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7학년 교과서에 포함된 화학 관련 삽화의 인식과 개선 방안 : their recognition and ways to iImprove them.

        박혜성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과학 교수-학습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매체인 과학 교과서 삽화의 바람직한 방향 및 개선 방안을 찾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07년 개정 중학교 과학 교과서 삽화에 대한 인식과 화학 단원을 학습 시 보다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삽화를 알아보고자,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100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1. 과학 교과서 화학 단원에서 수업 활동에 대한 흥미 유발에는 현상을 나타낸 만화가 가장 효과적이며, 실험 방법에 대한 안내에는 실험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구만 담은 사진이나 실험 과정의 도구를 순차적으로 나타내고, 학생의 실험 장면도 함께 담은 사진이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화학 단원 내용에 따라 학습 활동 자료로 활용되는 삽화는 분자 모형으로 설명되어 물질을 입자적 관점에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삽화를 주로 선택하였다. 실험 결과와 개념을 정리할 경우는 그래프에 분자 모형을 그려 넣도록 제시한 것, 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그래프만 완성하도록 제시한 것, 그리고 실험 수행 후 실험 결과와 그래프를 완성하도록 제시한 것이 고르게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2. 교과서 삽화 설명(캡션)의 필요성에 전체 응답자 중 93.0%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적절한 설명으로 삽화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하다는 의견에 70.0%가 응답하였다. 3. 바람직한 교과서 삽화의 개선 방향은 내용면에서는 삽화의 설명이 자세하였으면 하였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다수의 학생들이 응답하였다. 외형면에서는 학생들의 눈을 사로잡을 수 있도록 간단하고 쉽고, 최신의 사진으로 구성되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교과서 삽화의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는 만큼 학생들의 주의를 끌고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것으로 교과 내용을 더욱 흥미롭게 하여 보다 학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 아미노산 첨가 톱밥배지를 이용한 느타리버섯의 형태학적 특성 검정과 기능성 성분 변화

        박혜성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느타리버섯은 향기가 좋아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각종 아미노산이 풍부하고, 항균작용 및 항암효과가 있는 다당류를 함유하고 있어서 기능성 식품으로 맛은 물론 영양효과도 많이 연구되고 있다. 버섯에는 다당류, 렉틴, 리그닌이 풍부하며, 항염증, 항종양, 면역조절에 기능을 하는 물질 함유가 높아 기능성 식품으로 손꼽힌다. 이처럼 기능성 식품으로 주목받고 있는 버섯은 심장병, 뇌졸중, 고지혈증 등의 성인병 예방과 항암효과 및 면역증강 효과가 있다. 따라서 기능성이 강화된 느타리버섯을 연구하기 위해 아미노산 Ala, Cys, Gln, Glu, Ser 성분을 0~0.4% 농도별로 톱밥배지에 첨가하여 수확한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아미노산, 당, 유기산의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위암의 항암효과, 항산화 활성, 항염 활성을 조사하였다. 아미노산 첨가성분 농도에 따른 갓직경과 두께는 아미노산을 농도별로 첨가하였을 경우 춘추 2호와 여름 1호에서는 농도가 높아질수록 갓 직경과 두께가 증가함을 보였다. 대 길이와 굵기는 대 길이 증가시 굵기는 감소하는 반비례적 경향을 보였다. 자실체의 색채특징은 갓의 명도가 감소할시 대의 명도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갓의 색도보다 대의 색도가 높았다. 아미노산 첨가배지에서 수확한 자실체의 성분 변화로 필수아미노산은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비필수아미노산에서는 3품종 모두 Ala 0.3% 첨가시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반면, glutamic acid는 아미노산 첨가구의 살균전 배지에서부터 폐배지까지 다른 성분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자실체의 당 종류 중에 단당류의 변화는 ribose와 fructosed의 함량이 높았다. 이당류에서는 자실체에서 trehalose의 함량이 높았으며, 이당류의 함량은 수한 1호와 여름 1호에서 아미노산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함유량이 증가하였다. 당알코올에서는 glycerol과 mannitol, myo-Inositol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myo-Inositol 성분은 아미노산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3품종 모두 myo-inositol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유기산의 성분 변화로 mono-carboxyl group의 변화는 acetic acid, butyric acid 성분이 주로 검출되었으며, di-carboxyl group에서는 succinic acid 성분이 주로 검출되었고, Cys 성분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uccinic acid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ri-carboxyl group에서는 citric acid 성분은 무첨가구에서 검출되었지만 첨가구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이와 반대로 DL-isocitric acid 성분은 무첨가구에서 검출되지 않았지만 첨가구에서는 검출되는 특이성을 보였다.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생리활성 분석으로 AGS cell에 대한 항암효과는 춘추 2호 Ser 첨가구에서 아미노산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암효과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항산화 활성효과는 춘추 2호에서 Cys 첨가시 항산화 효과도 증가하였고, 그 외에는 무처리구가 처리구보다 더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수한 1호와 여름 1호는 항산화 효과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여름 1호는 다른 두 품종에 비해 항산화 효과가 낮았는데, 이는 품종간의 차이로 보인다. 항염 활성은 춘추 2호에서 가장 높은 항염 활성을 보였고, 수한 1호, 여름 1호 순이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nhanced the functional components of Oyster mushroom (Pleurotus spp.) by using sawdust medium which contains amino acid. We investigat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rvested fruiting body from sawdust medium containing concentration of 0 to 0.4% amino acids components ala, cys, gln, glu and ser. Additionally amino acid, saccharide and organic acid contents were measured. The potential anti-tumorigenic, anti-oxident,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also investigated.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s to chunchu 2 and yeoreum 1, the diameter and thickness of pileus increased newly as the amino acid addition concentration was enhanced. The length and thickness of stem displayed the inversely proportional tendency that the thickness reduces in the length increase. The color feature reduced the luminosity in spite of largely if the luminosity reduced newly. The color was largely newly higher than the color.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the fruiting body, Essential amino acids as a whole decreased. The content of non-essential amino acids, respectively when added Ala 0.3%. Monosaccharides are high content of fructose and ribose. Disaccharide is higher content of trehalose, and the content increased as the amino acid addition concentration increased the content of the disaccharide in the Suhan 1 and Yeoreum 1. As to the sugar-alcohol, glycerol, mannitol and myo-inositol component were detected. The content of myo-inositol increased 3 species altogether as the amino acid addition concentration increased myo-inositol component. mono-carboxyl group was detected acetic acid and butyric acid components. Di-carboxyl group of the succinic acid components were mainly detected, As the Cys ingredient addition concentration increased, the tendency that the succinic acid increases was displayed. In the tri-carboxyl group, the citric was detected from the unadded group but the citric acid ingredient was not detected from the addition port. On the other hand, DL-isocitric acid ingredients were not detected from untreated but DL-isocitric acid showed the detected treatment. As the amino acid addition concentration increased in Chunchu 2 added serine, the anti-cancer effect about AGS cell showed the tendency that the anti-cancer effect increases as the functionality constitutional change. The oxygen-resistant effect of activation shown the effect that in Chunchu 2, the antioxidant effect was increased in the Cys addition. Besides the untreated control plot is higher than the treatment plot. Suhan 1 and Yeoreum 1 displayed the tendency that the antioxidant effect increased and it decreases. The antioxidant effect was lower than the other 2 species. Yeoreum 1 shows this as the difference between species. In Chunchu 2,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displayed the highest anti-inflammatory activity. It was Suhan 1 and yeoreum 1 call sequence.

      •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정서조절양식과 정서표현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혜성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 effect of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on emotion regulation style and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Research problem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 regulation style and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2. What are correlation between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 regulation style and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3. What is effect that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s on emotion regulation style and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3-1. What is effect that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s on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3-2. What is effect that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s on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3-3. What is relative effect that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s on emotion regulation style and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315 mothers who have infant and children going to kindergarten in Kyonggido. This study uses tools for measuring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emotion regulation style and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For measuring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Adult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developed by Mun Yonglin (1996) based on emotional intelligence model developed by Salovey and Mayer(1990) is used. For emotion regulation style, A tool which is developed by Yoon Seokbin(1999), and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Lim Jeonok(2003) is used. And for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A tool, PACES(The Parents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 which is developed by Saarni(1989) and adapted and modified by Kim Eunkyong(2006) is used. Data for this study are collected from questionnaire. Materials is analyzed by technical analysis, One-way ANOVA, t-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 regulation style are relatively higher than median. And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is relatively lower than median.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 regulation style according to mother's income level.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emotion regulation style of mothers in high-income are higher than mothers in lower income.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mother's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according to children's age, mother's age and income level. The mothers who have under four year old children have more high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than the mothers who have under three year old children. Mothers from 45 years old and above have more high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than the others. And the higher mothers in high-income the higher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Second,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 regulation style. The higher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the higher active style, support-seeking style. In other words, The higher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emotional regulation of active style that work hard to improve problem and emotional regulation style of support-seeking that solve the problem with the others very actively. On the other hand,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s negative correlation with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The higher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shows the more accommodative and permissive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Third,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s effect on 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41.2%). Emotional regulation, emotional cognition, emotional utiliz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mong sub factors of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active emotion regulation style. Besides,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s effect on support-seeking emotion regulation style(14%). Emotional expressiveness, empathy among sub factors of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support-seeking emotion regulation style. And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s effect on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8%). Emotional expressiveness among sub factors of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s negative correlation. These results showed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that has significant effect on infant emotional development is very important. In conclusion, it represented that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ctive, support-seeking emotion regulation style and permissive, receptive attitude toward emotional expressiveness. Therefore, the program of parent education for mother's emotional intelligence is necessary.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정서조절양식과 정서표현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정서지능, 정서조절양식,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어떠한가? 2. 어머니의 정서지능, 정서조절양식,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정서조절양식과 정서표현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정서조절양식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2.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정서표현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3.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정서조절양식과 정서표현 수용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의 어머니 315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어머니의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Salovey와 Mayer(1990)의 모형에 입각하여 문용린(1996)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정서조절양식을 측정하기 위해 윤석빈(1999)이 개발하고 임전옥(2003)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어머니의 정서표현수용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Saarni(1989)가 개발한 PACES(The Parents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Scale)를 번역, 수정한 김은경(2006)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고, 본 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은 기술 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t검증(t-test), 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정서조절양식 전체 값은 중앙 값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고,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중앙 값 보다 다소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정서조절양식은 월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월소득이 높은 어머니가 월소득이 낮은 어머니에 비해 정서지능과 정서조절양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유아 연령, 어머니의 연령, 월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만 4세 유아의 어머니가 만 3세 이상의 어머니보다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높게 나타났고, 45세 이상 연령 어머니가 다른 연령에 비해 정서표현 수용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월소득이 높은 어머니일수록 정서표현수용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정서조절양식 간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능동적 양식, 지지추구적 양식의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문제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능동적 양식의 정서조절과 타인과의 긍정적 교류를 통한 대화와 조언으로 해결하려는 지지추구적 양식의 정서조절양식을 보여주었다. 반면 어머니의 정서지능과 정서표현 수용태도 간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높을수록 정서표현 수용태도는 매우 수용적이고 허용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에 미치는 설명력은 41.2%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정서지능 하위요인 중 정서조절, 정서인식, 정서활용, 정서표현이 능동적 정서조절양식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에 미치는 설명력은 14%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정서지능 하위요인 중 정서표현, 감정이입이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정서표현 수용태도에 미치는 설명력은 8%로 나타났고, 어머니의 정서지능 하위요인 중 정서표현이 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정서발달에 매우 큰 영향력을 미치는 어머니와의 정서교류에 있어서 어머니의 긍정적,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과 허용적이고 수용적인 정서표현 수용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정서지능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어머니의 정서지능이 능동적, 지지추구적 정서조절양식과 허용적이고 수용적인 정서표현 수용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어, 어머니의 정서지능을 높이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 정재(呈才) 공연장으로서의 연경당(演慶堂) 연구

        박혜성 한국예술종합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Yeongyeongdang as a performance center for festival dances and songs in the palace. Yeongyeongdang is a one-story house with six sections at front and two sections in sides under a half-hipped and half-gabled roof, which was established inside Changdeokgung (Changdeok Palace) during Chosun Kingdom. This study attempted to prove the time of establishment based on records from the literature and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Yeongyeongdang based on the theory of geomancy and geography. It also attempte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Yeongyeongdang as a performance center for festival dances and songs in the palace while analyzing all the festival dances and songs in the palace performed in Yeongyeongdang.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at identifying the fact that Yeongyeongdang was one of our traditional and cultural heritages representing the era of Chosun Kingdom, as well as a great center of traditional festivals to show the advancement of our culture and art a few step forward. The following findings show the analytical results as the performance center for festival dances and songs in the palace. Firs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Yeongyeongdang were analyzed. Yeongyeongdang was completed in construction, which had been commenced before June of the 28th year of King Soonjo, based on records in Hangyeongjiryak (Summarized Knowledge on the Capital Seoul), Gunggwolji (Logs on Palaces), and Jeungbomunheonbigo (Remarks in the Literature on the Increasing and Repairing Constructions). Considering Yeongyeongdang largely in terms of the theory of geomancy and geography, four external mountains include Mt. Bukhan, Mt. Deokyang in Haengju, Mt. Gwanak, and Mt. Yongma to the south, whereas four internal mountains include Mt. Baekak, Mt. Nakta, Mt. Namsan and Mt. Inwang. When the directions of the gate, main living room and kitchen are the same, it is thought to be fortunate in terms of the theory of geomancy. However, the kitchen is thought to be weaker. The pond 'Myeongdangsu' in Yeongyeongdang was also affected by Buddhism along with the doctrine of the five natural elemen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The brook flowing in front of the gate 'Jangrakmun' was also affected by the theory of geomancy with the entrance of flow from the west. The inner building of Yeongyeongdang is an architecture to symbolize a woman located to the west, whereas Yeongyeongdang as an annex room for reception is an architecture to symbolize a man located to the east. In addition, all the gates in Yeongyeongdang have their own great meaning, which was predefined. The inner buildings, Yeongyeongdang, Seonhyangje, Nongsujeong and Banbitgan among others as architectures were also constituted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geomancy along with the ponds, stone bridges, doors, yards, trees, etc. Second, all the 17 festival dances and songs in the palace, which was performed in Yeongyeongdang in June 1828, was carried out for the festival to respect and celebrate the authority of royal family. The details on the festival dances and songs in the palace included works with the prominent abilities of performance including the individual and correlative characteristics. Among them, this study carried out the structural analysis based on the literature to the full extent, including Bosangmu, Chunaengjeonmu and Gainjeonmokdan described in the dance scripts. All the movements expressed the artistic beauty in our country. Third,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Yeongyeongdang as a performance center for festival dances and songs in the palace. Yeongyeongdang solved its spatial weaknesses by temporarily installing the supplementary scaffolding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be regarded as a general residential architecture for its pattern to allow spirits to flow out in a type of structure. The ㄷ yard with the open front in the ㄷ type made people move around in a convenient way. It was seen as a place for special ceremonies or festival dances and songs in the palace, when we consider those pavements with thin stones in the inner court, which had been applied to great buildings such as Injeongjeon or Myeongjeongjeon, etc. It could be understood that Yeongyeongdang could not be one of the general buildings, as it had 120 sections of buildings under a meaning of 'a house to perform fortunate events'. Considering the findings described above, Yeongyeongdang was an architecture representing the era of Chosun Kingdom based on the theory of geomancy, and details on the festival dances and songs in the palace performed in Yeongyeongdang also included all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contemporary times. It had all the characteristics of a performance center for festival dances and songs in the palace as well.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Yeongyeongdang is one of our representative cultural heritages, which used to play a central role of the history. If we can continue to develop our superior traditions and cultures along with a number of research materials on Yeongyeongdang even in the future, the Republic of Korea could achieve the advanced culture to attract and lead the countries with the first-class cultures across the world. 본 연구는 정재(呈才) 공연장으로서의 연경당(演慶堂)에 대한 연구이다. 연경당은 조선시대 창덕궁(昌德宮) 안에 세워진 정면 6칸, 측면 2칸을 지닌 단층팔작지붕집이다. 문헌에 나타난 기록을 근거로 창건시기를 증명하고, 풍수지리를 바탕으로 연경당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려고 하였다. 또한 연경당에서 연행된 모든 정재(呈才)를 분석하고, 정재 공연장으로서의 연경당 특성을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연경당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전통 문화유산인 동시에, 우리나라의 문화예술을 몇 단계 발전시킨 커다란 전통연회의 중심이었다는 것을 알리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정재(呈才) 공연장으로서의 연경당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경당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경당은 한경지략(漢京識略)과 궁궐지(宮闕志), 그리고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등에 나와 있는 자료들을 근거로 보면, 순조 28년 6월 이전에 공사를 시작하여 완공된 건축물이란 것이다. 연경당을 크게 풍수지리학적으로 보면 북한산, 행주의 덕양산, 관악산, 동쪽의 용마산을 외사산(外四山)이라고 하고 백악산, 낙타산, 남산, 인왕산을 내사산(內四山)이라고 한다. 풍수학적으로 문(門)ㆍ안방(主)ㆍ주방(遯)의 방위(方位)가 모두 같아야 길(吉) 하는데, 주방(遯)은 조금 약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경당 명당수(明堂水) 연못은 음양오행(陰陽五行)과 불교(佛敎)의 영향을 받았고, 장락문(長樂門) 대문 앞에 흐르는 개울은 서류동입(西流同入)으로 풍수론의 영향을 받았다. 연경당 안채는 서쪽에 위치한 여성을 상징하는 건축물이고, 사랑채인 연경당은 동쪽에 위치한 남성을 상징하는 건축물이다. 또한 연경당의 모든 대문은 나름대로 정해진 큰 뜻을 가지고 있었다. 연못, 돌다리, 문, 마당, 나무 등과 건축물인 안채와 연경당(演慶堂), 선향재(善香齋), 농수정(濃繡亭), 반빗간 등도 풍수를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1828년 6월 연경당(演慶堂)에서 공연된 17종목의 모든 정재(呈才)들은 왕실의 권위를 높이면서도 경하(敬賀)를 위한 연회로 진행되었다. 그 정재 내용은 개별적이면서도 또한 연관성을 내포하고 있는 뛰어난 연출력이 돋보인 작품이었다. 그 중에서도 무보(舞譜)에 나타난 보상무(寶相舞), 춘앵전무(春鶯.舞), 가인전목단(佳人剪牧丹)을 최대한 문헌을 바탕으로 구조적 분석을 하였다. 모든 동작이 우리나라의 예술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었다. 셋째, 정재(呈才) 공연장으로서의 연경당 특성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경당은 임시적으로 보계(補階) 등을 설치하여 공간적 약점을 해결하였고, ㄷ자형 구조물은 기가 빠져 나가는 형태로, 일반적인 주거용 건축으로 보기에는 어려웠다. ㄷ자형의 앞이 트인 마당은 사람들의 동선(動線)을 편리하게 하였고, 안마당이 박석(薄石)으로 포장된 것은 인정전(仁政殿)이나 명정전(明政殿) 등 큰 건축물에만 존재하였던 것을 보면, 특별한 의례(儀禮)또는 정재(呈才)를 위한 장소로 보여 진다. 연경당은 “경사스러움을 행하는 집”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는 120칸의 건축물로 일반적인 건축물은 아니란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로, 연경당은 풍수론을 기반으로 지어진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건축물이고, 연경당에서 연행된 정재내용도 당시의 모든 문화적 특성을 포함하고 있었다. 그리고 정재(呈才) 공연장으로서의 성격도 모두 갖추고 있었다. 연경당은 그 역사의 중심적인 역할을 한 우리고유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인 것을 발견할 수 있었던 것이다. 앞으로도 연경당에 대한 많은 연구 자료들과 우수한 전통 문화들을 발전시켜 나아간다면, 대한민국은 세계 일류 문화국가들을 주도적으로 이끌고 나아가는 선진문화를 이룩할 것이다.

      • 시장가격과 구매강도를 반영한 적정분양가 산정모델에 관한 연구

        박혜성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An apartment, a representative residential type of Korea, can be expressed with a physical, spatial concept for food, clothing and shelter, as well as an economical concept that represents the property and wealth. It also has a social concept of forming a community and naturally separating or gathering the social class. In addition, a distinct feature of Korea in which more than 65% of the housing is the apartment housing, led to combination of the political belief or social problems and issues to the apartment, creating a multi-dimensional concept of apartment these days. Deciding an apartment sale price is a key factor that affects the fate of residential housing projects, and i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considered by customers when deciding to purchase an apartment. The project entity should evaluate a wide range of concepts an apartment has in accordance with the objective and reasonable standards, and such should be reflected in calculating the apartment sale price. Assessment of the feasible apartment sale price is essential as an alternative to reduce the risk of unsold apartments, which may be the case of housing industry in the downturn of real estate industry and unstable housing market, and for successful residential projects. In this regard,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apartment purchasing including the market conditions of the time when the apartment is being sold, to measure buying power and reflect it to the apartment sales price. In other words, it is to develop a feasible sale price assessment model that reflects the market price and buying power. Such model will be meaningful as a tool in enabling the project entities for an objective, reasonable decision-making and reducing the risk of unsold apartments. The apartment sale pricing model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market price and buying power conformed to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ly,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apartment pricing methods and purchase decision factors through literature reviews, a basic structure on the apartment sale pricing model was established. Then, the influence factors upon purchasing a new apartment was drawn for measurement of buying power and the firs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extract purchase decision factors. Secondly, the apartment sales price index investigated and announced by Korea Appraisal Board was chosen as the time series data of market value index calculation. Then, the sales price index at the time of apartment sales was predicted through the time-series trend analysis so as to calculate the market value fluctuation index. Thirdly, the secon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housing project experts to draw the importance of purchase decision factors, and the weight per factor based on AHP was drawn to measure the buying power of the project Fourth, a basic structure of the apartment sale pricing model considering the market price and buying power was established. Such model should basically reflect the market price of the local area and the buying power of the project. Fifthly, the explanation power of model was verified using actual cases. The formula used for apartment sale pricing model taking into account of the market price and buying power is as follows. Case 1 : BI = 0, P = P1 × (1 + △ MI) Case 2 : BI > 0, P = P1 × (1 + △ MI) + (Pmax -Pmin) × BI proj Case 3 : BI < 0, P = P1 × (1 + △ MI) - {(Pmax -Pmin) × BI proj} The feasible sale price assessment model of apartment housing units obtained through the procedure described above was used for verification of the actual cases. As a result, the fluctuation of market price value predicted with the time-series wa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actual sales price fluctuation index. Furthermore, the higher the project's buying power, the higher the contract rate, and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ale rate. The feasible sale price assessment model of apartment housing units considering the market price and buying power predicts the real estate market conditions of the relevant area, and draws objective, reasonable values of the apartment as a product. Also, it proposes a pricing method (tool) that reflects the result to the sale price. The project entities search for alternatives to reduce the risk of unsold apartments based on the assessed sale price. The sale price may be adjusted, or the market conditions can be predicted through time-series analyses to control the project or sales period. Other various alternatives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such as reducing the cost by controlling the level of finishing. The model proposed in the study is believed to become a decision-making tool to predict the market of future apartment sale period, measure marketability of apartments and establish distinct, characterized strategies for relevant projects, to reduce the risk of unsold apartments in the unstable real estate market. 우리나라의 대표적 주거형태인 아파트는 의식주를 수행하는 물리적, 공간적인 개념인 동시에 자산과 부를 대표하는 경제적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며, 공동체로서의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사회적 계층을 자연스럽게 분리하거나 군집시키는 사회적 개념도 가지고 있다. 또한 주택의 65%이상이 공동주택으로 공급되는 우리나라 주거문화의 특수성은 아파트에 정치적 이념이나, 사회적 문제․이슈 등을 결합시켜 오늘날 더욱 다차원적인 아파트의 개념을 형성하게 하였다. 분양가격의 결정은 주택사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적인 요인이며, 소비자가 구매결정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인이다. 사업주체는 아파트가 가지는 다양한 개념들을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평가하고, 이를 반영하여 분양가를 산정하여야 한다. 적정분양가의 산정은 불안정한 주택시장과 부동산침체기에 처해있는 주택업계에 미분양 리스크를 저감시키는 하나의 대안이자 성공적인 주택사업을 위한 필수적인 항목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분양시점의 시장상황뿐 아니라, 아파트 구매 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구매강도를 측정하고 분양가에 반영하는, 즉 시장가격과 구매강도를 반영한 적정분양가 산정모델의 개발에 있으며, 이 모델은 사업주체에게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가능하게 하고, 미분양 리스크를 감소시키는 도구로 활용되는데 그 의의가 있을 것이다. 시장가격과 구매강도를 고려한 분양가 산정모델은 다음의 절차로 진행하였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아파트 가격결정 방법과 구매결정요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분양가 결정 모델에 대한 기본구조를 설정한다. 그리고 구매강도 측정을 위해 신규 아파트 구매 시 영향을 미치는 항목을 도출하고,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구매결정요인을 추출한다. 둘째, 한국감정원에서 조사․발표하는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를 시장가격지수의 기초 Data로 선정하고, 시계열 추세분석으로 분양시점의 매매가격지수를 예측하여 그 변동폭으로 분양예정시점의 시장가격을 산출한다. 셋째, 구매결정요인의 중요도를 도출하기 위해 주택사업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AHP에 의한 요인별 가중치를 산출하여, 프로젝트의 구매강도를 측정한다. 넷째, 시장가격과 구매강도를 고려한 분양가 결정모델의 기본구조를 설정한다. 분양가 결정모델은 기본적으로 해당지역의 시세와 해당 프로젝트의 구매강도(구매력)를 반영하여야 한다. 다섯째, 실 사례를 적용하여 모델의 설명력을 검증한다. 시장가격과 구매강도를 반영한 분양가 산정모델의 산출식은 다음과 같다. Case 1 : BI = 0, P = P1 × (1 + △ MI) Case 2 : BI > 0, P = P1 × (1 + △ MI) + (Pmax -Pmin) × BI proj Case 3 : BI < 0, P = P1 × (1 + △ MI) - {(Pmax -Pmin) × BI proj}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얻어진 적정분양가 산정모델을 활용하여 실제 사례를 검증한 결과, 시계열로 예측한 시장가격지수의 변동률은 실제의 매매가격 변동지수와 근소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프로젝트의 구매강도가 높을수록 높은 계약률을 보이며 분양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장가격과 구매강도를 반영한 적정분양가의 산정모델은 해당지역의 부동산 시장 환경을 예측하고, 상품으로서의 아파트의 가치를 객관적이고 합리적으로 도출한다. 그리고 그 결과를 분양가에 반영하는 가격산정기법(Tool)을 제시한다. 사업주체는 도출된 분양가를 토대로 분양리스크를 저감시키는 대안을 모색 한다. 분양가를 조정하거나, 시장상황을 시계열로 예측하여 사업 시기나 분양시기를 조절하고, 마감수준 등을 조정하여 원가를 절감하는 등 다양한 대안들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은 미래분양시점의 시장예측과 아파트의 상품성을 측정하고, 그에 따른 사업의 차별화․특성화 전략을 수립하여 불안한 부동산 시장에서 미분양 리스크를 저감시키는 의사결정 지원도구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 어머니의 인성특성 및 정서표현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

        박혜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인성특성 및 정서표현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비롯하여, 어머니의 인성특성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소재의 2개의 유치원과 1개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316명의 만 3-5세 유아들로서, 그들의 어머니들이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어머니의 인성특성은 Eysenck와 Eysenck(1975)가 제작한 Eysenck Personality Questionnaire(EPQ)를 Eysenck와 이현수(1985)가 표준화한 척도를 기초로 한 전현진(1997)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척도는 외향성과 신경증성 두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은 Halberstadt(1994)에 의해 개발된 SEFQ(Self- 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를 김호정(2001)이 번안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하위요인은 긍정적 정서표현과 부정적 정서표현을 포함한다. 그리고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Cicchetti와 Shields(1997)의 ERC(Emotion Regulation Checklist)를 번안한 김지윤(2007)의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이 척도는 불안정/부정적 정서와 정서통제의 두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변인들 간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신경증성이 높을수록 유아의 불안정/부정적 정서가 높았으며, 어머니의 외향성이 높고 신경증성이 낮을수록 유아의 정서통제는 높았다. 둘째,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이 적고 부정적 정서표현이 많을수록 유아의 불안정/부정적 정서는 높았다. 또한,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이 많고 부정적 정서표현이 적을수록 유아의 정서통제는 높았다. 셋째, 어머니의 외향성이 높고 신경증성이 낮을수록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이 많았으며, 어머니의 신경증성이 높을수록 부정적 정서표현이 많았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정서표현은 인성특성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대부분 완전 매개 역할을 하였다. 즉, 어머니의 신경증성이 높을수록 어머니는 가정 내에서 긍정적 정서표현을 적게 하고 부정적 정서표현을 많이 하였으며, 이는 유아의 높은 불안정/부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쳤다. 어머니의 외향성이 높고 신경증성이 낮을수록 어머니는 긍정적 정서표현을 많이 하였으며, 어머니가 긍정적 정서표현을 많이 할수록 유아의 정서통제가 높았다. 또한 어머니의 신경증성이 높을수록 어머니는 부정적 정서표현을 많이 하였으며, 이는 유아의 낮은 정서통제에 영향을 미쳤다. 전반적으로, 어머니의 긍정적 특성인 외향성과 긍정적 정서표현은 유아의 긍정적인 정서조절능력에, 어머니의 부정적 특성인 신경증성과 부정적 정서표현은 유아의 부정적인 정서조절능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인성특성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정서표현의 매개적 역할을 발견함으로써,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발달에 어머니의 정서표현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조절능력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관련변인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는 유아의 정서조절능력발달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용적 의의가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ersonalit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s well as maternal expressiveness as a mediator between mothers' personality and preschooler's emotion regul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 total of 316 preschoolers(146 boys and 170 girls) and their mothers living in Gyeonggi-do.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three kinds of questionnaires regarding personalit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emotion regulation. All of the questionnaires were rated by the preschoolers' mother. Data were analyzed by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ternal neuroticism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Instability/Negativity. And as the level of maternal extroversion got higher and neuroticism got lower, the level of children's regulation was high. Second, mothers' positive expressive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s Instability/Negativity, while mothers' negative expressive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Instability/Negativity. Also, mothers' positive expressiveness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negative expressiveness was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s regulation . Third, as the level of maternal extroversion got higher and neuroticism got lower, mothers showed more positive expressions. Also mothers' neuroticism was positively related to mothers' negative expressiveness. Lastly,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a perfect mediator between mothers' personality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at is, mothers with higher neuroticism level showed less positive expressions, but more negative expressions. When mothers were less positively expressive and more negatively expressive, children showed high Instability/Negativity level. As the level of maternal extroversion got higher and neuroticism got lower, mothers showed more positive expressions. This led to more positive expression mothers showed, the higher children's regulation level was. Also, mothers with higher neuroticism level showed more negative expressions. When mothers were more negatively expressive, children showed high regulation level.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clos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ersonality,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is study found mothers' extroversion and positive expressiveness contribute to children's adaptive emotion regulation. Whereas, mothers' neuroticism and negative expressiveness contribute to children's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In conclusion,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was found to function as a mediator between maternal personality and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Therefore,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is identified as one of the integral factors to predict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자녀의 미래 성과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지원 욕구

        박혜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장애인뿐만 아니라 그 가족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2008년 5월 26일부터 시행되고 있는「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가족 지원 조항이 마련되어 이와 같은 사회적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장애인을 위한 교육과 지원을 논의할 때 그 가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한 것은 그만큼 가족의 기능과 가족 참여가 중요하다는 인식 때문이다. 특히 자녀에 대한 부모의 ‘기대’는 아동의 미래 성과와 긍정적으로 연관을 맺고 있고, 자녀의 발달과 교육적 욕구에 영향을 미치며, 자녀의 특정 발달에 대한 기대는 아동의 실제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자폐 범주성 장애는 어린 연령에 발생하고, 사회성 결함이라는 주요 특성을 가지므로, 미래 성과에 대한 인식 즉 가족의 기대는 교육의 성과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부모가 가지고 있는 자녀의 미래 성과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중심으로 지원 욕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부모가 가지고 있는 미래 성과에 대한 인식과 자녀의 미래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지원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근거로 미래 성과의 항목에 대한 중요도와 실현가능정도를 묻는 16개 문항과 지원 욕구를 묻는 1개의 개방형 질문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총 542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오류가 발견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383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 분석하였다. 연구 참여자와 연구 참여자의 자녀와 관련된 변인에 따라 연구 참여자의 미래 성과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기 위해서 대응표본 t 검정과 독립표본 t 검정, 또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지원 욕구를 묻는 개방형 질문은 본 연구자와 보조 연구자들이 응답 범주를 나누어 빈도와 순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연구 참여자는 자녀의 미래 성과의 중요도와 실현가능정도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실현가능정도보다 중요도를 높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는 미래 성과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현가능정도에 대한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가 미래 성과의 실현가능정도를 더 높게 인식했다. 부모의 교육수준에 따른 집단별 미래 성과의 중요도 인식 차이는 있었으나 실현가능정도에 따른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경제수준에 따른 집단별 미래 성과에 대한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의 연령, 장애정도, 통합여부에 따라 미래 성과의 중요도와 실현가능정도에 대한 인식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성별과 형제자매유무에 따른 집단별 미래 성과에 대한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가 미래 성과를 성취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인식했다. (1) 성인기 직업 생활을 위한 진로 및 직업지원, (2) 학령기 교육 기회 확대 및 교육 시설 확충, (3) 성인기에 이용 가능한 교육기관 및 여가생활 등을 위한 지역사회 이용시설 확대 보급, (4) 성년후견인 제도의 도입을 포함한 법령 개선 및 정부의 복지 시스템 정비, (5) 정부의 재정 지원, (6) 그룹홈 시설을 포함한 성인기 주거 시설 확대 보급, (7) 사회 인식 개선, (8) 장애인 가족을 위한 지원.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가 특수교육 현장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의 미래 성과에 대해 불안감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경험할 수 있으며 전문가는 이러한 부모의 갈등과 미래 성과와 관련된 가족의 지원 욕구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미래 성과에 대한 불안감은 가족 내 전반적인 어려움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자녀의 미래 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아동의 미래 성과를 위한 지원이 가족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고, 적극적인 가족 참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전문가는 가족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아동의 교육과 관련하여 가족이 가지고 있는 우선순위에 관심을 가지고, 미래 환경을 고려하여 미래 성과 목표를 설정하는 해야 하며, 교육 서비스의 제공의 전 과정에서 가족의 참여를 존중하고 지속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둘째, 자폐 범주성 장애 학생을 위한 보편적이면서도 개별화된 지원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제공되어야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부모가 가진 자녀의 미래 성과에 대한 인식이 자녀의 장애 특성과 관련되어 있는 만큼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이 가진 개별적인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개발하고 시행해야 한다. 셋째,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성인의 독립적인 삶을 위한 다양한 지원 체계가 개발되어야 한다.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부모는 자녀가 학교를 졸업한 이후, 그리고 부모가 사망한 이후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다양한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부모 및 가족이 제시하는 의견은 자녀의 미래 성과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따라서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의 미래 성과를 위한 지원은 모두 가족과의 협력과 참여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자폐 범주성 장애를 가진 성인의 삶의 질 향상과 만족스러운 독립적인 삶을 위해서 장애인 개인의 태도 변화와 장애인에게 제공되는 직접적인 지원에 앞서 사회 전체적인 복지 시스템의 정비와 사회 인식 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ctation of parents with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bout their future outcomes and their support needs for that.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of 16 items regarding the importance and likelihood of future outcome items based on earlier studies and one open-ended question concerning support needs. 383 parents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s on future outcome in consideration of their and their children's characteristics, paired-samples t-test,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As for the open-ended question about support needs, it was conducted to categorize their replies and find out each category's frequency and rank.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arents who raise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looked at the importance and likelihood of their children's future outcome in a different way. They had a higher opinion on the importance of it than its likelihood. 2. The fathers and mothers who ha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took a significantly different view of the likelihood of future outcome, and the mothers had a higher opinion on the likelihood of future outcome. Their academic credential made no significantly different view of the likelihood of future outcome, but a significantly different view of the importance of it. Their living standard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perception. 3. There were significant gaps among the parents whose children suffered from autism spectrum disorders in awareness of the importance and likelihood of future outcome according to their children's age, degree of disability, and whether to receive inclusive education or not. their children's gender and whether to have brothers and sisters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perception. 4. The parents who raise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ere in want of the following things to ensure the children's future outcome: (1) career education and vocational support, (2)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during the school-aged period and more educational facilities, (3) an increas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adults and local leisure facilities available, (4) an improvement of the law and an arrangement of the government welfare system, (5) financial aid from the government for individual disabled people and their households, (6) an expansion of housing facilities for adults including group homes, (7) a change of people's perception, (8) backing for families with disabled people. The above-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gave the following suggestions about the special education sector: First, family collaboration is mandatory fo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Family involvement in every course of education should be guaranteed, and families with those children should continue to be encouraged to take part in their education. Second, the development and supply of universal and individualized support programs geared toward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re required. As the way of looking at future outcome is linked to the characteristics of disabiliti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should primarily be understood. Third, a variety of support systems should be prepared to help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lead an independent life. Fourth, an arrangement of the welfare system and the right understanding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re necessary to boost the quality of life of adul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 한국 사진 잡지 『사진문화』연구 : 1948년부터 1950년까지

        박혜성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Sajin-Munhwa』was a Korean photography magazine founded in July 1948. It was produced by Yi Kyu-wan of the Chosun Photographic Culture Institute. From July 1948 to June 1950 when the Korean War broke out, it published 12 issues and 6 more issues after the war but ceased publication after 18th issue. In this study I dealt with discourses on photography issued in『Sajin-Munhwa』from 1948 to 1950. In the wake of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Korean society saw vigorous moves toward social and financial independence. Korean photographers of the era also tried to develop a vision for the next generation. 『Sajin-Munhwa』 reflected these efforts and ideas as a whole. Articles in the form of opinion column published in 『Sajin-Munhwa』 clearly showed the contemporary photographers' conception of 'photography'. It was a basis for and a starting point of current Korean discourse on photography. 『Sajin-Munhwa』is worth studying as an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that prefigures trends in modern Korean discourse on photography. For photographers of that time, obtaining photographic materials and equipments was a priority task. Koreans had no supply chain of their own since they had to rely on goods imported by Jap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Articles in 『Sajin-Munhwa』 shows that attempts to create the domestic supply chain for photographic materials such as paper were made right after the liberation. With respect to the question of bringing in foreign photographic culture, Korean photographers showed an attitude that held their own perspective as a subject. People who can read books in English didn't wanted to understand foreign photographic culture through Japan any more but on their own. They tried to accept foreign photographic culture in the context of Korea as well. This stimulated Korean discourses on photography to expend its range and depth. Besides, 『Sajin-Munhwa』 provided a place for photographers to share informations about operating photo studio or club activities and exchange ideas. In the first issue it suggested photography should develop into an industry rather than just becoming a pastime or an artistic activity. This is a valuable reference that gives us a glimpse of what established the current position of photography in the society. Such various views that present social aspects of that time as well as parts of the Korean history of photography are recorded in 『Sajin-Munhwa』. For researchers studying Korean history of photography 『Sajin-Munhwa』is an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 which sheds light on Korean modern visual culture, i.e., the photographic culture. We'll see how Korean photographic culture developed in a particular context of post-liberation era through 『Sajin-Munhwa』. 『사진문화』지는 1948년 7월에 창간된 한국의 사진전문잡지이다. 조선사진문화소의 이규완에 의해 1948년 7월부터 1950년 6월 한국 전쟁이 발발하기 전까지 12권이 발간되었고, 전후 1956년 5월부터 다시 6권이 발간되어 총 18권을 마지막으로 폐간되었다. 1948년부터 1950년까지 발간된 12권의 『사진문화』를 통해 발표되었던 사진 담론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해방 직후의 대한민국에서는 경제적, 사회적 자립을 이루고자 하는 움직임이 전국적으로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었다. 동시대 한국의 사진가들도 역시 한국사진의 다음 세대를 위해 새로운 비전을 세우고자 했다. 『사진문화』에는 당시 사진가들의 그러한 노력과 생각들이 총체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사진문화』에 실린 논단 형태의 글 속에는 ‘사진(photography)’에 대한 당시 한국 사진가들의 생각이 분명하게 드러나 있다. 오늘날 한국사진담론의 근거이자, 본격적인 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사진문화』는 현대 한국사진담론의 흐름을 짐작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로서 연구 가치를 지닌다. 또한 사진가들은 사진을 만들기 위해서 필요한 재료들과 물품들의 공급 문제를 최우선으로 해결하고자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일제 강점기 동안은 일본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수입에 전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한국인들만의 자율적인 공급 노선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해방 직후 곧바로 약품, 인화지 등의 재료들을 국내에서 자체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 움직임들이 구체화되기 시작했음을 『사진문화』에 실린 기사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외국의 사진 문화를 수용하는 문제에서도 당시 한국의 사진가들은 주체로서의 관점을 유지하려는 태도를 보여준다. 영어로 원서를 읽을 수 있었던 사람들은 더 이상 일본을 통하지 않고 직접 외국의 사진 문화를 이해하고자 했던 것이다. 또한 그들의 문화를 한국의 상황에 맞게 수용하려는 시도가 이어진다. 이는 한국사진담론의 범위와 깊이를 좀 더 확장시키는 새로운 자극이 되었다. 그 밖에도 『사진문화』는 전국의 사진가들이 사진관 운영이나 동호회 활동에 대한 정보를 나누고, 사진에 대한 의견 교환의 장을 만들어 주는 정보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사진이 취미활동이나 예술 활동에서 그치지 않고 산업으로서의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는 내용의 창간사는 현재 사진이 차지하고 있는 사회적 위상이 정립되기까지의 시작과 동기를 짐작하게 하는 귀중한 참고 자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사진문화』에는 당시의 사회상과 함께 한국사진사의 단편을 고찰할 수 있는 다양한 관점들이 기록되어 있다. 한국사진사를 연구하는 연구자의 입장에서는 『사진문화』지가 당시 한국의 근대 시각문화, 즉 사진 문화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사료이다. 『사진문화』지가 갖고 있는 사료적 가치를 존중하고 『사진문화』속의 내용을 통해 해방 후라는 특정한 시대상황 속에서 한국의 사진 문화가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미로에서의 공간 체험과 특성에 관한 연구

        박혜성 건국대학교 건축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로와 같은 형상은 어느 문명에나 공통적으로 존재하였으며, 미로는 세상의 질서를 처음으로 추상화시킨 것으로써 미로 속에 담겨 있는 예측 가능함과 동시에 불가능함에 대한 어떤 것을 통해 세계를 묘사한 것이다. 인간과 공간의 관계를 특히 미로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관계성의 개입 여부에 따라 각각 다른 양상을 지닌다. 미로가 건축적으로 표현된 이집트의 분묘, 크레타의 크노소스 궁전, 로마시대의 지하묘지 등에서 나타나는 몹시 다양하고 복잡하게 얽혀 있는 공간 구성은 신비주의를 바탕으로 은밀한 내면적 공간의 형태로 존재해 왔다. 이러한 폐쇄적 물리구조를 가진 미로는 초월적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으로 정의되었기 때문에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고 공간 선택의 자유가 주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공간에 관계성이 개입되고 건축적 장치들 사이의 관계의 법칙에 의해서 미로는 상호 작용이 불가능한 폐쇄된 공간이 아닌 사용자에게 선택권이 부여된 다양한 체험의 공간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은 인간과 공간의 관계는 체험의 문제를 분리하여 논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인식에서 출발하여, 공간 체험적 고찰과 미로의 공간 개념을 살펴보고 이것이 현대 건축공간에서 어떻게 표현되었는지를 체험적 특성과 공간 구성적 특성으로 나누어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19세기 중기부터 꾸준히 발전된 다양한 건축공간론은 건축을 3차원적 확장으로 이해하기 시작했으며, 건축에 있어서 무형적인 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시찬적인 개념을 도입하여 관찰자의 이동에 따른 공간의 체험과 관찰자의 움직임과 동시적 표현이라는 입장을 취하게 되었다. 건축 경험에서의 시간의 개념은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으로 인하여 시간 공간의 연속체 개념을 따르게 되었고, 인간의 몸이 강조되는 신체 중심적 사고가 반영되면서 '체험된 공간'의 개념은 공간을 체험하는 인간의 위치와 자세에 의해서 정해지며 인간과 공간은 떼어놓을 수 없는 관계에 있다. 입체파의 다시점의 표현, 데 스틸의 움직임의 강조, 말레비치의 입체적 구축에 의한 아키텍톤 그리고 리시츠키의 움직임을 유발하는 프라운의 개념은 건축 공간에서 움직임의 변화에 의한 다양성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공간의 체험적 특성은 인지 개념과 관련하여 나타나고 있으며, 공간의 운동성과 연속성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① 인지 개념 : 인간의 체험적 속성을 중시하고 환경과 인간의 경험현상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인지의 개념은 건축적 체험과 건축작품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인자로서 인지와 행태는 건축의 경험에서 불가분의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② 운동성 : '단위 공간의 역동적 구성에 의한 운동감 지각'과 '관찰자의 이동에 의한 운동감 체험'이라는 두 가지로 분류하여 볼 수 있으며, 체험자의 움직임에 따른 연속적 경험은 시간적 의미를 포함하면서 정체된 공간속에 긴장, 다양성, 변화 등의 공간 언어를 통하여 공간을 보다 체험되는 공간으로 형성하고 있다. ③ 연속성 : 다양한 장면을 즐기는 체험적 이동으로서의 픽쳐레스크 개념은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공간 이야기를 만드는 것으로써, 선적 공간 구성은 움직임과 이동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공간적 경험과 감동을 극대화하고자하는 것이다. 그리고 영화에서의 몽타쥬 기법의 건축표현은 단편적이고 비연속적인 요소들을 의미 있게 연결하여 연속적인 인상을 초래하며 인간의 움직임과 시선의 움직임을 다양하게 조작하여 연속적인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미로 공간개념의 전개를 살펴보면 개념별, 사상별, 작가별로 분석해 볼 수 있다. 신비주의적 미로는 직접적 의사소통이 불가능하고 공간선택의 자유가 주어지지 않는 폐쇄적 물리구조로 몹시 다양하고 복잡하게 얽혀있는 공간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관계적 공간으로서의 미로는 몇 가지 건축적 장치들 사이의 관계적 법칙으로부터 다양한 체험이 제공되는 공간구조를 갖는 미로로서 기대감을 유발하고 동선결정의 선택권을 부여하여 다양한 공간감을 제공한다. 자연발생적 미로로서의 도시미로는 도시방어를 위해 자연스런 미궁을 형성하여 복잡한 도시구조를 구축하였다. 피라네지의 미로적 구성은 유클리드적 공간의 파괴와 혼란의 증폭을 중요시하면서 혼란스러운 현실을 대립적인 단편들로 병치시킴으로써 모순을 극대화시키고 '충격 기법'에 의해 새로운 형식화를 시도하였고, 아돌프 로스의 라움플랜에서 보여지는 미로적 공간은 여러 레벨이 공간적으로 연속되고 상호관입하는 볼륨들이 미로처럼 굴절된 좁은 계단과 통로를 구성하여 강한 순환에 의해서 중심이 주위로 분산된다. 네덜란드 구조주의 작가인 알도 반 아이크는 '미로의 명료성' 개념을 원시형태에서 유추하여 일방적 측면만을 지니는 모든 것은 상충된 관계를 지니는 요소의 상호작용으로 대체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고, 피에트 블롬은 카스바라는 공간 구조를 미로에 대한 모델로 차용하여 반정리 기능의 공간으로서의 심리적 치유를 위한 시도를 제시하고 있다. 안도 다다오는 기하학적으로 단순화된 미로와 같은 복잡한 길을 건물내부로 거두어들임으로써 인위와 자연, 움직임과 멈춤, 형태와 공간, 단순성과 복잡성 등의 조화를 통한 세심한 공간 연출에 의하여 시간 속에서 다양하게 변화하는 공간의 체험을 가능하게 한다. 위에서 고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미로의 체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혼잡성과 질서 : 미로의 혼잡한 공간은 무질서하고 복잡해 보이지만, 다양한 생활 행태를 담아내는 용기의 개념으로써 혼잡 상황을 구성하는 수많은 관계적 요소 사이의 상호견제력에 의해 일정한 질서를 내포한다. ② 대립성과 복합성 대립적인 요소는 두 개의 보충적인 측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립적인 것이 서로 배타적이지 않고 모든 것이 상호적인 관련성을 통해 역동적인 조화 안에 통일이 부여되어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③ 임의성과 연속성 : 미로에서의 다양한 경험이라는 문제는 연속 공간이라는 개념과 관계를 맺으며 임의적이면서도 조화로운 구성상태를 지향하고 자연스러운 공간 스토리를 구성하는 체험의 개념이다. ④ 자율성 : 동기유발적 자극은 해석의 다양성을 산출함으로써 선택권을 부여하고 전체는 자체적인 완전함을 가지는 동시에 전체를 형성하는 개별요소는 개인에 의해 자유롭게 해석될 수 있는 자율성을 지녀야 한다. ⑤ 내면성 : 미로는 주변환경에 의해 자신을 가장 적극적으로 개입시킬 수 있는 곳으로써 심리적 배설과 휴식을 위한 반정리 기능의 개념이다. 위와 같은 미로의 체험적 특성은 다음과 같은 공간 구성을 가진다. ① 임의적 구성 : 임의적, 분산적 방향성을 가진 동선 구조와 공간 전체구도의 임의적 분산 배치 등은 다양한 관계적 법칙의 상태로 구성되어 있어서 다양한 장면의 선택에 의한 연속적 체험이 이루어진다. ② 복합 공간적 구성 : 기하학적 배치수법, 사선 격자의 구심적 확산구도와 각도를 달리한 실내구성요소들의 집합 등의 새로운 미로적 질서를 나타낸다. ③ 분절과 집합적 구성 : 단위 유니트의 수직, 수평으로 연속된 집합과 임의적으로 쌓아올린 조합, 기능의 분할과 결합의 복합적 형태 등은 연속구조물에서 융통성을 지니며, 부분의 명료성을 강조한다. ④ 갈래길과 골목길 구성 단순한 추상적 분위기의 두 세 갈래길, 지그재그식 동선구조, 기하학적으로 단순화된 미로의 내부 수용과 도시 구성요소의 소형화 등은 선택을 유인하며 단순한 공간 분위기를 형성하여 추측이 가능해지는 공간의 체험 효과를 배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