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정치유를 위한 공감소통 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의사소통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태진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강원학생교육원 Wee스쿨에서 제공하는 공감소통 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의사소통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강원도 춘천시 강원학생교육원 Wee스쿨에 위탁된 중․고 남학생 15명을 연구 대상자로 설정하였으며, 위탁된 학생들은 강원도 내 중․고등학교에서 심리적,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로 구성되었다.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의사소통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의사소통능력의 향상 효과를 검증한 결과, 강원학생교육원 Wee스쿨의 집단상담은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서조절 능력의 향상 효과를 검증한 결과, 강원학생교육원 Wee스쿨의 집단상담은 정서조절능력 향상에 일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프로그램을 통해 긍정적(PANAS-PA) 정서의 향상 보다는 부정적(PANAS-NA) 정서의 감소에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Wee스쿨에서 제공하는 공감소통 집단상담이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의사소통능력, 정서조절능력 및 긍정적 정서 및 부정적 정서(PANAS) 조절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재 강원학생교육원의 Wee스쿨은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심리 관련 기능의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잠정적, 임상적으로만 확인이 되어 왔으며, 그 효과에 대한 경험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실증분석을 통해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의 의사소통능력 및 정서조절능력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검증한 것은 본 연구의 의의라고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for sympathy and communication provided by Wee School of Kangwon Students Educational Institute on communic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o this end, this study selected 15 middle․high school boy students consigned to the Wee School of Kangwon Students Educational Institute in Chuncheon-si, Gangwon-do for research subjects, and the students were struggling in school life in middle․high school in Gangwon-do by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the effects on communication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main result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the improvement effects of communication ability, it was identified that the group counseling of Wee School of Kangwon Students Educational Institute has improvement effect on communication ability. Secon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the improvement effects of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 group counseling of Wee School of Kangwon Students Educational Institute had some effects on improving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ird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n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 the program was more effective on reducing negative(PANAS-NA) emotion than improving positive(PANAS-PA) emotion. This study identified from the results that group counseling for sympathy and communication provided by Wee School has positive effects on communication ability,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regulating positive emotion and negative emotion(PANA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Wee School of Kangwon Students Educational Institute has developed various program and is applying them today to improve psychological functions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However,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has only been verified tentatively and clinically, and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has not been made. Therefore, verifying the positive effects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can be considered a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 TLC STT-MRAM 기반 대용량 캐시 메모리 설계

        박태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차세대 멀티-코어 (Multi-core) 프로세서들은 고성능, 저전력을 충족시킬 수 있는 대용량 Last-Level Cache (LLC)를 필요로 한다. 차세대 메모리들 중의 하나인 Spin-Transfer Torque (STT)-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는 기존의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으로 구성된 캐시를 대체할 수 있는 유망한 후보 중 하나이다. 하지만, STT-MRAM은 셀 (Cell)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ReRAM)나 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 (PRAM)와 같은 다른 차세대 메모리에 비해 저장 밀도가 낮다. STT-MRAM은 하나의 메모리 셀에 2-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 Multi-Level Cell (MLC) STT-MRAM을 사용하여 저장용량을 확보할 수 있지만, 급증하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LLC의 저장 용량 증가가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나의 메모리 셀에 3-비트를 저장할 수 있는 Triple-Level Cell (TLC) STT-MRAM이 대안이 될 수 있다. TLC STT-MRAM을 사용하여 매우 높은 저장 용량을 제공할 수 있지만, 다단계 읽기와 쓰기 동작이 발생하기 때문에 긴 메모리 지연과 높은 전력 소모를 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LLC로서 TLC STT-MRAM의 적용과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우선, 본 논문에서는 병렬 TLC STT-MRAM으로 구성되는 LLC의 구조와 동작을 제안한다. 우리의 LLC는 셀 분할 매핑 기법과 조건 블록 스와핑 기법들로 3-단계 읽기와 쓰기 동작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제안된 LLC를 내재하는 Marssx86은 두 개의 PARSEC 벤치마크들을 동시에 수행할 때, 직접 매핑 기법을 적용한 LLC를 내재하는 Marssx86보다 사이클 당 명령어 처리 횟수를 평균 11.03%, 전력 소모를 평균 12.54% 향상시킨다. 다음으로, 본 논문에서는 직렬 TLC STT-MRAM으로 구성되는 LLC의 구조와 동작을 제안한다. 직렬 TLC STT-MRAM으로 구성되는 LLC에서는 셀 분할 매핑 기법과 조건 선택 블록 스와핑 기법들로 3-단계 읽기와 쓰기 동작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제안된 LLC를 내재하는 Marssx86은 네 개의 PARSEC 벤치마크들을 동시에 수행할 때, 직접 매핑 기법을 적용한 LLC를 내재하는 Marssx86보다 사이클 당 명령어 처리 횟수를 평균 17.19%, 전력 소모를 평균 17.9% 향상시킨다. Next-generation multi-core processors require a large-scale last-level cache (LLC) to that can meet high performance and low power. Emerging non-volatile memory technologies such as spin transfer torque (STT) -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MRAM) is one of the promising candidates for replacing 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caches. However, since STT-MRAM has a large cell size, storage density is lower than other emerging memories such as resistive random access memory (ReRAM) and phase-change memory (PCM). The STT-MRAM can provide storage density by using multi-level cell (MLC) STT-MRAM capable of storing 2-bits in one memory cell. However, an increase in the storage density of the LLC is required to effectively handle the increasing data. Therefore, triple-level cell (TLC) STT-MRAM, which can store 3-bits in one memory cell, can be an alternative. Triple-level cell (TLC) STT-MRAM can provide high storage density, but TLC STT-MRAM causes long memory latency and high memory power consumption due to multi-step read and write opera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and performance improvement of TLC STT-MRAM in LLC. First, in this paper, the architecture and operation of an LLC comprised a parallel TLC STT-MRAM are proposed. Our LLC minimizes the occurrence of the three-step read and write operations via cell division mapping and conditional block swapping techniques. Experimental results show Marssx86 embedding the proposed LLC achieves 11.03% more instructions per cycle and 12.54% lower power consumption, on average, than Marssx86 embedding direct mapping LLCs in the case that two PARSEC benchmarks are concurrently performed. Second, in this paper, the architecture and operation of an LLC comprised a series TLC STT-MRAM are proposed. Our proposed LLC minimizes the occurrence of the three-step read and write operations via cell division mapping and conditional selection block swapping techniques. Experimental results show Marssx86 embedding the proposed LLC achieves 17.19% more instructions per cycle and 17.9% lower power consumption, on average, than Marssx86 embedding direct mapping LLCs in the case that four PARSEC benchmarks are concurrently performed.

      • 에어로빅체조 경기규정의 변천사 고찰

        박태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에어로빅체조 경기규정의 변천과정을 스포츠에어로빅시대(1~3차), 에어로빅체조 도입 및 발전기(4~5차), 에어로빅체조 전성기(6차)의 세단계로 구분하여 각 시대의 심판규정, 경기장, 음악, 의상, 경기내용의 변천과정을 고찰하여 에어로빅체조가 국제적이고 대중적인 스포츠로 발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스포츠에어로빅스시대의 1차, 2차, 3차 경기규정 변천과정을 밝힌다. 2. 에어로빅체조 도입 및 발전기의 4차, 5차 경기규정 변천과정을 밝힌다. 3. 에어로빅체조 전성기의 6차 경기규정 변천과정을 밝힌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둔다. 1)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경기에어로빅시대 후로 국제체조연맹의 정식 종목으로 채택이 된 시점에서 현재(2014)까지의 경기 규정집을 중심으로 살펴 보고자 한다. 2) 연구의 범위는 스포츠에어로빅스시대의 제1차 경기규정 개정에서부터 에어로빅체조 발전시대의 제6차 경기규정 개정을 다루고 있다. 단 심판규정, 경기장, 음악, 의상, 경기내용 등 경기규정영역의 개정된 부분을 위주로 범위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에어로빅체조 경기규정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로서 문헌연구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 방법으로 자료수집 방법, 시대구분의 기준, 자료기술 방법 및 연구의 절차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논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에어로빅체조 경기규정의 변천과정을 스포츠에어로빅시대(1~3차), 에어로빅체조 도입 및 발전기(4~5차), 에어로빅체조 전성기(6차)의 세단계로 구분하여 각 시대의 경기규정의 주 내용으로 심판규정, 경기장, 음악, 의상, 경기내용의 변천과정을 고찰하여 에어로빅체조가 국제적이고 대중적인 스포츠로 발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수행 되었다. 문헌연구방법을 적용하여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1. 결론 1) 스포츠에어로빅스 시대(1994 ∼ 2004년) 1차 개정(1994-1996)의 주요변천내용은 예술 심사 점수에서‘0 ∼ 10점’까지의 명확한 기준을 제시한 것과 독창성에 대한 보너스를 삭제하는 것이었다. 2차 개정(1997-2000)에서는 스포츠에어로빅스 위원회에 의하여 심판들의 엄숙한 행동과 품위를 지키기 위하여 가해지는 제재가 있었는데 그 내용으로 심판의 실수에 대하여 일정기간 심판에서 제외, 심판의 등급을 한 단계 낮춤, 심판자격의 박탈, 일정기간 동안 심판으로 인정하지 않는 다는 것이 추가되었고 선수변경항목이 추가가 되면서 보다 원활한 대회 진행과 선수들의 안전을 확보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난도 구성요소에서 16개에서 최대 12까지만 점수를 부여하였고 경기 시간이 1분 45초로 단축이 되며 의상 규정에서 반짝이를 허용함으로써 심판과 관중들에게 더욱 관람의 경기를 보여줄 수 있었고 금지동작을 규제함으로 에어로빅체조의 전통과 우월성을 돋보일 수 있었다. 3차 개정(2001-2004)에서는 6인조 그룹 부문을 새로이 추가하여 개인운동에서 벗어나 단체운동으로서 상호간의 배려와 협동심을 향상시킬 수 있을뿐더러 조화로운 동작들로 더욱 풍부한 루틴을 선보이며 대중적인 스포츠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선수들의 의상과 예술 심사의 규정이 대폭 수정되었으며, 반복적인 움직임을 피해 다양한 난도를 12개 까지 허용하여 실시했으며 그 이상은 감점으로 처리하였다. 또한 12개의 난도 중 콤비네이션(2개의 난도를 연속하여 실시) 요소를 포함시켜 보다 다이내믹한 경기를 할 수 있도록 수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볼 때 심판규정에서 심판의 규제 강화와 심판의 인원 및 배치가 수정되어 정확하고 공정한 심사를 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으며 선수변경항목이 생겨 경기력향상 및 원활한 대회가 진행되었다. 경기장 규격변천으로 다양하고 역동적인 동작들로 경기력이 향상되었으며 음악에서는 선수가 주제표현을 하는데 중요한 역할이 되었고 심판 및 관중들에게 더욱 인상적인 작품을 보일 수 있었으며 의상규제가 대폭 강화되어 엘리트스포츠로서의 선수다운 면모를 갖추는 계기가 되었다. 경기내용에서는 허용난도감소(16개에서12개로), 난도의 군 통합(6개에서4개로), 높은 난이도의 추가, 콤비난이도허용으로 선수들의 우열을 가리는데 명확한 기준이 되었으며, 경기시간이 줄었으며 단체종목이 추가(6인조)되었는데 대중적인 스포츠로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2) 에어로빅체조 도입 및 발전기(2005 ∼ 2012년) 스포츠에어로빅스에서 에어로빅체조로 명칭이 변경된 후 경기규정이 첫 번째 수정된 4차 개정(2005-2008)에서는 경기 시간이 오전 10시부터 오후 11시 까지 수정 되었고 국내·외적으로 종목 명칭이 에어로빅체조로 변경되었으며 국내에서만 인정하는 12인조 종목이 추가 되었다. 이는 우수선수발굴에 큰 계기가 되었고 의상에 국가 식별, 상징 표시, 허락된 광고와 스폰서 로고가 가능해졌다. 난도요소에서는 헬리콥터와 밸런스가 추가 되어 선수들에게 보다 다양한 난도를 선택하는데 폭이 넓어 졌다. 5차 개정(2009-2012)에서는 FIG 공식대회의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예술심사규정과 부록I(예술심사지침)을 새롭게 편집하였고, 심판장단(Superior Jury), 심판위원장(Chair of Judges Panel), 난도 심판들의 역할, 책임과 권리가 재조명되었다. 경기장 규격은 개인종목은 7m×7m이고 혼성 2인조, 3인조 및 그룹(6인조)은 10m×10m의 경기장에 경기를 진행하게 하였으며 실시는 도해된 표를 첨부하여 단순화하고, 부록Ⅱ(실시와 난도심사지침)의 기술이 새롭게 수정되었으며, 3인조와 그룹(6인조)에 대한 난도 심사에서 상호작용은 제거하였고 최소한의 요구 사항과 일부 난도의 점수도 변경되었다. 남자개인과 여자개인의 경우 경기 시간이 1분 30초와 10개의 난도로 제한되었으며, 난도 채점에서 3인조와 그룹(6인조)은 여성, 혼성의 경우 1.9로, 남성의 경우 2.0으로 나누어 점수를 계산하는 것으로 변경되었고 들어올리기(lift)는 2번 하며 금지된 요소들의 사용이 재심되었다. 3) 에어로빅체조 전성기(2013 ∼ 2016년) 최근에 실시된 6차 개정(2013-2016)에서는 에어로빅댄스와 에어로빅스텝의 종목이 추가가 되었고 심판규정에서 동점계산은 예선전에서만 실시되고 결승에서는 동률로 처리, 10분 규정이 새롭게 추가 되었다. 경기장의 규격은 모든 종목이 10m×10m으로 변경 되었고 음악에서는 에어로빅댄스와 에어로빅스텝에서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사용할 수 있다, 의상에서는 적합한 의상 내용과 남자 의상이 추가 되었고 에어로빅댄스와 에어로빅스텝의 의상규정이 추가 되었다. 경기 내용에서 남성과 여성에 적합한 손동작, 에어로빅댄스와 에어로빅스텝의 맞는 심사규정이 추가 되었으며 모든 경기의 시간이 1분 30초±5초 이고 그룹6인조가 5명의 선수로 수정되어 그룹5인조 종목으로 변경되었으며 국내에서만 인정한 12인조 종목은 삭제되었다. 또한 예술심사규정이 구체적으로 보완되었으며 2번의 들어올리기(주니어 대회에서는 1번의 들어올리기), 새로운 난도추가, 기존의 일부 난도의 점수하향 등이 변천되었고 콤비네이션에서는 A, C그룹만 사용하며 난도 채점에서 3인조와 그룹(5인조)은 여성과 혼성의 경우 1.8로 나누어 점수를 계산하는 것으로 변경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아크로바틱 동작의 허용과 금지동작의 도해 첨부로 정확하고 완벽한 동작을 유도하였고 선수의 안전과 경기력향상에 큰 역할이 되었다. 지금까지 고찰한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면 현재까지 많은 규정 변화의 과정이 이루어 졌으며 이러한 규정 변화의 원인은 국제체조연맹에서 에어로빅체조의 발전과 전 세계에 쉽고 널리 보급하고자 하는 의도와 올림픽의 이념을 받아들이고 국제적으로 표명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이루어 졌으며 정확한 동작과 완벽한 실시를 요구하며 국제적으로 에어로빅스의 다양한 동작들과 예술성을 보여 주며 대중적인 스포츠로서 발전하기 위한 변화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심판, 선수, 코치들도 자질향상에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며 보다 많은 관심으로 각자의 역할을 올바르고 정확하게 수행하여야 할 것이며 사회적인 측면에서도 체육육성재단, 체육회, 교육청, 학교 등등 체육과 관련된 많은 공공기관에서의 협조와 관심도 매우 중요하며 절실히 필요할 것이다.

      • 중학생의 성취목표성향이 체육수업만족과 학생 인성에 미치는 영향

        박태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중학생의 인성 함양을 위한 접근으로 성취목표성향과 체육수업만족 및 학생 인성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여 중학생의 인성을 함양시키는 프로그램으로서 성취목표성향을 고려한 체육수업만족의 역할과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4년 J도, G광역시, G동, C도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유층표집을 실시하여 학생 650명을 표집, 설문에 불 응답하거나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640명의 유효 표본을 확보한 후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연구도구로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을 기초로 하여 이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학교 소재지, 성적수준, 성적스트레스)에 따른 성취목표성향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성취목표성향의 학습목표성향 요인에서 성별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학년에서는 1학년이 2,3학년보다 높게, 학교소재지에서는 시 지역이 읍면지역보다 높게, 성적수준에서는 상, 중, 하 순으로, 성적스트레스에서는 성적스트레스가 없다, 많다, 조금 있다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 중 학습목표성향은 수업목표, 수업내용․방법, 수업평가, 수업환경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 중 학습목표성향은 배려(봉사) 및 협력, 개방성 및 소통(타인 및 타문화 이해), 자기 이해, 자기 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수업만족의 하위 요인 중 수업내용․방법은 배려(봉사) 및 협력, 개방성 및 소통(타인 및 타문화 이해), 자기 이해, 자기 조절에, 수업목표는 자기 조절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 수업평가는 개방성 및 소통(타인 및 타문화 이해), 자기 이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성취목표성향은 체육수업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체육수업만족은 학생 인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 성취목표성향은 학생 인성에 체육수업만족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성취목표성향은 학생 인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보다는 매개변인 체육수업만족을 통하여 학생 인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체육수업만족은 학생 인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성취목표성향이 학생 인성에 영향을 미치도록 하는 완전매개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microplastics in the Han River, South Korea

        박태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재 플라스틱오염은 전세계적인 문제이며, 플라스틱 생산량이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플라스틱 오염은 앞으로도 더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많은 연구 결과에 따르면 플라스틱은 물리적, 광화학적, 생물학적인 원인에 의해 작게 부서지고 결국 환경 중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5mm 이하 크기의 미세플라스틱이라고 불리는 많은 작은 플라스틱 입자들은 환경 중에 잔류성이 높고 광범위하게 분포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미세플라스틱은 전세계적으로 해양은 물론 담수에서도 광범위하게 발견되고 있다. 많은 연구들은 동물플랑크톤, 패류, 어류 등 다양한 수생생물이 미세플라스틱을 섭취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한 퇴적물은 물환경에서 미세플라스틱의 저장소(sink)로 알려졌다. 폐수처리장이나 하수처리장은 담수 중 미세플라스틱의 주요오염원으로 인식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처리장 주변의 하천이나 강의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물환경 중 이들 미세플라스틱의 거동이나 발생 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담수 중 물, 어류 등 각각의 특정 부분(compartment)이 아닌 물, 어류, 퇴적물 등을 총체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안타깝게도 한국에서는 담수 중 미세플라스틱 발생 및 분포 현황을 조사한 광범위한 연구가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담수 중 물, 어류, 퇴적물의 발생 및 분포현황을 조사하고 한국의 담수는 미세플라스틱에 어느 정도 오염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또한 대표적인 점오염원인 하수처리장이 인근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물, 어류, 퇴적물, 하수처리장이 인근 하천에 미치는 영향 등 총 4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번째 연구는 한강 본류 및 한강으로 유입되는 지천에서의 미세플라스틱 분포를 조사하였다. 한강 본류 지표수(0m)는 0-42.9 개/m3의 농도범위를 보이며 평균 7.0 ± 12.9 개/m3로 조사되었다. 반면 지표수에서 수심 2m에서의 농도는 20.0–180.0 개/m3 (평균 102.0 ± 50.3 개/m3)로 조사되어 지표수보다 높게 분포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한강으로 유입되는 지천에서의 농도는 1.2-234.5 개/m3 (평균 91.1 ± 72.3 개/m3)로 본류보다 농도가 훨씬 높게 조사되어 한강본류의 미세플라스틱 농도에 기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한강에서의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상류보다는 하류에서 농도가 더 높았는데, 이는 하수처리장 같은 점오염원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류에서 가장 검출이 많이 된 플라스틱 종류는 폴리에틸렌 (PE), 실리콘, 폴리스타일렌 (PS) 순으로 많이 검출된 반면, 지천에서는 폴리테트라풀로로에틸렌 (PTFE),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터 순으로 많이 검출되었다. 형태로는 73%이상이 조각(fragment) 형태가 검출되었고 나머지는 실타래 (fiber) 형태가 검출되었다. 두번째 연구는 한강에 서식하는 22개 어종 106마리 어류 체내 미세플라스틱 조사를 하였다. 전체 106마리 1753개가 검출되었으며 평균적으로 북한강은 15.6 ± 13.5 개/마리 남한강은 16.4 ± 12.3 개/마리, 한강하류는 20.1 ± 10.0 개/마리이며 한강하류에서의 어류 체내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물 중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어류 체내 미세플라스틱 축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검출이 가장 많이 된 미세플라스틱 크기 범위는 0.1-0.2 mm이며,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에틸렌 (PE), 폴리테트라풀로로에틸렌 (PTFE) 순으로 높게 검출되었다. 또한 어류 체내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어류의 무게와 길이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 < 0.01). 하지만, 어류 체내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어류 분류군과는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p > 0.05). 또한 어류 체내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먹이습성과는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p < 0.01), 이는 잡식성과 충식성 어류가 육식성과 초식성 어류에 비해 체내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높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어류 서식지는 어류 체내 미세플라스틱과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번째 연구에서는 국내 담수 퇴적물의 미세플라스틱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다. 남한강, 북한강, 한강하류, 팔당댐 그리고 한강으로 유입되는 지천 등 총 12지점을 대상으로 4월과 10월에 조사하였다. 전체 지점에서의 미세플라스틱 평균은 0.494±0.280 개/g로 조사되었다. 지역별로 농도는 각각 북한강(0.546±0.217 개/g), 남한강(0.383±0.145 개/g), 한강하류(0.417±0.114 개/g)로 조사되었다 (p < 0.05). 특히 북한강의 청평댐 지점과 팔당지점이 12곳 중 가장 농도가 높게 조사되었는데, 이는 앞선 물과 어류에서의 결과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그 이유는 퇴적물 중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오염원보다는 긴 체류시간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청평댐 및 팔당댐 근처의 두개 지점에서의 평균농도가 다른 지점보다 높은데, 이는 댐으로 인해 유속 감소로 인해 것으로 보인다. 계절적으로는 봄 (4월) (0.389±0.099 개/g)보다는 가을(10월) (0.600±0.357 개/g)에 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p<0.01). 가장 많이 검출된 플라스틱 종류는 폴리에틸렌 (>38%), 폴리프로필렌 (>24%)으로 조사되었으며 93% 이상이 조각형태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끝으로 퇴적물 성상과 미세플라스틱과의 상관성을 조사한 결과 퇴적물 중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총유기탄소(TOC), 총질소(TN), 총인(TP)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관찰하였다. 또한 퇴적물 중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silt, clay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sand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네번째 연구는 한강으로 유입되는 지천중의 하나인 탄천에 위치한 하수처리장 인근의 물, 어류, 퇴적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물 중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시공간적으로 변하였는데, 농도범위는 5.3-87.3 개/m3 (평균 31.4 ± 28.5 개/m3)로 조사되었다. 어류의 경우 하수처리를 중심으로 상류와 하류에서의 체내 농도는 각각 7.3 ± 7.3 개/마리, 12.4 ± 17.9 개/마리로 조사되었다. 공간적으로는 하수처리장 기점으로 하류의 물과 어류 중 미세플라스틱 농도가 상류보다 높아 하수처리장에 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어류 체내 농도가 어류의 길이와 무게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퇴적물은 상류와 하류에서 각각 493.1 ± 136.0 개/kg, 380.0 ± 144.2 개/kg으로 조사되었다. 건기(4월)에 상류가 하류에 기여하는 미세플라스틱 부하량 기여율은 15.8%로 하수처리장과 양재천보다 기여율이 높은 조사되었다. 반면, 우기(8월)에 하수처리장이 하류에 미치는 기여율이 5.1%로 조사되어, 상류와 양재천보다 기여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세플라스틱은 건기(28.2 ± 22.2 개/m3)보다 우기(37.4 ± 37.0 개/m3) 때 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물, 어류, 퇴적물에서 가장 많이 검출된 플라스틱 종류는 폴리에틸렌(49%)과 폴리프로필렌(18%)이다. 형태로는 조각 (95%) 모양이 실타래 모양이나 구슬 모양보다 월등히 많이 검출되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물환경 중의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오염원 뿐만 아니라 환경조건에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물환경 중 미세플라스틱 농도를 볼때, 물과 어류 중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하수처리장과 같은 점오염원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반면, 퇴적물 중 미세플라스틱 농도는 오염원 보다는 체류시간이나 유속 같은 환경요인에 더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물환경중에 존재하는 미세플라스틱의 거동이나 분포 특성을 좀 더 이해하기 위해서는 비점에서 기인한 미세플라스틱 양을 정량적으로 도출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 결과는 물환경 중 미세플라스틱 농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정책입안자들이 더 나은 미세플라스틱 관리방안 마련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Currently, plastic pollution is a global problem and will be aggravated in the future as the production amount of plastic is expected to increase. Increasing evidence suggests that plastics are mechanically, photochemically and biologically fragmented and eventually enter the environment. Therefore, more, and smaller plastics, termed microplastics (thereafter, MPs) less than 5mm in size of plastic, have raised concerns due to the characteristics such as persistence and prevalence in the environment. MPs have been ubiquitously found in freshwater as well as marine worldwide. Many studies observed that aquatic organisms from zooplankton, bivalves and fish ingested MPs. Sediments have been known as a sink of MPs in aquatic environment.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 or sewage treatment plants (STP) have been recognized as a main source of MPs in the receiving freshwater. However, only a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contribution of MPs from these facilities to receiving waters. Thus, an approach considering water, fish and sediment altogether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occurrence, transport, and fate of MP in aquatic environment, not but limited to specific compartment in freshwater. Unfortunately, there is no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freshwater in Korea.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ccurrence of MPs in surface water, fish and sediment and the extent of MP pollution in freshwater of Korea. This study was also to fill gaps in knowledge regarding the effect of sewage treatment plants on the abundance of MP in the aquatic environment near the facility. This study was composed of 4 sections: surface water, fish, sediment, and the effect of sewage treatment plant on aquatic environment. In the first study,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MPs in the Han River and its tributaries. We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MPs in the surface waters (0 m) was 0–42.9 particles/m3 (mean: 7.0 ± 12.9 particles/m3) compared to 20.0–180.0 particles/m3 (mean: 102.0 ± 50.3 particles/m3) at a depth of 2 m. Concentrations in the river tributaries ranged from 1.2 to 234.5 particles/m3 (mean: 91.1 ± 72.3 particles/m3). The most common types of the plastic identified in the Han River were silicone, polystyrene (PS), and polypropylene (PE), while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olyethylene, and polyester were dominant in the tributaries. With respect to shape, greater than 73% of the recovered MPs were fragments and the rest were fibers in the water. The second study examined the abundance of MPs in 106 fish from 22 families inhabiting three sites of the Han River, South Korea. In total, 1,753 MPs from 106 fish samples were identified with an average abundance of 15.6 ± 13.5 MPs per individual fish (MPs indiv-1) in the North Han River, 16.4 ± 12.3 MPs indiv-1 in the South Han River, and 20.1 ± 10.0 MPs indiv-1 in downstream of the Han River, indicating that the fish in the downstream Han River were the most contaminated by MPs (p < 0.01). The dominant size of MPs detected in fish ranged between 0.1 and 0.2 mm, and the most common polymer types found in fish were polypropylene (PP) (≥40%) and polyethylene (PE) (≥23%), followed by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16%) at all sampling location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log-transformed number of MPs with log-transformed fish length (p < 0.01) and with log-transformed fish weight (p < 0.01).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MPs among the five major genera (Cyprinformes, Gibiiformes, Mugiliformes, Perciformes, and Siluriformes) were observed (p > 0.05). The Kruskal-Wallis test disclos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MPs among the feeding habits (p < 0.01), indicating that omnivorous and insectivorous fish contained more MPs than carnivorous and herbivorous fish. Finally, fish habitat result showed that pelagic fish contained the higher level of MPs than demersal fish,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MPs among fish habitats were observed. In the third study, we conducted the first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MPs in riverine sediments in Korea to examine the level of MP pollution. We investigated the temporal and spatial occurrence of MPs in the two main branches of the Han River: the Paldang reservoir and two major tributaries flowing into the Han River. The average abundance of MPs over all sites was 494.3±280.4 particles/kg. Spatially, the MP abundance at three sites in the North Han River (546.1±216.8 particles/kg) was higher than those in the South Han River (382.7±145.4 particles/kg) and downstream of the Han River (417.2±114.2 particles/kg) (p<0.05). The abundance of MPs at two sites near dam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at other sites because of the slow river flow velocity attributed to the artificial structure. Seasonally, the average abundance in April was 389.0±98.8 particles kg-1 whereas that in October was 599.6±356.6 particles kg-1. The t-tes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bundance of MPs between April and October (p<0.01). The most common polymer types observed in the sediment at all the sites were polyethylene (PE) (>38%) and polypropylene (PP) (>24%). Irrespective of the location and season, greater than 93% of MPs identified were fragmented, and the remaining were fiber shaped. The concentrations of total organic carbon, total organic nitrogen, and total phosphorou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P abundance. In addition, MP abunda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lay and silt fractions; however,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and fraction. In the fourth study, w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MPs in surface water, fish, and sediment near a sewage treatment plant (STP) in the Tanchon stream, one of the main tributaries flowing into the Han River, South Korea. The concentration of MPs in water varied spatially and temporarily, ranging between 5.3 and 87.3 particles/m3 (31.4 ± 28.5 particles/m3). In fish, the concentration in upstream and downstream sites was 7.3 ± 7.3 and 12.4 ± 17.9 particles/fish, respectively. Spatially, the downstream site was the most polluted with MPs in water and fish. The concentration of MP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ish body length and weight. In sediment, MP concentration in upstream and downstream sites was 493.1 ± 136.0 and 380.0 ± 144.2 particles/kg, respectively. The contribution of upstream to the MP load in downstream was 15.8% in dry season (April),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STP effluent and Yangjaechon creek. Meanwhile, the highest load was observed in STP effluent (5.1%) in rainy season (August). MPs were more abundant in water in the rainy season (37.4 ± 37.0 particles/m3) than in the dry season (28.2 ± 22.2 particles/m3). Polyethylene (PE) (49%) and polypropylene (PP) (18%) were the most abundant polymer types in water, fish, and sediment. Regarding shape of MPs, fragments were dominant (95%) over fiber and film in water, fish, and sediment. Consequently, MP abundance in aquatic environment was influenced not only by MP sources such as point sources, but also by environmental conditions. MP concentration in water and fish was affected by point sources such as sewage treatment plants. Meanwhile, MP concentration in sediment was more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residence time and flow velocity than point sources.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quantitatively determine the contributions of diffuse sources to adjacent water bodies to understand the transport, fate, and distribution of MPs in freshwat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relevant to stakeholders and policymakers for better management of MP and efficient decision-making related to source tracking and distribution of MP in river systems by offering findings related to crucial factors influencing MP abundance in water environment.

      • 심전도를 이용한 좌전하방 관상동맥 폐쇄 위치 진단법간의 정확도 비교

        박태진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예후는 관상동맥 폐쇄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근위부 폐쇄(proximal occlusion)인 경우에는 원위부 폐쇄(distal occlusion)에 비해 경색의 범위가 넓어지며, 예후가 나쁘다고 알려져 있다. 응급실 단계에서 경색의 범위가 넓을 것으로 추정되는 환자들을 선별하기 위해, 이전 연구들에서 제시한 진단기준들의 정확성을 평가하고, 각 진단기준간의 정확성의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6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응급의료센터로 내원한 환자 중에서 관상동맥 조영술을 통해 좌전하방 관상동맥 폐쇄가 진단된 ST분절 상승 급성 심근경색 환자 49명에 대해 심전도 소견을 분석하였다. 심전도 분석에는 이전에 문헌에서 제시된 진단기준을 사용하였다. 첫번째 진단기준으로 하부 유도에서 ST 분절의 상승이 없는 경우, aVR혹은 aVL유도에서 0.5 mm이상의 ST분절의 상승이 있는 것을 적용하였다(Criteria A). 두번째는 I과 aVL유도에서 0.5 mm이상의 ST분절의 상승이 있는 소견(CriteriaB)을, 마지막으로 aVR 유도에서 0.5 mm 이상의 ST분절의 상승이 있는 소견(Criteria C)을 적용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대상이 된 환자들의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나타난 폐쇄의 위치(level of occlusion)를 심전도로 진단한 소견과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관상동맥 조영술에서 좌전하방 관상동맥의 폐쇄 소견을 가진 환자는49명이었으며, 근위부는 26명, 원위부는 23명으로 나타났다. 각 심전도 진단기준을 적용하였을 때, 진단기준 A의 경우 17명의 근위부 환자 중 13명에 대해 진단을 하였고, 13명의 환자를 진단하지 못하였다. 진단기준 B, C의 경우, 각각 16명, 8명을 진단하였으나, 10명, 18명에 대해서는 진단하지 못하였다. 각 진단기준의 민감도는 76.5%, 61.5%, 30.8%였으며, 특이도는 86.4%, 82.6%, 100%로 나타났다. 각 진단기준의 정확도의 측정은 ROC 곡선의 곡선아래면적(Area Under Curve; AUC)으로 구하였으며 그 값은 각각 0.66, 0.72, 0.65으로 나타났다. 각 진단기준간의 정확도의 차이는 진단기준 A-B간 유의수준이 0.24, 진단기준 A-C간에는 0.93, 진단기준 B-C간에는 0.50로 나타나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진단기준들은 이전의 연구에서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진단기준 B에 사용된 유도 I, aVL에서 ST분절의 상승이 0.5 mm이상인 경우에는 AUC가 0.72로 나타났으며, 민감도 76.5%, 특이도 86.4%로 나타났다. 또한 이전 연구들이 제시한 진단기준간의 정확도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Study Objectives: It has been known that the prognosis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 is influenced by the level of occlusion of the coronary artery. More proximal occlusion results in larger infarction and worse prognosi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D), we try to diagnose proximal left anterior descending coronary artery occlusion using specific electrocardiographic findings in specific leads screening patients who are predicted larger infarction. Methods: We conducted retrospective study by reviewing medical records of 49 patients with ST segmen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who were confirmed by coronary angiography. To diagnose proximal occlusion, we used three ECG criteria. One was ST segment elevation in lead aVR or aVL over 0.5 mm without inferior lead ST elevation(criteria A). The other was ST segment elevation in lead I, aVL over 0.5 mm, that implied occlusion of first diagonal branch(criteria B). The third was ST segment elevation in lead aVR over 0.5 mm, that implied occlusion of septal perforating artery(Criteria C). Then we compared coronary angiographic findings with ECG findings. Results: ECG criteria A diagnosed 13 patients. But couldn’t diagnose 13 patients of proximal occlusion. And misdiagnosed 4 patients of distal occlusion. ECG criteria B diagnosed 16 patients. 10 patientes who were diagnosed proximal occlusion in coronary angiography were not diagnosed. And misdiagnosed 4 patients of distal occlusion. Criteria C diagnosed 8 patients. 18 patientes who were diagnosed proximal occlusion in coronary angiography were not diagnosed. This criteria showed no misdiagnosis. We compared diagnostic accuracy of these thhree ECG criteria using area under curve(AUC) through ROC curve.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criteria(criteria A-B; p=0.24, criteria A-C; p=0.93, criteria B-C; p=0.50). Conclusion: AUC of ECG criteria using this study was 0.72, 0.66, 0.65, respectively.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diagnostic accuracy for proximal occlusion between criteria.

      • 혈액 투석 환자의 흉터 및 외피 특성 분석에 의한 변사체 식별법 제안

        박태진 충남대학교 평화안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범죄 현장에서는 과학 수사를 이용한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장에서 시체가 발견될 경우 다양한 방법으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몇 년간의 사망에 대한 통계는 기대수명이 증가함에 따라 당뇨병과 고혈압을 가진 많은 사람들의 증가를 보여준다. 이러한 질병들은 만성 신부전과 관련이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혈액투석을 유발한다. 신장의 기증자와 신체환경이 맞아 콩팥이식이 가능하더라도 이식 전 주 2~3회 투석해야 하는데 이는 모든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징후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특정 사례를 체계화하고 검사 시 사건현장에서 발견한 변사체의 식별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일반적인 흉터는 다음과 같이 5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그것은 피부 주름과 일그러진 흉터, 위축된 흉터, 피부 봉합 흉터, 켈로이드로 분류된다. 또한 뜸이나 침으로 인한 흉터가 있다. 투석 환자는 이런 모양의 흉터와 구별되는 독특한 흉터가 있는데 투석에 필요한 인조혈관의 도입과 동정맥루의 도입으로 나뉜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혈액투석으로 인한 흉터가 침이나 뜸으로 인한 일반적인 흉터와 완전히 구별되며 성별이나 연령이 아닌 투석 기간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는 것을 자료 수집을 통해 알게 되었다. 특히 투석 시간이 지나면서 흉터가 두드러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검시관에게 혈액 투석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수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환자의 흉터와 피부 특성을 상세히 조사하여 이를 식별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습니다. 우리는 혈액투석에 대한 사전 지식이 부족한 검시관들에게 혈액 투석에 대하여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고, 이해도를 향상시켜 향후 변사자의 사망원인을 분석하고 사인을 밝혀내는데 발전적인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Recently, various methods using scientific investigation have been used at crime scenes, and investigation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if a dead body is found at the scene. Statistics on deaths in recent years show an increase in a lot of people with diabetes and high blood pressure as life expectancy increases. These diseases are associated with chronic renal failure, which in most cases leads to hemodialysis. Even if kidney transplants are possible due to the matching physical environment with the kidney contributor, it must be dialysis two to three times a week before transplantation, which can be seen as a sign of this in all patients.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systematize these particular cases and propose new ways to improve the identification of the dead body in the examination. Common scars are usually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as follows: It is classified as skin wrinkles and contorted scars, atrophy scars, skin suture scars and keloids. There are also scars caused by moxibustion or saliva. Blood dialysis patients have a unique scar that distinguishes them from these shaped scars, which are divided into those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blood vessels needed for dialysis and those caused by sympathetic veins. In this paper, we found that scars caused by hemodialysis are completely distinguished from ordinary scars and scars caused by saliva or moxibustion, and can be distinguished by the duration of dialysis rather than by gender or age. In particular, there was a phenomenon of prominent scars over dialysis time. The database was collected to convey accurate information knowledge about blood dialysis to the coroners and to improve understanding. In this study, we surveyed the scar and skin characteristics of hemodialysis patients in detail and organized the method of identifying them. We want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about blood dialysis to medical examiners who have not been trained in hemodialysis, improve understanding, analyze the cause of death of the deceased, and suggest a developmental direction for identifying the cause of death in the future.

      • 회분식 습식 사이클론을 이용한 제철슬러지의 탈아연 처리

        박태진 順天大學校 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제철슬러지 중에 함유된 아연의 분리에 이용되는 습식 사이클론 공정에 영향을 미치는 광액 공급압력, 급광구의 크기, 광액의 농도, 부압, 마광 등에 대하여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Zn 함량 1.65%, 20μm이하 입자의 비율 30.6%인 제철슬러지에 대하여 광액농도 12%, apex valve 10 ㎜ dia, vortex finder 20 ㎜ dia의 실험 조건하에서 사이클론의 적정한 광액 공급압력은 1.0-2.0 kg/㎠, 급광구의 크기는 6x12 ㎜로 나타났다. 2) 슬러지 분급에 적절한 광액 농도는 0.10 - 0.15 kg/L로 나타났다. 3) 회수율을 감소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시스템 내에 부압을 형성시키면 1단 분급에서는 탈아연에 효과적이나 2단 분급에서는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슬러지를 분급처리 하기 전에 전처리로 마광하는 것은 소요 설비에 비하여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observed about several parameters such as feeding pressure, feed shim size, pulp density, siphon pressure, grinding, effecting to wet hydrocyclone process where zinc could be separated from iron-bearing sludge. On an experimentation of pulp density 12%, apex valve 10㎜ dia., vortex finder 20㎜ dia. for zinc concent 1.65% and -20μm particles 30.6% in ion-bearing sludge, the optimal feeding pressure and feed shim size were discovered as 1.0-2.0 kg/㎠, 6 x 12 ㎜. And the pulp density was shown to be 0.10 - 0.15 kg/L on the above condition. During the recovery rate is not reducing management, the preformed siphon pressure affect to increase dezincification on 1st step of system, but not on 2nd step almost. Additionally it was shown that the grinding before the sludge feeding was rare effective on process comparing the demanded fac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