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nterrelationship of of Matrix metalloproteinase-13 and Elastase Expression in Human Gingiva with Chronic Periodontitis Associated to Type 2 Diabetes Mellitus

        박현규,이재목,Park, Hyun-Kyu,Lee, Jae-Mok The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y 2006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6 No.2

        치주질환은 치아 지지조직의 파괴로 튿정 지어지는 감염성 질환으로서 이것은 주로 조직의 교원질 성분을 분해시키는 MMP(matrix metalloproteinase)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여러 연구에서 당뇨병과 치주질환의 심도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있어왔으며 당뇨병이 치주염을 포함한 구강 감염에 대한 감수성을 증가시키며 역으로 만성 치주염의 염증성 매개물질에 의해 인슐린 작용이 방해받을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치주염 환자와 제 2형 당뇨병을 동반한 만성 치주염 환자의 치은조직에서 MMP-13과 elastase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여 병리 기전의 차이점을 규명하고, 두 단백질간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경북대 병원 치주과에 내원한 환자의 비당뇨 환자의 정상 치은 부위, 비당뇨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 제 2형 당뇨병 환자의 만성 치주염 부위에서 각각 8개의 변연 치은을 채득하여 액화 질소에 급속 동결시켰다. 모든 조직 샘플에서 동량의 단백질을 western blotting을 통해 분석하여였고, densitometer를 이용하여 정량한 후 ANOVA 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분석에서 MMP-13은 제 2형 당뇨를 가진 환자의 염증성 조직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었고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염증성 조직과 정상 조직에서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또한 elastas는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 없이 유사한 양상으로 발현되었고, 염증성 조직에서도 당뇨병의 유무에 관계없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한편 조직내 MMP-13과 elastase의 발현 양상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MMP-13은 당뇨병을 동반한 환자의 치은 염증초직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나타났으며, 전신적으로 건강한 환자의 염증조직과 당뇨를 동반한 환자의 염증조직에서 MMP-13과 elastase의 발현양상은 큰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 KCI등재

        심미적인 부위에서의 외과적 정출술

        박현규,박진우,서조영,이재목,Park, Hyun-Kyu,Park, Jin-Woo,Suh, Jo-Young,Lee, Jae-Mok 대한치주과학회 2007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7 No.2

        As a general treatment modality of subgingival tooth defect in aethetic area, implant or crown and bridge therapy after extraction of affected tooth can be used. But as more conservative treatment, crown lengthening can be considered and not to lose periodontal attachment and impair aethetic appearance, surgical extrusion can be considered as a treatment of choice. In this case report, 3 cases of surgical extrusion was represented and appropriate time for initiation of end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ost-surgical tooth mobility was investigated. In 8 patient who has subgingival tooth defect in aethetic area, intracrevicular incision is performed and flap was reflected with care not to injure interproximal papillae. With forcep or periotome, tooth was luxated and sutured in properely extruded position according to biologic width with or without $180^{\circ}$ rotation. 8 cases show favorable short and long term results. In some cases, surgical extrusion with $180^{\circ}$ rotation can minimized extent of extrusion and semi-rigid fixation without apical bone graft seems to secure good prognosis. In 8 cases, endodontic treatment started about 3 weeks after surgery. This time corresponds with the moment when mobility of extruded tooth became 1 degree and this results concide with other previous reports. If it is done on adequate case selection and surgical technique, surgical extrusion seems to be a good treatment modalilty to replace the implant restoration in aethetic area.

      • KCI등재
      • “명실록” 중 노량해전 전적 기록에 대한 분석

        박현규(PARK HYUN KYU)(朴現圭)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8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학술세미나 자료집 Vol.2018 No.-

        본 논문은 『明實錄』에 언급된 노량해전 전황 기록의 제반 사항을 분석한 것이다. 노량해전은 1598년(선조 31)에 조선 李舜臣과 명 陳璘이 거느린 조명연합수군이 노량 앞바다에서 대규모 일본함대와 맞이하여 대첩을 거둔 전투이다. 『명실록』은 명 조정이 국가차원에서 작성된 중대한 역사 사료이다. 이 책자에 언급된 노량해전 기록은 명 조정이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사료 가치가 높다. 『명실록』 중 군문 邢玠가 올린 첩문에 적힌 노량해전에 참전한 일본함대의 규모는 6~700척이다. 『經略御倭奏議』 <獻俘疏>에서 선봉대로 나선 島津義弘, 鴨南臬, 宗義智 등 함대의 척수가 440척이고, 또 뒤따르던 후발대가 부지기수이라고 했다. 선발대의 소속과 척수를 구체적으로 열거한 점으로 보아 『명실록』 기록은 최소한 형개가 명군의 전공을 드높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과장시키지 않았음이 분명하다. 또 『명실록』 기록에 참획한 일본군의 수급이 300급이라고 했다. 이 숫자는 타 문헌에 기술된 참획 숫자와 얼추 비슷하게 들어맞는다. 또 『명실록』에 일본장수 島津義弘을 살해했거나 豊臣正成을 생포했다고 한 기록은 사실이 아니다. 일본장수 살해설과 생포설은 전장 일선에 있던 명 진린이 자신의 전공을 드높이고자 한 심리 작용이 주효했다. 노량해전에서 거둔 전과를 제대로 검증하지 않고 사실인양 둔갑시켜 명 군부에 보고했다. 그러나 형개는 전장 일선에서 올린 보고를 별다른 과감 없이 명 조정에다 상주했다. 이후 명 조정은 계속 잘못된 상주를 사실로 믿고 있었다. This article discussed the records of the Naval Battle of Noryang(露粱海戰) in 『Ming shilu(明實錄)』. 『Ming shilu』 is an important history book, written by the Ming government. This book is useful in understanding the view of Ming government about the Battle of Noryang. Accrding to the report by Xingjie(邢玠) to Ming government, the Japanese fleet during the Battle of Noryang consisted of 600~700 ships. This figure is greater than 300 or 500 ships in the records by Joseon(朝鮮). The beheaded Japanese armies were 300, and this figure is similar to other literature. The records that Shimazu Yoshihiro(島津義弘) was killed and Toyotomi Masashige(豊臣正成) was catched alive were not true. He wrote those false reports as if they were factual reportage, to distinguish himself in war. However, Xingjie delivered the reports from the front to Ming government without making any adjustments. Since then Ming goverement took his incorrect reports as a fact. In postwar years, Ming government granted rewards to their ministers according to merit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Especially Ming government had Joseon dynasty appreciate and honor Admiral Yi Sunsin(李舜臣), who died for his country. The special measure is thought to be related with Palsapum, awarded to Yi Sunsin. The some opinions that Chen Lin(陳璘) made Palsapum and granted it to Yi Sunsin are less convincing, because such behavior was exceeding his authority and committing a serious crime in those days.

      • KCI등재
      • KCI등재

        티베트족 德格印經院 版木과 특징 고찰

        박현규(Park, Hyun-Kyu)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2 No.-

        본 논문은 중국 덕격에 소재한 티베트족 덕격인경원 판목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덕격인경원은 1729년(청 옹정 7)에 덕격 제12대 토사 却吉·登巴澤仁에 의해 창건되었고, 오늘날까지 계속 운영되고 있다. 덕격인경원 판목의 특징은 풍부성, 다양성, 정교성, 지속성, 상업성 등 5가지를 들 수 있다. 덕격인경원의 판목은 현존 티베트족 인경원 가운데 으뜸으로 꼽히고 있다. 이곳에서 새겨진 판목의 장수가 30만여 장, 문헌 종수가 830여 부인데, 현존 티베트어 고전 문헌 중 70% 정도를 차지한다. 또 내용면에서 티베트 종교, 역사, 문학, 어법, 의술, 수학, 기술 등 제 분야의 문헌들이 두루 갖추어져 있고, 또한 티베트불교 5대 종파의 경전이 모두 들어가 있다. 또 서지학적으로 유일본이거나 희귀본도 상당수 있고, 최근 편찬한 티베트대장경 《甘珠爾》의 교감 저본으로 활용되었다. 덕격인경원에서 인출된 책자들이 가까이는 티베트족 지역, 멀리는 중국 내지와 네팔, 부탄, 인도 등 외국으로 널리 유통되고 있다. This paper is on the publications of Tibetian’s Dege Sutra Printing House. Dege Sutra Printing House was established in 1769(the 7th reign year of Yongzheng Emperor of Qing) by the 12th tusi, Chokyi Tenpa Tsering(Queji Dengbazeren; 却吉·登巴澤仁) and continue to be run even toda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dition of Dege Sutra Printing House are abundance, diversity, refinedness, durability, and commercial viability. The edition of Dege Sutra Printing House is the best among existing printing houses in Tibet. The number of woodblock carved in Dege Sutra Printing House amounts to three hundred thousands and the number of published books is about 830 which forms 70% of existing Tibetian classics. The contents of the publications cover Tibetian religion, history, economy, and medicine and include the scriptures of all of the five sects of Tibet buddhism and many of sole editions and rare books which were used as a original script for revising Tengyur(Ganzhuer ; 《甘珠爾》) of the Complete Collection of Tibet Buddhist Scriptures. The books published in Dege Sutra Printing House were widely circulated in the region of Tibetian, China, Nepal, Bhutan, and India.

      • KCI등재후보

        청 문사의 金正喜「歲寒圖」감상과 眞迹本 밖 題贊詩

        朴現圭(Park Hyun-kyu) 대동한문학회 2006 大東漢文學 Vol.25 No.-

          「歲寒圖」는 헌종 10년(1844) 金正喜가 제주도 유배시기에 제자 李尙迪의 굳은 지조와 인품에 감동하여 그려준 그림이다. 이상적은「세한도」를 가지고 연경(북경) 가서 청조 우인들에게 보여주었다. 헌종 11년(1845) 정월 13일에 이상적을 포함한 우인 18명은 吳贊의 저택에 모여「세한도」감상 모임을 가지고 제찬 시문을 남겼다.『海隣書屋收藏中州詩』에는「歲寒圖」진적본에 보이지 않는 제찬 시문과 관련된 기록이 수록되어있다. 秦?業은「세한도」제찬시를 지었으나,「세한도」진적본에는 보이지 않았다. 吳淳韶는 이날 모임에 참석하지 않았으나,「세한도」진적본에는 그의 제찬시가 보인다. 曹楙堅은 제찬시 외에 감상 모임과 관련된 시를 남겼다.「세한도」진적본과『해린서옥수장중주시』에 각각 수록된 장요손의 제찬시는 자구 차 이를 보이고 있다.   Sehando(歲寒圖), is a painting by Kim Jeonghee(金正喜), in 1884, an epoch of Heon Jong(憲宗) 10th, who was impressed by the fidelity and nobility of his student Lee Sangjeok(李尙迪) when Kim Jeonghee was exiled to Jejudo(濟州道). Lee Sangjeok took Sehando to Beijing and showed it to his friend from Qing(淸). January 13, 1845, and epoch of Heon Jong 11th, 18 scholars from Qing, including Lee Sangjeok, gathered at Wu Zan(吳贊)"s house to enjoy Sehando and write poetry and prose into the picture. Haerinsok sujang jungjusi(海隣書屋收藏中州詩) has a record related to poetry and prose written into the picture that could not be found in the original of Sehando. Qin Xiangye(秦?業) also wrote poetry and prose in the picture, but it was not there at the time of the original of Sehando. Wu Chunshao(吳淳韶) did not participate in the January 13 meeting, but his poetry was still included in the original Sehando. Cao Maojian(曹楙堅) wrote other poems besides his work in Sehando. Words are associated differently between Zhang Yaosun(張曜孫)"s poetry contained in the painting; Sehando, and his collection of poems in Haerinsok sujang jungjusi.

      • KCI등재
      • KCI등재

        정유재란기 明軍의 戰勝 문물 고찰

        朴現圭(Park, Hyun-Kyu) 동아인문학회 2020 동아인문학 Vol.50 No.-

        본 논문에서는 정유재란기 명군의 戰勝 문물 가운데 새롭게 고찰해야 할 것을 대상으로 집중 분석했다. 정유재란 때 명군이 일본군을 물리쳤다는 위업을 널리 기리는 여러 종류의 전승 문물이 전해온다. 『釜山平倭碑銘』은 조선조정이 萬世德의 요청에 따라 부산 자성대에 명군 전체 차원에서 세운 전승비이고,『東征磨崖碑』는 유격 張良相이 남해왜성에 명 수군 차원에 서 세운 전승비이다. 반면 조선 조정이 명 군문 邢玠의 위업을 알리고자 생사당을 세워주었으나, 부산에 세울 銅柱는 사정이 여의치 않아 세우지 못했다. 『征倭紀功圖卷』은 종군화가가 정유재란 전첩을 그린 전승도이고,『征倭紀功圖屛』은 1800년대 초반에 다시 그린 전승도이다. 이들 그림의 주체 인물은 명군을 총괄한 군문 형개이다. 『題東征圖始終全錄』은 감군 王士琦의 전공을 기린 그림에 부착된 문장이다. 조선에서는 왕사기가 전쟁을 감독한 공적을 인정하고 있지만, 과장된 거짓 보고에 대해서는 감군의 책무를 다하지 못했다며 책임을 물었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cultural properties, worthy of careful study, which celebrated the victory of Ming in the Jeongyu war(丁酉再亂). Several cultural properties commemorate the victory of Ming military against Japan. 『Busan pyeongwae bimyeong(『釜山平倭碑銘』), placed at Jaseongdae(子城臺), is a war memorial for Wan shidu(萬世德), who is in charge of defense forces, by military headquater of Ming. 『Dongjeong maae bi(『東征磨崖碑』) is a war memorial placed at Namhae waeseong (南海倭城) by the naval force of Ming, for Zhang liangxiang(張良相), the naval commander. The Joseon dynasty dedicated a shrine to Xing jie (邢玠), the supreme commander of Ming withou, but failed to build a copper pillar. 『Jeongwae gigong dogwon(『征倭紀功圖卷』) is a painting featuring the victory of the Jeongyu war. Jeongwae gigong dobyeng(『征倭紀功圖屛』) is another painting drawn in the early 1800"s to commemorate the triumph of the Jeongyu war. The main character of the paintings was Xing jie,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Ming military. 『Je dongjeongdo sijong jeonlok(『題東征圖始終全錄』) is the sentence in the painting in honor of Wang shiqi(王士琦). Joseon dynasty acknowledged the leadership of Wang, yet pointed out his faulty for the exaggerated repor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