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일본사회에 대한 문화인류학적 연구 검토 -1990년대 이후의 민족지(Ethnography)를 중심으로

        박지환 ( Jee Hwan Park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지역과 세계 Vol.39 No.2

        이 논문은 현대 일본사회의 가족, 학교, 회사라는 세 가지 제도 내에 존재하는 내적 다양성과 그것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형을 영미권의 문화인류학자들이 어떤 식으로 포착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후 일본사회는 대다수의 사람들이 스스로를 중산 층이라고 생각하는 총중류사회(總中流社會)였다. 이를 뒷받침했던 것은 종신고용을 통해 가족의 복지까지 책임지는 회사, 성별분업에 근거한 가족, 그리고 회사로의 연결고리 역할을 수행하는 학교라는 세가지 핵심적인 제도가 안정적으로 구조화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90년대 이후, 이 세 가지 제도 간의 기능적 연계가 흔들리기 시작하면서 총중류사회 일본이라는 관점이 현실성을 잃게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현대 일본사회를 연구하는 문화인류학자들이 이상과 같은 변화를 어떤 식으로 이해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1990년 대 이후 가족, 학교, 회사를 주제로 영미권에서 출판된 민족지 (Ethnography)를 검토하고자 한다. 민족지에 대한 리뷰 결과를 간단히 요약하면, 2000년대 이후 격차사회론-일본이 불평등한 국가가 되었다는 담론-이 유행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 일본사회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는 구조적으로 변화된 부분과 변하지 않고 지속되고 있는 지점을 동시에 포착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how cultural anthropologists in the West have understood internal diversities and structural transformations of family, schooling and company in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Postwar Japan is an all middle class society, in which 90 percent of the Japanese believe that they are a member of middle class. This belief has been supported by the core systems such as the family, school, and company. Since the 1990s, however, the functional linkage of these three systems has been broken, thereby shaking the belief in Japan as an all middle class society. Reviewing the ethnography which has been published in English since the 1990s, this paper intends to illuminate cultural anthropological explorations of the transformations in the family, schooling, and work in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Even though a discourse of divided society became influential in the 2000s, this review of ethnographic research demonstrates the fact that cultural anthropologists points the continuity as well as the change in the three core systems of Japanese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현대 일본사회의 중·고등학교 이행기를 둘러싼 사회문화적 변화에 대한 연구

        박지환(Jee Hwan Park)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1 비교문화연구 Vol.17 No.2

        This paper aims to examin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in which Japanese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conduct career guidance and make career choice respectively, thereby understanding why in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children`s class backgrounds may correspond to the rank of high schools to which they advance. To do so, the second section in this paper explores how since the late 1990s, high school reforms in Osaka have intensified high school stratification in the name of individual choices and diversity. Then, the third section goes back to the 1970s-1980s when middle school teachers in several cities of Osaka led an educational movement to change the high school structure, only to fail. This failed movement suggests that middle school as an institution has lost its authority over students and parents, and that there are no social forces to abolish the high school hierarchy. The fourth section describes a subtle change in the cultural model of learning in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The emergence of a cultural model, which prioritizes habit over effort for learning, hints the increasing effect of family background on academic achievement and attainment, and social differentiations of effort in the society. Thus, I find that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which middle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face today have changed to the extent that family backgrounds may shape the educational transition from middle to high school even more than before.

      • KCI등재

        동일본대지진 이후 일본의 사회운동 -"아마추어의 반란"의 탈원전 데모를 중심으로-

        박지환 ( Jee Hwan Park ) 현대일본학회 2012 日本硏究論叢 Vol.36 No.-

        이 논문은 동일본대지진 이후 일본에서 전개되고 있는 탈원전 데모를 가능하게 한 요인과 탈원전 데모가 갖고 있는 사회문화적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들어 트위터나 페이스북과 같이 인터넷에 기반한 소셜 미디어가 사회운동에 미치는 영 향에 주목하는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소셜 미디어를 사회운동의 조직에 필요한 수단 이상으로 평가하는 것은 일종의 기술결정론에 빠질 위험성이 있다. 도쿄 고엔지 지역을 근거로 중고품 가게를 운영하며 동시에 문화운동을 벌이고 있는, ``아마추어의 반 란``(素人の亂)이 동일본대지진 이후 전개해 온 탈원전 데모를 보더라도 이러한 점을 확 인할 수 있다. ``아마추어의 반란``이 대규모 탈원전 데모를 개최하는 데 소셜 미디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러한 데모가 가능했던 것은 고엔지 지역에 축적 된 역사적, 정치적, 문화적 자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고엔지는 전후 원수폭금지운동(原 水爆禁止運動)의 발상지고, 1990년대 이후 좌파 문화운동가의 집결지이기도 했으며, 록 음악이나 미술과 같은 문화예술활동을 하는 젊은이들이 모이는 곳이다. ``아마추어의 반 란``은 지역의 이러한 인적, 정치적, 문화적 자원을 이용해 사운드 데모라는 새로운 형식 의 집회를 성공적으로 조직할 수 있었던 것이다. ``아마추어의 반란``은 동일본대지진 이후 제일 처음으로 탈원전을 사회적 의제로 올려 놓고, 탈원전 운동에 새로운 참여자들, 특히 불안정한 고용상태에 있는 젊은층을 동원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아직 좌우의 정치 적 대립을 아우르는 새로운 공론장을 만들어냈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마추어의 반란``의 탈원전 데모는 1990년대 이후 일본사회의 공론장의 중심이 대학에 근거한 전통적인 지식인으로부터 거리에서 현실문제에 직접 부딪히고 있는 문화예술운 동가 집단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on what conditions anti nuclear demonstrations could take place after the Great East Japan Earthquake, and what they mean for Japanese society.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increasing discussions on the effect of social media such as twitter and facebook on social movements. However, it is likely to overestimate its political effect as if it is more than a tool for mobilizing the population for social movements. That is the case with Anti nuclear power demonstrations of ``Amateur`s Revolt``, which is a network of cultural activists who run secondhand shops in Koenji, Tokyo. ``Amateur`s Revolt`` actively used social media to hold a large size of demonstrations. However, such demonstrations were made possible by historical, political, and cultural resources in Koenji. Koenji is a startin g point of anti nuclear weapon movements in postwar Japan, a hub of the lefts in the 1990s, and a collective place for young people, particularly musicians and artists. ``Amateur`s Revolt`` mobilized such local resources, thereby creating a new form of demonstrations called as "sound demonstrations." It first set "stopping nuclear power plants" as a social agenda, and successfully encouraged young people, of whom employment may be unstable, to attend the demonstrations. ``Amateur`s Revolt`` failed to create a new public sphere in which the political opposition between the right ant the left is overcome. Nevertheless, the successful demonstrations of ``Amateur`s Revolt`` suggest that the axis of the public sphere in Japan has moved from traditional intellectuals in university to cultural artists-activists on the street since the 1990s.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독일 역사주의와 프란츠 보아스 (Franz Boas)의 역사적 방법

        박지환 ( Park Jee-hwan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지역과 세계 Vol.40 No.3

        이 논문의 19세기 독일 역사주의와 미국 문화인류학의 토대를 정립한 인류학자인 프란츠 보아스의 연구방법 사이의 연속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세기 독일 역사주의는 그 내적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전체와 부분의 체계를 논리적 기반으로 삼고 있다는 점, 개체의 다양성을 주장하며 현실은 역사적으로만 이해될 수 있다는 주장, 그리고 역사는 유의미한 과정이고 그 속에는 형이상학적인 실체가 전제되어 있다는 가정을 공유하고 있다. 프란츠 보아스는 독일에서 미국으로 이주하기 전까지 이러한 학풍으로부터 크게 영향을 받았고, 이런 학문적 지향은 미국 문화인류학의 방향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프란츠 보아스는 19세기 독일 역사주의적 사고를 바탕으로 20세기 초까지 인류학에서 풍미하던 진화론적 접근을 비판했다. 그러나 역사주의적 전통의 관념론적 경향 때문에, 보아스는 문화를 외부적 요인을 여과하는 집단심리적 실체로 간주함으로써, 역사적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을 실행하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문화인류학적 접근을 통해 역사적 변형(變形)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문화체계의 변형 가능성이 내포된 방식으로 문화 개념을 재정의 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erman historicism in the 19th century and the historical method of Franz Boas, who is the founder of cultural anthropology in the United States. Despite diversities within German historicism, it shares the following aspects: it is based upon the logics of partiality and totality; it regards life as a historical product; it presupposes a metaphysical reality through which history becomes meaningful. Since Boas had been trained in this academic tradition before he migrated from Germany to the United States, his ways of thinking shaped the foundation and direction of cultural anthropology which just started to become one of the modern academic disciplines in the early 20th century. Particularly, influenced by this intellectual tradition, he criticized evolutionism, which was the dominant approach to history in anthropology at that time. At the same time, as the researchers in the German historicism did, so he regarded culture as a psychological mechanism through which external influences were filtered. As a result, he could not fully examine historical processes. Thus, this paper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at an anthropological analysis of history may become static if the concept of culture does not allow the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s in cultural system.

      • KCI등재

        불안정과 재미의 정치

        박지환(Park, Jee-Hwa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과학연구 Vol.0 No.35

        이 논문은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활성화된 탈원전 데모의 양상과 한계를 2000년대 일본사회의 시위문화라는 맥락에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일본은 “데모를 할 수 있는 사회”가 되었다. 1970년대 이후 데모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 때문에 대중적인 데모가 사실상 사라졌던 일본사회에서 수십만 명이 참여하는 탈원전 데모가 일어날 수 있었던 것은 원전사고라는 위기에서 즉각적으로 도출된 결과가 아니다. 불안정한 사회적 조건을 정치적 변화의 계기로 전환시킬 수 있는 문화적 실천의 형식이 존재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화적 형식 중 하나로서 사운드데모라는 새로운 시위방식에 주목한다. 사운드데모는 음향설비를 트럭 뒤에 싣고 DJ나 밴드가 거기에 탑승해 큰 음량으로 음악을 틀어 시위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축제 스타일의 시위이다. 사운드데모는 2003년 이라크 전쟁 반대운동에서 비롯되어, 2005년경에는 비정규직 청년노동운동과 지역문화운동에까지 확산되었고, 2011년 이후 탈원전 데모가 활성화되는 데 기폭제와 같은 역할을 했다. 따라서 2000년대 일본의 새로운 시위문화는 재미라는 요소를 사회운동에 재도입함으로써, 일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형태의 불안정을 정치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탈원전 데모 참여자들이 느끼는 즐거움은 단지 축제 스타일의 데모에서만 비롯된 것이 아니라 데모에 참여함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공유할 수 있다는 데서 유래한다. 이런 사실은 탈원전운동의 성공요인이자 동시에 제약요인이다. 왜냐하면, 재미라는 요소는 종래의 폭력적인 데모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불식하고 일반시민을 정치에 동원하는 요인이지만, 데모에서 폭력의 가능성을 근원적으로 배제한 채 자기위안에만 빠질 수 있는 원인도 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재미의 정치가 비폭력 무저항으로 귀결된다면, 탈원전 데모가 일본정부의 에너지 정책 결정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late the development of and the limitations in Post-Fukushima anti nuclear movements to a culture of demonstration in 21st century Japan. Japanese society has come to be able to hold demonstrations since the Fukushima Nuclear Plant Disaster. In the society where mass demonstrations had disappeared and been stigmatized as violent, the Disaster did not automatically made it possible for people to participate in anti nuclear movements. Their participation was possible on the condition that there was a form of cultural practices through which precarity could be politicized. This paper focuses on sound demonstration as one of such cultural practices. Sound demonstration is a way of demonstration in which DJs and musicians put sound systems on the vehicle and play musics in a high pitch of sound. It originated from anti war movements in 2003, and spread to freeter union movements and local-cultural movements. Finally, it played a pivotal role in provoking anti nuclear demonstrations in the Post-Fukushima Japan. It can be said that a culture of demonstration in 21st century Japan reintroduced the factor of play into social movements, thereby contributing to politicize various forms of precarity. Participating in the anti nuclear demonstrations, people feel free to speak and share what they think about nuclear issues, through which they get pleased. However, this is a success and failure of the demonstrations. While the politics of play eradicated the negative image of violence from demonstration and mobilized ordinary people to attend it, it could end up with a sort of self-consolation and self-satisfaction by categorically excluding a possibility of violence out of it. Therefore, since the politics of play may become a non-violence and non-resistance, anti nuclear movements could have limited political effects on the future directions of energy policy in Japan.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지방자치단체에 의한 취업지원정책과 그 의의 : 오사카부·도요나카시의 사례

        박지환 ( Jee-hwan Park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7 일본공간 Vol.22 No.-

        이 논문은 2000년대 이후 일본의 지방자치단체가 실시해온 취업지원정책의 변화를 검토하고 그 속에 담긴 사회적, 정책적 함의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오사카부는 2001년부터 취업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에 대한 상담, 훈련, 직업소개를 포괄하는 지원제도인 지역취업지원사업을 모든 기초자치단체에 도입하기 시작했다. 도요나카시는 이 제도의 도입을 계기로 취업곤란자의 상황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 이들을 위한 지원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 도요나카시의 취업지원정책이 갖는 가장 큰 특징은 취업곤란자에게 단순히 일자리를 알선하는 것이 아니라 복지제도 등에 의존하면서도 일을 할 수 있는 고용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취업지원정책으로 본다는 점이다. 이 사례는 2015년에 일본정부가 도입한 생활곤궁자자립지원제도가 어떤 효과를 낼 수 있을지를 시사하는 것과 동시에, 현재 일본사회가 지향하는 자립과 노동의 사회적 함의를 여실히 보여준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employment support policies in Osaka Prefecture and Toyonaka City and to examine their significance. Since 2001 the Prefecture has introduced Local Employment Support Program to all local governments in the province, thereby promoting the consultation, training and job placement for needy people. In so doing, the City came to know on what condition the needy in the local community have been, and began to implement several employment support programs. The City has tried to not only place the unemployed to a job but also to let them work with some assistance from the local government as well as the workplace where they are employed. This case study suggests what effects the new system for the self-support of needy person by Japanese government may have and what significances this form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may have in the social significance of self-help and work.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