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핵무기에 대한 ‘예방타격’ 분석:이론, 국제법, 그리고 필요성

        박휘락,PARK Hwee Rhak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4 신아세아 Vol.21 No.4

        북한이 탄도미사일에 탑재할 정도로 핵무기를 “소형화·경량화”하는데 성공하였다고 한다면 그에 대한 요격 능력을 구비하지 못한 한국은 북한의 공격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는 셈이다. 성공의 가능성만 확실하다면 북한의 핵공격으로부터 국민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적 방법 중의 하나는 북한의 핵무기를 미리 공격하여 파괴해버리는 ‘예방타격’이다. 다만, 예방타격 은 성공가능성을 보장할 수 없고, 심각한 국제 및 국내에서의 정치적 저항에 직면할 것이 분명한 위험한 방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방어책이 없는 한국으로서는 예방타격을 선택의 옵션에서 제외시켜서는 곤란하다. 정부는 6자회담을 비롯한 외교적 대응책과 함께 군사적 억제 및 대응책을 더욱 비중있게 검토 하고, 예방타격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논의해 나가야할 것이다. 그러한 노력을 통하여 예방타격에 대한 국민들의 공감대를 넓히고, 필요시 예방타격을 시행할 수 있는 계획과 능력을 발전시켜 나가 야할 것이다. 북한 핵무기에 대한 정보 수집 및 분석 노력을 강화하고, 동맹국인 미국과도 협의 및 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예방타격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면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If North Korea has succeeded in making its weapons small and light enough to be mounted on ballistic missiles, South Korea could be defenseless because it does not have the capability to intercept incoming nuclear missile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if successful, for South Korea to ensure the safety of its people from a nuclear attack is to destroy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by pre-emptive strikes. However, a pre-emptive strike can lead to all-out war and would face strong foreign and domestic resistance. It is a risky option, and therefore it should be used only in extreme situations. It does not mean that South Korea should not discuss the option, howeve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should review the pre-emptive option in parallel with diplomatic and military options. It should try to ensure the public’s understanding of a pre-emptive strike and develop a plan and enhance capability to make such a strike. It should also reinforce its collection and analyses of information related to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South Korea should closely consult and cooperate with the U.S.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ccess and minimize risks related to a pre-emptive strike.

      • KCI등재

        핵폐기 사례의 분석과 북핵 문제에 대한 함의

        박휘락(Hwee-rhak Park)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8 한국군사학논집 Vol.74 No.3

        This paper is written to analyze previous denuclearization cases and find implications on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For this purpose, it compares the Republic of South Africa case, Ukraine case, Libya case and Iran case by using ten factors such as motives for nuclear weapons, nuclear weapons development status, strategic nuclear weapons development, amount of investment, voluntary will, duration of negotiation, number of countries involved, compensation, time spent for denuclearization and trust in the execution.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at there had been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the four case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a successful denuclearization was the voluntary will of the nuclear weapon developing country. The countries gave up nuclear weapons only when their national security was ensured after denuclearization or seriously threatened by their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In this sense, South Korea and the U.S. may need to understand and address North Korea’s concern on its national security in order to lead it to a voluntary denuclearization, while preparing for a possible aggressive intention of North Korea. The participation of major powers such as veto powers in the UN could be very useful for the successful negotiation and implementation of denuclearization.

      • KCI등재

        협상이론에 의한 미국의 싱가포르 회담 분석과 함의

        박휘락(Park, Hwee Rhak) 한국아시아학회 2019 아시아연구 Vol.22 No.1

        본 논문에서는 2018년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와 관련하여 미국이 보였던 협상행태를 협상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협상이론 중 적용 가능한 부분을 재정리하여 소개하고, 싱가포르 정상회담의 배경, 경과, 합의사항을 설명하였으며, 그 후 협상목표, 협상전략, 협상의 성공요인 측면에서 미국의 싱가포르 회담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싱가포르 회담에서 미국은 협상 이전에 가졌던 목표라고 할 수 있는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를 달성하지 못함에 따라 성공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 협상이론 측면에서 분석해볼 때도 미국은 북한의 비핵화 의미를 냉정하게 판독하지 못함으로써 실현 불가능한 목표를 설정하였고, 협상의 전략에서도 조기에 연성협상으로 전환하였으며, 최종대안, 하한선, 시간의 측면에서도 협상이론과 상반되게 조치하였다. 한국은 싱가포르 회담을 반면교사로 삼아서 대북 협상 시 이론에 더욱 충실할 필요가 있고, 북한의 협상기술이 고도화되어 있음을 인정해야하며, 강성입장을 견지하는 가운데 최고의 전문가들을 활용하여 협상에 임해야할 것이다. This paper is written to analyze the Singapore Summit between the US President Donald J. Trump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eun using theories on negotiation. For this purpose, it revisits the key elements in negotiation theories, introduces the Summit’s background, details and agreements and analyzes the end game, negotiation strategy, key negotiation elements of the US.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at the US did not succeed to acquire the CVID (Complete, Verifiable and Irreversible Dismantlement) promise from North Korea at the Singapore Summit. The US set unfeasible endgame as CVID and adopted a soft position negotiation too early. It did not follow the recommendations of negotiation theories in terms of BATNA (Best Alternative to Negotiated Agreement), bottom line and time. South Korea should heed on recommendations of negotiation theories, think out its relevant strategy and tactics to deal with that of North Korea, choose the best negotiation officials and should not be afraid of taking hard position negotiation, when necessary.

      • KCI등재

        사드(THAAD) 배치를 둘러싼 논란에서의 루머와 확증편향

        박휘락(Park, Hwee Rhak)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6 전략연구 Vol.68 No.-

        본 논문은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를 둘러싼 논란이 사실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아니라 루머와 확증편향에 의하여 전개되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관련 논란을 정리하고, 핵심적인 쟁점을 분석하여 함의를 도출하였다. 그러한 논란이 언론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루머와 확증편향의 영향이 컸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제 우리는 사드 배치를 둘러싸고 지금까지 전개된 논란이 루머와 확증편향의 산물이라는 것을 인정하면서, 정부는 물론이고, 언론, 국민 모두가 반성의 차원에서 보완책을 강구해 나가야 한다. 특히 한국의 상황과 여건에 부합되는 최선의 탄도미사일 방어개념을 정립한 상태에서 미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면서 실질적인 능력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 주한미군의 탄도미사일 방어력과 한국의 탄도미사일 방어력을 체계적으로 통합하고, 미흡한 부분은 한국군이 적극적으로 보완함으로써 북한이 핵미사일로 공격하더라도 국민들을 보호할 수 있는 기본적인 역량을 확보해야 한다. 사드와 관련된 논란에서 드러난 교훈을 참고하여 중국과의 ‘전략적 협력 동반자관계’ 가 지니는 한계를 냉철하게 인식해야할 것이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analyze the controversy over the deployment of THAAD systems by the USFK (U.S. Forces in Korea) applying theories of rumor and confirmation bias. It used reports of the South Korean newspapers as sources for analyses. It found out that the arguments that were raised against the deployment of the THAAD systems were started by rumors and strengthened by confirmation biases. South Korea should recognize the serious side effects of rumors especially on national security issues such as this controversy and try not to repeat the same mistakes in the future. It should develop a more appropriate concept for its ballistic missile defense and enhance actual capabilities of the defense through the close cooperation with the U.S including the deployment of the THAAD. Most of all, South Korea should do its best to strengthen its alliance with the U.S., while recognizing the limitation of its security cooperation or strategic partnership with China as a lesson of this THAAD controversy.

      • 사드 배치 관련 논란과 한미동맹 : 자율성-안보 교환 모델과 루머 여부를 중심으로

        박휘락 ( Park Hwee Rhak ) 미래군사학회 2016 한국군사학논총 Vol.5 No.2

        This paper is written to analyze the impact of controversies over the deployment of THAAD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on South Korea-U.S. alliance. For this purpose, it uses "Autonomy-Security Trade-off Model"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ntroversies stemmed from the truth or rumors.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at the controversies over the THAAD deployment could have weaken the South Korean alliance with the U.S., because South Korea was not active enough in giving up autonomy regarding the issue. South Korea considered the oppositions of China on the deployment too much and could have raised the suspicion by the U.S. regarding the strength of the alliance. To make matters worse, the controversies turned out to be stemmed from rumors instead of truths. The THAAD cannot intercept Chinese ICBMs, cannot detect the Chinese military activities and need not to be payed by South Korea, contrary to the rumors. The electro-magnetic waves from the THAAD radar is not as harmful as described in South Korean media. The deployment of THAAD itself is important to the South Korea-U.S. alliance. However, the process of the decision of South Korea for the deployment could be more important to the alliance.

      • KCI등재

        북한 비핵화 협상 분석: ‘선(先)회담 후(後)쟁점타결’ 방식의 한계

        박휘락 ( Hwee-rhak Park ) 조선대학교 동북아연구소(구 통일문제연구소) 2020 동북아연구 Vol.35 No.1

        포본 논문은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협상과 관련하여 한국과 미국이 '선(先)회담 후(後)쟁점타결' 방식을 채택하였고, 그것이 현재와 같은 협상의 정체를 가져왔을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협상과 점증모형에 관한 사항을 이론적으로 설명한 다음, 지금까지 진행되어온 북한 비핵화를 위한 협상의 경과를 함축하고, 그것을 문제해결 방식 측면, 협상의 속도 측면, 그리고 최상대안(BATNA) 측면에서 분석하여 교훈을 도출하였다. 분석의 결과 북한의 비핵화 협상에서 한국과 미국은 '선회담 후쟁점타결' 방식의 폐해를 경험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양국은 문제의 핵심인 북한의 핵무기 폐기에 관한 사항을 분명하게 해결하지 않은 채 정상회담부터 개최함으로서 수차례의 회담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핵무기 폐기에 관하여 의미있는 성과를 달성하지 못하였고, 핵무기 폐기의 모멘텀을 상실하였으며, 군사적 옵션으로 위협 또는 강요하지 못하고 말았다. 한국과 미국은 '선회담 후쟁점타결' 폐해를 반성하면서, ‘비핵화=북한의 핵무기 폐기’라는 점을 분명하게 확인하고, 그에 관한 합의없이는 협상에 임하지 않는다는 단호한 자세를 견지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written to find answers of the research question that the 'Meeting First, Key-issue Agreement Later" approach of the US and South Korea in the North Korean denuclearization negotiation may have caused the current standstill of the negotiation.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at South Korea and the US approached the denuclearization negotiation with 'Meeting First, Key-issue Agreement Later" approach. Thus, they failed to achieve any decisive result by holding summit meetings without resolving the key issue, which was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They lost the negotiation momentum by being too slow in speed and failed to demonstrate military options as the Best Alternative to Negotiated Agreement (BATNA) during the negotiation. South Korea and the US should increase aspects of rational model in their negotiation with North Korea by reflecting on their past mistakes and make sure that the term "denuclearization" means the dismantlement of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They have to focus their efforts on the key issues,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n nuclear weapons, in their future negotiation with North Korea.

      • KCI등재

        남북한 평화협정 체결에 관한 소망성과 위험, 그리고 과제

        박휘락(Park, Hwee-rhak)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8 전략연구 Vol.25 No.2

        본 논문은 2018년 4월 27일 판문점 선언을 통하여 올해에 남과 북이 종전선언과 평화협정을 체결하겠다고 합의함에 따라 평화협정에 관한 사항을 정리한 후 그의 체결에 따른 소망성과 위험성을 분석하여 위험성 최소화를 위한 과제를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평화와 평화체제, 평화협정에 관한 개념부터 정리한 후, 한국의 평화상태를 평가한 다음, 평화협정 체결에 따른 소망성과 위험성을 평가하였다. 분석의 결과, 평화협정 체결의 소망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그 위험성도 적지 않음을 식별하였다. 특히 유엔군사령부 해체와 주한미군 철수의 가능성처럼 한반도 안보의 근간을 흔들 요소도 발견되었다. 따라서 소망성에 근거한 신속한 평화협정의 체결보다는 위험성을 감소하기 위한 조치가 충분히 강구된 다음에 특히 북핵 폐기가 확인된 다음에 평화협정을 체결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나아가 한국 정부와 국민들은 평화, 평화체제, 평화협정에 관한 냉정한 인식을 가질 필요가 있고, 평화협정 체결 이전에 북한의 핵무기와 한미동맹을 강화할 수 있어야 하며, 최악의 상황에서도 국민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군사대비태세를 강화하는 가운데 북한과의 신뢰구축에 노력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is written to analyze the desirability and risks of the peace agreement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nd suggests some recommendations before the two sides decide to sign the agreement this year as pronounced at Panmunjom on April 27, 2018. For this purpose, it revisits the concepts of peace, a peace regime and a peace agreement, revaluates the level of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analyzes the desirability and risks of South Korea if it agrees on a peace agreement with North Korea.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at the risks of a peace agreement with North Korea at this point seemed to outweigh the desirability of the agreement. Especially, the dismantlement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and the possibility of withdrawal of the US forces from South Korea could fundamentally undermine the national security of South Korea. In this sense, South Korea needs to pursue a peace agreement after it adopts necessary measures to minimize the risks of the agreement. In addition, South Korean people should realistically understand the concept and limitations of peace, a peace regime and a peace agreement and reinforce its alliance with the US as a precautionary measure. They should strengthen their military preparedness against the worst case scenario, while building up confidence measures with North Korea.

      • KCI등재

        미 전술핵무기 한국 재배치에 대한 시론적 분석

        박휘락(朴輝洛)(PARK, Hwee Rhak)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7 신아세아 Vol.24 No.2

        본 논문은 북핵 위협이 심각해짐에 따라서 논의되기 시작한 미국 전술핵무기의 한국 배치에 관하여 기본적인 사항들을 정리하고 바람직한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억제이론에 입각하여 전술핵무기의 효용을 소개하였고, 전술핵무기의 한국 배치에 관한 필요성과 위험성을 분석하였으며, 그에 따라 도출되는 몇 가지 함의를 제시하였다. 북한 핵무기의 고도화 진전에 따라 이제 한국은 냉전시대에 배치하였던 미국 전술핵무기의 재배치를 포함하여 더욱 포괄적인 억제 및 대응책을 강구하지 않을 수 없다. 전술핵무기의 경우 무조건 배치해야 한다는 주장도 정제 되어야 하겠지만, 무조건 반대하는 입장도 유연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전술 핵무기 재배치가 불가피한 상황은 어떤 것이고, 그 경우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를 찾아내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한다. 전술핵무기는 미국의 소유라서 이의 재배치에 관해서는 미국과의 긴밀한 협의가 필수적이다. 한국은 전술핵무기의 재배치를 일방적으로 요구하는 대신에 한미 연합 북핵 대응책의 일환으로 포함시켜 논의할 필요가 있고, 필요시 대통령, 국방장관, 합참의장은 미국의 상대자들과 긴밀하게 협의해야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한미 양국, 그리고 양국 국민들의 합의를 도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사항일 것이다. As North Korea has developed advanced nuclear weapons and their delivery systems, South Korea needs more comprehensive deterrent and defensive measures. One option is redeployment of U.S. tactical weapons. This paper assesses factors impacting redeployment of U.S. tactical nuclear weapons and decisions on redeployment, which is demanded as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becomes serious. It introduces the concept and usage of tactical nuclear weapons, analyses the necessities and risks of redeployment and draws implications for South Korean nuclear security. South Korea needs to closely coordinate with the U.S. regarding redeployment since the weapons belong to the U.S. It should discuss redeployment as one measure among several to counter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The President, Minister of National Defense and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should communicate well with U.S. counterparts. Creating consensus among South Korean and U.S. publics could be the most difficult and necessary part of this effort.

      • KCI등재

        최근 한국군 국방개혁의 계획과 현실 간의 괴리 분석: 위협 인식과 가용재원을 중심으로

        박휘락 ( Park Hwee Rhak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6 국방연구 Vol.59 No.3

        본 논문은 한국군이 추진해온 ‘국방개혁 2020’이 의도한 만큼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는 문제의식하에서 그 핵심요인을 찾아보고자 작성되었다. 이를 위하여 국방개혁 계획 수립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판단되는 위협 인식과 가용재원의 두 가지 측면에서 역대 국방개혁 계획들의 실상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필요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의 결과, 최근 한국군이 추진해온 국방개혁은 계획과 실제 사이에 심각한 격차가 발생하였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그 동안 북한의 핵위협이 계속 점증되어 왔음에도 위협인식에 포함시키지 않았고, 낙관적인 경제성장률을 바탕으로 실제보다 훨씬 많은 국방예산이 가용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역대 정부들의 국방개혁 계획은 핵 대응태세 강화와는 관련이 적었고, 예산 부족으로 다수의 사업을 계속 연기하는 상황이 되고 말았으며, 결과적으로 군의 준비태세 향상에는 기여하지 못하였다. 이제 한국군은 지금까지 추진해온 국방개혁의 시행착오를 반성하고, 근본적인 변화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북한의 핵위협을 대응의 최우선 위협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한 대응력을 구비하는 데 국방개혁 또는 군의 모든 노력을 집중하여야 한다. 국방예산의 현실적인 제한을 고려하여 미군과의 분업체계를 더욱 강화함으로써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단기간 내에 북한의 핵위협으로부터 국가를 보위할 수 있는 역량을 구비해야할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동식 계획에서 과감하게 벗어나 고정식 계획으로 전환함으로써 변화의 계획, 일정, 예산을 확정하고, 목표 지향적으로 달성하고자 노력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written to find key factors regarding the failure of South Korean military``s recent defense reform initiatives, which started from ``Defense Reform 2020.`` For this purpose, it analyzes the initiatives using two elements such as threat perception and budget feasibility. It recommends a few policy alternatives for the South Korean military. As a result, this paper found that there were serious discrepancies between the plans and the realities in South Korean deform reform. South Korean military did not include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s the basis for its reform plans and assumed too much budget would be available during the reform period based on optimistic growth in the national economy. Therefore, the defense reform plans for recent administrations failed to strengthen its nuclear preparedness and to execute necessary acquisition projects in a timely manner. South Korean military should reflect on the errors in its previous defense reform initiatives and change previous approaches in a fundamental way. It should concentrate all efforts to achieve necessary preparations against North Korean nuclear threat, which should be the number one priority for the South Korean military. It should strengthen its division of labor with the U.S. military in terms of nuclear preparedness in order to minimize its investment and take advantage of the U.S. forces`` capabilities. In addition, it may need to adopt a five-year fixed plan instead of the current annual plan for the military build-up to ensure the implementation based on pre-decided concrete road ma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