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자궁경부 상피내종양에서 LEEP 후 Hybrid Capture Assay를 이용한 HPV DNA 추적검사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박한뫼,문혜성,김승철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2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3 No.3

        목적 : LEEP 치료 전후로 Hybrid Capture Assay를 이용한 HPV DNA 검사를 시행하여, HPV DNA의 검출과 CIN의 재발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치료 후 CIN의 재발을 예측하기 위한 HPY DNA추적검사의 임상적인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3년 5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CIN으로 진단되었으며 LEEP 치료를 받은 3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HPV DNA 검사는 Hybrid Capture System I을 이용하여 고위험군만을 시행하였다. LEEP 시행 후의 추적검사는 세포진 검사와 고위험군 HPV DNA 검사를 동시에 하거나 혹은 세포진 검사만을 시행하였으며, 처음 1년간은 3개월 간격으로, 그 이후부터는 6개월 간격으로 시행하였다 이중 HPV DNA 양성이거나 비정상 세포진 검사소견을 보이는 모든 환자는 CIN의 재발을 확진하기 위해 질확대경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LEEP 전 HPV DNA 양성은 71.3% (244/342)이었으며 LEEP 시행 후 추적 3개월에 HPV DNA 양성은10.9% (35/320), 6개월에는 9.8% (17/173), 9개월에는 7.3% (10/137), 12개월에는 5.7% (6/105), 18개월에는 5.7%(4/70), 24개월에는 7.5% (3/40)를 보였다. 추적 검사를 통해 HPV DNA가 양성인 환자와 음성인 환자에서의 재발율을 비교하였다. 추적 3개월에는(57.1% in positive vs 3.5% in negative; p<0.01), 6개월에는(64.7% in positive vs 9.5% in negative; p<0.01), 9개월에는(70.0% in positive vs 13.3% in negative; p<0.01) 보였으나, 추적 검사 12개월 이후에는 HPV DNA 양성군과 음성군 사이에서의 재발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절단부의 양성과 선침범 여부나 조직학적인 등급 등의 조직병리학적인 인자와 CIN의 재발과는 관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Hybrid Capture Assay를 이용한 HPV DNA 검사는 CIN의 재발을 예측하는데 유용하며 특히 LEEP 시행후 1년 내에 더욱 유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ction of HPV DNA and the recurrence of cervical intraepithelial neoplasia (CIN) after Loop Electrosurgical Excisional Procedure (LEEP). Thus We intended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HPV DNA test by Hybrid Capture Assay (HCA) as a predictor for the recurrence of CIN after LEEP. Methods : From May 1993 to Dec. 1999, 342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CIN and treated with LEEP in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ll patients received HPV DNA test only for high-risk group HPV by Hybrid Capture Assay (system I) just before LEEP and were followed up with Pap smears and HPV DNA tests at the interval of 3 months during the first year and then at the interval of 6 months after LEEP. The Chi-square test and Student t-test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 HPV DNA tests before LEEP were positive in 71.3% (244/342). Positivity of HPV DNA after LEEP was 10.9% (35/320) at 3 months, 9.8% (17/173) at 6 months, 7.3% (10/137) at 9 months, and 5.7% (6/105) at 12 months, 5.7% (4/70) at 18 months and 7.5% (3/40) at 24 months. A higher recurrence rate was noted in the HPV DNA positive group, comparing with the negative group, at 3 months (57.1% in positive vs 3.5% in negative; p<0.01), at 6 month (64.7% in positive vs 9.5% in negative; p<0.01) and at 9 months (70.0% in positive vs 13.3% in negative; p<0.01). But there was no mor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in recurrence rates between positive group and negative group of HPV DNA tests after 12 months.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the recurrence of CIN and histopathologic factors such as positive resection margin, endocervical glandular involvements and histologic grades. Conclusion : HPV DNA test by HCA before and after LEEP may be considered as a useful and unique tool for the prediction of recurrence of CIN, especially within 1 year after LEEP.

      • SCIESCOPUSKCI등재

        자궁내막암에서 MRI 병기와 수술조직학적 병기의 비교 연구

        박한뫼,문혜성,김승철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2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3 No.3

        목적 : 자궁내막암에서 MRI 병기와 수술조직학적 병기를 비교 분석하여 자궁내막암에서 수술 전 MRI 병기의 임상적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6년 3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자궁내막의 구획 소파술을 시행하여 자궁내막암을 진단 받은 환자중, 수술 전 평가로 골반 및 복부 MRI를 시행한 후 개복술 및 조직검사를 통해 수술조직학적 병기가 확정된 3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의 평균나이는 57.2±7.9세였다. 수술조직학적 병기의 분포는 I기가 77.4% (24/31), Ⅱ기가12.9% (4/31), Ⅲ기가 6.4% (2/31), Ⅳ기가 3.2% (1/31)이었다. 자궁내막암의 조직학적 자궁근층 침범깊이는 근층의 반미만이 51.6% (16/31)이었으며 근층의 반 이상이 32.3% (10/31)이었다. 자궁내막암의 조직학적 등급별로는 grade1; 45.2% (14#31), grade 2; 32.3% (10/31), grade 3; 22.6% (7/31)이었다. 수술 전 시행한 MRI의 수술조직학적 병기예측 정확도는 67.7% (21/31) (Kendall's Tau-b=0.747) 이었다 자궁내막암의 조직학적 자궁근층 침범정도에 대한 MRI의 예측 정확도는 80.6% (25/31) (Kendall's Tau-b=0.746) 이었다. 또한 자궁경부의 침범에 대한 MRI의 예측민감도는 100.0%, 특이도는 66.7%, 정확도는 90.3% (Kendall's Tau-b=0.766), 양성예측률은 88.0%, 음성 예측률은66.7%를 보였다. 조직학적 등급에 따른 MRI의 자궁근층 침범 예측 정확도는 grade 1; 64.3% (9/14) (Kendall'sTau-b=0.422), grade 2; 100% (10/10) (Kendall's Tau-b=1.000), grade 3; 100% (10/10) (Kendall's Tau-b=1.000)을 보여grade 1에 비하여 grade 2, 3에서 MRI에 의한 자궁근층 침범의 예측 정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결론 : 본 연구에서 MRI는 자궁내막암의 수술조직학적 병기를 예측하는데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한 검사로 판단된다. 특히 골반 내 자궁내막암의 국소적 침범(자궁경부 및 자궁근층 침범)을 수술 전 정확히 평가할 수 있는 진단적 가치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 : The accurate staging prior to surgery is essential in the management of the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This study aimed to compar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results to surgicopathological staging of endometrial cancer and evaluate the accuracy of MRI in staging carcinoma of the endometrium. Methods : Thirty one patients with endometrial cancer confirmed by fractional D&C&B were evaluated with MRI imaging prior to surgery. After surgery, we compared MRI findings and surgicopathological findings. Results : Overall accuracy of MRI in staging carcinoma of the endometrium, compared with the final stage including surgicopathological results, was 67.7% (21/31, Kendall’s Tau-b=0.747). In prediction of myometrial invasion, MRI imaging had an accuracy of 80.6% (25/31, Kendall’s Tau-b=0.746). The accuracy in prediction of cervical invasion was 90.3% (25/31, Kendall’s Tau-b=0.766). The accuracy in prediction of myometrial invasion for grade I, , and was 64.3% (9/14) (Kendall’s Tau-b=0.422), 100% (10/10) (Kendall’s Tau-b=1.000) and 100% (10/10) (Kendall’s Tau-b=1.000), respectively. In grade and , the accuracy in prediction of myometrial invasion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grade I (p<0.05). Conclusion : MRI imaging is a highly promising method for the prediction of staging carcinoma of the endometrium, and seems to be a more judicious assessment for the detection of myometrial invasion and cervical invasion in the patients with all grades of endometrial cancers.

      • KCI등재

        Endometrioid Adenocarcinoma Arising from Endometriosis of the Uterine Cervix: A Case Report

        박한뫼,이상수,엄대운,강길현,이상욱,손우석 대한의학회 2009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Vol.24 No.4

        Endometrioid adenocarcinoma arising from endometriosis of the uterine cervix is rare in premenopausal woman. We describe here a patient with this condition and review the clinical and pathological features of these tumors. A 48-yr-old woman complaining of severe dysmenorrhea was referred for investigation of a pelvic mass.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were performed. Hist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an endometrioid adenocarcinoma directly adjacent to the endometriosis at the uterine cervix, with a transition observed between endometriosis and endometrioid adenocarcinoma. The patient was diagnosed as having endometrioid adenocarcinoma arising from endometriosis of the uterine cervix and underwent postoperative chemotherapy. Gynecologists and pathologists should be aware of the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a delay in diagnosis of endometrioid adenocarcinoma arising from endometriosis when the tumor presents as a benign looking endometrioma.

      • SCIESCOPUSKCI등재

        상피성 난소암에서 수술 전 혈청 CA-125 농도에 의한 일차 종양축소수술의 결과 예측에 관한 연구

        박한뫼,김윤수,신은경,김미경,정경아,박미혜,전선희,안정자,김종일,김승철 대한부인종양 콜포스코피학회 2003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4 No.2

        목적 : 상피성 난소암에서 수술 전 혈청 CA-125가 일차 종양축소수술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최적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이는 혈청 CA-125 농도의 cutoff point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7년 1월부터 2002년 8월까지 이대목동병원에 내원하여 상피성 난소암으로 진단받고 일차 종양축소수술을 시행받은 8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인 연구를 시행하였다. 모든 환자는 수술 전에 혈청 CA-125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ROC법을 이용하여 종양축소수술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는 최적의 CA-125의 농도를 결정 하였다. 결과 : 모든 환자의 혈청 CA-125농도의 중앙값은 890.9 U/mL이었으며, 수술 전 혈청 CA-125는 조직형, 세포분화도, 병기, 복수 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5). 또한 수술 전 혈청 CA-125농도의 중앙값은 종양축소수술이 적절하게 시행된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2584.8 U/mL vs. 524.8 U/mL, p<0.05). ROC법을 이용하여 수술 전 혈청 CA-125 농도가 1050 U/mL에서 종양축소수술의 결과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cutoff point임을 알 수 있었다(민감도 66.7%, 특이도 64.0%, 양성예측도 81.6%, 음성예측도 44.4%). 결론 : 본 연구에서 수술 전 혈청 CA-125농도는 종양축소수술의 결과 예측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나, 음성예측도가 낮아 수술 전 혈청 CA-125농도만을 이용하여 난소암 환자에서 복합 선행화학요법 대상자를 선정하는데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난소암 환자에서는 수술 전 여러 임상정보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복합선행화학요법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o evaluate the ability of preoperative serum CA-125 level to predict the outcome of primary cytoreductive surgery in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Methods :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85 consecutive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All patients had preoperative serum CA-125 levels measured. We used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ROC) to determine the CA-125 level with the maximal power in predicting the outcome of primary cytoreductive surgery. Results : The median CA-125 level was 890.9 U/mL for all patients. Preoperative CA-125 level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histology, tumor grade, stage, and the presence of ascites (p<0.05). Also, preoperative CA-125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tients with suboptimal cytoreduction and those with optimal cytoreduction (2584.9 U/mL vs. 524.8 U/mL, p<0.05). Using the ROC, we found that preoperative CA-125 level of 1050 U/mL had the most powerful ability in predicting the outcome of primary cytoreductive surgery, but a poor negative predictive value (sensitivity 66.7%, specificity 64.0%, PPV 81.6%, NPV 44.4%). Optimal cytoreductive surgery was achieved in 81.6% (40/49) among patients with CA-125 <1050 U/mL, but 55.6% (20/36) among those with CA-125=1050 U/mL (p<0.05). Conclusion : We think that preoperative CA-125 level may be used for selection of candidates for neoadjuvant chemotherapy before primary cytoreductive surgery. But preoperative CA-125 level was a weak negative predictor of primary optimal cytoreductive surgery. Thus, preoperative CA-125 level could not be a primary predictor of the outcome of primary cytoreductive surgery and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other preoperative features.

      • KCI등재후보

        진행된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5-Fluorouracil과 Cisplatin을 이용한 선행화학요법 중 연속적으로 시행한 자궁경부 생검 조직에서의 광학현미경적 종양세포 변화 및 Apoptotic Index 변화에 관한 연구

        박한뫼,김미경,성순희,한운섭,주웅,김승철,신은경 대한부인종양학회 2006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Vol.17 No.4

        Objectiv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eoadjuvant chemotherapy (5-fluorouracil plus cisplatin) on tumor cell morphology and apoptosis by analyzing the consecutive changes of apoptotic index (AI) and histology observed in the serially obtained cervical cancer tissues during the chemotherapy. Methods: Cervical cancer tissues were obtained by punch biopsy just before starting the each cycle of neoadjuvant chemotherapy from five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disease (stage IIb~IIIb), but previously untreated squamous cell carcinoma of uterine cervix. All patients were treated with three cycles of 5-fluorouracil (1000 mg/m2 at day #1-5) and cisplatin (60 mg/m2 at day # 1) at 3 weeks interval. All H & E stained cervical cancer tissue slides were scored for apoptotic index and observed for microscopic changes of tumor cells by a pathologist. Results: After the first cycle of chemotherapy, A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2 times to 8 times). And widespread injury to cytoplasm was observed and followed by karyorrhexis and karyolysis of nucleus of tumor cells. The size of tumor nests was reduced and it was also noted that fibrosis an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were increased. The parts of tumor nests were replaced by mature squamous cells and the changes in nuclear morphologic features pointing in a more differentiated direction. But after the second cycle of chemotherapy, only one patient showed an increase in AI by 1.2 times over that after the first cycle of chemotherapy. The rest showed slight decreases in AI compared to that after the first cycle of chemotherapy. 목적: 본 연구는 국소적으로 진행된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Cisplatin과 5-FU를 이용한 선행화학요법을 시행하면서 연속적으로 채취한 자궁경부암 조직에서의 광학현미경적 세포 변화와 apoptotic index(AI) 변화를 관찰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1995년 1월부터 1997년 1월까지 본원에 입원하여 방사선 단독 치료를 받기 전에 cisplatin과 5-fluorouracil로 선행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5명의 진행된 자궁경부암 환자(stage IIb~IIIb)를 대상으로 하였다. cisplatin은 치료 제1일에 체표면적당 60 mg/m2 정맥 주입하였으며, 5-FU는 1000 mg/m2을 치료 제1일부터 5일간 정맥 주입하였다. 각각의 환자에서 선행화학요법은 매 21일 간격으로 총 3 주기 시행하였다. 선행화학요법 매 주기 시작 1-7일 전에 자궁경부암 조직 채취를 각각의 환자에서 3회 연속적으로 시행하였으며, H&E 염색 및 광학 현미경을 이용한 암세포의 변화와 apoptotic index(AI)를 관찰하였다. 결과: 일차 선행화학요법 시행 이후, 모든 환자에서 치료 전에 비교하여 현저한 AI의 증가 소견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이차 선행화학요법 시행 후에는 단지 1명의 환자에서만 일차 선행화학요법 후의 AI 에 비하여 약 1.2배의 AI의 지속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나머지 4명의 환자에서는 일차 선행화학요법 후 관찰되었던 현저한 AI의 증가는 보이지 않고, 오히려 AI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선행화학요법 후에 특징적으로 보이는 광학현미경적 종양 세포의 변화로는 종양세포의 공포화와 세포핵 염색질의 퇴행성 변화(nuclear smudging, chromatin condensation)가 현저하였고, 이차 선행화학요법 후에는 부분적으로 종양세포들이 분화가 잘된 편평상피세포들로 대체되기 시작하는 소견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결론: 일차 선행화학요법 후에 비하여 이차 선행화학요법 시행 후에는 AI가 오히려 감소하고, 광학현미경 소견에서도 종양세포의 퇴행성 변화가 둔화되는 소견을 볼 때, cisplatin과 5-FU를 이용한 선행화학요법 시, 자궁경부암 세포의 항암제 내성은 선행화학요법 시행 초기부터 발생함을 추측할 수 있었다. 이는 진행된 자궁경부암 치료로서 선행화학요법 시 고려되어야 할 문제점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한국 중년 및 노년 여성에서 복압성 요실금과 대사증후군 (Metabolic syndrome)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박한뫼 ( Han Moie Park ),이상수 ( Sang Soo Lee ),박창면 ( Chang Myeon Park ),박선민 ( Sun Min Park ),박정원 ( Jung Won Park ),이상욱 ( Sang Wook Yi ),손우석 ( Woo Seok Sohn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1 No.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복압성 요실금과 대사증후군의 지표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복압성 요실금과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복압성 요실금을 진단받고 수술 및 약물치료를 시행한 208명의 환자와 같은 기간 부인과 양성질환을 본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대조군 154명을 대상으로 하여 대사증후군과 복압성 요실금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지표인자는 NCEP ; ATP III 진단지침에 따른 중성지방, 고밀도 콜레스테롤, 고혈압 그리고 인슐린 저항성의 기준으로 하였으며 단 복부비만에 대한 지표를 허리둘레가 아닌 BMI로 대체하였다. 따라서 지표인자 중 3가지 이상 해당되는 환자를 대사증후군의 위험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대사증후군의 위험군은 복압성 요실금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대사증후군의 위험군에서 복압성 요실금의 위험도는 2.503 (95% CI 1.28-4.87, p=0.004)이었다. 다변량 분석을 통해 인슐린 저항성 (OR 2.563; 95% CI 0.04-0.31, p<0.001) 및 BMI (OR 3.574; 95% CI 0.09-0.31, p=0.011)는 복압성 요실금에 대한 독립적인 위험인자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인슐린 저항성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은 요실금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stress urinary incontinence. Methods: Based form 362 case, the risk factors including the parameters of metabolic syndrome for stress urinary incontinence (SUI)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body mass index (BMI), hypertension, insulin resistance, triglyceride, HDL-cholesterol. Results: The risk for metabolic syndrome were associated positively with SUI. Women with the risks for metabolic syndrome had 2.503 times of the odds for SUI compared without the risks for metabolic syndrome (95% CI 1.28-4.87, p<0.001).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SUI were BMI (OR 3.574 ; 95% CI 0.09-0.31, p<0.001) and insulin resistance (OR 2.563 ; 95% CI 0.04-0.31, p=0.011) by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ed that metabolic syndrome was the important factor of the stress urnary incontinence. And we confirmed the need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turbance and the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aimed at correcting hormonal-metabolic disturbance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with SU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