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동친화도시 실현을 위한 공공시설 조성 경향 연구

        박진희 ( Park¸ Jin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아동의 권리를 보장하고 삶의 질을 높여서 아동이 살기 좋은 도시를 실현해야 한다는 당위성은 전 세계적으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으며 각국의 도시가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자체도 아동친화도시의 조성을 선포하며 실천하고 있으며 2013년을 시작으로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받거나 이를 추진 중인 지자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많은 국내 지자체들이 아동친화도시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지자체의 공공시설 조성경향을 파악하고 그 시설의 유형과 조성 내용을 정리하여 아동친화도시의 물리적 인프라 구현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빅카인즈(bigkinds)를 활용하여 국내에서 처음으로 아동친화도시인증을 받은 2013년부터 2020년까지의 신문기사와 그 안에서 언급된 356개의 시설을 추출하였다. 이를 주 이용대상과 지원속성에 따라 거점시설, 보육시설, 돌봄시설, 청소년활동시설, 놀이시설, 교육·체험시설, 문화·체육·의료시설로 분류하여 시기별 추이 및 유형별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공공시설 조성의 전반적인 흐름을 보면 아동친화도시인증을 받은 지자체가 증가한 2017년을 기점으로 시설 수도 증가하였다. 특히 청소년활동시설, 놀이시설에 대한 기사수가 증가하여 놀이와 여가활동에 대한 지원이 많아졌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거점, 보육, 돌봄시설과 같은 복지관련 시설들은 정부의 정책적 방향과 아동친화도시를 구현하고자 하는 지자체의 방향과 부합하여 시설조성이 증가하였다고 볼 수 있다.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협력 하에 마을단위의 보육 및 돌봄체계가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청소년활동시설, 놀이시설은 지자체별로 다양한 형태로 등장을 하는데 시설의 명칭 또한 지자체별로 차별화를 하며 아동친화시설이 지자체 특화시설로 자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공공시설의 조성 방법에 있어서는 물리적 인프라의 확충을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있었다고 판단된다. 내외부의 유휴공간이 활용이 다양화되었으며 생활SOC를 복합화하면서 마을시설에 아동친화시설을 포함시켜 조성하고 있다. 이와 함께 아파트 관리동, 저층부를 활용하여 아동관련시설을 필수적으로 설치하는 방안들이 나타난다. (결론) 본 연구는 신문기사를 활용하여 최근 몇 년간 이루어진 아동친화도시의 전반적 경향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연구의 결과 시설의 유형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유휴시설의 활용 및 생활SOC복합화, 공동주택 공용공간 활용을 통한 양적 확충이 실행이 되고 있음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시설 유형들의 이용도 및 접근성에 대한 질적 연구가 이이었진다면 아동친화도시의 실제적 구현을 위한 근간이 풍부해질 것이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re is a global consensus on the necessity of realizing a city that guarantees children's rights and improves the quality of their lives. Local governments in Korea have declared and practiced the creation of child-friendly cities, and since 2013, the number of local governments receiving child-friendly city certification is continuously increasing. This study aims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realization of the physical infrastructure of a child-friendly city, by identifying trends in the creation of public facilities by local governments in Korea, and arranging the types and contents of the facilities systematically. (Method) This study used BigKinds, a news archive database, to collect newspaper articles, and extracted 356 facilities mentioned in articles from 2013, the first child-friendly city certification in Korea, to 2020. According to the main users and supporting attributes, these were classified as: anchor facilities, infant care facilit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 facilities, youth activity facilities, play facilities, education/experience facilities, and cultural/sports/medical facilities. (Results) According to the main research results, first, the number of mentions of facilities in articles increased from 2017, when the number of local governments that received child-friendly city certification increased. Specifically, the number of articles on youth activity facilities and play facilities increased noticeably. Second, welfare-related facilities, such as anchor, infant care,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 facilities, increased in line with the government's policy direction and the local government's efforts to realize a child-friendly city. Notably, the village-level care system has been expanded under the cooperation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Third, youth activity facilities and play facilities appear in various forms by local government; the names of the facilities are also differentiated. Further, child-friendly facilities are positioned as specialized facilities of local governments. Fourth,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pand the physical infrastructure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method of public facilities. The use of the idle space indoors and outdoors has been diversified, and child-friendly facilities are included in the village facilities, while the living SOC is complexed. At the same time, there are plans to install child-related facilities by using the apartment building management and the lower floors in apartment complexe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the overall trend of child-friendly cities in recent years using newspaper articles. The study found that the types of facilities are diverse, and quantitative expansion is being implemented through the use of idle facilities, living SOC complex, and the use of common space for apartment houses.

      • KCI등재

        설계강우량의 Huff 4분위 방법 다항회귀식에 대한 유의성 검정

        박진희,이재준,이성호,Park, Jinhee,Lee, Jaejoon,Lee, Sungho 한국수자원학회 2018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51 No.3

        수공구조물 설계시 실측 유량의 자료 부족으로 홍수량의 빈도해석 결과보다는 강우자료를 수집하여 강우-유출 관계에 따라 산정된 설계강우량을 이용하여 특정 빈도에 해당하는 설계 홍수량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과거에는 첨두유량 산정을 위하여 합리식과 같은 경험식을 이용하였으나 지속기간이 장기화됨에 따라 실제 사상과는 다른 유출양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확률강우량 시간분포의 정확성이 중요하게 되었다. 현재 실무에서는 설계강우량의 시간분포 방법으로 Huff의 4분위 방법 중 3분위를 사용하고 있으며 분위별 곡선에 대한 회귀식은 지속기간 전반에 걸쳐 정확도가 높은 이유로 6차식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통계 모델링에서는 간결함의 원리에 따라 회귀식이 간결할 필요가 있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에 기초하여 회귀계수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관할 69개 강우관측지점을 대상으로 설계강우량의 시간분포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Huff 4분위 방법의 시간분포 회귀식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기상청 관할 69개 강우관측지점의 Huff 4분위 방법의 시간분포 회귀식의 유의성 검정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4차식까지 회귀계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통계학적으로 Huff의 4분위 방법의 시간분포 회귀식은 4차까지만 고려하여도 무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For the design of hydraulic structures, the design flood discharg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frequency is generally used by using the design storm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ainfall-runoff relationship. In the past, empirical equations such as rational equations were used to calculate the peak flow rate. However, as the duration of rainfall is prolonged, the outflow patterns are different from the actual events, so the accuracy of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the probability rainfall becomes important. In the present work, Huff's quartile method is used for the temporal distribution of rainfall, and the third quartile is generally used. The regression equation for Huff's quadratic curve applies a sixth order polynomial equation because of its high accuracy throughout the duration of rainfall. However, in statistical modeling, the regression equation needs to be concise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simplicity, and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regression coefficient based on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 for regression equation for temporal distribution of the Huff's quartile method, which is used as the temporal distribution method of design rainfall, is conducted for 69 rainfall observation stations under the jurisdiction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the regression equation of the Huff's quartile method can be considered only up to the 4th order polynomial equation, as the regression coefficient is significant in most of the 69 rainfall observation stations.

      • KCI등재

        J도 소재 요양병원 간호사의 폭력피해경험, 반응 및 대처양상 분석

        박진희(Park, Jinhee),유광수(Yoo, Kwang Soo),공은숙(Kong, Eun Suk),장수정(Chang, Soo Jung)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언어적, 신체적, 성폭력 전반에 걸친 폭력피해경험, 반응과 대처 양상을 분석하여, 폭력예방과 대처를 위한 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J도 소재 12개 요양병원 소속 간호사 226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 15일부터 4월 29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하였고,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χ2-test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조사 대상 간호사들 중 126명(55.8%)이 지난 1년간 1회 이상 폭력피해경험이 있었고, 가해자는 65세 이상이 54.6%, 인지 기능 저하 상태가 60.0%였다. 폭력피해 유형으로 언어적 폭력이 가장 많았고(90.5%), 신체적 위협, 신체적 폭력, 성적 폭력 순이었다. 폭력피해경험 후 반응은 정서적 반응 점수(2.8±0.8점)가 가장 높았다. 폭력피해경험 후대처양상은 ‘동료에게 말함’(84.1%), ‘기분이 상하지만 감정을 삭이고 일함’(75.4%) 순이었다. 본 결과들은 요양병원이라는 환경과 입원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폭력예방과 대처를 위한 체계 구축,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교 육의 필요성 및 방안 모색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이에, 폭력예방교육과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대처방법을 찾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iolent experiences, the types of responses to violent experiences, the coping methods among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226 nurses in 12 long-term care hospitals in J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between April 15, 2016 and April 29, 2016.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χ2-test. Of all the respondents, 55.8% had experienced violence in the past 1 year. Of the perpetrators of the violence, 54.6% and 60.0%, were aged 65 and over and had cognitive functional decline,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 type of violence was verbal abuse(90.5%). Following the violent experiences, emotional responses had the highest score(2.8±0.8). The major coping behavior was “told their peers(84.1%)”, followed by “disregarded it and worked although it felt bad(75.4%)”.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ed to establish systems for violence prevention and coping, as well as applicable educational programs, tailored to the circumstances of long-term care hospita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atients.

      • KCI등재후보

        독도 연구의 동향과 성과

        박진희(Park, Jinhee) 동북아역사재단 2018 영토해양연구 Vol.16 No.-

        해방 이후 국내 독도 연구의 최대 성과는 역사학, 국제법, 지리학, 국제정치, 역사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성과가 축적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 연구들은 독도가 한국의 고유영토임을 입증하기 위한 연구 목적을 갖고 있었고, 성과를 거두었다. 이 과정에서 독도연구소가 큰 역할을 하였다. 독도연구소는 영토와 해양 관련 전문 학술지로20 11년 『영토해양연구』를 창간하였다. 이 논문은 『영토해양연구』에 수록된 독도 관련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독도연구소와 『영토해양연구』는 자료 발굴과 실증 연구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독도연구소의 연구원들은 전문성을 토대로 독도에 대한 연구와 자료 발굴에 앞장섰다. 그 결과 독도연구소와 『영토해양연구』가 자리잡는데 기여했다. 독도연구소가 문을 연 지1 0주년을 맞이했다. 그간의 성과를 토대로 독도 연구의 심화와 확장을 위해 ‘기획’ ‘선도’할 수 있도록 독도연구소와 연구원들이 역량을 집중하고 지혜를 모아야 할 때이다. Since Korea’s liberation in 1945, the greatest output of domestic research on Dokdo has been the accumulation of achievements from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y, international law, geography, international politics and history education. This study aimed to prove that Dokdo is an integral part of Korean territory. The goal was fulfilled successfully and the Dokdo Research Institute played a major role in this process. The Dokdo Research Institute launched The Journal of Territorial and Maritime Studies in 2010 as an academic journal for territorial and maritime issues. This paper analyzed research papers on Dokdo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erritorial and Maritime Studies . The Dokdo Research Institute and the journal emphasize the importance of materials discovery and empirical research, while the institute’s researchers who have expertise are at the forefront of Dokdo-related studies. As a result, the Dokdo Research Institute and the journal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The Dokdo Research Institute celebrated its 10th anniversary. It is time for Dokdo researchers to concentrate their capabilities and gather wisdom to “plan” and “lead” studies on the islands.

      • 동적 프로토콜 적합성 시험

        박진희(Jinhee Park),김명철(Myungchul Kim),최지영(Jiyoung Choe),유상조(Sangjo Yoo) 한국정보과학회 2001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28 No.3

        프로토콜 적합성 시험은 프로토콜 명세에 내제되어 있는 애매성으로 인하여 벤더들이 구현한 프로토콜들이 상호운용되지 못하는 경우를 예방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절차이다. 이 시험은 구현한 프로토콜이 프로토콜 명세에 적합하게 구현되어 있는지를 시험하는 것으로 ISO/IEC JTC1을 통해 국제 표준으로 제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 시험 방법은 고정적인 시험 시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시험 결과를 도출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런 문제는 프로토콜 FSM을 구성하는 여러 트랜지션들이 시험 시퀀스에 포함되어 시험 대상 트랜지션의 시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 논문은 동적 적합성 시험 방법 (Dynamic Conformance Test Method: DCTM)을 제안하여 이런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DCTM은 기존의 방법에서와 같은 고정적인 시험 시퀀스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시험 중 동적으로 alternative 경로를 시험 시퀀스로 선택하는 방법으로 기존 적합성 시험 방법보다 fault coverage 면에서 향상된 결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안한 DCTM이 기존 적합성 시험 방법보다 fault coverage가 향상된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시험 도구를 개발하여 TCP 프로토콜에 적용하여 본다. Protocol conformance test is used to promote interoperability of protocol implementatons developed by venders. Non-interoperability between protocol implementations may be caused by ambiguity and/or misinterpretation of the protocol specifications by vendors. Conventional method on protocol conformance test has been standardized by ISO/IEC JTC1 with the purpose of whether a protocol implementation conforms to its specification. However, sometimes the conventional method gives wrong test results because the test is based on static test sequences. This problem is caused by the fact as some failed transitions of a protocol FSM included in test sequences have an effect on the test result of transitions to be tested. In this paper, a new approach called Dynamic Conformance Test Method (DCTM) is proposed to solve this problem. DCTM dynamically selects test sequence durng testing depending on an information showing an alternative path without failed tranistions. As a result, the fault coverage of the DCTM is bett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test metho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fault coverage of DCTM compared to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a testing tool is implemented and appied to the TCP protocol.

      • KCI등재

        3차원 입체영상 공간의 시지각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진희(Park Jinhee)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1

        우리는 항상 공간 속에 존재한다. 인간은 어떤 순간이든 공간과의 연계에 유기적으로 반응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공간요소들을 지각하고 재구성하여 공간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형성하게 된다. 입체영상은 시청자들의 생활패턴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평면이 아닌 입체감을 가지고 인간의 오감을 자극하는 입체영상의 출현은 감각의 확장을 통해 인간의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을 더욱 강화시킬 것이다. 이러한 입체영상 공간은 3차원의 현실을 2차원의 평면 영상으로 재현하는 과정에서 공간은 다른 성질의 것으로 변환된다. 입체영상에 대한 개발과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입체영상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기초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3차원의 현실을 재현한 입체영상 공간의 시지각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Our life is completely tied to the space. We always communicate with the space by perceiving and reorganizing the components of the space. The emergence of 3D stereoscopic image is expected to have a great effect on our life. Instead of 2D flat image the 3D stereoscopic image enforces our visual communication capability due to its power of stimulating our sensory organ. The characteristics of 3D stereoscopic image are changed in the course of the conversion of 3D image into 2D im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ived space shown in the 3D stereoscopic image an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3D cyberspace.

      • KCI등재

        입체영상에서 형태가 시각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

        박진희(Park Jinhee)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2

        최근 차세대 새로운 테크날로지로 많은 관심을 얻고 있는 입체영상은 우리의 영상문화를 한 차원 더 업그레이드시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입체영상에서 형태 구성요소가 관람자의 시각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함으로써 입체영상을 향한 기초적인 연구가 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입체영상에서는 비대칭의 형태가 평면영상에서는 대칭의 형태가 더 큰 주의를 끄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입체영상의 경우는 복잡한 것을 선택한 빈도수가 더 높은 반면에 평면영상에서는 덜 복잡한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복잡성에 따른 선택빈도 차이는 입체영상일 때가 더 컸다. 형의 종류에 있어서는 입체와 평면영상 모두 부드러운 곡선을 가진 원의 형태보다 날카로운 직선과 역동적인 사선으로 조합된 삼각형이 보다 시각적 자극이 큼을 알 수 있었다. With the rise of development and investment in 3D technology the needs for research on the visual effect of stereoscopic images increase as well as the needs for various related fundamental stud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ddress the question which came out of curiosity-what kind of effects does a person's own and active visual attention which selectively perceives detached objects have on a new visual perceptive space created by digital technology? Therefore I would like to study on the influence of shape elements on visual attention in Stereoscopic Images. In the tests on shape it was found that asymmetric shapes usually get more attention in stereoscopic images while it is symmetric shapes that were more attractive in plane images. In addition complex forms were selected more frequently for stereoscopic images which also showed a contrast to the cases of plane images in which less complex forms were preferred. The frequency of selection based on complexity was greater for stereoscopic images. As for the type of shapes it was found that a triangle a combination of sharp lines and dynamic slant lines prevail over circles which have smoother feelings from curves in getting visual attention

      • KCI등재

        입체영상에서 색채 구성요소가 시각적 주의에 미치는 영향

        박진희(Park Jinhee)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1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은 맥락단서에 의해 2차원의 눈으로 3차원 세계를 바라보던 인간의 시지각과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표현방식에 많은 가능성을 제공하였다. 특히 가상공간 재현의 기술은 인류문명이 시작된 이래로 우리에게 처음으로 대안적 경험세계를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하였다. 미래의 영상기술은 보다 많은 정보 즉 눈과 귀만의 정보가 아닌 입체감과 현실감이라는 느낌의 정보까지도 포함한 입체영상 정보를 요구하게 됨에 따라 3차원의 입체적 현실재현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영상매체에서는 다양한 시각적 이미지들이 혼합되어 경쟁적으로 화면 디스플레이에 움직임과 함께 제시되기 때문에'주의'에 의한 선택적 지각의 영향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지털 테크놀로지에 의해 형성된 새로운 시지각 공간인 입체영상에서 지각적으로 분리된 대상을 선택적으로 지각하는 인간의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시각적 주의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호기심으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실험결과 저파장보다 고파장의 색상이 저명도보다 고명도가 그리고 저채도보다 고채도가 시각적 주의의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배경색에 관계없이 Red가 주의를 가장 많이 끌었고 Blue와 Yellow는 배경색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배경색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고명도가 저명도보다 더 큰 주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배경색이 어두울수록 고명도가 배경색이 밝을수록 저명도가 더 큰 주의를 끌었다. 배경색에 관계없이 고채도가 주의를 가장 크게 끌었고 중간톤인 회색배경이 흰색이나 흑색의 배경인 경우보다 고채도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았다. 마지막으로 고명도/고채도의 교합이 가장 큰 주의를 끄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가 아직 시작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한국의 3D 입체영상 제작의 기초자료로 이용되기 바라며 효과적인 시각적 표현을 위한 입체영상의 제작과 기획에 이러한 분석방법을 기초단계에서 적용함으로써 높은 활용 가능성을 거둘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stereoscopic media offer a variety of visual images along with the movements on the screen display "attention" came to have greater influence on selective percep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ddress the question which came out of curiosity-what kind of effects does a person's own and active visual attention which selectively perceives detached objects have on a new visual perceptive space created by digital technology? Results from colors indicated that colors with high wavelength bright and high-saturation colors catch more visual attention. Red was found to attract most attention regardless of the background color. Regardless of the background brighter colors were generally more effective in gaining attention than dark colors. But the darker the background is the more attention bright colors tend to gain while dark colors gained more attention when the background is brighter. In terms of saturation high-saturation colors are always stronger in gaining attention; gray the mid-saturation color was affected by the colors with high saturation most compared to other cases when background was white or black. Lastly the combination of high-brightness and high-saturation colors was found to be most effective in attracting one's atten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중심교육과정 실행역량과 디지털 역량의 관계에서 반성적 사고의 매개효과

        박진희(Jinhee Park),손원경(Wonkyoung Son) 한국보육지원학회 202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20 No.1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flective thin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and their digital competences.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30 early childhood teacher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Process macro model 4 were performed using SPSS 28.0 and The Process macro 4.1.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outlined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overall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reflective thinking, and digital competences, including each of their respective sub-factors. Second, the study revealed that reflective thinking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and digital competences. Conclusion/Implications: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when reflective thinking mediated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digital competences were further increased. The findings suggest that not only positive play-based curriculum implementation competences of teachers but also reflective thinking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digital compet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