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엮기의 조형을 통한 "매달기" 설치오브제의 생명 개념에 관한 연구 - 박홍필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홍필 ( Hong Pil Par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3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개념은 설치미술의 영역을 확장하는 작업으로서 인체에서 벗어나 생물과 인간 사고의 대상인 사물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명의 실체를 탐구하고 있다. 박홍필의 ‘엮기’는 들뢰즈의 리좀과 같이 인간과 자연의 생명들을 보이지 않게 연결시키는 망을 표현하고 있다. 엮기는 지속적인 반복을 통하여 형태를 만들어 내며, 형태는 원초적인 단순한 고리의 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형태는 들뢰즈의 리좀의 개념과 같이 형태와구조상에서 위계적이지 않고 어느 것이 먼저고 어느 것이 나중이라는 개념으로서 원초적인 단순한 고리의 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낸다.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엮기의 오브제의 개념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박홍필의 조형 개념은 공산품보다는 자연 재료를 소재로 가느다란 그물망으로 제작한 엮기의 오브제에서 비롯된다. 박홍필의 엮기 오브제와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엮기의 형태가 끊임없이 반복되며, 바람에 흔들리는 순간 움직임이 있으며 관람자가 그 앞을 지나는 순간에도 움직임이 있다. 그렇기에 박홍필의 엮기의 오브제는 니코스 스탠코스가 현대미술의 특징이라고 말한 ‘우연’의 요소를 지니고 있다. 엮기 오브제의 매듭에 있는 원형의 사각형과 설치를 통해 생기는 그림자의 형태 또한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을 구성하는 주된 요소이다. 원형의 사각형은 생명체의 상징을 의미하며, 그물망은 생명체 간의 보이지 않게 연결되어 있는 유기적인 선들을 표현 한 것이다. 그림자는 생명체의 죽음 이후의 세계 이다. 이러한 조형의 상징은 들뢰즈의 개념을 수용하였으며, 살아있는 생명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들뢰즈. 가타리의 생명의 개념을 차용한 것으로써 생명인 동시에 죽음으로써의, 생명의 실체라고 말할 수 있는 데, 들뢰즈의 의미에서 해석하자면 이 신체나 저 신체의 죽음은 전혀 부정적인 것이 아니며, 유기체의 죽음이 없다면 변화도 진정한 생명도 그 근본적인 의미에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인체에서 벗어나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명의 실체를 엮기의 오브제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현대 미술의 주된 주제가 되는 생명의 개념을 인간 중심에서 벗어나 생물을 비롯하여 인간사고의 대상인 사물과 죽음이후의 세계까지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Park Hong-pil, whose modeling conception of Hanging is the extending work for the installation art. I have made a study for the true of life on connecting to the organism with free to human``s body and the object on the subject with human``s thought.My ``weaving`` which is expressed as the net on connecting the human as like Gilles Deleuze’s ``rhizome`` to life of nature invisibly. ``Weaving`` has to create forms trough the repetition continuously and forms has to create another new forms departing from the form, that is basic and simple linked with. This form,as like the conception of rhizome by Deluze,is not hierarchical on the form and the structure as like the conception, also, that is creat to new form depart form the basic, simple link with as the concept what comes first or later. The modeling conception of ``hanging`` by Park Hong pil mean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ion of ``weaving`` object. My modeling concept derived from the woven object with thin nets made of natural materials, not from any industrial products. I have incarnated both of my modeling concepts of hanging and weaving with recurring square nets. Moreover, there are the movent at the moment when the wind blows, also, they repetitively move back and forth and even when a viewer passes in front of thework, the square nets also move. This explains that my work depends on the element of ``contingency`` Nikos Stangos referred to as one of the hallmarks of Contemporary art. The shadows shifting every minute by the movement of woven and suspended squares and nets are also a primary element of shaping on Park’s modeling concept of hanging. The squares in my works stand for life while the nets stand for organic lines invisibly linking life forms to one another. The shadows are the world after death for life. These modeling symbols are founded on the notion Deleuze underlined, symbolically representing the image of living bodies. They are also based on the notion appropriated from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life, referring to the nature of life. In Deleuze’s view, the death of bodies is by no means negative: it means that in an elemental sense any change and life would not exist without the death of organisms. That is, Park’s modeling concept of hanging is to represent the true of life on connecting to the organism and the object on the subject with human``s thought and the world after death for life.

      • KCI등재후보

        아르떼 포베라(Arte Povera)의 예술 정신에 관한 연구 -이탈리아의 작가들을 중심으로-

        박홍필 ( Hong Pil Par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1

        이 논문은 이탈리아의 아르떼 포베라의 예술 정신을 조명하는 데에 있다. 이탈리아 아르떼 포베라는 1960년대에 미술이 정치와 자본의 개입에 반대하여 일어난미술 운동으로 개념미술과 팝아트와 미니멀리즘과 달리 현대 미술의 하나의 중요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다. 아르떼 포베라는 ``가난한`` 또는 ``빈한한``이라는 정의를 지니고 있지만, 보다 정확한 의미로는 아르떼 포베라 이전의 이즘 위주의 철학적 개념이나 담론들을 기반으로 하는 미술을 거부하며, 미술의 본질적인 요소 외에 어떤 것도 미술에 개입되지 않는 개념을 의미한다. 팝 아트가 대중의 전형적인 이미지를 차용하여 대중과 소통하려고 정크 아트가버려진 재료를 재생하는 미술인 반면에 아르떼 포베라는 일상의 삶에서 접하는 재료, 공간, 형태들을 사용하여 대중과 소통하였다. 다시 말해 개념 미술이 사회적인 인식을 지닌 오브제의 개념을 지니고, 미니멀리즘이 조형적인 형태를 최소한 것으로 환원하여 연극성을 내재하고 있는 데에 반하여 아르떼 포베라는 미술과 일상의 삶과 분리하지 않고 각 개인들의 삶의 체험을 기반으로 하는 시적인 미술을 지향하고 있다. 1967년 아르떼 포베라 운동 참여 작가들로는 알리기에로 보에티(AlighieroBoetti)의 포스터에 등장한 쟌니 쿠넬리스(Jannis Kounellis), 미켈란젤로 피스톨레또(Michelangelo Pistoletto), 쥴리오 파올리니(Giulio Paolini), 루치아노 파브로(Luciano Fabro), 질베르또 조리오(Gilberto Zorio), 피노 파스깔리, 마리오 메르츠(Mario Merz), 질라르디, 피아 첸티노, 네스 폴로, 시모네티, 체롤리, 이까로,몬디노, 쉬파노등 총 16명에 이지만, 2000년대에 이탈리아에서는 운동이라기 보다는 미술의 한 경향으로 이 미술을 분류하고 있으며, 대표적 작가로는 조반니안셀모, 보에띠, 깔조라리(Pier Paolo Calzolari), 파브로, 쿠넬리스, 메르츠, 마리자 메르츠(Maisa Merz), 파올리니, 페노네, 피스톨레또, 조리오 등 11명이 거론되고 있다. 공간의 형태는 아르떼 포베라에서 심미적인 하얀 입방체의 공간이 아니라 일상의 삶과 분리되지 않았으며, 재료의 특성은 장식적인 재료들이 아닌 이탈리아의만죠니, 알베르토 부리뿐만 아니라 마르셀 뒤샹과 요셉보이스의 영향을 받아 일상의 재료들을 사용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조형의 형태는 캔버스의 형태에서 탈피해 일정한 규칙이나 규격이 없는 자유로운 형태로 일상의 공간에서 추구하고 있다. 아르떼 포베라는 이탈리아의 만죠니, 알베르토 부리와 미래파뿐만 아니라 마르아르떼 포베라(Arte Povera)의 예술 정신에 관한 연구 9셀 뒤샹과 요셉 보이스와 추상표현주의 작가인 잭슨 폴록에게 영향을 받았지만 또한 현대미술의 주요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는 영국의 yBa 작가들은 물론 1980년대의 이탈리아의 트랜스 아방가르드와 독일의 신표현주의, 그리고 미국의 그라피티의 미술의 흐름에 영향을 주었다. 아르떼 포베라는 1960년대에 이탈리아를 중심으로 일어난 미술 운동으로 팝아트와 개념미술, 미니멀리즘과는 달리 현대 미술사에서 하나의 축을 형성하고 있다. 아르떼 포베라의 예술 정신을 정확히 인식하는 것은 현대 미술의 흐름을 이해하고 재조명하는 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될 것이다. This thesis is to shed light on the art spirit of Arte Povera, a modern art movement that took place in cities throughout Italy. Arte Povera emerged in the 1960s in opposition to politics and capital intervening in art, and formed a significant stream unlike conceptual art, pop art, and minimalism. Arte Povera can be literally defined as “poor art” or “impoverished art” but this more accurately means the state in which nothing is involved in art except for art`s elemental factors. It refuses art anchored to collective philosophical concepts and discourse based on .isms. Whereas pop art tries to communicate with the general public through an appropriation of typical popular images and junk art brings new life to abandoned materials, Arte Povera communicates with the public by adopting the material, space, and forms of everyday life. In other words, conceptual art is dependent on the notion of an object with social consciousness and minimalism connotes theatricality by reducing form to its minimal shape, while Arte Povera pursues poetic art based on each individual`s experience of life without divorcing art from everyday life. Participants in this movement include 16 artists in total, such as Jannis Kounellis who appeared in a poster by Alighiero Boetti, Michelangelo Pistoletto, Giulio Paolini, Luciano Fabro, Gilberto Zorio, PinoPascali, Piacentino, Nespolo, Simonetti, Ceroli, Icaro, Mondino, and Schifano. However, this type of art is classified as a tendency of art rather than a movement in Italy in the 2000s. 11 artists including Giovanni Anselmo, Boetti, Pier Paolo Calzolari, Fabro, Kounellis, Merz, MaisaMerz, Paolini, Penone, Pistoletto, and Zorio are considered its representative artists. The space Arte Povera adopts is not an aesthetic white cube but a space connected to daily life. The materials Arte Povera uses are not ornamental objects but common materials, influenced not only by futurists such as Piero Manzoni and Alberto Burri, but also by Marcel Duchamp and Joseph Beuys. Arte Povera, above all, seeks free form untrammeled by any rule or scale in everyday space, escaping from the fixed form of a canvas. Influenced also by abstract expressionist Jackson Pollock, Arte Povera affected the art of yBa forming a significant flow in contemporary art, the streams of Italian Trans-avant-garde, German neo-expressionism, and American graffiti art. Unlike pop art, conceptual art, and minimalism, Arte Povera took place in Italy in the 1960s and became an axis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ng the art-spirit of Arte Povera accurately is the most crucial element in understanding and examining the stream of contemporary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