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왕희지(王羲之) 난정수계(蘭亭修계)의 수용 양상과 시사(詩社)에 끼친 영향

        박철상 ( Chul Sang Park ) 우리한문학회 2012 漢文學報 Vol.26 No.-

        중국 晋나라 永和9년(서기 353년)에 왕희지를 비롯한 42명의 문사들이 蘭亭修계를 거행한 뒤로 난정수계는 文士雅會의 모델이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수용하였다. 특히 <蘭亭敍>는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줄곧 서법의 전범이 되었다. 이는 신라시대 이래로 왕희지체를 善書의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이었다. 또한 蘭亭故事는 癸丑년이나 上巳日의 문인들 雅會에서 시의 소재로 자주 등장하였다. <蘭亭記>나 <蘭亭詩>에 등장하는 글자나 구절을 集字하여 시를 짓기도 하고, <蘭亭記>에 등장하는 글자만으로 집자체시를 짓기도 하는 등 蘭亭修계는 詩作을 통해다양한 형식으로 수용되었다. 난정수계는 그림을 통해서도 수용되었다. 그림의 경우에는 글씨나 시문처럼 많이 남아 있지는 않지만, 그림을 통해서 蘭亭修계를 보다 입체적으로 이해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의 문사들의 雅會중에는 蘭亭修계의 뜻을 잇고자 하는 모임들도 있었다. 물론 실질적으로 蘭亭修계의 고사를 표방한 모임은 많이 있었지만, 명칭까지 난정수계를 표방한 모임은 많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난정수계는 왕실의 유흥문화에까지 영향을 끼쳤다. 正祖는 奎章閣을 설치하고, 賞花釣魚의 故事를 모방하여 봄마다 閣臣과 內苑에서 꽃구경하고 낚시질하는 것을 정례화 했다. 1788년부터 시작된 이 모임은 閣臣이 주관하였고, 閣臣이 아닌 사람은 참여하지 못했다. 그러다 계축년(1793, 정조17) 3월에 이르러 蘭亭修계의 고사를 본떠서 그 숫자를 더욱 확대했는데, 이때에는 각신이 아닌 선비들까지 참여시켰다. 이는 蘭亭修계의 숫자에 일치시키려 한 점도 있었지만, <蘭亭記>의 ``少長咸集’의 의미에 부합시키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아무튼 정조의 계축년 內苑賞花모임은 왕희지의 蘭亭修계가 있었던 永和9년의 계축년 3월과 부합함으로써 그 의미가 부여되었고, 태평성대의 아름다운 이야기로 널리 알려졌던 것이다. 이는 궁중의 賞花釣魚의 고사와 蘭亭修계의 고사를 일치시킨 일로 정조의 통치행위의 일단으로도 이해할 수있는 부분이다. 이는 이후 난정수계의 수용양상에 큰 영향을 끼친다. 특히정조의 知遇를 입은 여항인들이 중심이 된 玉溪詩社는 난정수계를 모방하여 성대한 시회를 열었다. 이는 19세기 여항인들의 詩社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난정수계는 그 자체가 이벤트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어일반적인 시사의 경우에는 지속적인 형태로 나타나기는 어려웠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일생에 한 번밖에 癸丑년을 맞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詩社에서 난정수계의 의미는 이벤트적 성격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After WangXizhi and 42 literati had NanJeongSugye in Yeonghwa 9(AD353), it became the model of literati social meeting. Korean literati also accepted it in various ways. Nanjeongseo was the calligraphic model from Shilla to Joseon. Because Wang was regarded as the standard of good calligraphy. The Meeting of Nanjeong had powerful influence in literature. It was appeared often in Gyechuk year and Sangsa day poems. The poets made a new poem through citing the word in Nanjeonggi and Nanjeongsi. Through the painting, which remained not as much as the calligraphy and poem, they understood the meaning of NanJeongSugye in depth ways. Some literati tried to success the NanJeongSugye. Many of them claimed to support the NanJeong, but not many of them had the title of NanJeong. Meanwhile, NanJeong influnced on the royal entertainment. Jeongjo established Kyujanggak and imitated fishing and flower viewing of Nanjeong. He made it as the annual event with his Kyujanggak official. The event was started in 1788, No one except Kyujanggak official could attend the meeting. After 1793, it was opened to wide scale literati because the king waned to reproduced the meeting with all the young and old getting together. The cycle of the year and the days was coincided with the original day of NanJeongSugye, the meeting was very meaningful, and was regarded as a symbol of the peaceful reign. It was a kind of kings ruling ways. The king`s event made an important influence on accepting NanJeongSugye`s way. The middle class literati meeting, Oggyesisa succeeded NanJeongSugye and made grand literary meeting. The 19th century middli class literati followed the way of meeting. But NanJeongSugye was the one time event so it was hard to continue the meeting. Most people could meet the Gyechuk year cycle once in a lifetime. The meaning of NanJeongSugye was that it was the one-time event in a lifetime.

      • KCI등재

        『성재집(省齋集)』의 출현과 고시언(高時彦)의 생애

        박철상 ( Park Chul Sang ) 우리한문학회 2020 漢文學報 Vol.42 No.-

        高時彦은 『昭代風謠』의 편찬자로 알려져 있다. 『昭代風謠』가 여항문학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저작이라는 사실 때문에 고시언 또한 주목을 받았다. 그의 문집 『省齋集』과 함께 『註疏箚疑』 2권이 있다는 기록이 있고, 그의 문집에 붙인 李德壽의 서문이 남아 있어 고시언 문집의 출현을 고대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그의 저작이 제대로 알려진 적은 없었다. 당연히 그의 생애 또한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본 논문은 고시언의 생애와 교유인물을 새롭게 정리하였다. 아울러 기록으로만 전하던 고시언의 문집 『省齋集』을 발굴하여 그 내용을 소개하였다. 그의 기타 저술과 편간 활동도 살펴 보았다. 여항문학은 작가의 출현 → 개별 작가의 문집 간행 → 시선집의 편간 → 전기집 편찬의 단계를 거치면서 성장했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고시언의 행적은 이후 여항문학이 지향한 모든 분야에 걸쳐 이정표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다. 많은 여항인들이 그의 손을 거쳐 후대에 이름을 전할 수 있었고, 『소대풍요』를 통해 수많은 작품들이 후대에 전해졌다. 그리고 그의 문집 『성재집』이 간행되어 전해짐으로써 그 자신의 진짜 모습을 볼 수 있게 되었다. 그의 행적은 스승인 홍세태를 따르고 있지만, 經傳의 연구에까지 자신의 관심 영역을 넓히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省齋集』의 출현은 고시언 개인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할 뿐만이 아니라, 여항문학의 출발점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할 것이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author’s group and studied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us, Descriptive features were discussed in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e middle class in the late Joseon Dynast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middle class developed economically and culturally to become a solid class. But the rise in status was limited by social institutions and customs and alienated from power. This environment has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middle class’ identification and self-consciousness. Their Autobiographical Literature was crea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one’s identity and self-consciousness among the middle class. In the face of social contradictions, the writers of the middle class resolved their dissatisfaction and alienation by proving themselves the value of their existence through the creation of autobiography. There are two main descriptive features of middle-class Autobiographical Literature. First, the representative form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the name of the Self-written epitaph(自撰墓誌銘), could not be confirmed, and the Autobiography(自傳) was favored. The middle class, who had no outstanding achievements throughout their lives, could change their narrative and preferred to create popular Autobiography(自傳). Because the name of the cemetery records official matters and values formalities. The second characteristic is that there are many works that show a new aspect in the way they are written and composed. Choi Kinam(崔奇男)’s Jolongjeon(拙翁傳) which clearly showed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scious world by using a fixed narration and time process description methods, Yoo Choijin(柳最鎭)’s Jaseonjeon(自序傳) who wrote his life directly from the first person point of view, and Kim Kyungcheon (金敬天)’s Sonwamanrokjaseo(巽窩謾錄自序) gives a detailed account of the lives of the middle class. Ma SeongLin(馬聖麟)’s PyeongseongUrakChongrok (平生憂樂總錄) deviated from the official description of the Self-Chronology (自撰年譜), he described both the joys and sorrows of the individual. The Autobiographical Literature of the middle class, which is considered a vulnerable class during the Joseon Dynasty, shows that practical problems such as the status, political status, and economic situation of the creative entity have an important effect on the determination of the type or method of Autobiographical Literature .

      • KCI등재
      • KCI등재

        추사 김정희의 『국조화징록 』 수용에 대하여

        朴徹庠(Park, Chul-sang)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0 No.-

        朝・淸 문인들의 교유가 확대 및 심화되는 19세기에 있어 그림은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는다. 교유의 수단이 ‘詩書’에서 ‘詩書畵’로 확대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그림과 관련된 서적들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고, 이는 관련서적의 수입으로 이어졌다. 그 중심에는 秋史 金正喜(1786~1856)가 있다. 김정희는 명청대에 간행된 여러 畵論書들을 수입하여 연구하였다. 그 중에서도 張庚의 국조화징록 은 김정희 화론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국조화징록 은 정조 연간에 수입되어 북학파 지식인을 중심으로 널리 읽혔는데, 그들은 이 책을 통해 청나라 화가 및 畵論에 관한 정보를 얻었다. 그러나 국조화징록 을 본격적으로 수용한 것은 김정희를 통해서였다. 19세기 초에 조선으로 수입된 국조화징록 판본은 그 전본이 별로 없는데, 다행히도 김정희 관련 판본은 2종이나 남아 있다. 특히 그중에는 圖畵精意識 가 포함된 아주 희귀한 판본도 있다. 김정희는 이 책들을 통해 원말의 四家에서부터 명나라 동기창을 거쳐 청나라 太倉派에 이르는 자신의 산수 화 문경론을 확립하였다. 또한 用墨法과 用筆法은 물론 書卷氣에 관한 이론도 이 책들을 통해 수용하였다. 그림의 감상과 감정에 이르기까지도 이책의 도움을 받았다. 김정희 화론의 중요한 부분들이 이 책을 통해 형성되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김정희는 장경의 화론을 그대로 수용한 것은 아니었다. 장경이 墨法에서 乾濕의 호용을 주장한데 반해, 끝까지 乾筆을 고집하 였다. The friendship between Joseon and Qing literati was Intensified and expanded in 19th century, in which the painting was given a whole new meaning. Because the way of making friendship was expanded from the poetry, epistolary correspondence to the painting. Accordingly the interest on the painting and the books on the painting was increased, and that draw the import of related books. Kim Jeonghui was on the center of the mainstream. He imported many Ming-Qing painting theory books and researched the painting theory. Jang Gyeong’s Gugjohuajinglog was the most influenced book to his building up the painting theory. That book was imported in King Jeongjo’s reign and widely read in the Bughag(北學) literati. They got the imformation of Qing’s painter and painting theory through this book. But the genuine acceptance of Gugjohuajinglog was started through Kim Jeonghui. In early 19th century, there are almost no version of the book which was imported in Joseon, but two version related to Kim were remained. Especially one version was contained very rare Dohuajeonguiji. Kim established the way to landscape painting theory which started from the late Yuan Four Masters, Ming’s Dong Gi Chang(董其昌), to Qing’s Taechang(太倉) group. Also, he accepted the way of using carbon ink stick, brush, and book spirit theory. Appreciation and valuation of painting was influenced by this book. The important painting theory of Kim was built through this book. Nevertheless, Kim did not received Jang Gyeong’s painting theory exactly same way. For example, Jang insisted on using both dry and wet in the way of using carbon ink stick, but Kim fnsisted on using dry brush throughly.

      • KCI등재후보

        秋史 金正喜의 著作 현황 및 詩文集 編刊에 대하여

        박철상(Park chul-sang) 대동한문학회 2006 大東漢文學 Vol.25 No.-

          秋史 김정희는 北學의 宗匠이자 19세기 朝鮮 學藝의 關門이다. 그러나 그는 ‘山海崇深’의 학문세계를 이루었으면서도 후대에 자신의 저작을 전하지 않았다. 이는 추사를 연구하는 후학들에게 커다란 짐이 되었고, 아직도 그런 상황은 진행중에 있다. 저작의 不在는 추사 연구의 가장 큰 한계로 작용하였고, 편찬된 시문집의 경우에도 수많은 오류 때문에 비판을 받아왔다. 학문세계에 관한 연구는 저작의 확보 없이는 불가능하다. 필자는 묻혀있는 추사의 저작들을 찾아내는 것이야말로 ‘추사학’에서 가장 중요하고 시급한 일이라 여기고 국내외에 있는 公私의 書庫들을 조사하고 개인 소장의 자료들을 찾아다녔다. 이는 추사의 저술을 통해 추사의 학문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이기도 하다. 그 결과 추사 詩學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편저들을 찾아냈다. 또한 금석학 및 고증학, 그리고 경학에 관한 자료와 저작들도 새롭게 발굴해냄으로써 추사학의 연구 범위를 확대시켰다. 아울러 문제가 되고 있는 추사 시문집의 이본도 발굴해냈다. 이본들과 간본과의 면밀한 비교를 통해 보다 명확한 문집을 만들어내는 일은 뒷날의 과제로 남겨둔다.   Chu-Sha Kim, Jeong-Hui(秋史 金正喜) is a master of BukHak(北學) and a gateway of the art and the science of 19th century in Chosun dynasty. But he did not leave many writings although he accomplished the profound scholarship like a towering mountain and a deep ocean(山海崇深). The absence of his writings gave the limit to the research about Chu-Sha, and his complete works have been blamed because of having a lot of mistakes. This is the burden of younger scholors.<BR>  So the discovery of writings which were disappeared, is the most urgent and important task. The present writer looked for the writings of Chu-Sha by searching the public and private libraries and visiting book collectors. This is the first step to understand Chu-Sha and his scholarship which could be only fulfilled through the writings of Chu-Sha. As a result, some writings which say about the poetics, the epigraphy, and a bibliographical study of Chinese classics of Chu-Sha, were recovered. Also different versions of compelte works were revealed. These discoveries extended the category of the study about Chu-Sha. The task of making an authorized edition through comparing the published version with the different version, is left as a following task.

      • KCI등재
      • KCI등재

        신발굴 秋史 金正喜 燕行資料 三種의 의미

        박철상(Park, Chul-sang) 대동한문학회 2020 大東漢文學 Vol.62 No.-

        김정희는 燕行을 통해 北學의 기반을 닦았지만, 그의 연행에 관한 자료는 많지 않다. 자신이 연행록을 남기지 않은 탓도 있지만, 당시 만난 청나라 문사들의 기록 속에서도 김정희 관련 정보가 거의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다행히 김정희가 귀국 당시에 남긴 시를 통해 그의 연경 생활을 짐작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전 연구에서는 시 속에 담긴 의미를 정확히 파악하기 못했다. 필자는 이중에서 阮元과 朱寉年에 대해 언급한 김정희의 詩句에 주목하였다. 이 시구의 이미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김정희의 筆談 자료를 통해 김정희가 연행 당시에 완원의 초상화에 제지를 남겼다는 사실과 그 내용을 처음 소개하였다. 김정희가 題識를 쓴 완원 초상화의 실체는 확인 할 수 없지만, 김정희 연경 활동의 일면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주학년이 그린 <祭硯圖>에 남긴 김정희의 拜觀記를 처음으로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김정희가 연행 이전에 이미 서울에서 결성한 勾竹會 모임에서 주학년의 <勾竹圖>를 감상한 사실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김정희는 이와 관련하여 ‘勾菴’이란 호를 사용하기도 하였고, 그의 서재를 ‘勾竹室’이라 부르기도 한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 Kim Jeonghui(金正喜) has laid the foundation for Qing Dynasty Studies and Art through his travel to Yanjing(燕京), but there is not much data on his travel. It is partly because he did not leave a travel record, but there is little information about Kim Jeonghui in the records of the Qing(淸) Dynasty writers he met at the time. Fortunately, the poem Kim Jeonghui left on his way back to Joseon gave a clue to his life in Yanjing. I noted the phrase that Kim Jeonghui mentioned in the poem about Ruan Yuan(阮元) and Zhu Henian(朱寉年).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is poem, I first reviewed the written conversation left by Kim Jeonghui and the writers of the Qing Dynasty. As a result, I found out for the first time that Kim Jeonghui left a record in Ruan Yuan s portrait during the travel, and I introduced the contents as well. Although it is not possible to see the actual images of the Ruan Yuan portrait that Kim Jeonghui left a record, we were able to see some of Kim Jeonghui s Yanjing activities. Next, I introduced appreciation record(拜觀記) left by Kim Jeonghui on <Jiyantu(祭硯圖)>, which was painted by Zhu Henian. It was confirmed that Kim Jeonghui appreciated the “Gouzhutu(勾竹圖)” of Zhu Henian at an association meeting already formed in Seoul before his travel to Yanjing. I also newly discovered that Kim Jeonghui used the nickname ‘GuAm(勾菴)’ and called his study ‘GuJukSil(勾竹室)’ in this connection.

      • KCI등재

        冊契로 본 17 세기 南人들의 상업출판

        박철상(Park, Chul-sang) 대동한문학회 2017 大東漢文學 Vol.52 No.-

        왕조는 개국 초기부터 출판을 중시했다. 특히 금속활자를 이용한 출판은 조선 왕조가 자랑하는 출판시스템의 핵심이었다. 그러나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그 출판시스템은 붕괴되었고, 학자들조차 서적을 구하기는 힘든 상황이 되고 말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쟁을 치르느라 재정이 파탄에 이른 정부는 출판에 힘을 쏟을 겨를이 없었다. 그러자 훈련도감에서는 목활자를 만들어 책을 인쇄하고 판매도 하였다. 일종의 書肆를 운영한 것이다. 그러자 사대부들도 冊契를 조직하여 서적을 간행하기 시작했다. 책계를 통해 상업출판을 시도한 것이다. 하지만 책계에 관해서는 기록만 남아 있고 실증 적인 자료는 없었다. 이번에 소개하는 계첩 에는 南人들이 만든 책계의 명단과 결성 과정이 담겨 있다. 이를 통해서 책계가 신편휘어 를 간행하여 유통시키기 위해 결성되었으며, 상업출판의 성격을 지닌 조직임을 확인할수 있었다. 책계는 조선후기 출판을 이해하는 중요한 시스템이다. 관 중심의 출판이 상업출판의 성격을 지닌 민간출판으로 그 주체가 변모되어 가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책계는 조선후기 권력자들이 출판의 중심이 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데 아주 중요한 단서가 된다. The Joseon dynasty emphasized publishing from the beginning of the country. Especially, the publication using metal type was the core of the publishing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publishing system collapsed follow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even scholars became hard to find books. Nevertheless, the government, which has suffered financial ruin because of the war, has no desire to concentrate on publishing. Then, Hunryeondogam (訓練都監, military camp that defended capital city during the Joseon dynasty), he made a wooden type and printed and sold books. They operated a kind of bookshop. Then scholarbureaucrat organized the “Chaeggye”(冊契, a social group organized to publish books) and began publishing books. They attempted commercial publishing through this group. However, there was no empirical data on the Chaeggye. This time I introduced the “Gyecheop(契帖)” that contain the members list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Chaeggye” organized by the “Namin(南人, one of the political groups in late Joseon dynasty)”. Through this, we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 Chaeggye was formed to publish and distribute the “Sinpyeonhwieo”(新編彙語) and has the character of commercial publication. The Chaeggye is an important system for understanding the late Joseon dynasty publishing. It can be seen that the government-centered publishing is transforming itself into a private publication with the nature of commercial publishing. In addition, the Chaeggye is a very important clue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by which power becomes a center of publ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