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6시그마 기법을 활용한 품질비용시스템 적용사례 연구

        박창선 忠南大學校 産業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necessary to have an objective measure in order to manage the quality in enterprise. In this regard, the quality cost has been highlighted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quality improvement since early 1950s. However, most of the enterprises are doing quality management by mainly focusing on management rather than measuring quality cost. We can find this from that only 33% of enterprises are actually measuring the quality cost and reflect it at company management even though 82% of American enterprises are practicing quality improvement programs. In order to provide the best quality product and service, enterprises are needed to offer right priced product and service through cost saving by eliminating the waste factors in manufacturing process; moreover, to supply products and services in customer request time by shorten lead time as adopting quality management system. That is making the better one should mean cost reducing Enterprises are tends to deal with the matters conspicuous and easy to solve in operating quality cost system. Quality cost varies from types of industry, sizes of organization, and customer request, and also the calculated quality cost ratio. The quality management methods are differed in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differences among enterprises. In this contex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on research and analysis the quality cost management application examples in the fields rather than general manufacturing enterprises. For this, I have put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cases of local electricity firms. As a result that showing differences in step by step operation under 6 sigma,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dicator management and etc., than general manufacturing enterprises, it is expected to help a lot the local enterprises which operating non-manufacturing business to take and manage the quality cost management system. 기업이 품질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면 객관적인 척도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품질비용은 1950년대 초부터 품질개선의 중요한 지표로 강조되어 왔으나 대부분의 기업들은 품질비용을 측정하는 것보다는 관리하는데 치중하여 품질경영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미국 기업들의 82%가 품질개선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지만 그중에서 실제로 품질비용을 산출하여 경영에 반영하고 있는 기업은 33%에 불과하다는 것을 통해 알 수있다. 기업이 최고 품질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조 공정의 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낭비 요소를 제거하여 적절한 가격의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조 시간의 감소로 고객이 요구하는 시간에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하는 품질경영시스템이 도입되어야 한다. 즉 더 좋게 만드는 것이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는 것이다. 품질비용시스템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기업들은 주로 눈에 보이는 그리고 해결하기 쉬운 항목만을 다루는 경향이 있다. 품질비용은 동일 업종 및 조직규모와 고객의 요구에 따라서 항목이 다르고 산출되는 품질비용 비율도 다르다. 기업마다의 특징과 문화의 차이에 의하여 품질관리 방법도 차이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 제조기업이 아닌 다른 분야의 품질비용시스템 적용 사례를 조사·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전력생산기업의 사례를 조사·분석하였다. 그 결과 6시그마 활동을 통한 단계별 운영과 정성적·정량적 지표관리의 방법 등에서 일반 제조업과는 다른 점을 보여주어 비제조분야 사업을 영위하는 국내 기업이 품질비용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는데 있어서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있다.

      • 근로자가 인식하는 리더십 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직무자율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창선 신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autonomy in the effect of the type of leadership recognized by worker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ransaction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and emotional leadership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ere identified as sub-factors of job autonomy. The sampl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789 workers aged 20 or older who worked with bosses across the country for more than six months, focusing o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It was analyzed using SPSS Ver. 25.0 and AMOS 25.0 statistical progra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789 study subjects in this study were “women,” “over 40 to under 50 years old,” “management, office, finance, insurance,” and “four-person households.” Second, among the leadership types recognized by workers, emotional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rd, the type of leadership perceived by workers affects job autonomy in the order of heavy emotional leadership, servant leadership,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among them, emotional leadership has the highest impact on job autonomy. Fourth, job autonom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f job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leadership perceived by workers and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type of leadership perceived by workers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mong them, emotional leadership has the greatest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it is believed that they want leadership with the ability to control their emotions as leaders, form positive relationships through empathy with workers based on morali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ype of leadership partially affects job autonomy. Emotional leadership had the most influence on job autonomy, but transactional leadership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autonomy. Rather than leadership focusing on traditional and external rewards, the higher the members perceive that leaders allow and support organizational members' job autonomy, the higher the autonomous motivation for their jobs and the positiv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dapta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job autonomy affect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ploy carefully to meet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 and maximize individual abilities and ideas, to support one's job development, and to create a working environment and work atmosphere so that the organization can change its open thinking at the same time. Above all, all conditions within the organization need to be changed for the generation that values the balanced value of recent work and life. It is suggested that only then, satisfaction with the job and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can be increased to a higher level and the intention to change jobs can be reduced. Fourth, it was proved that job autonomy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leadership perceived by worke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refore, providing workers with a work environment to develop independence, discretion, and capabilities for workers themselves will achieve higher performance for both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motional leadership recognized by workers among recent leadership type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increasing job autonomy as a variable that can achieve organizational goals and results. Finally, workers in various occupations are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e with the times. However, laws and policies have been delayed in enacting and revising them, and the damage is being suffered by companies, organizations, and workers. Therefore, systematic and preventive legal and policy measures should be presented. In addition, traditional work methods and decision-making due to the global business environment and COVID-19 pendemic have recently changed various work methods and free work environments for job autonomy due to job characteristics. It is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also have careful policy consideration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that fits this change. 본 연구는 근로자가 인식하는 리더십 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자율성이 매개효과의 검증을 위해 수행하였다. 독립변수로는 근로자가 인식하는 리더십의 하위요인으로 거래적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감성적 리더십이며, 종속변수는 조직유효성의 하위요인으로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이고, 매개변인으로 직무자율성의 하위요인으로 업무방식 자율성, 업무환경 자율성으로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서울특별시 및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국의 상사와 6개월 이상 근무한 20세 이상의 789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SPSS Ver. 25.0와 AMO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 789명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여자’이면서 ‘40세이상 ∼ 50세 미만’이고 ‘전문대학’을 졸업하고 ‘경영·사무·금융·보험’이며, ‘4인 가구’로, ‘계약직’의 ‘300만원 미만’의 월 평균 소득으로 ‘5년 이상 ∼ 10년 미만’의 총 경력을 가지고 ‘상사와는 3년 이상 ∼ 5년 미만’의 근무자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근로자가 인식하는 리더십 유형 중 감성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거래적 리더십의 순으로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그 리더십 유형 중 감성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근로자가 인식하는 리더십 유형은 중 감성적 리더십, 서번트 리더십, 변혁적 리더십 순으로 직무자율성에 영향을 미치며, 그중에서도 감성적 리더십이 직무자율성게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자율성은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근로자가 인식하는 리더십 유형과 조직유효성 영향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긍정적인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근로자가 인식하는 리더십 유형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중에서도 감성적 리더십이 가장 조직유효성에 많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점점 리더로서의 감정을 통제하며 성실하게 도덕성을 기반으로 근로자들에게 공감을 통해 긍적적 관계를 형성하고, 새로운 방식과 목표를 제시하는 능력을 갖춘 리더십을 원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리더십 유형은 직무자율성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감성적 리더십이 직무자율성에 가장많은 영향을 미쳤지만, 거래적 리더십은 직무자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 및 외재적 보상을 중점을 두던 리더십 보다는 리더가 조직구성원의 직무자율성을 허용하고 지지한다고 구성원들이 높게 인식할수록 조직구성원들의 직무에 대한 자율적 동기가 높아지고 심리·정서적 적응도 긍정적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직무자율성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직무의 특성에 부합하고 개인의 능력 및 아이디어를 최대한으로 발휘를 할 수 있도록 세심한 직무의 배치가 필요하며, 자신의 직무개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조직의 개방적인 사고의 전환이 동시에 실천 수 있도록 작업환경 및 직장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최근의 일과 삶의 균형적 가치를 중요시 하는 세대들에게 맞는 조직 내 제반 여건들이 변화가 필요하다. 그래야 직무에 대한 만족과 조직에 대한 몰입은 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증진되고 이직의도도 줄어들 수 있음을 제언한다. 넷째, 근로자가 인식하는 리더십 유형과 조직유효성 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은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근로자들에게 조직이 가야하는 목표와 방향을 제시하고 근로자 스스로가 할 수 있도록 독립성과 재량권 및 역량을 개발할 수 있도록 업무환경을 제공한다면 개인과 조직 모두의 더 높은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최근 리더십 유형 중 근로자가 인식하는 감성적 리더십이 조직의 목표와 성과를 이룰 수 있는 변인으로 직무자율성을 증가시켜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을 제언한다. 마지막으로, 시대에 따라 다양한 직종의 직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는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법률 및 정책은 그에 대한 제정 및 개정이 늦어져 그 피해는 기업이나 조직 및 근로자가 받고 있다. 그러므로 체계적이고 예방적인 법률 및 정책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최근 글로벌 경영환경 및 코로나19 펜더믹으로 인한 전통적 업무방식과 의사결정이 직무특성 상 직무자율성에 대한 다양한 업무방식 및 자유로운 업무환경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함 변화에 맞는 조직문화에 정부도 세심한 정책적 배려가 있어야 함을 제언한다.

      • 생물 관찰자료 제시방법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관찰유형 분석

        박창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생물관찰 수업활동에서 관찰자료를 실물자료, 동영상자료, 사진자료로 제시하여 관찰함에 있어 각각의 관찰자료가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라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초등학교 4학년 105명을 대상으로 사슴벌레, 미모사, 금붕어라는 세 가지의 관찰과제를 실물, 동영상, 사진자료로 제시하여 교사의 안내 없이 자유롭게 관찰하고 관찰기록지에 기록하도록 하였으며, 관찰기록을 바탕으로 관찰방법과 관찰대상에 따라 관찰유형을 분석하고 관찰자료 제시방법에 따른 관찰내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관찰방법에 따른 관찰유형으로는 감각기관 사용에 있어 시각관찰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조작의 유무에 따른 관찰유형에서는 조작관찰보다는 단순관찰이 많이 나타났으며, 측정 유무에 따른 관찰유형으로는 정량관찰보다 정성관찰이 많은 빈도수를 나타냈다. 둘째, 관찰대상에 따른 관찰유형을 살펴보면 움직임에 따른 관찰유형에서 살아 움직이는 생물이 관찰대상이므로 형태관찰과 함께 행동관찰이 나타났다. 비교대상 관찰에서는 같은 대상 비교, 다른 대상 비교, 사물비교가 나타났으며, 과거의 경험과 왜곡된 관찰이 간섭적 관찰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관찰자료 제시방법에 따른 관찰항목과 내용을 분석한 결과, 실물자료 관찰은 학생의 다양한 관찰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적합하고 동적대체자료는 조작관찰에 있어 효과적이어서 기구를 사용하여 관찰대상에게 자극을 주어 반응을 살펴보는 관찰학습에 적합하다. 또한 정적대체자료는 관찰대상을 세밀하게 보고 관찰하는 형태관찰에 효과적이며 아주 작은 생물이나 신체부위의 세밀한 관찰에 있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관찰자료 제시방법에 있어 관찰자료가 가지고 있는 한계점이 관찰활동에 있어 간섭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과학적 개념형성에 있어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교사는 관찰자료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수업전략 수립에 있어 학생들의 오개념 형성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ach observational material on the students’ observing activity when they are presented as realia, moving pictures and photographs in the observational learning of creatures. In this study 105 elementary 4th grade students were given three kinds of observation subjects: lucanus, mimosa and gold fish, which were offered in forms of realia, moving pictures, and photographs and they were instructed to observe and record the results on the observation paper freely without a teacher’s guidance. On the basis of these observation records, observational typ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methods and subjects of observation and then it was identified that what influence the method for presenting the observational materials has on observation results. First, the observational types in accordance with observational methods were revealed as follows. (1)A visual sense was used more than all the other senses in the observation. (2)A simple observation was shown more frequently than a manipulated observation. (3)A quantitative observation was more often than a qualitative observation. Secondly, the observational types in accordance with the observation subject were revealed as follows. (1)A movement observation as well as a configuration observation was conducted for the observation subjects were living creatures. (2)The three comparison types were performed in comparative observation: comparison with the same subject, comparison with different subject and comparison with objects. (3)An observation distorted from past experience came out as an interfering observation. Lastly, analysis results on items and contents of observation were as follows. (1)Observing realia was suitable for offering various observation experiences to students. (2)Kinetic material was effective in manipulated observation, so that it was appropriate for the observation learning in which students examine the response of subjects stimulated by some tools. (3)Static material was proper for observing tiny creatures or parts of the body because it allowed the students to observe things in detail. The limitation of observational materials appears as the interference in an observation activity, which may have harmful effect on students’ forming scientific conception. Therefore a teacher ought to learn the features of each observational material well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eaching strategies so that the students may be prevented from forming misconceptions.

      • 노인주거복지시설의 공간구성 programming에 관한 연구 : 양로시설을 중심으로

        박창선 全北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도 2004년부터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8.7%를 넘으면서 고령화사회(aged society)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우리의 경우 소득분배의 불균형으로 고소득층을 위한 유료노인주거시설은 증가하고 있으나, 저소득계층과 농촌지역 노인을 위한 무료양로시설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상생활능력(ADL : Activities of Daily Life)이 가능한 노인을 중심으로, 중소도시 저소득 계층을 위한 무료양로시설의 공간구성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의 방법은 외국의 노인주거시설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고령화가 비교적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전라남, 북도의 양로시설 17개 시설 중 10개 시설에 대한 조사 분석을 하였다. 양로시설에 입주한 노인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였고, 직원에 대한 면담조사를 하였다. 분석의 방법은 SPSS Program의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하였다. 각 단위공간에 대한 면적구성비를 산출하고 공간규모분석을 하였으며, 외국의 유사한 사례를 통한 최소 단위주거의 유형별 평면계획안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주거복지 유형의 제안한다. 노인주거복지시설 이용자의 선택권을 보장함하고 서비스의 제공자와 이용자간 대등한 관계를 정립하고,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켜야 한다. (1) 노인주거복지시설 중 단순 수용보호 위주의 기능보다는 예방기능의 강화, 건강관리 및 유지, 일상생활에 필요한 편의제공, 재활기능을 도모해야 한다. (2) 보건·의료 기능을 보강한 후 노인의료복지시설과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치료와 재활을 보다 강화하여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3) 정책의 우선순위는 무엇보다도 무료양로시설의 보호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저소득층 노인의 최저 생활보장이 되도록 한다. (4) 법·제도적 요인, 인적요인, 물적 자원요인, 환경요인, 서비스 및 프로그램 요인 측면에서 노인주거복지시설의 발전적이고 바람직한 변화로 유도하기 위해서 시설의 다양화, 시설보호 수준의 향상, 직원의 전문화, 지역별 수요 공급계획 수립, 지역사회 중심적 역할 및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 프로그램 운영 등의 시스템이 필요하다. 2. 공간구성 프로그램 및 규모 제안한다. (1) 노인주거시설의 주거를 중심으로 하는 단위공간은 ① 주거의 기본패턴(Cell Pattern)으로 단위주거를 화장실․욕실+ 침실을 기본으로 하는 Cell을 계획하고. B+LDK(공유)형과 BDK+L(공유)형으로 제안한다. ② 주거의 모듬패턴(Group Pattern)은 동년배, 같은 취미그룹, 종교적 그룹 등을 중심으로 모듬을 구성한다. 개인침실 5개와 공유공간을 갖는 5-8인 거주하는 공간으로 제안한다. ③ 주거의 군집패턴(Cluster Pattern)은 모듬이 3개 모여 기본 군집으로 계획되며, 각각 공용 및 매개공간을 공유한다. ④ 주거의 커뮤니티패턴(Community Pattern)은 군집패턴(Cluster Pattern)이 3개 혹은 그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중소도시 혹은 농촌지역에 1개의 시스템으로 작용한다. 3. 3+1+1 의료복지 Network System 제안한다. 건강한 노인이라 할지라도 노화가 진행되면서 노환으로 인한 환자중심의 서비스(patient-centered care)가 필요하다. 커뮤니티패턴에 노인의료복지시설 중 요양시설과 노인전문병원이 계획되어 노인복지 네트워크가 구성되도록 계획할 필요가 있다. 4. 용도지역지구중 노인주거지역 제안한다. 도시계획 용도지구결정 과정에서 노인들의 쾌적한 주거환경을 위하여 중소도시에서 미국과 같이 노인주거지역(Residential Senior Living Zone)을 제안한다. 아울러 이를 위한 사회적, 문화적 정책의 개발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이제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다양한 노인주거공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우리나라의 문화적 전통 및 관습이 외국의 경우와 다름을 인식하고 우리 실정에 맞는 미래 노인주거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아동의 환경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박창선 서울한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s self-control and self-esteem in the process of their environmental, home and school factors influencing their smartphone addiction, so as to prepare measures to reduce their smartphone addiction. The research issues in this research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do children's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their smartphone addiction? Second, do children's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their self-control? Third, do children's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e their self-esteem? Fourth, do children's self-control and self-esteem influence have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ir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smartphone addi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th∼6th graders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area who owned smartphones. Analysis methods in this study were used as follows. Firs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conducted.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was analyzed. Thir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between variables. Four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children's environmental factors, their home environmental factors(parenting method, family support) and their school environmental factors(friend support, teacher support, adaptation to school life) influenced their smartphone addiction. When the parenting method and the family support were positive and accommodative,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was low, and when the parenting method and the family support were negative and carefree,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was high. Of children's school environmental factors, when the friend support and teacher support were friendly and positive, children's smaprtphone addiction was low, and when the friend support and the teacher support were indifferent and passive,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were high. When adaptation to school life was positive and active,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was lowered, and their smartphone addiction was high when their tschool life was passive and negative due to strict rules. Second, the children's environmental factors (parenting method,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teacher support, adaptation to school life) influenced their self-control. Self-control was found to be enhanced by the consistent and positive parenting style, and the friendly, emotional, and social and instrumental support of family, friends and teachers. Children's active school life also enhanced their self-control Third, children's environmental factors(parenting method,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teacher support, adaptation to school life) influenced their self-esteem. The consistent and positive parenting style, and the friendly, emotional, and social and instrumental support of family, friends and teachers, as well as active school life, enhanced children's self-esteem. Fourth, children's self-control and self-esteem had mediating effects on their environmental factors' impact on their smartphone addiction. Children's self-control and self-esteem were high and their smartphone addiction was low when their environmental factors (parenting method, 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teacher suppor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were positive and activ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children's self-control and self-esteem, which can play a mediating role not on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ir smartphone addiction but also in variables,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to prevent their smartphone addiction. In additio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control and self-esteem was highest in the process of the parenting method influencing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among their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if the parenting method is rational and stable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children, self-control and self-esteem are developed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it i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to reduce smartphone addiction. Therefore, if the parenting method is rational and stable among the environmental factors, children's self-control and self-esteem can be developed, and it was thus confirmed a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to reduce their smartphone addi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환경요인인 가정환경요인과 학교환경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가 있는 지를 분석함으로서 스마트폰 중독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환경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아동의 환경요인이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아동의 환경요인이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자기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환경요인과 스마트폰 중독 사이에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특별시 외 일부 수도권 지역의 초등학교에 다니는 4∼6학년 이였고,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는 학생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첫째,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주요변인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했다. 셋째, 변인 간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넷째,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과 소벨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환경요인의 가정환경요인(부모양육방식, 가족지지)과 학교환경요인(친구지지, 교사지지, 학교생활적응)은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양육방식과 가족의 지지가 긍정적이고 수용적 일 때, 스마트폰 중독이 낮았고 부모양육방식과 가족의 지지가 부정적 방임 일 때, 스마트폰 중독이 높게 나타냈다. 아동의 학교환경요인인 친구, 교사의 지지가 친밀하고 적극적 일 때 스마트폰 중독을 낮췄으며, 친구, 교사의 지지가 무관심하거나 소극적 일 때 스마트폰 중독이 높게 나타냈다. 학교생활적응이 적극적이고 능동적이면, 스마트폰 중독을 낮췄고, 엄격한 규칙으로 학교생활이 소극적이고 거부적일 때, 스마트폰 중독이 높게 나타냈다. 둘째, 아동의 환경요인(부모양육방식,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 학교생활적응)은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일관적이고 긍정적인 양육방식과 가족, 친구, 교사의 친밀하고 정서적, 사회적, 도구적 지원을 받으며, 학교에서 능동적인 생활을 하게 되면 자기조절능력이 높아진다고 나타냈다. 셋째, 아동의 환경요인(부모양육방식,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 학교생활적응)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다. 부모의 일관적이고 긍정적인 양육방식과 가족, 친구, 교사의 친밀하고 정서적, 사회적, 도구적 지원을 받으며, 학교에서 능동적인 생활을 하게 되면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냈다. 넷째, 아동의 환경요인이 스마트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있었다. 아동의 환경요인(부모양육방식, 가족지지, 친구지지, 교사지지, 학교생활적응)이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면 자기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고 스마트폰 중독이 낮게 나타냈다. 본 연구는 아동의 환경 요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변인들 간의 매개역할을 할 수 있는 자기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은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임을 밝혔다는 점에 있다. 또한 아동의 환경요인 중 부모양육방식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냈다. 그러므로 아동의 환경적 요인 중에서 부모양육방식이 합리적이고 안정적이면, 자기조절능력과 자아존중감이 발달되고 그로 인해 스마트폰 중독을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변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접촉 및 다문화교육 경험이 다문화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박창선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effect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typ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raining course and experience of contacting multi-culture and experie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by measur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ubjects of this study established to achieve above mentioned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effect do typ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raining course have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Second, what effect does experience of contacting multi-culture have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Third, what effect does experie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have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13 people who attended Korean language teachers training course at university and graduate school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A tool that revised an instrument developed by Cheol Hyun Lee(2013) was used to measure multicultural sensitivity in this study.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survey and on-line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using SPSS program.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verag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bachelor's degree course and non-degree course was higher than that of master's degree course and academic credit bank syste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When it comes to average of sub area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e exclusiveness and practi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groups depending on areas. Typ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raining course do not have effect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overall averag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depending on experience of contacting multi-culture. When it comes to average of sub area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e background knowledge area, multi -culture exclusiveness area, multi-culture practice area and multi-culture knowledge area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Experience of contacting multi-culture has an effect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Third, there was a difference in overall average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depending on experie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When it comes to average of sub area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multi-culture background knowledge area, multi -culture interaction area and multi-culture knowledg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Experie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has an effect on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keyword: would-be Korean language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experience of contacting multi-culture, experience of multi-culture education 본 연구는 예비 한국어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감수성을 측정하여 이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다문화접촉 경험, 다문화교육 경험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은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의 유형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다문화접촉 경험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다문화교육 경험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 소재 대학, 대학원, 대학부설시관에서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에 재학 중인 학생 113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철현(2013)을 수정하여 다문화감수성 측정도구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온라인 설문지와 설문지 병행을 통해 이루어졌고,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t-test, 다변량 분산 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유형은 학사 과정과 비학위과정의 다문화감수성 평균이 석사 과정과 학점은행제 과정보다 높았으나 집단별로 큰 차이를 보이 않았다. 다문화감수성 하위영역 평균에서는 다문화 배타성 영역과 다문화 실천의지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영역에서도 특정한 집단이 높은 것이 아니라 영역에 따라 집단 별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의 유형은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접촉 경험에 따라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 전체 평균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문화감수성 하위영역 평균에서는 다문화 배경지식 영역, 다문화 배타성 영역, 다문화 실천의지 영역, 다문화 지식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다문화접촉 경험은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셋째,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라 예비 한국어교사의 다문화감수성 전체 평균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문화감수성 하위영역 평균에서는 다문화 배경지식 영역, 다문화 상호작용 영역, 다문화 지식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다문화교육 경험은 다문화감수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이 불완전 척수손상환자의 하지 근활성도, 균형, 워커 의존도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박창선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이 불완전 척수손상환자의 하지의 근활성도, 균형,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불완전 척수손상환자 12명을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 6명, 일반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 6명을 각각 12명씩 무작위 배정 한 후 4주간 주 3회 30분간 보행훈련 수행하였다. 훈련 전ㆍ후 표면근전도를 이용하여 양측하지 넙다리곧은근(Rectus femoris), 넙다리두갈래근(Biceps femoris), 중간볼기근(Gluteus medius)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균형능력은 일어나서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보행은 무선 3축 가속계를 이용해 보행속도(Gait velocity), 우측한발거리(Right side step length), 한걸음거리(right side stride length)를 측정하였다. 워커의존도(Walker depnedence)는 체중지지피드백워커에 내장된 힘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종속변수들의 군내 중재 전ㆍ후 변화 및 군간 변화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측 넙다리곧은근(Rectus femoris)은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만 중재 전ㆍ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그룹간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양측 넙다리두갈래근(Biceps femoris)은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만 중재 전ㆍ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왼쪽 넙다리두갈래근(Biceps femoris)에서만 그룹간 비교에서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 그룹이 일반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 그룹보다 변화량의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P<.05). 셋째, 양측 중간볼기근(Gluteus medius)은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에서만 중재 전ㆍ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그룹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일어나서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est)의 변화는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만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일반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 그룹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룹간 비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보행속도(Gait velocity)의 변화는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과 일반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 그룹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훈련 전ㆍ후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과 일반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간의 그룹간 변화량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여섯째, 우측한발거리(Right side step length)의 변화는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훈련 전ㆍ후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과 일반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간의 그룹간 변화량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곱째, 한걸음거리의(Right side stride length) 변화는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과 일반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훈련 전ㆍ후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과 일반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간의 그룹간 변화량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덟째, 워커의존도(Walker dependence)의 변화는 중재 전ㆍ후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과 일반워커를 이용한 그룹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훈련 전ㆍ후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과 일반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그룹간의 그룹간 변화량 비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를 이용한 보행훈련이 불완전 척수손상환자의 하지 근활성도, 균형, 보행, 워커의존도 향상을 위한 중재임을 제안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기간 및 대상자 수를 증가시키고 중재 후 추적 연구를 통한 체중지지 피드백 워커의 효과를 규명하는 다양한 방식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MoS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전기적 특성에서 두께 변화에 따른 주변 효과 연구

        박창선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MoS2, WSe2와 같은 2차원(2-D) 전이 금속 칼코게나이드(TMDs) 재료는 광전자 장치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의 유망한 물질로써 연구되고 있다. 2-D TMDs 물질의 전기적 성능 및 전하 수송 메커니즘은 실제 장치의 구현을 위해 명확하게 규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박리법과 정렬기술을 사용한 패터닝 공정을 사용하여 다양한 채널 두께의 백-게이트 기반의 다층 MoS2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작하였고, 게이트 전압에 따른 드레인 전류의 변화를 대기상태와 진공상태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MoS2 채널에 흡착된 산소 및 물 부자는 MoS2 FET의 전반적인 전기적 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얇은 채널과 두꺼운 채널을 가지는 MoS2 FET에서 전류의 변화를 확인하였고, 특히 대기상태의 산소 및 물분자는 최대 공핍 두께(Dmax)보다 조금 두꺼운 채널의 MoS2 FET의 Ion/Ioff 비율을 크게 변경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FlexPDE를 통한 시뮬레이션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75 K부터 300 K 까지 25 K 단위로 온도를 변화시켜가면서 게이트 전압에 따른 드레인 전류의 특성도 측정하였다. 드레인 전압을 0.1 V로 인가하였을 때, 전반적으로 열이온 확산에 의한 전하 수송이 우세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드레인 전압을 0.5 V로 인가하였을 때, 17 V의 게이트전압 이전에는 열이온 확산에 의한 전하 수송이 우세하지만 17 V 이후의 게이트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는 터널링에 의한 전하 수송이 우세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드레인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소스-드레인 사이의 장벽이 높아지면서 게이트에 의한 MoS2 채널의 밴드 변화로 터널링이 더 잘 일어난 것으로 확인하였다. Semiconducting two-dimensional transition metal dichalcogenides (TMDs) materials, such as MoS2, WSe2, have been investigated for promising applications in optoelectronic devices and field-effect transistors (FETs). Electrical performance and transport mechanisms in 2-D TMDs should be clarified through key electrical parameters for the realization of practical devices. Here, We fabricated back-gated multi-layer MoS2 FETs with various channel thickness by using mechanical exfoliation method and selective patterning process with an alignment technique. Oxygen and water molecules adsorbed on the MoS2 channel significantly affected overall electrical properties of MoS2 FETs. In particular, the molecules under ambient condition changed the Ion/Ioff ratio of multi-layer MoS2 FETs with a thickness equal to maximum depletion width (Dmax). Those results were also verified by numerical simulations. In addition, we observ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while changing the temperature from 175 K to 300 K. When the drain voltage was applied to 0.1 V, it was confirmed that thermionic current was dominant. In contrast, we confirmed that tunneling current dominates after a gate voltage of 17 V when a drain voltage of 0.5 V is appl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