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농인 부모의 양육행동 관련 요인 탐색 : 순차적 탐구 혼합연구 방법의 적용

        박혜경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A family comprised of deaf parents and hearing children experiences communication difficulties because the parents use a sign language as their everyday language while the children use a vocal language. deaf parents also have anxiety and stress that they are unable to properly provide the necessary education and information for their children’s development due to their disabilities. To effectively support the parenting of these deaf parents,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parenting,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children’s various developmental areas, and explored and verified factors related to deaf parents’parenting using Sequential Design Mixed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method is appropriate when a lesser-known research topic is researched, when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a relevant group(Creswell, 2017), or when a theory derived from qualitative research is generalized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Morgan, 1998). First, as qualitative research, two focus group interviews (FGIs) (one for fathers and one for mothers) an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an in-depth exploration of deaf parents’ parenting experiences with hearing children. Based on this, factors related to deaf parents’ parenting toward hearing children were derived, and a research model was organized to perform quantitative research. The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a survey on 92 parents via a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center, and the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FGI results consisted of three topics, seven categories, 16 subcategories, and 46 concepts. The first topic 'Life as a parent in which despair and growth coexist' comprised the categories of 'The thorny path called deaf parents' and 'Growing up as a parent beyond disability.' The second topic 'Struggles to become a good parent' comprised the categories of 'Raising children with my beliefs and strengths', 'My family that has turned from a bridle to a fence', and 'Actively interacting with society.' The third topic ‘Necessary support to become a good parent’ consisted of ‘Support for children’ and ‘Support for parent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deaf identify', 'family-of-origin health’, 'common dyadic coping’, and 'social support' were derived as factors related to deaf parents’ parenting. The results of organizing and analyzing the research model based on these factors are as follows: No sociodemographic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behavior of warmth and acceptance and the behavior of permissiveness and nonintervention, and the behavior of rejection and restriction was more prevalent among deaf parents in their 30s than those in their 50s. Higher levels of family-of-origin health, bicultural identity of deaf identity, which constitutes respecting the cultures of deaf and hearing people and having a balanced view on hearing impairment, and common dyadic coping resulted in a corresponding higher level of the behavior of warmth and acceptance. In the case of mothers, those who set a lower value on the world of hearing people under the factor of deaf identity and had a higher immersion identity of emphasizing deafness as a cultural difference exhibited more frequent behaviors of permissiveness and nonintervention. In addition, those who had lower family-of-origin health or were younger showed more frequent behaviors of rejection and restriction.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study is significant for deriving and verifying factors related to parenting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deaf parents with an exploratory Sequential design mixed research method, thereby confirming theories related deaf parents’ parenting. It also confirmed that Belsky’s process model of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Belsky, 1984), which explained deaf parents’parenting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Bronfenbrenner, 1979) or a lifespan perspective, is applicable as a theory of deaf parents’parenting, and thu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mprehensive support to strengthen deaf parents’ parenting. Second, it is needed to prepare an effective delivery system through cooperation between government ministries to support deaf parents’ parenting of hearing children, and to develop experts and strengthen their competency at universities and in the scene of parenting to support both deaf parents and hearing children. Third, to promote deaf parents’ positive parenting, it is recommended to support their positive development of deaf identity, counselling aimed at supporting their family-of-origin health, education for couples to improve their common dyadic coping, and education programs for parents to understand their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as well as to expand parenting support services and provide support for case manage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verifying the theories of parenting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deaf parents through an exploratory sequential mixed research method, and based on the results, presenting support measures for deaf parents’ parenting. However,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It was limited to deaf parents in scope, and thus did not include child-related variables that could affect parenting, and it also did not examine the comprehensive effects of deaf parents’ parenting on their children's development. Future studies including child-related variables are likely to organize theories related to deaf parents’ parenting more concretely, thereby helping find comprehensive measures to support deaf parents’ parenting. 농인 부모들과 청인 자녀로 구성된 가족의 경우 농인 부모는 일상어를 수어로, 청인 자녀는 음성 언어를 사용하므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경험한다. 또한 농인 부모들은 장애로 인해 자녀 발달에 필요한 교육 및 정보를 적절히 지원하지 못한다는 불안감과 스트레스를 갖고 있다. 이러한 농인 부모의 자녀 양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다양한 발달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인 양육행동에 주목하고, 순차적 탐구 혼합연구 방법을 통해 농인 부모의 양육행동 관련 요인을 탐색하고 검증하였다. 순차적 탐구 혼합연구 방법은 잘 알려지지 않은 연구 주제를 연구할 때, 해당집단에 대한 연구가 적을 때(Creswell, 2017), 질적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이론을 양적 연구를 통해 일반화할 때 적합한 연구 방법이다(Morgan, 1998). 먼저 질적연구로 2회의 초점집단 인터뷰 FGI(부 1회, 모 1회) 및 개별면담을 진행하여 농인 부모의 청인 자녀 양육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토대로 농인 부모의 청인 자녀 양육행동 관련 요인들을 도출하였으며,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양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양적연구는 수어통역센터를 통해 농인 부모 92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차이 검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점집단 인터뷰(FGI) 결과는 3개의 주제, 7개의 범주, 16개의 하위범주, 46개의 개념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주제인‘절망과 성장이 공존하는 부모로서의 삶’은‘농인 부모라는 가시밭길’,‘장애를 넘어 부모로서 성장하기’로 나타났으며, 두 번째 주제인‘좋은 부모가 되기 위한 고군분투’는‘나의 신념과 강점으로 자녀 양육하기’,‘굴레에서 울타리가 된 나의 가족’,‘사회와 적극적으로 교류하기’의 범주로 구성되었다. 세 번째 주제인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 필요한 지원은 ‘자녀 지원’과 ‘부모 지원’의 범주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농인 부모의 자녀 양육행동 관련 요인으로‘농정체성’,‘원가족 건강성’,‘협력적 부부 대처’,‘사회적 지지’를 도출하였고, 이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온정·수용 양육행동과 허용·방임 양육행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거부·제재 양육행동은 30대의 농인 부모가 50대의 농인 부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원가족 건강성, 농정체성 중 농인 문화와 청인 문화를 존중하고 청각장애에 대해 균형적인 시각을 갖는 이중문화 정체성, 협력적 부부 대처가 높을수록 온정·수용 양육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경우, 농정체성 중 청인 세계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며 농을 문화적인 차이로 강조하는 몰입정체성이 높을수록 허용·방임 양육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가족 건강성이 낮을수록 부모의 나이가 어릴수록 거부·제재 양육행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순차적 탐구 혼합연구 방법을 통해 농인 부모 특성에 맞는 양육행동 관련 요인을 도출하고, 검증함으로써 농인 부모 양육행동 관련 이론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생태학적 관점(Bronfenbrenner, 1979)과 전생애적 관점으로 설명한 Belsky(1984)의 양육행동 결정요인 과정 모델이 농인 부모의 양육행동 이론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를 통해 농인 부모의 양육행동 강화를 위한 통합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농인 부모의 청인 자녀 양육 지원을 위해 정부 부처 간 협력을 통한 효과적인 전달체계 마련, 대학과 실천 현장에서 농인 부모 및 청인 자녀 지원을 위한 전문가 양성 및 전문가 역량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농인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행동 지원을 위해 농인 부모의 긍정적인 농정체성 발달지원, 농인 부모의 원가족 건강성 지원을 위한 상담, 부부 협력 대처 향상을 위한 부부교육, 자녀의 발달 단계 이해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자녀 양육지원 서비스 확충 및 사례관리 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순차적 탐구 혼합연구 방법을 통해 농인 부모의 특성에 맞는 양육행동 이론을 검증하고, 이를 근거로 농인 부모의 양육행동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하지만 농인 부모만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짐으로써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녀 관련 변인을 포괄하지 못하였으며, 농인 부모의 양육행동이 자녀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지 못한 한계가 있다. 추후 자녀 관련 변인들을 포함한 연구들이 이루어진다면 농인 부모의 양육행동 관련 이론이 보다 체계화되고, 이를 통해 농인 부모의 자녀 양육 지원을 위한 통합적인 방안들이 모색될 수 있을 것이다.

      • 전남 농촌융복합산업 식품기업의 스마트 HACCP 도입 확산 방안 연구

        박혜경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전남 농촌융복합산업 식품기업의 스마트 HACCP 도입 확산 방안 모색에 초점을 두고 있다. ICT 기반의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식품산업과 ICT 융합이 시작되고 있으며, 스마트공장 형태의 새로운 식품생산시설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효과적인 식품 안전 관리 및 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전남지역 농촌융복합산업 식품기업의 스마트 HACCP 도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농촌융복합산업 식품기업의 스마트 HACCP 도입 확산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논문의 2장에는 농촌융복합산업 정의와 농촌융복합산업 식품기업 현황, 전남 농촌융복합산업 식품기업의 스마트 HACCP 도입 현황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전남 농촌융복합산업 식품기업 중 스마트 HACCP 도입기업 3개소, 스마트 HACCP 미도입기업 77개소를 대상으로 한 스마트 HACCP에 관한 인식조사 결과와 스마트 HACCP 도입 시 문제점을 제시하고, 4장에는 스마트 HACCP 도입 확산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 농촌융복합산업 식품기업 중 스마트 HACCP을 도입한 기업은 3개소로 타 시도에 대비해 도입률이 가장 높 았다. 스마트 HACCP 도입 이유는 비효율적 문서관리, 실시간 모니터링 및 기록 어려움 등으로 조사되었고, 응답 기업은 스마트 HACCP 도입 이후 이러한 문제점이 상당 부분 해결되었다고 응답했다. 스마트 HACCP 도입 및 이용 단계의 개선사항으로 설비 보조금 확대, 공급기업과의 지속적인 연계를 통한 사후관리 및 스마트 HACCP 설비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유지보수 등이 제시되었다. 둘째, 설문조사에 응답한 스마트 HACCP 미도입기업 중 10인 이하 업체가 61개소(79.2%), 그 중 5인 이하 업체가 42개소(65.6%)로 기업 규모가 영세하였다. 영세한 규모와 높은 도입 비용에도 응답 기업의 51개소(66.2%)가 향후 1~5년 이내 스마트 HACCP을 도입할 의향이 있다고 답한 점을 고려할 때 스마트 HACCP 도입 확산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 수립이 중요하다. 셋째, 농촌융복합산업 식품기업의 스마트 HACCP 도입 확산을 위해서는 HACCP 운영의 어려움을 스마트 HACCP 도입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인식전환과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식품기업에 특화된 전문적인 공급기업 육성으로 도입단계에서부터 시행착오를 줄이고 도입기업에 적합한 스마트 HACCP 적용이 필요하다. 정책지원에 있어서 식품에 특화된 업종별 특화(식품업종)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을 확대하여 식품기업의 지원 사업 참여 기회를 늘리고, 자부담금의 부담을 낮추도록 장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조사 결과는 농촌융복합산업 식품기업의 스마트 HACCP 도입 확산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본 연구에서 제안된 스마트 HACCP 도입 확산 방안은 농촌융복합산업 식품기업을 비롯한 소규모 HACCP 적용기업의 스마트 HACCP 도입 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This research focuses on finding ways to spread the Smart HACCP of food companies in the Rural Convergence Industry in Jeollanam-do. As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ICT comes, the convergence of ICT with the food industry is starting, and new food production facilities in the form of smart factories are attracting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mart HACCP introduction of Rural Convergence Industry of food companies in Jeollanam-do to effectively manage food safety and enhance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to suggest ways to spread Smart HACCP introduction. Chapter 2 of this study contains the definition of the Rural Convergence Industry, the current status of food companies in the Rural Convergence Industry and Smart HACCP introduction of food companies in Jeollanam-do. Chapter 3 presents the results of an awareness survey and pain-points of Smart HACCP with 3 HACCP-introduced, and 77 HACCP-free companies among Jeollanam-do Rural Convergence Industry. At last chapter 4 contains a measurement to spread Smart HACCP introduction.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food companies in the Rural Convergence Industry in Jeollanam-do, three companies introduced Smart HACCP, which had the highest introduction rate compared to other cities. Reasons for introducing Smart HACCP were due to inefficient document management, difficulty in real-time monitoring and recording, and the companies responded that these problems were much resolved after the introduction of Smart HACCP. Improvements to the Smart HACCP introduction and utilization stage, expansion of facility subsidies, follow-up management through continuous linkage with suppliers, and continuous training and maintenance of Smart HACCP facilities were suggested. Secondly, among the Smart HACCP-free companies that responded to the survey, 61 (79.2%) had less than 10 employees, and 42 (65.6%) had less than 5 employees, which was small in size. Considering that 51 (66.2%) of respondents said they were willing to introduce Smart HACCP within the next one to five years despite its small size and high introduction cost,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practical measures to spread Smart HACCP adoption. Third, in order to spread the introduction of Smart HACCP by food companies in Rural Convergence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change awareness and support policy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HACCP opera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Smart HACCP. By fostering professional suppliers specialized in food companies, it is necessary to reduce trial and error from the introduction stage and apply Smart HACCP suitable for introduction companies. In policy suppor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upport project for the construction of specialized smart factories by industry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food companies to participate in the support project and encourage them to lower the burde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for the spread of Smart HACCP introduction by food companies in Rural Convergence Industry, and the Smart HACCP introduction spread plan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establish Smart HACCP introduction strategies for small HACCP companies.

      • 선택진료비 제도 개편 이후 입원 수술환자 본인부담금 변화에 대한 연구

        박혜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선택진료비 제도 개편 이후 입원 수술환자 본인부담금 변화에 대한 연구 <박혜경>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정책 및 병원관리학과> (지도교수: <안 형 식, Degree.>) 목적 : 본 연구는 건강보험, 의료급여 입원수술환자 선택진료비 제도 개편 전후의 입원 수술 환자 본인부담금 변화에 대한 연구로서 보건정책에 따른 본인부담금 세부사항의 변화를 암 환자, 기타 환자, 전체 환자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계산되는 진료비 항목별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한 의미 있는 변인을 파악하여 우리나라 보건정책의 실효성을 파악하고 보다 환자 본인부담금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정책 마련의 기틀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한 자료처리는 ANOVA 분산분석(사후분석 : Tukey)과 기술통계, 카이제곱 검정을 위해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성별에 따른 인원을 비교 (기술통계 - 카이제곱 검정) 둘째, 암 환자 연도별 본인부담금 세부사항별 진료비 구성 비교 (분산분석–사후분석 : Tukey) 셋째, 기타 환자 연도별 본인부담금 세부사항별 진료비 구성 비교 (분산분석–사후분석 : Tukey) 넷째, 전체 환자 연도별 본인부담금 세부사항별 진료비 구성 비교 (분산분석–사후분석 : Tukey) 다섯째, 연도별 항목별 본인부담금 세부사항별 진료비 구성 비교 (분산분석–사후분석 : Tukey) 결과 : 본 연구 결과를 선택진료 제도개편 전후로 살펴보면, 첫째, 암 환자 급여본인부담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선택진료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선택진료비 이외 비급여는 2014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총 환자본인부담금은 2014년에 비해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기타 환자 급여본인부담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선택진료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선택진료비 이외 비급여는 2014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총 환자본인부담금은 2014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전체 환자 급여본인부담금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선택진료비는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선택진료비 이외 비급여는 2014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총 환자본인부담금은 2014년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진찰료, 입원료, 마취료, 수술료 항목에서 급여본인부담금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검사료와 CT/ MRI/초음파 항목은 선택진료비 이외 비급여 부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마취료, 수술료, 검사료, 영상진단, CT/ MRI/초음파 항목에서 총 환자본인부담금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입원료, 마취료, 수술료, 처치료, 검사료, 영상진단, CT/MRI/초음파 항목은 선택진료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진찰료 항목은 총 환자본인부담금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 본인부담금 세부사항별 암 환자, 기타환자, 항목별 연도별 비교의 종합적인 결과로 비추어 볼 때, 급여 환자본인부담금과 공단부담금은 증가되었다. 선택진료비 이외 비급여 금액은 다소 감소하였다. 선택진료비 감소비용의 폭이 커서, 결론적으로 총 환자본인부담금은 다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고 항목별로 볼 때 마취료, 수술료, 검사료, 영상부분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정부의 2014년~2015년 선택진료비 제도 개편 정책은 암 환자와 기타 환자에서 선택진료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암환자의 총 환자본인부담금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따라서 정부의 정책은 어느 정도 실효성이 있었다고 보여 진다.

      • 李賀 詩의 悲劇的 幻想世界 硏究

        박혜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Li He(790~816) is a poem known to be a genius who passed away at an early age. The major reason his work has left big foot mark on cultural history and even inspires modern age readers could be his poetry world which is filled with fantasy and sorrow. He combined a real world reflected in inner nature with the beauty of sorrow arouse from it and created a unique poetry world which had never seen. The study tried to figure out the factors that influenced creation of Li He’s tragic but fantastic poetry world and also features of content and structure as well as of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underlying in his works. Therefore, in the second chapter, Li He’s literary works employing surrealistic and fantastical factors are named as “eccentric and fantastic poem” and classified as spirit, god and Sun (a term used to express a being which is in between a human and god) to analyze meaning and contents beyond actual writings. In the third chapter, structural and sense of beauty hidden in the tragic fantasy are discussed. First, the poet used a structure of dream. Second, the world of death was connected the real world and they were composed to allow the interconnection of space time for the real world and fantasy. Third, time period for characters was not clear set to make them as beings with unearthly characters. Forth, the image of god is added on beauty of nature. With such effort, the world was recreated as the world which can be seen as fantasy. There are three features of esthetical composition for his poetry world. First, the eccentric fantasy poem was built upon the real world that was artistically formularized with grotesque expressing way and ironical language of the romantic poet. Even though the grotesque expression was developed with pessimistic point of view that problems in the real world could not be settled, such problems were tried to be resolved by fierce conflict with comical elements in his works. Through this way, reader could empathize with such realistic problems and feel refreshing esthetical pleasure at the same time. Second, since his works use intuitively image and ironical expression, readers need to savor his works with reasonable point of view as well as aesthetical intuition. Apparently his poetry talks about the supernatural beauty of sinsun (a term used to express a being which is in between a human and god), pessimistic and critical view towards reality is hidden underneath it. Third, his fantasy is the world recreated with pure aesthetical principle and it shows everything about Li he including his inner nature and idealistic image. Also, it directly reveals his inner world. We are allowed to see his aesthetical capability and taste, and his goal from “eccentric and fantastic poem”. For such reason, he was trying to rebuild beautiful artistic world by expressing inner standard of beauty externally and he also created sensual image and added the components of myth and shamanism to make his poetry world to have literary vitality and charm. In the fourth chapter, the major reason for establishing the world was determined as the poet’s concept of time and the concept of time implicit in the poetry was analyzed. In his works, eternal life time of nature is repeatedly compared with lifetime of a human being finite. In order to adopt and overcome such limitation for time, he tried to confront with restriction on time Based on rational sense for time and sometimes he even stop or even punish time which had been actualized. In the fifth chapter, the features of space in which the tragic points of view towards the world reflected were studied. Jangan is one of the most flourished cities and full of opportunities. In his works, the city is expressed as the space isolating the poet. His sorrow, who could not find any hope in the city made him to express Jangan as the neglected space. On the other hand, the space in Changok is described as the place where maternal instinct exists and he is bound to go back. In the sixth chapter, symbols of tragic ego and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ersona were studied. He used a horse and woman as his persona. A horse was the most noticeable object since it was a major cultural and economical asset. He expressed his grief by telling a story that a horse was born with capabilities to be an excellent steed but failed to meet a master. Also he described the beauty of women of upper class and the court ladies to show his affection and nature for beauty. However, he alluded his circumstance that there was no one acknowledge his talent by drawing the woman lost her lover. The tragic but fantastical world in his works is one way of expressing self-awareness reflected in his inner side and how he viewed the world. In positive aspect, the fantasy reveals pure beauty of the word and the poet’s ideal. And in negative aspect, it shows contradiction and irrationality of the world. The ideal which was described as the fantasy was inevitably to have tragic overtones since the reality was different from ideal and there would be no solution for the irrationality. Such tragic view influenced ego and space time of Li he’s poetry world. Also, a tragic view of world, abstract concept, and fantasy, fictitious world, were came together to be recreated as the more realistic and sensual world than actual world by the poet’s poetry imagination and gift and his works are still beloved by readers. Key words : fantasy, tragic view, eccentric and fantastic poem, time, space, persona 李賀(790-816)는 27세의 나이로 요절한 鬼才라고 불리는 唐나라 시인이다. 이하의 시 세계가 문학사의 족적을 남기고 현대의 독자들마저 사로잡는 이유는 그의 시에 짙게 깔린 悲哀美와 幻想的인 시 세계에 있다. 이하는 내면에 투영된 현실세계와 이로써 촉발된 비애의 서정을 환상적 요소와 결합하여 종전에 없던 참신한 시의 세계를 창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하의 悲劇的 幻想世界의 형성 원인과 내용적 ‧ 형식적 특징, 이면에 존재하는 사상적 ‧ 심리적 특징들을 살펴봄으로써 이하의 시 세계의 본질을 탐구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超現實的인 幻想의 요소들을 작품 속에 적극 끌어 들인 이하의 작품들을 奇幻詩로 명명하고 이를 鬼 ‧ 神 ‧ 仙 으로 분류하여 그 내용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비극적 환상세계의 형식적 특징과 미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시인은 첫째, 꿈의 구조를 빌렸으며 둘째 죽음의 세계를 현실의 세계와 연접시켜 현실의 시공간과 환상의 시공간이 서로 침투하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시 속에 등장하는 존재들의 時間性을 흐려 鬼氣 어린 존재로 변모시키고 넷째, 자연의 미에 神의 이미지를 덧씌웠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초현실적인 환상세계를 감각될 수 있는 세계로 재창조하였다. 이하의 비극적 환상 세계의 미적 구조의 특징은 세 가지로 수렴된다. 첫째, 奇幻詩는 낭만적 시인이 그로테스크(Grotesque)한 방식과 아이러니한 어법으로 현실세계를 예술적으로 형식화 한 것이다. 그로테스크한 형식은 현실의 문제들이 해결 불능의 것이라는 비관적인 인식을 가진 것이지만 이것을 희극적인 요소와 섬뜩한 요소를 대립시킴으로써 이를 해소하고자하는 것이다. 둘째, 奇幻詩의 세계는 직관적 이미지와 아이러니한 어법으로 그려진다. 시는 正面에서는 神仙이 가진 超人的인 美를 노래하고 있지만 反面에는 현실에 대한 비관적 ‧ 비판적인 인식이 내포되어 있다. 셋째, 시의 환상세계는 순수한 미학적 원칙에 의해 재창조된 세계로서 이하 정서와 관념이 투영된 意象(image)의 총체이며 ‘內在 世界의 直接形式(직접형식)’이다. 奇幻詩에는 이하의 미적 소질과 취향, 그리고 지향이 모두 담겨있다. 4장에서는 비극적 환상세계가 창조된 주된 원인을 시인의 時間意識으로 보고 작품 속에 내재된 시간의식을 살펴보았다. 이하의 작품 속에는 영원한 자연의 시간과 제한적인 인간의 생명이 반복적으로 대조된다. 시인은 이를 수용하고 극복하는 방식으로 시간에 대한 이성적 인식을 바탕으로 현재 속에서 시간의 제한을 초월하려 노력하였으며 때로는 상상적으로 시간을 구체화시켜 이를 저지하거나 처단하는 형식으로 그 비애감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5장에서는 이하의 비극적인 세계인식이 외재적 형태로 나타난 공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하의 시는 주로 長安과 昌谷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장안은 번화한 도시로서 기회의 공간이지만 이하의 작품에서 이 영화로운 도시는 오히려 시인을 소외시키는 공간으로 나타난다. 반면 창곡의 공간은 母性이 보존된 이상적인 공간으로서 시인에게 회귀해야할 공간으로 그려진다. 6장에서는 작품 속 시인의 비극적 자아를 상징하는 말과 여성 퍼소나(Persona)의 유형과 성격을 살펴보았다. 시인은 말을 통해 名馬로서의 자질을 타고 났음에도 불구하고 주인을 만나지 못한 비애를 대신하였다. 또 唐代 상류층의 여성이나 宮女 ‧ 妓女들로 시인이 가지고 있는 미에 대한 지향과 본질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한편 이 여인들을 임을 상실한 여성으로 그림으로써 知己를 얻지 못한 자신의 처지를 빗대었다. 이하의 작품 속 비극적인 환상세계는 시인의 내면에 투영된 자아의식과 세계에 대한 인식의 표현이다. 환상세계는 긍정적인 차원에서 세계의 순수한 아름다움과 시인 내면의 이상을 반영하며 부정적인 차원에서 현실 세계의 모순과 부조리를 반영한다. 환상세계로 표현된 이상은 현실의 세계가 이상과 멀어졌다는 차원에서 비극적 색채를 지니며 부조리는 이것이 현실적으로 해결방법을 찾을 수 없는 해결불가능의 것이라는 점에서 모두 비극적 색채를 지닐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비극적인 인식은 이하 시 세계의 시공간과 자아에 모두 투영되어 나타난다. 아울러 비극적인 세계관이라는 추상적 관념과 환상이라는 허구의 세계는 시인의 시적 상상력과 재능을 통해 현실보다 더 생생하게 감각되는 세계로 재탄생되었다.

      • 산재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혜경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산재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산재장애인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수행하게 된 것은 산재장애인의 발생률이 높고 다른 장애인과는 달리 산업재해보상보험이라는 제도적 장치를 통해 소득결손의 보장이 이뤄지며 재활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유리하다는 제도상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재장애인의 생활만족도를 위한 근거제공과 개입방안 노력들이 나아가서는 일반 장애인에게까지 확대․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로 “산재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하여 문헌고찰과 ‘2008년 장애인 실태조사’ 자료 2차 분석을 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종속변수는 생활만족도이며 독립변수로는 인구학적 요인, 장애관련 요인, 인적자본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이다. 구체적인 하위 변수는 인구학적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월가구 소득을, 장애관련 요인으로는 장애등급, 장애경과년수, 장애인보조기구사용 여부를, 인적자본 요인으로는 학력, 직업훈련유무를, 사회·환경적 요인으로는 일상생활필요정도, 일상생활도움여부, 집구조의 생활편리정도, 주택개조 여부 등을 설정하였다. 연구 검증을 위해서 SPSS for Window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상관관계분석(pearson 적률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대상자는 ‘2008 장애인실태조사’(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에서 장애원인이 산업재해로 산업재해보상보험법에 따라 산재인정을 받은 재가 산재장애인 197명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서 산재장애인의 생활만족도 관련 변수들의 영향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요인의 변수인 월가구 소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산재 후 줄어든 소득, 자신의 변화된 노동능력상실과 취업의 어려움, 개인의 의료비 지출, 빈곤화 현상 등 과거와 다른 자신의 상황 및 미래의 불안감에 대한 인식은 가계소득에 더욱 민감해질 수밖에 없으며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둘째, 장애관련 요인의 장애등급과 장애경과년수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장애등급이 높을수록 낮은 생활만족도를 느끼게 되는 것은 과거 비장애인이었던 자신의 모습과의 비교를 통해 현재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있어 불편감을 더하기 때문이다. 또한 산재근로자 발생의 대부분 제조업과 건설업과 같은 업종으로 신체기능을 많이 사용하는 단순기능직에 종사했던 근로자로서 신체기능의 손상이 심각할수록 원직장 복귀에 대한 기대감과 가능성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러한 신체기능의 손상과 심각성에 대한 산재장애인의 판단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게 된다. 셋째, 사회․환경적 요인의 주거환경변수 가운데 집구조에 대한 편리정도가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재장애인은 장애 후, 일상생활수행능력의 불편함에 대한 인식과 장애 이전 주택생활에서 느꼈던 편리함과의 비교를 통해 생활만족도를 판단하게 된다. 장애 이전 주택생활에서 느꼈던 주택구조의 편리를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주거환경의 개선은 산재장애인의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산재장애인의 생활만족도 증대를 위한 함의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재장애인의 가구소득 보존을 위한 직업재활 활성화 노력이 필요하다. 산재장애인에게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직장생활 복귀와 소득보장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직업재활 사업비를 대폭 상향조정하고 노동시장의 트랜드에 적합한 직업재활 서비스에 관한 연구와 산재장애인의 직업재활서비스 의무화 등 서비스 활성화에 주력해야 한다. 둘째, 산재장애인의 생활만족도를 상향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사회․심리재활 서비스(사회재활프로그램 등)가 활성화되기 위한 사회심리재활 급여에 대한 제도적 장치도 함께 보완되어야 한다. 셋째, 재활공학서비스를 활성화 시켜 근로복지공단 산하 재활공학연구소의 주거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사업 확장이 요구된다. 또한 산재장애인의 장애등급,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른 주거환경개선의 제도적 장치마련과 그에 따른 주택내부 개조 비용 등을 적극 지원하는 서비스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산재장애인, 생활만족도, 소득보장, 사회·심리재활

      • 도시 속 환경조각을 활용한 도시환경미술교육 방안 연구

        박혜경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onvivial urban cultural environment enables people in the city to lead a happy and comfortable life, by preserving the original form of nature and its beauty, and combining the functions of architectural environment created by man with the aesthetic elements of environment design. The scopes of ornamental artworks inclining toward public arts range form sculptures to the whole fields of fine art, and are adopting some concepts form environment design. Any building object has its own roles as a complete structure in the city landscape. We may realize an aesthetic sense through various forms of artistic objects in the city such like signboards, overpasses, pedestrian roads, street lights, benches and road sign etc. A well-organized architectural environment helps people relieve their emotional disorder and psychological uneasiness, and eventually enhances the quality of city life with its visual and spiritual beauty. Human being would recognize information by his eyes. A man would see any image based on his experience. So,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to be systematically trained form their childhood in order to have a correct view regarding the given environment. This study is launched from the object to awake our consciousness for the active behavior from the passive attitude regarding the given environment. After thinking an urban environment and studying the method to improve our environment, for a good education of the beauty and considering the public in preference to the private, I have led this study as followings; First, the method by experiencing the beauty I have carried on the lesson in which students would contact the public art near their school with their teacher, and the homework which students think their opinions and make reports regarding any public works of art acknowledged by their research through any reference after they looked around and took photographs. The discussion lesson has made a student understand that he has different idea from others and this understanding has made students recognize the general concept of the beauty and take an ability to criticize the public art. Second, the method by expressing Based on the activities of appreciation and experience with the subjects as like "decorating the beautiful park" the modeling has let a student acquire the real concept of space and the active and positive sense of the beauty and the modeling. Third, the method by appreciating The appreciation of reference has let a student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public works of art and an urban environment and consider a value and a condition of the public works of arts and a proper figure of an urban environment through the discussion lesson. Other student's idea and representing ways on a city and an environment were shared regarding not only the portfolio about the process of work but also the art exhibition. The lessons as mentioned above were proceeded to critically estimate the public arts and an urban environment and to think a proper shape of city and the direction of the public art. It would take a long time for an urban environment to be changed and it is not easy for the fixed shape of city to be modified. And it is not proper that all shapes of city are managed by the experts and that any stories of inhabitants cannot be incorporated in city. It is the aim of the art lesson and one of the proper investments that students are grown as future leaders with abilities in order to carry into practice with a critical and unbiased view on the future public art and an urban environment. 쾌활한 도시문화환경은 자연의 원형을 가급적 보존하면서 그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인간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인공조형물들의 기능과 환경디자인의 측면을 겸비한 세심한 배려를 함으로써 도시에서 살고 있는 사람에게 참으로 행복한 삶을 누리게 할 수 있다. 공공예술을 지향하는 미술장식품 제도는 조각에만 국한한 것이 아니라 미술의 전 분야이며 환경디자인의 요소까지 확산하고 있다. 건축물 자체도 하나의 완결된 조형물로서의 역할을 하고 거리의 간판이나 구조물인 다리, 육교, 보도, 가로등, 의자, 표지 및 게시판 등도 조형적 요소로서 시민들에게 미의식을 제공해 준다. 환경조형물은 도시민들의 정서적, 심리적 불안을 불식시키고 도시환경을 시각적인 아름다움으로 더욱 향상시키며, 그 정신적 차원을 높여줌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인간은 정보의 대부분을 시각을 통해 받아들이며 어떤 이미지를 볼 때 대부분은 자신이 경험한 것을 토대로 본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어릴 때부터 주어지는 환경에 대해 올바른 시각으로 바라보고 환경을 환경답게 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주어지는 환경을 그저 살아야하는 운명적 조건으로 받아들이는 수동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자신이 환경을 친 자연적이고 친 인간적인 것으로 개선하고 가꿀 수도 있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고 바라볼 수 있도록 의식을 깨우는 것에서부터 출발했다. 학생들이 도시 환경에 대해 생각하고 자신이 살고 있는 환경을 개선해 볼 방법을 연구해 보고, 환경미술과 함께 도시의 미래를 생각해보는 수업을 통해 올바른 미적 교육과 나보다는 남을 생각하고 개인보다는 공공을 먼저 생각하도록 하고자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첫째, 미적체험활동을 통한 미술교육 방안이다. 학교주변 공공장소인 공원을 교사와 함께 견학하는 수업의 형태와 공원에서 직접 체험한 것을 사진으로 찍고, 공원의 지도를 그려봄으로써 도시환경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진행하였다. 토론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미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다른 사람들의 생각을 알게 되고 이를 통해 일반적인 미의 개념을 인식하게 되며, 환경미술에 대한 비평적 시각을 키울 수 있도록 했다. 둘째, 표현활동을 통한 미술교육 방안이다. ‘아름다운 공원 만들기’와 같은 주제를 가지고 학생들이 감상활동과 체험활동을 통해 생각해 두었던 것들을 바탕으로 조형물 모형을 제작해 봄으로써 현실적인 공간개념을 키우고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미의식과 조형감각을 키울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감상활동을 통한 미술교육 방안이다. 참고자료 감상활동을 통해서 학생들이 환경조각과 도시환경에 대해 개념을 알아보고 사진자료나 토론 수업을 통하여 환경조각의 가치와 조건, 도시환경의 바람직한 모습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였다. 작품 진행과정을 담은 포트폴리오와 자기작품평가서를 통해 도시와 환경에 대한 서로의 생각이나 표현방법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전개한 수업은 학생들이 환경조각과 도시환경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비판적 시각으로 보며 올바른 도시의 모습과 도시속의 환경조각이 추구해야 할 방향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도시의 환경이 변화 하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리고 한번 이루어진 도시의 모습이 변화를 한다는 것은 쉽지가 않다. 그리고 도시의 건설과 환경조성을 전문가에게 맡기고 정작 도시의 삶을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을 수 없다면 그것은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미래의 바람직한 도시환경에 대해 비판적인 안목과 바른 시각을 가지고 실천에 옮길 수 있도록 장래에 주역이 될 학생들에게 환경조각을 통해 도시환경을 이해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주는 것이 미술교육의 몫이며 미래를 위해 바람직한 투자가 될 것이다.

      • 중년남성이 지각한 자기의식과 성역할 스트레스가 중년의위기에 미치는 영향

        박혜경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40세-60세의 남성 4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 사회의 중추적 입장에 서있는 중년 남성들이 겪는 중년의 위기감을 이해하는데 자신이 지각한 자기의식과 전통적인 성역할을 습득한 중년남성의 성역할 스트레스가 중년의 위기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 두 가지들은 각각 어떻게 중년의 위기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생의 전환기인 중년기에 맞이하는 위기감을 슬기롭게 극복하지 못하면 올 수 있는 도박, 알콜 중독, 약물 중독, 외도 등의 중년의 일탈행위 등을 예방하여 우리시대의 중추적 리더인 중년 남성이 건강하게 중년기를 보내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과 필요성에 의해 연구 문제로 자신이 지각한 자기의식의 하위변인에 따라 중년의 위기감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성역할 스트레스가 중년의 위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중년의 위기감에 대한 자기의식과 성역할 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전라남도 도청에 근무하는 40세-60세 사이의 직업군이 공무원인 중년남성 400명을 대상으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에 관한 질문지, 자기의식 척도, 성역할 스트레스 척도, 중년 남성의 위기감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자료 332부 중 성실히 응답한 321명을 사례의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자료의 분석은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자기의식 및 성역할스트레스와 중년의 위기감이 어떤 상관이 있는 지 추정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 분석을 실시했으며, 자기의식의 하위변인들이 중년의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성역할 스트레스가 중년의 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또한, 중년의위기감에 대해 성역할스트레스는 자기의식의 하위변인인 개인적 자기의식, 대중적 자기의식, 사회적불안과의 상호작용 알아보고자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자기의식의 3가지 변인모두가 성역할 스트레스는 비교적 높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자기의식 및 성역할 스트레스와 중년의위기감의 상관관계는 자기의시의 하위변인인 대중적자기의식이 높은 사람은 중년의 위기감에의 하위변인인 능력과 활력의 상실감과 자녀와의 관계에서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적 불안이 높은 경우는 개별화 과정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성역할 스트레스는 중년의 위기감의 모든 하위변인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중 다 회귀 분석결과 개인적자기 의식은 중년의 정서적 위기, 개별화 과정, 결혼 불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대중적 자기의식은 결혼 불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불안이 높을 경우 능력과 활력의 상실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성역할 스트레스는 중년의 위기감에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원변량분석 결과 중년의위기감에 대해 성역할스트레스는 자기의식의 하위변인인 개인적 자기의식, 대중적 자기의식, 사회적불안과 상호작용하여 중년의 위기감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self-consciousness and gender role stress and mid-life crisis of middle-aged male and to explore the effects of self-consciousness and gender role stress upon mid-life crisis and to confirm interaction effect of self-consciousness and gender role stress upon mid-life crisi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general facts survey, self-consciousness scale, gender role stress scale and mid-life crisis scale was administered to 400 government offic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gender role stress and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emotional crisis and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marriage dissatisfaction.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ender role stress and mid-life crisis. Second, personal self-consciousness influenced emotional crisis, individualization process, marriage dissatisfaction. Public self-consciousness effected on marriage dissatisfaction and social anxiety influenced loss of ability and vitality. Also, gender role stress influenced mid-life crisis. Third, the interaction between gender role stress and low rank variables of self-consciousness (i.e., personal self-consciousness, public self-consciousness, social anxiety) influenced mid-life crisis. Finally,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addition,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일반계 고등학생의 성격적 강점이 학업성취와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박혜경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반계 고등학생의 성격적 강점이 학업성취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대구광역시 소재 S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측정도구는 VIA Survey for Youth, 학업성취도, 주관적 행복감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자들의 성별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Pearson의 이변량 상관분석과 중다 회귀분석, 단계적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일반계 고등학생의 성격적 강점이 학업성취와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일반계 고등학생의 성격적 강점을 활용한 학업성취와 행복의 증진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haracter strengths upon the learning achievement and subjecive happi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tudents in first grade in S high school located in Daegu.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reduced version of Values in Action Survey for Youth, Learning Achievement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7.0 statistical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distribution by gender and class, and Cronbach's α was computed in order to examine reliability of each scale. In addition, Pearson'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multi-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analysis, it seemed that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haracter strenghts singnificantly affected the learnig achievement and subjective happiness.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promote learning achievements and subjective happiness through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haracter strengths.

      • 진도다시래기 과정에 나타난 무용적 요소에 관한 연구

        박혜경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Sang-yeonol-i is a kind of ceremony which is performed during the funeral. It is a way of Korean tradition to lead the dead to the world of the dead and to offer condolences to the chief mourner by playing Pungak and dancing. Dasiraegi is called differently in other regions of Korea. Such as, ‘Daedodeum’ in Gyeongbuk province, ‘Bamdalae’ in Dadohae, Sinan province, ‘Sang-yeoheulleugi’ in Chungnam province, ‘Jaettteori’ or ‘Daettteori’ in Chungbuk province, and ‘Jindo Dasiraegi’ in Jeonnam province. Among those ‘Jindo Dasiraegi’ is hand downed and is still being performed. This performance, called Jindo Dasiraegi, is played at the wealthy peoples house of mourning by the Sangdukkun. The reason of this performance is to practice the music and dancing with a empty bier on their back before car교ing the coffin out to the grave. Until now, Jindo Dasiraegi hasn't been well-known to the public. However, we want to inquire the function and form of Jindo Dasiraegi and make this study become a helpful data of learning for the research of dancing factor in Jindo Dasiraegi as a composite art. The content of Jindo Dasiraegi is as follows. 1. Gasangje nol-i 2. Geosa-wa sadangnol-i 3. Sang-yeonol-i 4. Galaesoli 5. Yeoheung The drama, dance, music factors combine together to make this performance the composite art. The typical dance in Dasiraegi is heoteunchum, gobsachum, bongsachum and bugchum. The motion of Dasiraegi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irst, a motion with improvised dance and speech. Second, creative motion. Third, it constitutes the basic form of our own traditional dance such as eoleuneun dongjag, hwijeosgi and ppulim, jeonjin and hujin, dolgi, etc. It hasn't been long since Jindo Dasiraegi wa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s. So there are not many researchers or research activities. However, it is created into a modernistic style. This study is to make a research on the details and functions of the traditional musical play ‘Jindo Dasiraegi’ of Korea and to define the historical value of Jindo Dasiraegi not as a simple folk play but as a superior cultural heri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