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인삼의 잎에서 유기된 Callus 의 미세구조

        박홍덕(Hong Duok Park),김우갑(Woo Kap Kim) 한국식물학회 1976 Journal of Plant Biology Vol.19 No.4

        The fine structure of the callus induced from epidermis of Panax ginseng leaves cultured on Murashige & Skoog medium plus kinetin 0.1㎎/ℓ, NAA 0.2㎎/ℓ and 2.4-D 0.4㎎/ℓ was observed. The cells composing callus tissue are mononucleus. Three types of cells were identified; cells with abundant cytoplasm, cells with relatively differentiated vacuoles and with numerous starch grains in the plastids and ones with highly differentiated vacuoles and with unsaturated lipid granules. Prolamellar body, plastid lamellae, plastid globules, stromacenter, fine tubules, crystal-containing body and DNA-like structures were observed in the stroma of the plastids. The chromoplasts were identified in some cells believed as the mother cells of secretory cells in secretory ducts. Curved or straight micro-fibrils of 100∼150A in diameter were observed in the cytoplasm. And the characteristics of cell organelles and cell inclusions and the vacuole formation in callus tissues were discussed.

      • KCI등재

        Immunocytochemical Investigation on the Intracisternal Accumulations of Storage Protein in Pea Cotyledon Cells

        정병갑,박홍덕,Jeong, Byung-Kap,Park, Hong-Duok Korean Society of Electron Microscopy 2001 Applied microscopy Vol.31 No.2

        완두 자엽세포에 대한 저장단백질 과립의 발달은 단백질 저장 액포의 가장자리에 축적된 단백질의 fragmentation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최근 이 외에도 terminal dilation, transformation, denovo development등의 독립적인 과정이 각각 다른 시기에 관찰되므로서 단백과립의 발달은 이러한 여러 과정이 모두 나타나는 복합과정임이 알려졌다. 이러한 과정과는 별도로 종자발달의 이른시기에 소포체 내강에 축적되는 저장단백질과 여기서 발달하는 단백과립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발달중인 종자의 자엽으로부터 단일 세포를 얻어서 면역세포 화학적 반응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종자발달의 이른 시기에는 legumin이, 중간시기 이후 에는 vicilin이 축적되므로서 단백질이 축적된 소포체가 단백과립으로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포체 내강에 존재하는 단백질인 $\alpha-Tip$은 비교적 늦은시기에, toneplast membrane protein인 PPase는 이른시기에 각각 면역 세포화학적 반응이 관찰되었다. In 1980s, the fragmentation or subdivision of protein deposits at the periphery of protein storage vacuole was suggested as the only route of PB development in pea cotyledon cells. Since then, other independant processes such as terminal dilation , transformation and de novo development have been discussed as alternative routes for PB development, and today, these multiple mechanisms of PB development are accepted as a result of active investigations. For analysis of the protein accumulations in the ER cisternae during seed development, immunocytochemical gold labellings were applyed on the single cells separated by enzymatic digestion from cotyledon tissue. Anti-legumin labellings at the early stage, and anti-vicilin labellings at the intermediate stage were observed on the protein-filled ER. The $\alpha-Tip$, which is the ER retention protein, was labelled somewhat at late stage, and PPase, a sort of tonoplast membrane protein, was labelled at early stage.

      • KCI등재

        인삼종자의 발아과정에 있어서 미세구조의 변화

        김우갑,박홍덕,김은수,한성식,Kim, Woo-Kap,Park, Hong-Duok,Kim, Eun-Soo,Han, Sung-Sik 한국현미경학회 1979 Applied microscopy Vol.9 No.1

        과피가 녹색이고 배의 길이가 $250{\mu}$인 미성숙 과정을 거쳐 발아시까지 배 및 배유세포의 미세구조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배의 길이가 $250{\mu}$인 미성숙 종자의 배세포는 세포질이 비교적 충실하나 mitochondria의 Cristae 및 plastid는 미분화상태이고 가끔 dictyosome이 관찰되었다. 액포안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globoid 를 함유하는 것도 있었다. 소포체는 대부분 한면소포체이고 외형질에는 spherosome을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배유세포는 spherosome과 이들로 둘러싸인 전자밀도가 높고 균질성인 protein body로 충만되었고 이들로 인하여 세포기관은 관찰되지 않았다. 2. 과피가 홍색인 종자의 배세포는 cristae가 발달한 mitochondria가 관찰되었으며, 전자밀도가 높은 globoid가 증가하였고 액포는 확장되었다. 배유세포에는 spherosome이 증가하고 있었으며 protein body는 확장되어. 그 내부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globoidal crystal이 분산되어 있었다. 3. 종피가 열개한 종자의 배축의 전형성층과 유아세포에서는 Golgi vacuole과 vesicle이 발달되었으며 mitochondria의 cristae는 매우 분화되었다. spherosome은 매우 많이 나타났고 유근세포, 배축의 주변세포 및 자엽세포의 액포는 매우 분화되었다. 배유세포는 spherosome으로 충만되어 있고 그 내질에는 전자밀도가 높고 작은 입자를 지니고 있었다. Protein body는 단일막으로 둘러싸여 있음이 확인되었다. 세포질내에는 구형체와 spherosome 주변의 세포질에 acid phosphatase의 활성을 나타냈다. 4. 파종시 자엽의 외면부 세포는 spherosome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protein body도 관찰되었다. 세포기관들은 분화되어 있었고 전분을 함유하는 색소체가 출현하였다. 5. 파종시킨 후 발아할 때까지 자엽의 외측 $2{\sim}3$열세포, 배축의 주변세포, 유근부 세포에서는 spherosome이 증가하였고 전분립을 함유하는 plastid 도 증가하였다. 배를 구성하는 세포의 내형질의 액포부근에는 mitochondria와 microbody 가 혼재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발아시기가 가까워 질수록 배와 연접하는 배유세포에는 액포가 매우 분화되고 spherosome은 감소되는 반면 액포내에는 무정형의 전자밀도가 높은 물질이 증가하였다. 그밖의 배유세포에는 spherosome이 감소됨에 따라 mitochondria는 증가되고 전자밀도가 높은 소구체가 형성되어 증가되었다. Protein body의 외질은 감소되고 전자밀도가 낮은 부위는 확장되며 이는 서로 융합하여 외연부는 없어지고 기질속에 소입자들이 형성되었다. 6. 발아기의 배유세포안에는 spherosome이 감소되고, protein body는 서로 융합되어 한 세포내에 $2{\sim}3$개로 충만되어 있었다.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embryo and endosperm cells were observed during the green fruit with embryo about $250{\mu}$ long to germination. 1. In the embryo cells of green fruit with embryo about $250{\mu}$ long, mitochondrial cristae and plastid are undifferentiated and dictyosome are occasionally observed. There are electron-opaque globoids in the vacuole and a lot of spherosomes in the outer layer of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Endosperm is filled with spherosomes and electron-opaque protein bodies surrounded by spherosomes, and due to these, other organelle are not observed. 2. In the embryo cells of seeds with red seed coat, mitochondrial cristae are well developed, electron-opaque globoids increased, and vacuoles are enlarged. In the endosperm, however, spherosomes increased, protein bodies are enlarged, and electron-opaque globoidal crystals are dispersed within them. 3. In the procambium and epicotyl cells of dehiscent seed, Golgi vacuoles and vesicles are well developed, and mitochondrial cristae are also well differentiated. Spherosomes are numerously present and radicle cells, peripheral cells of hypocotyl, and vacuoles of cotyledon are well differentiated. Endosperm is filled with spherosomes containing electron-opaque granules and protein bodies are surrounded by a single membrane. There are acid phosphatase around globoids and spherosomes. 4. At the time of seeding, spherosomes markedly increased in the outer layer of cotyledon and protein bodies are also observed. Cell organelles are differentiated and plastids containing starch are also present. 5. In the outer $2{\sim}3$ layers of cotyledons, radicle cells, and peripheral cells of hypocotyl during post-seeding to germination, spherosomes and plastids with starch increased, and mitochondria and microbodies are also found around the nucleus of embryo cells. With approaching, the germination stage, in the endosperm contacting with embryo, vacuoles are well differentiated but spherosomes decreased. There increased electron-opaque materials within vacuoles. In other endosperm, with the decrease of spherosome, mitochondria increased and electro n-opaque globular bodies are formed and gradually increased. The outer layer of protein bodies are reduced while electron-transparent portions are enlarged and fused together to occupy the outer layer where small particles are formed. 6. In the endosperm of germination stage, spherosomes decreased while protein bodies, are fused together to form 2 or 3 within a cell.

      • KCI등재

        Multivesicular bodies 및 Cytolysomes에 관(關)한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 연구(硏究)

        김우갑,김창환,박홍덕,양희영,Kim, Woo-Kap,Kim, Chang-Whan,Park, Hong-Duok,Yang, He-Young 한국현미경학회 1976 Applied microscopy Vol.6 No.1

        Rhizopus nigricans,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ochraceus의 균계 Agricus bisporus, Rhizopogon rubescens의 자실층균계 및 담자기세포, Marchantia polymorpha, Pogonatum inflexum, Pteridium aqiulium 의 동화조직, Pinus densiflora, Ginkgo biloba, Panax ginseng 의 엽육조직의 소편을 glutaralehyde-paraformalehyde 및 $OsO_4$에 고정하여 다소포체 및 세포질용해체와 관련된 다양상인 막성구조의 기원과 기능에 관하여 전 자현미경적으로 추구하였다. Rhizopus nigricans, Aspergillus niger, A. ochraceus, Agricus bisporus, Rhizopogon rubescens 의 동심원상인 다층막, 미에린一소포-관상구조의 복합체, 평행다층막구조등은 원형질막에서 유래된다. Marchantia polymorpha, Pogonatum inflexum, Pteridium aquilinum, Pinus densiflora, Ginkgo biloba, Panax ginseng 에 있어서 pinocytotic vesicles 외에 다양상안 막성구조는 원형질막과 세포질안의 무과립성 소포체에서 유래된다. 원형질막에서 유래되는 것은 다소포체인 것과 미에린 양구조인 것으로 구분되고, 이것은 2차액포를 형성하거나 또는 1차액포안으로 유리되어 퇴화한다. 세포질안의 소포체가 세포질의 일부를 포위하고 그 내부에 막증식과 더불어 세포질이 감소되면서 다층막구조로 변하고, 이것은 액포안으로 유리되어 퇴화한다. 세포질의 소포체에서 유래되는 것은 액포분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세포질분리체 또는 세포용해체인 것으로 믿어진다. The origins and the functions of the multi vesicular bodies and the various structures of the membranes related to the cytolysomes were studied in the mycelium cells of Rhizopus nigricans, Aspergillus niger and A. ochraceus, in the hymenium and basidium cells of Agricus bisporus sand Rhizopogon rubesecens, in the cells of assimilation tissue of Marchtantia polymorpha and Pogonalum inflexum and in the mesophyll cells of Pteridium aqiulinum, Pinus densiflora, Ginkgo biloba and Panax ginseng fixed with glutaraldehyde-paraformaldehyde-$ OsO_4$. In Rhizopus nigricans, Aspergillus niger, A. ochraceus, Agricus bisporus sand Rhizopogon rubescens, the concentric multilamellar, multivesicular, myelin-vesicle-tubular and concentric parallel-lamellar complexes were originated from the plasmalemma, while in Marehantia polymorpha, Pogonatum inflexum, Pteridium aquilinum, Pinus densiflora, Ginkgo biloba and Panax ginseng, they were originated from plasmalemma and the cytoplasm. The structures originated from the plasmalemma may be grouped into multi vesicular body and myelin-like structure, both forming the secondary vacuoles or protruding into the central vacuoles and finally degrading, In some cases, endoplasmic reticulum within the cytoplasm encloses some part of the cytoplasm to form a circle where the membranous lamellae increase in number, while the enclosed cytoplasm decrease to be eventually replaced by the multilamellar structure which is released into the vacuoles and subsquently degraded. The structures originated from the cytoplasm are believed to be the cytosegresomes or cytolysomes closely related to the differentiation of the vacuoles. The possible fate of these structure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