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수원지역 학교운동회 연구

        박환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4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1

        It's assumed that Seoul organized the first school sports day in 1896, but in case of Suwon, the first school sports day was celebrated in June, 1907, according to the fact that the Hwangseong Shinmun (newspaper) first featured the stories of school sports days in June 1970. The Joint Sports Day in which Sam-il School, Hwa-sung Women's School, and Public Primary School jointly participated bragged an unprecedented magnificence. School boys and girls played vigorously enough for spectators to cheer with admiration. On April 4th, 1908, the school sports events were more expanded to the point where the Yeonmudae (the event venue) was crowded by distinguished guests and local residents. Even Korean geishas and liquor-dealers provided free foods, raising the fighting spirits of students. School girls residing in Suwon also actively partook in the school sports-event. Woman's schools held the joint sports day, playing as an opportunity to raise the awareness on the importance of female education. In addition, the Jin-Myeong School founded by Anglicanism organized a school sports day. Meanwhile, school sports events were held actively in Namyang area of Suwon at that time. The Boheung School (which was a representative private school in the past) hosted a joint school sports day, attracting a lot of interests and affections by so many community leaders who had even contributed donation funds. It's apparent that Suwon Public Elementary School (Shinpoong School) celebrated its sports day in 1910. However, schools attended by only Koreans seemed to enjoy sports days after April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October 1921, 700 students competed for winners in 63 categories at the Suwon Public School with the capacity of 2,000 viewers. The historical monument of Shinpoong Elementary School exhibited 'School Sports Day Programs of Suwon Public Elementary School' held in 1927, 1929, and 1934. The School Sports Day was consistently observed especially by Suwon Teaching Center of which name was changed from the Hwaseong Academic Institute. After then, the teaching center didn't have its own playground, so borrowed the ground of Suwon Youth Club for its school sports day. In case of Hwaseong Academic Institute, its graduation albums showed 'school sports days' held in 1938, 1943, and 1944, enabling us to presume the various sides of school sports days hel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n May 14th 1924, Sam-il Boys' School and Woman's School hosted a Joint School Sports Day. To celebrate the 30th anniversary of its foundation, the Suwon Sam-il School invited Suwon citizens, faculties and 400 students to enjoy a 'ceremony' and a Sports Event on October 10th, 1935. At the end of 19th century, school sports events were held as a means to restore the national sovereignty, under the strong supports an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fter Korea was annexed by force to Japan in 1910, the school sports days played as joyful events for residents, but they had gradually transformed to work as the tools to improve physical strength and the sense of unity with a view to preparing for the war. 서울에서 1896년에 처음으로 시행된 운동회는 수원에서는 1907년 6월에 처음 개최된 것이 아닌가 한다. 운동회 관련 기사들이 1907년 6월에 처음으로 황성신문 등에 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1907년 연합운동회는 삼일학교ㆍ화성여학교ㆍ공립소학교 등의 참여로 초유의 대장관을 이루었다. 활발한 남녀학생들 기상은 탄성을 자아내기에 충분하였다. 1908년 4월 20일에는 더욱 확대된 규모로 개최되었다. 운동회 장소인 연무대에는 내외빈과 주민들로 인산인해를 이루었다. 기생과 술을 파는 상인들조차도 음식물을 제공하는 등 학생들의 사기를 진작시켰다. 수원여학생의 경우도 운동회에 적극 참여하였다. 여학교 연합운동회 개최는 주민들에게 여성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계기였다. 또한 성공회에서 설립한 진명학교에서도 운동회를 개최하였다. 한편 당시 수원군 남양지역에서도 운동회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 지역의 대표적인 사립학교인 보흥학교에서 개최한 연합운동회는 대성황을 이루었고, 많은 유지들이 찬조금을 보내어 관심을 보였다. 수원공립보통학교(신풍학교)의 운동회는 1910년대에도 개최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수원지역 조선인학교의 경우, 3ㆍ1운동이후에 가서야 운동회가 본격적으로 진행된 것 같다. 1921년 10월 수원공립보통학교에서는 700여 명의 학생과 2,000여 명의 관객이 모인 가운데 63종목이 진행되었다. 수원공립보통학교의 경우 신풍초등학교 역사관에 1927년, 1929년, 1934년 운동회 프로그램이 남아 있어 흥미롭다. 운동회는 수원공립보통학교뿐만 아니라 화성학원의 전신인 수원강습소에서도 개최되었다. 당시 운동장을 보유하고 있지 못하였던 수원강습소에서는 수원청년구락부 운동장을 빌려 운동회를 개최하였다. 화성학원의 경우 현재 1937년, 1938년, 1943년, 1944년 졸업앨범에는 일제말기에 진행된 운동회 사진들이 있어 전쟁기 일제시기의 운동회의 이모저모를 살펴볼 수 있다. 1924년 5월 14일에는 남녀 삼일학교 연합운동회가 개최되었다. 1935년 10월 10일에는 수원삼일학교는 개교 30주년을 기념하여 수원시민들, 교직원 그리고 400여 명의 학생들이 모인 가운데 기념식과 더불어 운동회를 성대히 개최하였다. 구한말 수원지역의 운동회는 국권회복의 한 방편으로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 하에 이루어졌다. 1910년 일제의 조선강점 이후의 학교운동회는 주민들의 즐거운 이벤트로서 그 역할은 하였으나 점차 전쟁 준비를 위한 체력양성과 단결심 배양의 한 수단으로 이용되어 가는 경향이 농후해졌다.

      • KCI등재

        參議府 특파원 李壽興의 의열투쟁과 군자금 모집: 제2의 안중근을 꿈꾸며

        박환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5

        Lee, Soo-Heung was dispatched from China to Korea as a correspondent of Cham-Eui-Bu which was a group for an international independent movement based in Manchuria, China in the mid-1920s and raised war funds to develop the heroic struggle for people in Korea. Such heroic struggles were of great significance for Korean independent activists to Korea from Manchuria, China. Because Cham-Eui-Bu is an affiliated organization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sending him to Korea was a big part of the military activiti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Second, the deployment of the army in Korea for national independence based in Manchuria was mainly accomplished after the 3ㆍ1 national independent movement and th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However, Lee, Soo-Heung was being carefully analyzed for his efforts in Korea after the 6ㆍ10 Manse Movement in 1926. At that time, he wanted the attention of the world; there was an attempt to assassinate the Sweden’s Crown Prince visiting Korea and he wanted to highlight Japanese oppression in this regard. Third, Lee, Soo-Heung’s movement areas for raising war funds were mainly Anseong, Yeoju, and Icheon, among others in Gyeonggi Province because he was staying in Icheon. We need do more research in the attempt to understand more about Park, Seung-Yook’s place in Anseong and Lee, Min-Eung living in Heungcheon-myeon. Park, Seung-Yook was known for making big donations to many schools in the Anseong area. He also had two sons including Park, Hyeong-Byeong who were also involv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Lee, Min-Heung was known as a representative for charity work in the Yeoju area. Fourth, Lee, Soo-Heung received modern education, but his ideas were based on Confucianism. It seems that the staples of Confucianism and patriotism were ingrained by his father and a family friend Choi, Sang-Duck. Also, I think that the suicide of Choi, Sang-Duck in Manchuria, China who was Lee, Soo-Heung’s master and the death of his comrades at the Komaryeong disastrous accident made him even stronger patriotically and spiritually. Finally, Lee, Soo-Heung was born in Icheon, Korea and then came to China as an exile. After he received military education in China, he was an activist for independence and was sent to Korea from the Korea provisional government in China in the middle of 1920s. 이수흥은 1920년대 중반 만주지역의 독립운동 단체인 참의부의 특파원으로서 국내에 파견되어 의열투쟁을 전개하기 위하여 군자금 모금을 전개한 인물이다. 그의 이러한 활동은 만주지역에서 국내에 파견된 많은 독립운동가의 활동 사례를 알려주는 의의를 갖는다고 판단된다. 특히 참의부는 대한민국임시정부 산하기관이므로 그의 파견은 임시정부의 군사활동의 한 부분으로서 더욱 주목된다. 둘째, 만주지역 독립군의 국내파견은 3ㆍ1운동 이후와 1931년 만주사변이후에 주로 이루어졌다. 그런데 이수흥은 1926년 6ㆍ10만세운동이후에 이루어진 국내활동으로서 특별히 주목된다. 특히 그는 스웨덴 황태자의 국내 방문 시 그를 암살함으로써 세계의 주목을 끌고 일제의 탄압을 폭로하고자 하였다. 셋째, 이수흥의 군자금 모금 활동은 주로 경기도 지역에서 이루어졌다. 안성, 여주, 이천 등지가 바로 그곳이다. 그의 이러한 활동은 그의 연고지가 이천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가 의거를 행한 대상인 안성의 박승육의 집, 흥천면의 이민응에 대해서는 앞으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 같다. 박승육의 경우는 그 자신 안성지역의 대표적인 자산가로서 안성학교에 기부금을 희사하는 등 많은 기여를 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자식들 가운데 독립운동을 전개한 박형병 등 두 아들이 있다. 이민응은 여주지역에서의 대표적인 자선사업가로 알려져 여주군사 등에 상당부분 그의 공적이 기록되어 있는 인물들이기 때문이다. 넷째. 이수흥은 근대적인 교육을 받은 인물이기는 하나 그의 기저에는 유교적인 사상이 그 바탕에 깔려 있는 것 같다. 특히 부친으로부터 받은 유교적 사고와 충군 애국사상은 만주에서 만난 부친의 친구 채상덕에 의해 더욱 강화된 것이 아닌가 한다. 또한 만주에서의 스승 채상덕의 자결과 고마령 참변에서의 동지들의 죽음은 그에게 더욱 강한 민족의식을 심어주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이수흥은 경기도 이천 출신으로 만주지역으로 망명하여 군사교육을 받은 후 1920년대 중반 국내에 파견되어 활동한 대표적인 독립운동가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잊혀진 만주지역 독립운동가 金昌煥의 민족운동

        박환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3

        Kim, Chang-Hwan was a Korean soldier, who represented his country on the frontlines against Japanese forces at their colony in Manchu, he did his along with his other objective in Manchu, which was to construct a base for a national independence army abroa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of Korea. He took charge of important roles in representative national independence organizations in Manchu which were Seorogunjeongseo, Daehantonguibu, Jeonguibu, Saengyuksa, and Korea Independence army organization, ect. As well as working diligently training and organizing armed forces for national independence as an instructor at the Shinheung Military Officer School. He especially put in considerable work and effort to cultivate the armies for national independence at the Shinheung Military Officer School with Yoon, Kiseub and some other people for almost 10 years. It was due to these efforts that he earned the respect and admiration of the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 school. He is estimated to have been the prime mover in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in Manchu in 1920s, and as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Seogunjeongseo and the Daehantonguibu later. Whilst through his work as a deputy commander of the Jeonguibu, and the Korea Independence Army, he made a large contribution towards the success of pro Korean liberation organizations.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he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with Ji, Chungchun in Manchu. However he was not able to stay for a long period in Manchu, so he moved to the Mainland of China to contribute in the resistance against the Japanese. Alas it was there that he died in combat while fighting for Korean independence; however his efforts were not in vain, as his work with organizations such as the Shinhan Independence Party, the Minzok Revolution Party, the Joseon Revolution Party etc, played a part in the eventual liberation of Korea. Kim, Changhwan performed his duty for his country as a soldier in Manchu and in the Mainland China from the Daehan Empire. After his death for the country, "HANMIN" 12(March 1. 1937) which was an organ of the Hanmin Party was organized in Hangju, China in Nov. 1935, and this was a representative independence movement party against the Japanese administration. They ran an article under the headline “(Chudang) Kim, Changhwan passed away” which mourned his sacrifice for his country. Kim, Changhwan took refuge in Manchu as a former military man of the Deahan Empire and cultivated many armies for national independence from Japan. From his efforts and sacrifice we can say he was the embodiment of a real soldier and patriot in the last fight against the Imperial Japanese administration. 김창환은 대한제국의 군인으로 출발하여 일제가 조선을 강점하자 신민회의 해외 독립군 기지 건설을 위하여 만주로 망명한 후 끊임없이 만주벌판에서 항일투쟁을 전개한 대표적인 무장투쟁론자이다. 그는 신흥무관학교 교관으로서 독립군 양성에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서로군정서, 대한통의부, 정의부, 생육사, 한국독립군 등 만주지역의 대표적인 독립운동단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특히 그는 신흥무관학교에서 윤기섭 등과 함께 가장 어려운 시절 10년 가까이 신흥무관학교를 유지하며 독립군 양성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그의 이러한 노력은 많은 신흥무관학교 졸업생들의 존경을 한 몸에 받게 되었을 것이다. 그가 이후 서로군정서와 대한통의부의 총사령으로서 1920년대 만주지역 항일무장 투쟁을 이끌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정의부 총사령, 한국독립군의 부사령 등 독립군 지도자로서 큰 기여를 하였다. 1931년 만주사변 이후에는 지청천과 함께 한국독립군으로서 항일투쟁을 전개하던 그는 더 이상 만주에 머물 수 없게 되자 중국본토로 이동하여 신한독립당, 민족혁명당, 조선혁명당 등에서 항일투쟁을 지속하다 순국하였다. 김창환은 대한제국군인에서 출발하여 참 군인으로서 만주와 중국본토에서 군인으로서의 책무를 다하였다. 그가 순국한 후 1935년 11월에 중국 항주에서 결성된 민족주의진영의 대표적인 독립운동정당인 한국국민당의 기관지 『한민』 12호(1937년 3월 1일 자)에서는 그의 죽음을 추도하여 「추당 김창환 선생 별세」라는 글을 싣고 있다. 결국 김창환은 대한제국의 군인출신으로서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군을 양성하고 항일무장투쟁을 끝가지 전개한 참 군인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 KCI등재

        1930년대 조선혁명군의 국내 군자금 모금 활동 -李先龍의거를 중심으로-

        박환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2

        Japan started to invade the Chinese mainland in earnest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in 1931. This influenced independence movements to shift their tactics to a more militant, armed style of confrontation. At this time in China, Kim Gu formed the Korean Patriot Group (Hanin Aeguk-tan) which planned the actions undertaken by independence fighters Yun Bong-gil, Lee Bong-chang, Yun Sang-geon, Choi and Heoung-sik. These incidents damaged Japanese systems of control in China. On the 30th of March in 1932, Lee Sun-young, a soldier in the Korean Revolutionary Army (Joseon hyeongmyeonggun) successfully infiltrated the Chang Ho Won Branch of the Dong Il Bank, inspiring Korean independence fighters in and outside of Korea and placing the Japanese police on high alert. Not only did the Donga Ilbo run a special edition on April 4th covering the attack, other newspapers and magazines such as Sam Cheon Ri, Dong Gwang, and Jaeil Sunalso extensively covered Lee Sun-young’s actions for readers in colonial Korea. This incident was a crucial morale boost for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as it demonstrated their continued commitment to achieving independence in spite of the oppression by imperial Japan. This incident not only caused the director of the Japanese police affairs to become directly involved as well as over 6000 Japanese policeman, but also cost the Japanese government about 20,000 Won (in 1932 won). Lee’s deed supplied funds to the Korean Revolutionary Army, based in Northern Manchuria and led by commander Yang Se-bong in early 1932. The KRA accomplished joint operations with Chinese Volunteer Army (Jungguk uiyonggun). In addition, on at least 16 separate incidents, the KRA infiltrated 101 soldiers into colonial Korea proper to collect military funds and attack Japanese public offices. The fact that Lee Sun-young accomplished his attack in broad day light infused a renewed spirit of independence into Koreans who had been disheartened since Manchurian Invasion, through the medium of magazines and newspapers.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일본은 대륙침략을 본격화하였다. 이에 대항하여 만주지역의 독립운동단체들은 조선혁명군, 한국독립군 등 운동조직을 무장독립운동단체로 전환하면서 항일무장투쟁을 보다 본격화하였다. 아울러 중국관내에서는 김구가 한인애국단을 결성하여 윤봉길의거, 이봉창의거, 유상근ㆍ최흥식의거 등 의열투쟁을 통하여 일제를 응징하는 한편 국내외에 한인독립운동가들이 건재함을 과시하여 민족의식 고취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러한 시기인 1932년 3월 30일에는 조선혁명군 병사 이선룡이 국내에 파견되어 동일은행 장호원지점을 습격함으로써 국내의 국민들에게는 민족의식을 고취함을 물론 일본경찰들을 초긴장 상태로 몰아갔던 것이다. 그리하여 동아일보 1932년 4월 4일 호외에서는 당시의 사건에 대하여 대서 특필하였던 것이다. 아울러 신문뿐만 아니라 삼천리ㆍ동광ㆍ제일선 등 여러 잡지에도 특집으로 이선룡의 활동상을 실어 국내의 동포들에게 만주에서 항일무장단체들이 활발히 움직이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알리는데 크게 기여 하였던 것이다. 또한 일제 경찰은 조선총독부의 경무국장이 직접 독려에 나섰을 뿐만 아니라 경기ㆍ강원ㆍ충청 3도 경찰이 대거 출동하여 연인원 6천명과 비용 2만여 원을 투입한 큰 사건이었다. 이선룡의거는 조선혁명군의 군자금 조달과정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남만주지역에서 조직된 조선혁명군은 1932년 초 양세봉을 사령관으로 하여 체제를 정비하는 한편 중국의용군과 함께 활발한 무장투쟁을 전개하였다. 아울러 국내에도 1932년 한해 동안 16차에 걸쳐 101명의 대원을 국내로 침투시켜 군자금의 모집과 일제기관의 습격, 친일파 처벌 등의 투쟁을 벌였던 것이다. 이선룡의거는 백주 대낮에 은행에서 일으킨 의거로서 신문 등에 호회로서 보도됨으로써 1931년 만주사변 이후 위축되었던 동포들에게 우리의 독립군이 살았음을 보여주는 분명한 쾌거로서 그 역사적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