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1980년대 한국 자수계 동향 연구: ‘전통’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박혜성 ( Park Hyes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전통을 매개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1950-1980년대 한국 자수계의 동향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회화나 조각 등 단일예술과 차별되는 당시 한국 자수의 중층적인 위상을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순히 공시적으로 전개된 자수의 다양한 실천을 열거하는 대신 ‘전통’이라는 자장 안에서 자수를 바라봄으로써 근대기 이후 철저하게 이분화된 ‘현대공예=창작공예=미술공예’와 ‘전통공예=전승공예=기예’를 함께 다루고 이를 통해 고착된 이 두 영역 사이의 간극을 좁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선행논문과 당시 신문자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도록 등을 중심으로 문헌연구를 실시한 결과 20세기 중후반 전통을 둘러싼 다양한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전개된 한국 자수의 다층성과 특수성을 다음과 같이 고찰할 수 있었다. 국전을 중심으로 전개된 한국 현대자수는 여전히 생활공예로서 실천과 거리를 둔 채 일제 강점기 이래 추구한 미술공예로서의 위상을 지속시키는 것을 중시했다. 이를 위해 현대자수는 전통적 모티프를 사용하되 일제강점기의 사실주의적 양식에서 벗어나 이미지의 변형과 해체, 즉 추상화를 시도했다. 이러한 변화는 자수가 한국전쟁 이후 모더니즘 미술=추상을 토대로 새로운 전통을 확립하려는, 즉 전통의 현대화를 꾀한 당시 미술계 전체 움직임에 동참했음을 의미한다. 국전 밖에서는 근대화와 식민화로 인해 단절된 전통자수를 되살리는 움직임이 태동했다. 무형문화재로 대표되는 전통자수는 당시 박정희 정권이 내세운 민족주의를 바탕으로 한 전통문화정책 틀 안에서 원형을 보존하는 전승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한편 전통자수는 조국근대화를 위한 주요 수출상품으로 간주되어 국가에 의해 여성들의 부업으로 독려되기도 했다. 동양자수로도 불린 수출용 자수는 외국인의 이국취향을 만족시키는 절충적인 성격을 띄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Korean embroidery during the 1950s and 1980s from a perspective of “tradition,” which makes it possible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traditional and past-oriented craft versus the modern and creative craft which has been fixed since modern times. It investigates the previous studies, news articles and catalogues at the time, and discovers the multi-layered status and diverse characteristics of the late 20th-century Korean embroidery in the varied social and artistic context of tradition. Korean modern embroidery, developed around the Korean National Art Exhibition, placed great value on maintaining its status as an artistic craft distinguishing itself from being a craft for living. For this, modern embroidery attempted to reinterpret traditional motifs with abstraction setting itself apart from the realistic styles of the early 20th-century. This change meant that embroidery joined the movement of the whole art world to establish a new tradition based on modernism or abstract art after the Korean war. Outside the national art exhibition, traditional embroidery deteriorated due to rapid modernization and Japanese imperialism was revived. It was important to preserve the original form of traditional embroidery within the traditional cultural policy framed by nationalism of the government. This task was primarily signed to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Traditional embroidery was also regarded as one of the major export products for the modernization of the country, and was encouraged as a profitable sideline for women by the government. Traditional embroidery for export was also referred as oriental embroidery, which had eclectic characteristics that satisfied the exotic tastes of foreigners.

      • KCI등재

        스마트도시 구축에 필요한 공공공간 디자인 요소 분석 연구

        박혜성 ( Hyesung Park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는 도시화로 인하여 자원 및 인프라 부족, 교통혼잡, 에너지 부족 등 각종 도시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 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스마트도시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스마트도시는 정보통신 및 기술의 발전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른 시대적 화두와 맞물려 도시혁신의 새로운 모델로 증가하는 도시개발 수요를 바탕으로 각국에서 경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ICT 기술을 활용,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교통, 에너지, 환경 등 파급효과가 큰 미래 성장동력으로 스마트도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도시 개발 시 공공공간에 필요한 디자인 요소를 파악하여 종합도시 계획 개념에 공공공간의 디자인 요소 적용이 초기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도시의 개념을 제시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디자인 및 공공공간, 공공디자인의 특성과 개념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한다. 문헌조사를 통해 공공공간에 필요한 디자인 요소를 추출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한 28개의 디자인 요소를 범주화하기 위하여 다차원 척도법(Multi dimensional Scaling , MDS)을 선정, 28개의 디자인요소의 유사성에 대하여 전문가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후 수집된 데이터를 SPSS 20.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에 코딩하여 다차원척도분석(MDS)을 실시하였다. (결과) MDS 분석 결과 각 좌표에 따라 분류된 그래프를 살펴보면, 5개의 그룹으로 유사성이 군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5개로 범주화된 스마트도시의 공공공간 디자인요소는 안락성, 심미성, 역사성, 정책성, 경제성으로 정의하였다. 디자인은 사회전반에서 점점 중요시 되고 있으며 스마트도시 구축시 도시설계 단계에서부터 디자인 요소가 접근되어야한다. 또한 스마트 기반시설(스마트 에너지, 도로, 자원 재순환 등) 구축 시 위에서 분석된 디자인 요인을 바탕으로 스마트도시 구축 시 공공공간의 설계에 반영, 도시기능을 효율화하고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데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 스마트도시는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도시공간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접하게 되는 공간으로서 디자인 적용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신정부는 스마트코리아를 추진하기 위하여 스마트도시 구축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에너지, 교통, ICT등의 인프라 구축 또는 법·제도적 측면에서 디자인요소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기획, 설계, 운영, 관리의 통합적 도시개발 과정에서 디자인을 필요조건으로 인식하고. 본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스마트도시 구축 단계에서 공공공간 영역이 공간·기술·주체별 맞춤형 전략 방안을 디자인적 접근을 통하여 모색 하고자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a result of urbanization, the world is becoming increasingly troubled by urban issues, such as lack of resources and infrastructure, congestion, and energy shortages. Accordingly, smart cities are increasingly being seen as a way to solve urban problems. Smart cities are competitively driven by the demand for urban development, which is a new model for urban innovation combined with the tren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government is also promoting smart city policies as future growth engines that will utilize ICT technology, solve city problems, and have a ripple effect on transportation, energy, and the environment. According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identifying design elements necessary for public spaces in smart city development so that the application of said design elements in public spaces can be initially applied to the general urban planning concept. (Method) In this study, concepts from smart cities are presented, and prior studies are used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concepts of urban design, public spaces and public design in a theoretical manner.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design elements required for public spaces were identified. To categorize 28 design elements from a prior study,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method was selected, and its similarity to 28 design elements was explored. Data collected after the survey was coded into a SPSS 20.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o carry out a MDS analysis. (Results) Based on the MDS analysis results, the graph grouped according to the respective coordinates was examined, revealing that the similarity could be organized into five groups. The five public space design elements of smart cities are comfort, aesthetics, historicity, restativeness, and economy. Design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cross society, and design elements should be approached from the urban design phase in smart city deployments. In addition, smart infrastructure (smart energy, roads, resource recirculation, etc.) should be implemented to efficiently reflect on the design of the public spaces and to solve urban problems when constructing smart cities based on the design factors analyzed above. (Conclusions) Smart cities are based on technology, but design applications are essential as the spaces where citizens using urban spaces come into contact. The new government is making a concerted effort to build smart cities for a smart Korea. Accordingly, design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ncluding energy, transport and ICT, as well as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Design is recognized as a necessary condition in the integrated urban development process of planning, design, operation, and management. Based on this research, we intend to seek a customized strategic plan for each spatiality, technology, and principals across all phases of smart city development.

      • KCI등재

        ICM 기반 영재 언어통합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영어 쓰기능력과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박혜성(Hyesung Park),이경화(Kyunghwa Lee)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1

        본 연구는 VanTassel-Baska(1998)에 의해 개발된 ICM 기반 영재 언어통합프로그램인 「Journeys and Destinations」이 고등학생의 영어 쓰기능력과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 인지를 확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라 외국어로 영어를 학습하는 고등학생에 게 적합하게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경기도 S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중 영어성적 상위 30%에 해당하는 학생 4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실험연구를 하였다. 실험기간은 2015년 3월 12일에서 4월 9일까지였으며, 사전, 사후 검사로 영어 쓰기능력검사와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집단에는 영재 언어통합프로그램을 10차 시에 걸쳐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영어 정규수업 10차시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에 따르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ICM 기 반 영재 언어통합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영어 쓰기능력과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음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English language arts program based on ICM, 「Journeys and Destinations」(VanTassel-Baska, 1998) on English writing competence and Crea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this program was reconstructed fo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study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First and second graders of a high school in Suwon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using their English scores; two groups of twenty-four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English language arts program is prove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English writing compet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is program is identified to be effective in fostering creative and language creativities. However, there is littl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creative inclin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nglish language arts program can be used to enhance the English writing competence and the creative cap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 KCI등재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또래놀이행동을 매개로 아동의 창의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박혜성(Hyesung Park),우정민(Jungmin Woo),이선영(Seon Young Lee)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2 창의력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아동의 창의적 성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환경요인으로 아버지의 양육행동(온정적, 통제적)을 설정하고, 그 과정에서 또래놀이행동(긍정적 놀이행동, 부정적 놀이행동)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의 6차(만 4세 아버지 양육행동), 7차(만 5세 또래놀이행동), 12차년도(만 10세 창의적 성향)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만 4세의 아버지 양육행동은 만 5세의 또래놀이행동을 매개로 만 10세의 창의적 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아버지의 양육행동이 아동의 창의적 성향에 주는 직접적인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또래놀이행동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아버지의 온정적인 양육태도는 긍정적인 또래놀이행동을 매개로 창의적 성향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통제적인 양육태도는부정적인 또래놀이행동을 매개로 창의적 성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다집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아와 여아 집단에서 경로계수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바탕으로 아동기의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한 실천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ting role of peer play behaviors (positive peer play, negative peer pla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two different parenting behaviors (warm, controlled) and children’s creative personalities. The sixth (father's parenting behaviors of a four-year-old), seventh (interactive peer play of a five-year-old), and twelfth (creative personality of a ten-year-old)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Panel were use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father's parenting behaviors of a 4-year-old indirectly predicted the creative personality of a 10-year-old through interactive peer play of a 5-year-old. However, the direct effects of the father's parenting behaviors on creative personali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father's compassionate parenting behaviors significantly predicted creative personality through positive interactive peer play, and the controlled parenting behaviors significantly predicted creative personality through negative interactive peer play. In addition, a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s in respect of the path differences, although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도시재생활성화계획 분석에 따른 도시재생 사업 유형 분석 연구 - 서울시 일반 근린형 도시재생사업을 중심으로 -

        박혜성 ( Park Hyesung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뉴타운, 재건축과 같은 물리적 환경개선을 통한 도시개발의 문제점 및 한계점이 제기되면서 사회·경제·문화적 측면을 함께 고려하는 도시재생사업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도시재생사업 중 일반근린형의 활성화계획 사업내용을 바탕으로 도시재생사업의 흐름을 알아보고 주민(거주자)들의 요구도를 파악하여 향후 도시재생사업 추진 및 지속가능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4년 선도지역 선정사업부터 2020년까지 서울시가 추진한 일반근린형 25개 사업 중 활성화 계획이 수립된 16개의 사업을 대상으로 연구 범위를 설정하고 16개 지역의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의 사업 및 단위사업을 바탕으로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의 사업 항목을 분석, 세부사업을 파악하고 도시재생 사업 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활성화계획 68개의 단위사업과 164개의 세부사업으로 도시재생 사업 내용율 분류한 결과, 도시재생 사업 유형은 하드웨어 사업과 소프트웨어 사업으로 크게 나누어졌다. 세부적으로는 주민편의시설조성, 가로공간 환경개선, 주민역량강화, 지역활성화 프로그램, 거버넌스 구축, 활성화계획 수립으로 6개의 분야 19개의 사업으로 도시재생 사업 유형이 나타났다. 도시재생 사업 유형을 분석한 결과 하드웨어사업은 55.8%, 소프트웨어 사업은 44.2%를 나타내어 하드웨어사업의 비중이 11.6% 비중이 높았다. 19개의 사업을 살펴보면 주민역량강화 분야의 기타 주민 교육 사업이 11.3%로 가장 많이 계획되었으며 경관개선 부분이 37개 사업 10.2%로 2위, 앵커시설건립이 35개 사업 9.6%로 3위순으로 계획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도시재생사업은 지역의 물리적 재생을 기반으로 주거환경 정비 및 주민들의 역량강화가 동시에 추진되어야 한다. 노후 주거지에 기반시설을 정비하고 주민들을 위한 거점공간을 마련, 공동체 회복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공간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은 주민들의 역량강화를 통하여 지역 기반 일자리 마련 및 거점공간 운영을 통한 경제조직이 연계되어 진행되어야 한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시재생사업 일반근린형의 사례를 통해 도시재생에서 주민들의 희망사업·요구 및 사업의 우선순위를 파악,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의 요구도를 깊이 있게 볼 수 있는 장점이 있었으나 반대로 도시재생사업 전반으로 일반화하기에는 한계를 가진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problems and limitations of urban development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physical environment, such as in the case of New Town and Reconstruction, have been raised, the need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at tak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into account has emer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omot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the future and seeking ways to achieve sustainability by understanding the trend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he needs of residents. Trends in and opinions regarding the general neighborhoo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other projects promo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City were examined. (Method) The scope of this study was set to 16 projects with established revitalization plans, from the projects selecting priority regions in 2014 to 25 general neighborhood projects in 2020. This study analyzed the items within urban regeneration plans, identified detailed projects, and classified urban regeneration project types based 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unit projects in 16 regions. (Results)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content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to 68 unit projects and 164 detailed projects,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ere broadly divided into two types; hardware and software. To be specific,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ypes were classified into 19 projects in six fields: development of amenities for residents, improvement of street spaces, residents’ capacity building, regional revitalization programs, governance building, and revitalization planning. Analysis of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types showed that the hardware projects accounted for 55.8% of the projects and the software projects accounted for 44.2%, with hardware projects being higher by 11.6%. Looking at the 19 projects, it was determined that educational projects in the residents’ capacity building field were the most numerous at 11.3%, landscape improvement was at the second place with 37 projects making up 10.2%, and anchor facility construction was in the third place with 35 projects making up 9.6% of the projects. (Conclusions)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hould be simultaneously carried out with the improvemen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residents' capacity building based on the physical regeneration of the reg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ace for community rebuilding and the functioning of the regional economy by improving infrastructure and providing base space for residents in decrepit residential areas. In additio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hould be carried out by linking the creation of local jobs through the residents' capacity building and economic organizations, through the operation of base space. This study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e the residents' needs in urban regeneration in detail by understanding residents' desired projects and demands, and priorities of the projects through the cases of general neighborhood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Seoul. However, on the contrary,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ing it to overall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KCI등재

        영어로 진행하는 영어수업(TEE)을 실행하는 중등교사의 수업 동기와 방법

        박혜성(Park, Hyesung),김윤규(Kim, Yoon-Kyu)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 2011 영어교육연구 Vol.23 No.3

        This study explored the perspectives of Korean secondary school teachers for an in-depth examination of ‘why’ and ‘how’ they conducted TEE classes. Adopting a qualitative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observations, and journals from six secondary level English teachers regularly practicing TEE. The analysis of data revealed three main themes: (a) an English teacher’s duty for students, (b) a continuously developing language learner model, and (c) student-centered classes. The participants felt it was their duty to perform TEE lessons to expose students to English and provide more chances for using English in the EFL context. The teachers also viewed themselves as a successful language learner model pursuing continuous development. Finally, the participants believed student-centeredness represented their TEE classes, with the level and amount of English being decided on the basis of students’ needs. The findings reflect the motives for and ways of conducting TEE classes from the practicing teachers’ perspectives.

      • KCI등재

        판촉 프레이밍이 보너스팩과 가격할인의 선호에 미치는 영향: 단위가격 착각의 효과

        박혜성 ( Hyesung Park ),석관호 ( Kwanho Suk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6

        본 논문은 판매촉진 정보의 제시방법(framing)이 소비자의 보너스팩과 가격할인에 대한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기존의 판매촉진 연구들은 소비자들이 보너스팩보다 가격할인을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소비자의 두 유형의 판촉에 대한 상대적인 선호는 판매촉진 메시지 프레이밍과 할인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판매촉진 메시지가 절대적 프레임으로 제시될 경우(예, xx원 할인, xx개 추가 증정)에는 소비자는 가격할인을 보너스팩보다 더 선호하나, 메시지가 상대적 프레임으로 제시될 경우(예, xx% 할인, xx% 추가 증정)에는 보너스팩에 대한 상대적 선호가 더 증가한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프레이밍 효과는 할인의 크기가 클수록 더 현저하게 나타날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 가설을 소비자의 구매의도(실험 1)와 선택(실험 2)을 종속변수로 한 두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실험 1은 인터넷 영화관 포인트를 구매하는 상황을 설정하여, 동일한 단위가격(unit price)을 가지는 가격할인과 보너스팩에 대한 평가가 메시지 프레이밍 방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가를 검증하였다. 절대적 프레임으로 판매촉진 메시지가 제시되었을 경우에는 소비자들은 가격할인을 더 선호하였으나, 상대적 프레임 하에서는 보너스팩에 대한 선호가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메시지 프레이밍의 효과는 할인폭이 큰 경우에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의 외적타당성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가격할인을 제공하는 대안과 보너스팩을 제공하는 대안에 대한 소비자의 선택을 조사하였다. 실험 2의 결과 또한 판매촉진에 대한 선택확률도 메시지 프레이임과 할인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framing of promotional messages on the relative preference for price cut and bonus pack promotions that provide the same discounted unit price. The extant literature shows that consumers tend to prefer price cuts (that offer monetary savings) to bonus packs (that offer extra amount of the product). Although price cut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used sales promotion tools and has strong impact on sales increase, it also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lowering perceived quality and reference price, resulting in decreases in potential future demand of the promoted product. Bonus pack promotion can be an alternative promotional tool with reduced negative long-term effects. Then, how can we increase consumers` preference for bonus pack promotion? This research extends the findings of prior studies and suggests that the relative preference for price cuts and bonus pack is moderated by whether the promotional message is absolutely framed (presenting the absolute amount of monetary savings or free extra-products) or relatively framed (presenting the percentage of monetary savings or free extra-products). Specifically, this research proposes and tests the following key hypotheses: (1) consumers prefer discount to bonus pack under the absolute frame, (2) consumers` preference for bonus pack increases under the relative frame, and (3) the framing effect is stronger when the discount is deeper than shallower. In case of the absolute frame, because consumers can easily recognize exact saving they can obtain from each type of sales promotion, they will evaluate it according to the amount of monetary saving (price cut) or the free extra amount of the products (bonus pack). Thus, their evaluation of sales promotions is more strongly affected by the discounted unit price. When the two types of the sales promotions offer the same unit price, consumers are likely to prefer discount to bonus pack, because of the benefits of price cuts such as lower transaction cost and inventory cost. In case of the relative frame, because consumers have difficulty in calculating the degree of discount they can get, they are more likely to evaluate it based on the value of the framed rates (discount rate, bonus pack rate). Given the same sale unit price, bonus pack rate is higher than that of price cut. For example, the sales promotion that offer 20% price discount is equivalent the bonus pack that offer 25% extra products in terms of the unit price. Because it is more difficult to calculate the unit price when the message is presented in the relative frame, consumers tend to rely more on the system 1 rather than system 2, resulting in a simple comparison of the presented price discount rate and bonus pack rate. Thus, relatively presented promotional messages should increase consumers` relative preference for bonus pack. Our proposed predictions are tested in two empirical studies. Experiment 1 set the situation to purchase points of Internet cinema. Participants rated their relative preference (in terms of purchase intention) for the two types of sales promotion that varied in terms of framing of sales promotion messages (absolute vs. relative) and the depth of discount (shallow vs. deep).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promotion messages are absolutely framed, price cut promotion was preferred to bonus pack promotion. However, when messages are relatively framed, price cut promotion and bonus pack promotion were equally preferred. We also foun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message framing was more prominent when the discount rate was higher. These key findings are replicated in study 2 that examined the effects of message framing on consumer choice between two fitness centers, one offering price cut promotion and the other offering bonus pack promotion. Under the absolute frame, consumers were more likely to choose the fitness center that offered price cut promotion than that offered bonus pack promotion. When promotional messages are relatively framed, choice between price cut and bonus pack promotions did not differ. Through the both experiments, it showed that preference for the two types of sales promotion having the same unit price may vary according to the framing of sales promotion messages and the degree of discount. Theoretically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o clarify the role of the unit price framed by sales promotion activities which the existing literature on the sales promotion has overlooked. And it also has the meaning to present that evaluation on different types of sales promotion having the same unit price may vary according to the message framing. And practically, it showed that preference for the certain sales promotion may be influenced by the method how marketers communicate sales promotion messag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