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C.Gounod 의 Opera 「Faust」 와 A.Boito 의 Opera 「Mefistofele」의 비교분석 : Bass Aria를 중심으로

        박창희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샤를 구노(Charles Francois Gounod 1818~1893)의 Opera 「Faust」와 아리고 보이토 (Arrigo Boito 1842~1918) 의 Opera 「Mefistofele」는 독일문학의 최고걸작으로 평가되는 요한 괴테 (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 의 소설 Faust를 배경으로 한 오페라이다. Faust는 괴테가 무려 60여년에 걸쳐 집필한 웅대한 드라마이며 , 그 내용의 전개가 매우 섬세한 작품이다. 이 섬세한 작품을 프랑스의 대표적인 작곡가 구노 와 이탈리아의 유명한 오페라 대본작가 이며 극작가인 동시에 오페라 작곡가이기도한 보이토가 오페라로 만들었다. 보이토는 다른곡은 거의 작곡하지 않았으며 Opera 「Mefistofele」는 그가 완성한 유일한 오페라이기도 하며 현재까지도 자주 공연되는 작품이다. 구노의 Opera 「Faust」는 Faust가 주인공이며 , 보이토의 Opera 「Mefistofele」는 악마 Mefistofele가 주인공이다. 두 작품 모두 악마의역활을 베이스파트가 맡고 있다. Faust위주의 구노의 Opera 「Faust」 와 Mefistofele의 중심으로 전개되는 보이토의 Opera 「Mefistofele」 에서 나라와 성향이 다른 두 작곡가 구노 와 보이토가 같은 소설 괴테의 「Faust」를 어떻게 해석하고 표현했는지를 본 논문은 두 Opera의 Bass Aria 중심으로 비교분석을 하려고 한다. The operas Faust by Charles Francois Gounod (1818~1893) and Mefistofele by Arrigo Boito (1842~1918) are operas based on the novel Faust by Johann Wolfgang von Goethe (1749~1832) Apart from Mefistofele, Arrigo Boito did not compose any other songs. However, Mefistofele is still performed to this day. Faust is a magnificent drama which was delicately written and developed over the course of sixty years. Charles Francois Gounod, a typical French composer, and the playwright Arrigo Boito made this magnificent novel into an opera. Faust and the devil, Mefistofele are well known protagonists in opera. At both work, both the role of the devil in charge of the Mefistofele. In this report, I will compare and analyze 「Faust」and 「Mefistofele」,which although created from the same source material - Goethe's Faust - reveal the tendencies and differences in and between Gounod and Boito and their respective nationalities.

      • 강화된 다중 예측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주식 트레이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intelligent stock trading based on an enhanced multi-prediction network

        박창희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공지능을 이용하지 않은 기존의 주식 투자방법은 기업의 가치, 산업의 가치를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미래를 예측하는 기본적 분석과 차트데이터를 이용하여 과거의 경험으로 미래를 분석하는 기술적 분석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에서 사용하는 지표를 빠르게 진화하고 있는 강화학습 기법과 미래를 예측하는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주식을 바둑이나 체스같은 게임처럼 보상과 학습을 통해 기존의 전문 퀀트투자처럼 높은 수익률을 획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화학습 기법으로는 구글 딥마인드에서 제안한 A3C를 이용하였고, A3C에서 에이전트들이 미래에 대한 가치를 예측하고 에이전트의 행동을 결정하는 정책을 결정함에 있어 예측 네트워크에 딥러닝 네트워크인 DNN, CNN, LSTM을 이용한다. 주로 A3C기법에서 가치 신경망과 정책 신경망에에 단일 인공 신경망을 사용하는 것과 다르게 다중 네트워크에서 나온 가치평균과 정책결정에 있어 투표 기반 앙상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정책을 결정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강화학습과 다중 네트워크의 투표 기반 앙상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인 수익률을 목표로 한다. 사용된 데이터는 변동성이 적은 우량주를 위주를 이용하여 16년치의 데이터를 학습하고 1년 단위의 투자기간을 테스트하여 자산 포토폴리오를 기존 단일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다른 연구와 비교하였다. 강화학습을 이용한 주식트레이드 연구이기 때문에 미래의 주가 예측 정확도 보다는 자산 포토폴리오의 수익률에 초점을 맞추어 성능을 평가했다. 본 연구는 4가지 우량주의 1년 단위 주식정보 중 4가지 주식 형태에 대해 각 10회씩 투자를 진행하여 평균값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기존 시스템 대비 총 수익율도 높았을 뿐 아니라 10회투자의 표준편차또한 적어 더욱 안정적인 성능 향상을 보였다. The existing stock investment method that does not use artificial intelligence is a basic analysis that predicts the future by analyzing the value of a company and industry using financial statements, and a technical analysis that analyzes the future based on past experiences using chart data. In this paper, using the rapidly evolving reinforcement learning technique and deep learning that predicts the future, the indicators used in basic analysis and technical analysis are used to reward and learn stocks like games like Go or chess. As the reinforcement learning method, A3C proposed by Google DeepMind was used. In A3C, agents use deep learning networks such as DNN, CNN, and LSTM for prediction networks to predict future values ​​and determine policies that determine agent behavior.In contrast to using a single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the value neural network and the policy neural network in A3C,propose a policy decision structure using the value average from multiple networks and a vote-based ensemble algorithm for policy decision making. The goal is to produce more stable returns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and multi-network voting-based algorithms. For the data used, 16 years' worth of data was studied using mainly high-quality stocks with low volatility, and an investment period of one year was tested to compare the asset portfolio with other studies using an existing single artificial neural network. Because it is a stock trading study using reinforcement learning, the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focusing on the return of the asset portfolio rather than the accuracy of future stock price prediction. This study compared the average values ​​of 4 stocks by investing 10 times each. As a result, not only the total return rate was higher compared to the existing system, but also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10 investment door further improved performance.

      • 대학캠퍼스 건물의 내부휴게공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중반이후 현상설계 작품을 중심으로

        박창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type of campus facilities varies depending upon their functions. Out of them, campus buildings play a crucial role in education and research. Especially, educational basic facilities and research facilities are most available and used by students and campus personnel. Although intramural rest places of campus building have direct influences on the activities of users, there have been little literatures or studies on them. In addition, it is usual that the rest places on the campus have not been planned until the finished arrangement of major rooms, i.e. there has been lack of consideration about the planning of intramural rest places due to the higher priority of major room planning. In regard of these points, this study addresses a set of new research and lecture buildings as designed recently on the campus, and looks through how the intramural rest places have been addressed in terms of campus planning. Furthermore, the study focuses on analyzing surveyed data to seek for the way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rest places on the campus. For the resolution of question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intramural rest places by the consideration of analysis framework(Space Syntax Model), the conceptual and glossarial summary of rest places and the consideration of design drawing for case buildings(472 rest places around 24 buildings on 7 campuses) according to literatures. Then, it classified intramural rest places into a few categorie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as described above. For the classified data, RA of each rest places was calculated in accordance with Space Syntax Model and the calculated RA values were analyzed. Through these courses, the study searched for the ways to enhance the spatial adjustability(integration, efficiency) of rest places.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be concluded as follows :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to unit type of rest places, it was shown that they were mostly available as open type, followed by semi-open type and outdoor rest places.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sis based on classifying the shape of whole building into traffic lines and nodal points, it was found that the building with 3 or more traffic lines had lower availability than anything else, because it required more nodal points along a little higher complexity and zoning formed at increased nodal points between building masses. Thirdly, as a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rest places on traffic lines, it was found that hall type was most excellent in the level of availability. Fourthly, as a result of analysis according to floor height, it was also found that hall-like open rest places and outdoor places like rooftop garden functioned as a factor to enhance the integration of different spaces. Summing up, these conclusions will help the follow-up studies make spatial creation planning that may enhance the spatial efficiency and availability of intramural rest places on the campus.

      • 폐쇄형 SNS에서 정보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영농기술정보 교류형 밴드를 중심으로

        박창희 국립목포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농업분야에서도 정보교류와 인적 네트워크 활동에 있어서 SNS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EU(유럽연합)와 미국, 중국 등 세계적인 농업 강대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이 속속 체결되면서 국내 농축산물 시장의 세계화가 급속히 진전됐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네이버 밴드와 같은 폐쇄형 SNS에서 해당분야 전문가와 농민 등이 온라인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농산물 품질향상을 위해 영농기술정보를 공유하는 활동이 크게 확산되고 있다. 그런 반면, 정보와 지식은 개인에게 재화와 같은 중요한 자원이자 차별적인 경쟁력이 되기 때문에 타인에게 자신의 소중한 정보를 제공(공유)하는 행위는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니다. 이런 관점에서 많은 연구자들은 왜 SNS에서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자신이 시간과 노력을 들여 얻은 소중한 정보를 타인과 공유하기 위해 자발적으로 나서는지, 그 의도를 구명하기 위해 연구해 왔다. 본 연구는 영농기술정보 공유형 SNS에서 정보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해 영향요인들을 제시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존 정보공유 문헌에서 제시되어 오던 호혜성, 회원간의 신뢰, 이타성, 자기표현 욕구, 이미지 제고성과 같은 요인들은 물론 최근 SNS가 비즈니스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에 착안하여 실용적/헤도닉 관점에서 지각된 유용성과 즐거움을 독립변수로 포함시켜 통합적인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SNS 상에서 네이버 밴드 이용 회원들과 이용경험이 있는 네티즌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해 434부의 유효한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이를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이용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첫째, 지각된 유용성과 즐거움 그리고 호혜성, 이타성은 정보공유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나타났다. 둘째, 이타성, 자기표현 욕구, 이미지 제고성도 즐거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셋째, 이미지 제고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호혜성은 회원간의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도 채택됐다. 하지만 회원간의 신뢰, 자기표현 욕구, 이미지 제고성 요인은 정보공유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해 가설들이 기각됐다. 이번 연구의 이론적 기여는 첫째, 기존의 기술수용모델(TAM) 이론에서 독립변수로 이용되는 지각된 유용성의 개념을 비즈니스적인 관점으로 확장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지각된 유용성을 비즈니스적인 관점에서 조명한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유일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지각된 유용성은 기술수용모델에서 뿐만 아니라 정보공유 의도 요인으로도 매우 중요한 변수임을 밝혀냈다는 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셋째, 폐쇄형 SNS에서 영농정보를 중심으로 공유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연구했다는 점도 의미 있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이 분야에 대한 국내 연구는 아직까지 전무한 실정이다. 넷째, 정보공유 의도는 정보의 질에 따라 공유동기 요인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구명한 점도 의미 있는 연구로 평가할 수 있겠다. 본 연구 결과는 영농기술정보 교류를 위한 농산업 분야 SNS에서 효과적인 정보공유형 밴드의 운영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urrently, Social Network Services(SNS) play an important role in information exchange and human network activity in the field of agriculture. Since the 2000s, following the conclusion of the Free Trade Agreement among global agricultural powerhouses (including the European Unio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he domestic agricultural and livestock industry in Korea rapidly globalized. Because of this, farmers and experts in relevant fields created online communities in closed-type SNS such as Naver Band, where members actively share agricultural technology inform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Information and knowledge, like commodities, are important resources and can provide individuals with differential competitiveness. Hence, it is not natural for individuals to share their own valuable information with others.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studied why community members voluntarily share such information, which they obtained by investing a great deal of time and effort with others on SNS. In this study, we 1) suggest several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tention to share agricultural technology information on SNS and 2)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Noticing that SNS are currently being used as a business tool, we established a research model by including perceived usefulness and enjoyment as independent variables from practical and hedonic perspectives, in addition to the factors suggest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related to information sharing, such as reciprocity, trust among members, altruism, self-presentation desire, and image improvement. For the empirical analysis on the research model, we conducted a survey on SNS among users of Naver Band as well as Internet users who have experience using Naver Band. A total of 434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e conducted a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and a path analys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search model.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ctors such as perceived usefulness, enjoyment, reciprocity, and altruism were proven to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Second, altruism, self-presentation desire, and image improvement also had positive impacts on enjoyment. Third, the hypotheses, one of which assumed that image improvement positively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and another that reciprocity positively affects trust among members, were accepted. However, the hypotheses that assumed that trust among members, self-presentation desire, and image improvement have direct impacts on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were rejected. The present study provides the following theoretical contributions: First, the study expands the concept of perceived usefulness, which was us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in the existing technology acceptance of model (TAM), the broader aspect of business. This study is the only domestic study in Korea that has investigated perceived usefulness from a business aspect. Second, we clarified that perceived usefulness is not only a critical element in TAM but also an influential factor on the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Third, as there are virtually no domestic studies in this field in Korea, examin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to share by focusing on agricultural information in closed-type SNS is meaningful. Fourth, this study showed that the intention to share information can differ according to the quality of the inform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propose a guideline for effectively operating communities on SNS aimed at the exchange of technology and information related to agri-business.

      •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한국 전통춤 형태 연구

        박창희 경성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류의 역사는 문화, 예술 등 모든 영역과 더불어 변모한다. 유사 이래 인간의 춤 역시 변화하고 발전하면서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춤은 인간의 내면과 춤사위라는 외적 표현 장치라는 두 영역을 모두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한 나라의 국민 정서나 기질을 판단하기에 좋은 지표나 척도가 되기도 한다. 그러기에 그 나라 전통 문화예술 중에서도 ‘춤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 나라 과거를 이해하고 현재의 국민성을 헤아리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다. 우리나라 문화와 예술의 역사 가운데서 가장 주목할 수 있는 시기 중에 하나로 18세기 무렵 조선후기를 꼽을 수 있는데, 영·정조의 탕평정책으로 인재의 고른 등용을 통한 정치의 안정과 경제의 발전, 특히 실학의 발흥으로 다양한 사회적 가치의 변화가 실천으로 옮겨지는 사회적 배경이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 주목할 점은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절대적 영향력을 지닌 중국의 그늘에서 벗어나 우리만의 고유한 문화·예술을 독자적으로 창출해 냈으며, 왕을 중심으로 한 소수 특권 계층을 위한 문화가 일반 백성들의 하층 문화와 함께 상호교류하고 다양한 영역에서 접목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오늘날 조선후기의 전반적인 모습을 확인 할 수 있는 자료는 상당히 부족한 편이다. 특히 궁중과 특권층 중심의 기록은 어느 정도 보존되어 있어도 일반 백성의 기록은 상대적으로 많이 부족하기만 하다. 따라서 당시에 유행했던 풍속화를 살펴보는 것은 당시의 다양한 계층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춤의 경우도 마찬가지 인데 특히 궁중정재가 아닌 민간에서 유행한 민속춤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로서 풍속화는 아주 소중한 자료임에 틀림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선후기 풍속화 화가들 중 대표적 화가인 김홍도와 신윤복의 작품을 중심으로 그림 속에 나타난 당시 춤과 오늘날 민속춤 형태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전통춤에서 과도기적인 성격을 지닌 조선후기 춤의 가치와 현재 우리 민속춤에 미친 통시적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김홍도에서 신윤복 작품 순으로 연관성을 살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김홍도의 작품들 중에서 민속춤과의 연관성을 위해 제시한 작품은 「무동」, 「기로세련계도」, 「가두매점」이다. 그리고 작품 속 춤의 형태와 유사점을 찾아 비교하여 연관성을 밝힌 민속춤은 「무동」에서는 ‘탈춤’·‘살풀이춤’·‘승무’, 「기로세련계도」에서는 ‘허튼춤’, 「가두매점」에서는 ‘사당패 놀이’이다. 두 번째 신윤복의 작품들 중에서는 「쌍검대무」, 「무녀신무」, 「납량만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연관성을 밝힌 민속춤은 「쌍검대무」에서는 ‘검무’, 「무녀신무」에서는 ‘무당춤’, 「납량만흥」에서는 ‘한량무’·‘동래학춤’이다. 위에서 제시된 춤 중에서 ‘탈춤’과 ‘검무’ 등과 같이 풍속화가 제작되었던 시기 이전부터 그 형태가 존재했던 춤들은 현재까지의 전승에 있어 18세기 무렵 춤의 형태가 어떠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승무’와 ‘살풀이’ 등과 같이 서구식 극장무대의 생성과 함께 새롭게 등장한 춤들은 그 춤 형태의 근원을 찾아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하지만 ‘사당패 놀이’와 같이 불과 100년 전까지 우리 민중 속에서 유행하던 민속춤이 현재까지 전승되지 못해 그 형태를 찾아 볼 수 없다는 사실은 매우 아쉬운 점이기도 하다. 조선후기의 풍속화 속에 나타난 춤의 양태가 함의(含意)하는 무용사적 가치로서는 첫째, 당시에 성행한 궁중무용과 그동안 기록이라는 측면에서 소외되었던 민속무용을 서로 교차 비교하며 고루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과 둘째, 극장 춤으로서 새롭게 자리 잡은 현재의 전통춤의 형태적 근원을 찾는 데 좋은 준거 자료가 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가 역사를 공부하고 그것을 이해하며 그것으로부터 교훈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은 우리 모두가 그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서 ‘우리만의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의 전통문화 속에 깊숙이 내재되어 있는 전통춤 역시 예외는 아니다. 과거 우리 조상이 향유해 온 춤이 어떻게 현재까지 이어져 왔는가를 알아보는 것은 이 땅에 살았던 과거의 삶과 미래의 삶을 현재 시점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역사적 작업이다. 우리는 현재 18세기 조선후기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고도의 발달된 기술을 갖추고 또한 이의 혜택을 누리고 있다. 이런 기술들을 이용하여 현재 우리 춤을 사진이나 영상 등이 첨부된 정도의 기록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앞으로 좀 더 많은 과거 시대의 기록물이나 흔적들을 찾아 춤의 원형을 재구(再構)하고, 그것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기록하여 미래에 탄생할 문화 형성에 효용성 높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지속가능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history of mankind has changed together with all of areas, such as art, culture, etc. Throughout history, human dances also have changed, developed and come to those of our time. Dances ,which include not only human being’s internal world but also ‘Dance Movement’, the technique of external expression, are important references helping the judgment the emotion or temper of one nation’s people. Therefore, understanding dances shown in the traditional cultures is of a great help to comprehend the past time of the nation and to conjecture the national character of the present time. The late Joseon Dynasty about the 18 century deserves our most attention throughout the entire cultural history. It is because by the ‘Tangpyeong’ policy of King Youngjo and King Jeongjo, the society benefited from the political stability through the appointment talented people and from the economic development. Especially,‘Silhak’.practical science appeared in this period, changed the various social values, put the transferred values into practice, and influenced the whole society positively. The significant features in this period are that the Joseon Dynasty was free from the influence of China and created its own culture and art, which exchanged the culture for the privileged class including King into that for the lower classes, and combined them together as a whole. However, now we have few resources that confirm the entire state of the late Joseon Dynasty. Although the records of the Royal court and the privileged class have been well preserved comparatively, ones of common people have been insufficient. Accordingly, it is a good way to take a look at ‘Genre Paintings’, creating scenes, in order to make sure the state of various classes those days. Likewise, dances are the same. It is certain that ‘Genre Paintings’ are extremely valuable resources, not for the Royal court but for the common people to identify the prevalent folk dances those days. Therefore, this thesis examines that by comparison nowadays folk dancing with dances of the 18 century which were expressed in the paintings by Kim Hong-do and Shin Yoon-bok, the representative Genre painting artists, our folk dancing includes the value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shows a transient phenomenon and the diachronic influence on our present folk dancing. The results of correlations in historical order from works of Kim Hong-do to ones of Shin Yoon-bok are as follows. First, works which are used to show the relation to the folk dancing are “무동 Mu Dong”, dancing child, “기로세련계도 Kirosereongyedo”, the feast painting held in Kaesung in 1804, “가두매점 Ka Do Mae Jeom”, a street stall. The specific folk dancing used to show the relation is “탈춤 Tal Chum”, a masque dance, “살풀이춤 Sal Puli Chum ”, an exorcisement dance, “승무 Seong Mu”, a Buddhist dance, in “무동 Mu Dong”, “허튼춤 He Teon Chum”, an absurd dance, in “기로세련계도 Kirosereongyedo”, and “사당패놀이 Sa Dang Pae Nori”,a troupe of players, in “가두매점 Ka Do Mae Jeom”. Second, works in the paintings of Shin Yoon-bok are “쌍검대무 Ssang Gum Dae Mu”, a dual knives dance, “무녀신무 Mu Nyeo Shin Mu”, a female shaman’s dance for God, and “납량만흥 Nap Ryang Man Heung”, a dance enjoying to cool oneself in the summer breeze. The detailed folk dancing used to reveal the relation is “검무 Gum Mu”, a sword dance, in “쌍검대무 Ssang Gum Dae Mu”, “무당춤 Mu Dang Chum”, a female shaman’s dance, in “무녀신무 Mu Nyeo Shin Mu”, and “한량무 Han Ryang Chum”, a flaneurs’ dance and “동래학춤 Dong Rae Hak Chum”, a crane dance in the region Dong Rae, in “납량만흥 Nap Ryang Man Heung”. Especially, “탈춤 Tal Chum” and “검무 Gum Mu” are the significant proofs to identify how was it that the dance style abut the 18 century was as they had existed before the days when the Genre paintings appeared. The dances which appeared newly with the rise of the western stage style dance, such as “승무 Seong Mu” and “살풀이춤 Sal Puli Chum ”, are good examples to find the origin of the form. However, it is a pity that the source of “사당패놀이 Sa Dang Pae Nori”, cannot be found even if it was prevalent only 100 years ago. The values of dance history in which the style of dance appeared in the Genre Painting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re as follows: First, both the prevalent Royal court dance and the neglected folk dancing are evenly certified in a comparative study. Second, they are the important examples in that the source of modern folk dancing can be traced to the theater dancing as a dance newly settled down. It is certain that we learn the lesson by studying and understanding the history. It is because that all of us can establish ‘our own identity’ in the consequences. Our folk dancing is the same that exists deeply in traditional culture. To trace how the past dance of our ancestors is connected to that of these days is a historic study because of the significance that the past can be connected to the future at this moment. We all live and enjoy ourselves in the technologically developed world that cannot be compared with the late Joseon Dynasty. These technologies can lead us to search more records of the past and to reconstruct the original form of dance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hat the consistent study should be accomplished in order to give a valuable impact on culture formation in the future by versatile analyzing and recording the dances.

      • 안정한 Chlorosilylenoid와 Carbonyl 화합물과의 반응

        박창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Chlorosilylenoid, 3 having the bulky trisyl, tris(trimethylsilyl)methyl group, was synthesized by the reduction of trichlorotrisylsilane, 1 with 2 equiv of LiNaph (lithium naphtalenide) in THF solution at -78 ℃. Chlorosilylenoid which was moderately stable at r.t, was trapped by various trapping agents. Halodilithiosilanes (halogen = Cl, Br) were synthesized by the reduction of trihalotrisylsilane with 4 equiv of LiNaph in THF solution at -78 ℃. These dianions were trapped by chlorotrimethylsilane to give the corresponding trapping products, 18 and 20, respectively.The reactions of silylenoid, 3 with the excess of acetone and acetophenone at -78 ℃ gave the silyl enol ether compounds, 21 and 23, the alkoxysilanes compounds, 22 and 24, respectively. Dioxasilorane 25 was obtained by the reaction of 3 with acetaldehyde in similar conditions above. The reaction of 3 with benzaldehyde gave seven-membered ring compound, 26. The reaction of 3 with carbonyl compounds proceeded with stepwise pathway, silyl anion of silylenoid attacked nucleophilically carbonyl carbon to form oxasilacyclopropane through the cyclization due to the elimination of lithiumchloride. from lithium alkoxide. Oxasilacyclopropane formed was unstable under the reaction conditions to cleave Si-C bond and then followed by rearrangement to give the final products. The reaction of 3 with benzyl produced organolithium species, 27 formed through attacking of silicon to oxygen of benzyl and then followed by 1,3-lithium migration. The species, 27 was trapped by H2O, Me3SiCl, MeOH to give 28, 29, and 30, respectively.As the results of the reactions of 3 with aldehyde, ketone and benzyl, we were able to confirm the ambiphilic properties of the silylenoids. 입체 장애성이 큰 치환체인 trisyl, tris(trimethylsilyl)methyl, 기를 가진 chlorosilylenoid, 3을 -78 ℃에서 trichlorotrisylsilane을 2당량의 LiNaph로 환원시켜 합성하고 다양한 포착제로 포착하였다. 또한 trichlorotrisylsilane과 tribromotrisylsilane을 4당량의 LiNaph로 환원시켜 dilithiosilane을 합성하였고 trichlorotrimethylsilane으로 포착하여 화합물 18 , 20을 얻었다. Silylenoid, 3과 과량의 acetone 또는 acetophenone을 -78 ℃에서 반응 시켰을 때 silyl enol ether 화합물인 21과 23, alkoxysilane 화합물 22와 24가 각각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Silylenoid, 3과 acetaldehyde와 반응 시켰을 때는 dioxasilorane 화합물 25가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benzaldehyde와 반응 시켰을 때는 7-고리 화합물인 생성물 26을 얻었다. Silylenoid 와 carbonyl 화합물의 반응시 stepwise로 반응이 진행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silylenoid가 carbonyl carbon에 친핵 반응을 일으켜 LiCl 제거반응을 거쳐 oxasilacyclopropane이 생성된 후, 불안정한 oxasilacyclopropane이 반응혼합용액에서 개환되고 재배열을 통해 안정한 화합물이 생성되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Chlorosilylenoid와 benzil과 반응 시켰을 때는 새로운 화학종인 organolithium 화합물, 27이 생성되었고 이는 H2O, Me3SiCl, MeOH로 포착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Organolithium 화합물, 27은 silicon의 oxophilicity에 의해서 silicon이 carbonyl 화합물을 먼저 공격한 후 1,3-lithium 이동에 의해서 생성되었다. Chlorosilylenoid와 aldehyde, ketone 그리고 benzyl과의 반응을 통해 silylenoid가 ambiphilic한 반응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정보화와 기업효율성 향상에 대한 기업종사자의 인식에 관한 실증 연구

        박창희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화와 기업효율성 향상에 대한 기업 종사자의 인식에 관한 실증 연구 요 약 기업의 정보화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정보화가 기업이 의도한 대로 효과를 거두고 있는가 하는 점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각에서 기업들이 가지고 있는 정보화에 대한 인식 특히 종업원들이 가지고 있는 의식을 연구해 보고자 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를 보자면 설문조사 응답 기업들이 최근 도입한 정보시스템으로는 업무관련 부분 강화를 위한 경우가 68%, 정보공유 및 종업원교육 등을 위한 경우가 18%, 네트워크정비를 위한 도입이 5% 그리고 시큐리티 강화를 위한 도입이 6% 기타가 3%를 가리키고 있다. 기업들의 정보화에 따른 효과 파악에 있어서 기대수준에 미친다는 응답이 76%,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한다는 응답이 12%, 판단이 되지 않는다는 기업이 12%로 나타나고 있다. 효과판단의 근거로는 내부 판단시스템에 의한 경우가 17%에 달하고 나머지는 이용자들의 의견이나 경영자의 시각으로 판단한다는 응답이다. 정보화 효과가 기대에 부응한다는 응답을 한 기업들의 목표 대비 효과가 대체로 크게 어긋나지는 않는다는 점을 알 수 있으며, 비용절감 효과가 가장 큰 성과로 나타나고 있으며 정보공유나 안정성 확보 등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보화가 기대수준에 미칠 수 있게 된 요인에 대하여 종업원의 적극적 자세, 자질 그리고 조직문화라고 응답한 비율이 62%로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경영층의 지원과 관심이 36%, 그밖에 치밀한 계획 등에 기인한다는 응답이 2%에 달한다. 경영층의 지원과 관심에 기인한다는 응답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회귀분석을 통한 요인분석 결과를 보자면 경영층의 지원과 관심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보화가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한다고 응답한 기업들이 정보화를 통하여 얻고자 했던 부분(목적)은 대부분이 기업의 업무와 직접적 관계가 있는 부분으로 재무회계, 판매관리와 생산관리 등 직접적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부분이었으며, 시큐리티를 보강하고자 했던 기업들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고 있지 못하다는 응답을 하고 있다. 정보화가 기대한 만큼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에 그 원인으로 일차적으로 꼽히는 것은 종업원의 자세와 조직 자체의 문제이며 그 비율은 38%에 머무르고 있고 경영자의 지원과 관심부족이 원인이라는 응답이 19%에 달하고 있다. 대외적 여건변화에서 그 원인을 찾는 응답이 14%에 달하고 있다. 이밖에 부분적으로, 정보화 방향선정 오류, 교육부족, 조직문화, 기술상 결함을 꼽는 소수 응답이(5% 정도의 비율) 있었다. 효과가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다고 응답한 기업들 대부분이 정보화가 부진할 때 대응하여야 할 방안에 대한 준비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은 정보화에 대한 기본적 자세, 예컨대 정보화란 기업이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경쟁력증강의 원천이란 사실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 정보화에 대한 맹신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한국의 기업들은 정보화 강국의 기업에 걸맞는 정보화에 강한 기업들인 것은 자타가 공인하는 바이다. 이렇듯 정보화에 강한 기업들에 있어서도 정보화의 특색 즉 정보화 효과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니 그것은 기업이 정보화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태도에 기인할 수 있다. 정보화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태도란 정보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할 인식하고 있는지 여부 이에 따라 정보화 및 그 효과파악에 합리적으로 대처하고 있는지 여부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본 연구결과는 정보화 효과를 거두는데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는 변수가 경영층의 관심과 지원에 한하여 나타나고 있으나 역으로 우리나라와 같은 기업문화 속에서 경영층의 의지는 기업을 가장 빠르고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정보화가 경영층의 일방적 판단과 추진에 의존하는 단계를 지나 조직적 역량에 의하여 추진되고 평가되며 판단되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인지가 관건이 될 수 있으며, 실제 설문조사 결과가 보여주듯이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세에 따라 효과가 작으나마 달리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업들의 경우 아직 상당수 기업이 정보화 관련 직접적 효과를 높이고자 하는데 치중하고 있으며 정보화 추진 역시 상당수의 기업들이 경영층의 판단과 지원 및 추진에 의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정보화에 대한 자세 역시 지속적 과제로 보는 기업들보다 추진 후 곧바로 효과가 나타날 수 있어야 하는 투자의 일부라고 판단하는 기업들의 수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