정적인 에너지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한 연구이다.

      • U-City 災難 分野別 防災力量 分析 : 自然的·人爲的·社會的 災難을 中心으로

        박희순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국문 요약 유비쿼터스 시대를 맞이하여 기존의 재난관리 방식 보다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접목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방재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과 국가 재난의 중요성을 감안하여 현재 전국 각지에서 추진 중인 U-City 방재사업에 대하여 재난 분야별, 방재 단계별, 지방자치단체별 U-City 방재역량 수준과 이들 기술방식 및 방재서비스의 차별성에 대한 실증분석이 매우 시급한 것으로 판단되어 연구가 시도 되었다. 이 논문의 연구 내용은 크게 3가지 분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U-City 방재관련 광범위한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는데 있다. 둘째, 재난 분야별・방재 단계별・도시 유형별 방재역량 수준 및 차별화 여부를 통계적으로 검정하고자 했다. 셋째, 분석된 통계적 검정결과를 토대로 재난 분야별・방재 단계별・도시 유형별 U-City 종합 방재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 개요를 토대로 분석된 이 U-City 재난 분야별・방재 단계별・도시 유형별 방재역량 수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인위적 재난이 사회적 재난과 자연적 재난 대비 방재역량이 두드러지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예방・대비・대응단계 각각의 방재역량은 모두 인위적 재난이 사회적 재난과 자연적 재난 대비 높게 나타났다. 셋째, 복구단계 방재역량은 특이하게 사회적 재난이 자연적 재난과 인위적 재난 대비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자연적 재난과 인위적 재난 대응단계별 방재역량은 대응단계가 복구단계, 예방단계, 대비단계 대비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적 재난 대응단계별 방재역량은 복구단계가 대응단계, 예방단계, 대비단계 대비 높게 나타났다. 여섯째, 자연적・인위적・사회적 재난 내 도시 유형별 방재역량은 모두 밀집도시 및 해안도시가 농촌지역, 강변도시, 해안 및 강변도시 대비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에 대한 의미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아직도 초기 단계에 있는 광범위한 U-City 분야에서 방재역량에 초점을 맞추어 U-방재도시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정립했다는 점이다. 둘째, 광범위한 U-City분야 중에서도 재난 분야별 방재역량 수준 및 차별화에 초점을 맞추어 재난 분야별 역량 및 차별화 정도를 실증 분석했다는 점이다. 셋째, U-City 재난 분야별 방재역량 차별화 분석 결과를 토대로 U-City 종합 방재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이다. 이 연구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사회적 재난분야 방재역량이 매우 낮은 것으로 검정되었기 때문에 정책적 보완 방안이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며 3년 이내 재난 발생 가능성과 U-방재시스템 도입의 필요성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U-City 재난 분야별 정보공유의 필요성은 매우 높게 나타나 재난 분야별 정보공유의 필요성이 절실함을 시사하고 있다. 끝으로 향후 U-City 방재시스템의 도입 및 구축은 재난 분야별, 방재 단계별, 지방자치단체별로 각각 추진하는 방식이 아니라 정보 공유가 가능한 U-City 종합 방재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국가의 재난발생에 대해 신속하고도 정확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추진되어져 나가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Abstract Analysis on the Prevention Capabilities for each Types of Disasters in U-City - Focused on Natural, Artificial and Social Disasters- By Hee Soon, Park Dept. of U-City IT Industrial Policy Hansei University, Korea Recently, ubiquitous technologies are used over various fields. U-City is the one of important applications of ubiquitous technologies. Specially they are expected to be effective to constructing disaster prevention system. In Korea, many local governments are planning to construct U-City and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ies are assumed to be an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ful U-City construction. But, there are many differences of disaster prevention technologies and services according to disaster types, disaster management phases, and each local governments. So it is prerequisite for enhancing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ies to measure these differences.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o investigate theoretical background over vast areas of U-City disaster prevention applications. 2. To measure the differences of the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ies according to disaster types, disaster management phases, and each local governments with statistical methods. 3. To propose the methodologies for Integrated Disaster Prevention System for U-City with the above results. The results of my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ies for artificial disasters are better than other types of disasters. 2.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ies for artificial disasters are better than others in 3 phases of disaster management (prevention, preparation, and response phases). 3.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ies for social disasters are better than other types of disasters in recovery phase of disaster management. 4. For natural and artificial disasters,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ies in response phase are better than in other phases. 5. For social disasters,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ies in recovery phase are better than in other phases. 6. For all disaster types,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ies of densely populated cities and coastal cities are better than those of other types of cities.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Focusing on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ies, the theoretical bases for U-City are founded 2. For each types of disasters,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ies and differences are empirically investigated and measured. 3. Based on above results, methodologies for Integrated Disaster Prevention System for U-City are propo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ns the followings. The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ies for social disasters are very low. Possibilities of disaster occurring in 3 year are very high. U-City equipped with U-disaster prevention system is highly recommended. So strategies and plans based on these results are necessary. Also sharing of disaster-related information is important for disaster prevention. For successful U-City disaster prevention systems, each local governments and related agencies are supposed to cooperate and share the necessary informations.

      •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조직신뢰, 혁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희순 창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유가치창출활동이 조직신뢰와 혁신을 통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활동이 조직신뢰와 혁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둘째, 조직신뢰와 혁신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셋째, 공유가치창출활동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와 혁신의 매개역할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기업의 공유가치창출기업의 공유가치창출 활동, 조직신뢰, 혁신 그리고 경영성과의 이론적 배경을 통해 공유가치창출의 개념과 중요성을 확인하고, 둘째,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실증분석을 위한 가설을 구축하고, 세 번째는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실증분석하며, 넷째, 기업 사례분석을 통해 실증분석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증연구의 가치와 공유가치창출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통계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기업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공유가치창출 활동은 가치사슬의 생산성을 재정의 하고 지역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것이었다. 둘째, 공유가치창출 활동 중 기업의 혁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상품과 시장을 재해석 하는 것과 지역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것이다. 셋째, 조직신뢰와 혁신은 공유가치창출 활동과 경영성과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례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기업의 공유가치창출 활동이 기업에서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활동들은 기업의 지속적인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개의 기업의 대상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유가치창출 활동의 비중에 따라 소신형, 집중형, 전략형, 환류형으로 구분하였다. 비록 일부 기업을 대상으로 한 사례분석이지만 정량적 분석 결과의 보조자료로 활용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 전통놀이가 유아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희순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본 연구는 우리전통문화를 받아들이는 결정적 시기인 유아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연구자가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면서 전통놀이를 다년간 지도한 경험을 바탕으로 유아전통놀이가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들에게 전통놀이를 효율적으로 체험할 수 있도록 유치원 주변 환경을 전통놀이로 조성하고, 유아들이 전통놀이에 흥미와 호기심을 가질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전통놀이 자료를 유아들이 잘 보이는 곳에 두어 운영하였다. 놀이문화의 발달로 일상생활에서 친구들과 어울릴 시간이 부족한 유아들에게 친구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우리의 전통놀이를 찾아주고, 유아들이 즐길 수 있는 전통놀이를 발달수준에 맞게 학습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수정보완 하여 본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자기조절능력은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 건강한 사회인으로 살아가기 위하여 필요한 능력으로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외부의 자극으로 부터가 아닌 개인 스스로 조절하여 반성적 사고를 하는 상위 인지 능력이다.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만 3-5세 사이에 결정적으로 발달하므로 유아의 자기조절 향상을 위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전통놀이가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증진에 효과를 미치는가? 2. 전통놀이가 유아의 사회적 능력증진에 효과를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목포시에 소재하고 있는 S유치원에 재학 중인 만 5세 18명의 유아들이다. 그리고 유치원의 학급 중 만 3세 ~ 만 5세유아가 소속되어 있는 학급 구성원 의 각 학급 교사에게도 질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였다. 또한 만 5세 8명씩 나누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도구로는 먼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정란(2003)이 개발한 자기조절검사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원 척도는 자기평가 5개 문항, 자기결정 9개 문항, 행동억제 10개 문항, 정서성 7개 문항, 총 31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Pease와 그의 동료들(1979)이 개발한 유치원용 아이오와 사회적 능력 척도(Iowa Social Competency Scale; Preschool Form; ISCS)를 수정한 박윤정(1997)의 질문지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놀이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었다. 자기조절과 사회적 능력에 대한 t-검정에서 통합적으로 유아 전통놀이를 경험한 실험집단과 통합적으로 전통놀이를 경험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유아들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전통놀이 지도는 주변환경이 중요하다. 따라서 실내· 외에 공간을 마련하여 자료를 두었더니 유아들이 더욱 흥미를 가지고 놀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시사점과 앞으로 보완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를 토대로 몇 가지 제안하고자 한다. 가. 전통놀이 활용이 좀 더 다양한 프로그램과 함께 장기적으로 계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사회적 행동을 기르는데 유익할 것으로 여겨진다. 나. 유아들의 발달수준에 맞고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전통놀이를 찾아내어 활용하는 방안이 지속적으로 모색되어져야 한다. 다. 교사 및 경영자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전통놀이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주는 등 꾸준한 노력이 따라야 한다. 라. 전통놀이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유치원에서 아이들이 직접 하는 전통놀이 방법과 사진을 첨부해서 부모님과 함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안인 것 같다. 예를 들어서 ‘매주 수요일은 가족과 함께 전통놀이 하는 날’ 로 정해서 그 주에 배운 전통놀이를 집에서 부모님과 함께 해보는 것이다. <Abstract> This is the study concerning young children who are decisive period accepting our traditional culture. On the basis of the experience that I taught them traditional play years while I worked for the institution of young children education, I would lik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young children's traditional play on self-control ability and social ability. I created the environment of kindergarten with traditional play in order to efficiently experience traditional play to young children, where young children can see well, I put various materials of traditional play and managed them in order to have curiosities and interests on traditional play. I made up this study so that I might let young children who have short time to get along with their friends in daily life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play culture know our traditional play which they can play with their friends, and use enjoyable traditional play as studying data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Self-control ability is as a necessary ability to get along with others and live as healthy members of society, the ability of high rank perception controling their own feelings and actions not from the outside stimulus but themselves. Self-control ability of young children develops decisively among from five to seven years old. So we need to analyze main factors influencing self-control ability of young children for improving self-control of young children. To achieve this I established the subjects of the study as followings ; 1. Does traditional play influence on improving of self-control ability of young children? 2. Does traditional play influence on improving of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18 young children, seven years old, and taken in S kindergarten of Mokpo City. Among the classes of kindergarten,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ll the members who from five to seven years old and then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each homeroom teacher and then collected. And I divided 8 students, 7 years old, per group in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s the study instrument, first to measure the self-control ability of young children after I corrected and made up for the instrument of the Self-control Test which Lee Jeong ran(2003) developed, I used it. Original yardstick was made up of 5 questions for the self-test, 9 questions for the self-decision, 10 questions for the action control, 7 questions for the emotion, total 31 questions. And to test the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I corrected and made up for the Park Yungjeong's (1997) questionnaire that corrected Iowa Social Competency Scale ; Preschool Form ; ISCS Pease and his company (1997) develop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 1. Traditional play influenced the self-control ability and social ability of young children. In a t-test on self-control and social ability,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unitively experienced traditional play of young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unitively unexperienced traditional play of young children. 2. The environmental resources are important in teaching traditional play for young children. Thus I put the data by making indoor and outdoor space, as a result young children played with more interests. I want to suggest some on the basis of the suggestion points that I got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the problem that I will have to make up for forward and solve. 1. I think that traditional play will be useful in growing social actions if the use of traditional play is done in the long run and of purpose with more various programs . 2. We must find the various traditional play which is right at young children's development levels and comes in contact easily, and seek the way young children use well continuously. 3. Teachers and managers must steadily have more interests and try to make the environment young children van do traditional play. 4. To generalize traditional play, it is a good idea that in kindergarten young children in person do traditional play with their parents using the its picture. Foe example, we make it a day doing traditional play with their family every Wednesday, and let young children do traditional play they learned that week with their parents at h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