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ll Human Kind Sinned Against Me": Frankenstein's Monster Talks Back

        Joohyun Park(박주현) 한국영미어문학회 2010 영미어문학 Vol.- No.94

        In Frankenstein, Mary Shelley elaborates on how ‘monsters’ are made and examines how Frankenstein and the society at large coerce the unnamed creature to become a monster. Throughout the novel, Shelley deals with how an identity is given by the society. The creature himself is employed as the narrator who speaks against the arguments of his creator. While Frankenstein believes that innate evilness of his creation would only harm humankind, the creature counter argues by pointing out that his 'evil' conducts are merely consequential outcome of people's malicious attitude towards the Other. The creature’' s narrative exposes the injustice of the majority that excludes racial Others with different physicalities, and also encourages the readers to sympathize with the displaced Other. Although Frankenstein is reluctant t。 admit it, his violent reaction towards the creation he had once cherished derives from his fear of the Other's subjectivity. He finds the gaze of the creature terribly threatening, for the gaze forces him to recognize the creature's agency. Frankenstein's refusal to accept the creature as a subject leads him to abort the female mate he had been working on for the creature, and after this abortion, the devastated creature transforms into the ’monster' of Frankenstein’s nightmares

      • KCI등재

        실감 콘텐츠의 체험적 특성 요소에 관한 연구 - HMD와 3면 Virtual Reality Surround-Screen Projection System을 중심으로 -

        박주현 ( Park Joohyun ),한정엽 ( Han Jungyeub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가상현실의 실감 콘텐츠 오프라인 체험은 이용자가 많은 전시장이나 다중이용시설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실감 콘텐츠 체험환경의 구축은 콘텐츠의 체험적 특성과 설치환경에 따라 적절한 매체의 선택이 필요하다. CAVE(Cave Automatic Virtual Environment) System 형태의 3면 가상현실 서라운드 스크린 프로젝션 시스템(Virtual Reality Surround -Screen Projection System)은 여러 명의 이용자가 동시에 사용하는 매체이다. 스크린으로 둘러싼 방에 사용자가 진입하여 전신이 몰입(Full Body Immersion)되는 구조이며 별도의 장치를 착용하지 않는다. HMD(Head Mounted Display) 형태는 사용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과정이 있는 매체이다. 본 연구는 실감 콘텐츠 체험 매체인 HMD와 가상현실 서라운드 스크린 프로젝션 시스템을 평가하기 위한 체험적 특성 요소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매체에서 상관도가 높은 체험적 특성 요소를 도출하여 매체를 평가할 항목을 제시했다. (연구방법) 분석모델은 두 체험 매체의 장치적 특성에 따른 체험적 특성 요소를 분석하여 분류했다. 가상현실 사용자 경험의 해외사례와 국내 사례의 선행 연구를 조사하여 평가항목의 요소를 도출하여 정리했다. 본 연구에서는 HMD와 가상현실 서라운드 스크린 프로젝션 시스템의 장치적 특성을 중심으로 가상현실의 체험적 특성의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두 매체의 각각 평가할 항목을 분류하여 체험적 특성 요소를 도출했다. (결과) 이에 본 연구에서는 HMD와 가상현실 서라운드 스크린 프로젝션 시스템의 체험적 특성 요소를 제시하여 실감 콘텐츠에 적절한 매체를 평가하도록 제시한다. 가상현실 실감 콘텐츠의 확대와 가상현실 체험의 대중화에 따라 다중이용시설을 포함한 현실의 체험 공간의 확대가 기대되며, 이에 따라 가상현실 서라운드 스크린 프로젝션 시스템의 새로운 시장의 확대가 예상되고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두 매체의 비교를 위한 체험적 특성의 분석 요소를 제공한다. (결론) 가상현실의 시장 확대는 다양한 체험 매체에 대한 관련분야 연구자와 현장 전문가의 평가 필요성이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의 체험에서 사용자가 착용하는 HMD와 장치의 착용 없이 다수가 동시에 체험하는 가상현실 서라운드 스크린 프로젝션 시스템의 두 매체의 체험적 특성 요소를 제시하여 매체의 체험적 특성 평가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offline experience of virtual reality's immersive content is being organized in exhibition halls or multi-use facilities frequented by many users. In order to build a realistic content experience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select an appropriate medium according to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 and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 3-sided Virtual Reality Surround-Screen Projection System in the form of a CAVE (Cave Automatic Virtual Environment) is a medium that can be used by multiple users simultaneously. It is a structure in which the user enters the room surrounded by the screen and immerses the whole body (Full Body Immersion), and does not wear a separate device. The HMD (Head Mounted Display) type is a medium in which the user wears it on the head. This study aims to present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for evaluating HMD, a medium for experiencing immersive content, and a Virtual Reality Surround-Screen Projection System. Therefore, in this study, items to evaluate the media were presented by deriving experiential characteristic elements with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two media. (Method) The analysis model examined and classified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 elements according to the device characteristics of the two media. Prior studies of overseas and domestic cases of virtual reality user experience were investigated, and elements of evaluation items were derived and organized. In this study,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elements were derived by classifying the items to be evaluated in each of the two media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on th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focusing on the device characteristics of a HMD and Virtual Reality Surround-Screen Projection System. (Results) Accordingly, in this study, experiential characteristic elements of HMD and Virtual Reality Surround-Screen Projection System are presented to evaluate media suitable for immersive content, so that it is possible to evaluate the experiential medium according to the contents. With the expansion of virtual reality immersive content and the popularization of virtual reality experiences, the expansion of real-world experience spaces, including multi-use facilities, can be expected. Provides analysis elements of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for comparison of two media. (Conclusion) The expansion of the virtual reality market is expected to require evaluation by researchers and field experts on various experience media. In this study, in the virtual reality experience, it is possible to evaluate experiential characteristics by presenting the experiential feature elements of the Virtual Reality Surround-Screen Projection System that multiple users experience simultaneously without wearing the HMD and device worn by the user.

      • KCI등재

        소박함에의 열망

        박주현(Joohyun Park) 한국문화사회학회 2017 문화와 사회 Vol.24 No.-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소박함이라는 가치가 어떻게 표현되고 열망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소박한 취향은 단순하고 절제된 아름다움, 애쓰지 않은 듯한 멋으로 대표된다. 소박한 삶은 경쟁과 부유함에 대한 자발적 거부와 모든 것이 해결되는 정점과 완전한 내러티브에 대한 무관심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킨포크 문화가 상정하는 소박한 관계와 공동체는 자아와 가까운 사람들의 행복을 중시하고 취향을 공유하는 작은 모임을 선호한다. 소박함은 기존의 화려한 볼거리 위주의 미적 가치에 반대하며 나타난 선택이며 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대중과 거리를 둔다. 더불어 소박함에 대한 열망은 단순히 미적 선택의 문제에서 그치지 않고 생존주의에 대한 피로감에서 탈피하고자 나타난다. 생존주의는 극한의 상황에서 목숨을 구하거나 커다란 성공을 성취하려기보다 개인의 평범한 행복과 안정을 위해 경쟁 상황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는 마음이다. 킨포크 문화는 경쟁 속에서 대항하지 못하고 일상을 살아가는 행위자들에게 주체가 되는 기쁨을 제공한다. 그러나 소박함이 대형적으로 소비되기 시작하면서 오히려 소박함의 실천은 유예되고 있다. 빠른 소비를 위해 소박한 삶의 양식보다 이미지가 중시되고 고급화돼 전시된다. 생존주의에서 벗어나고자 소박함을 열망하는 개인들은 취향을 중심으로 하는 작은 공동체에서의 인정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포스팅과 같은 대중 앞의 전시 행위에서 만족감을 얻는다. 이에 소박함은 오히려 추구해야하는 미적 가치로 변모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virtue of simplicity is expressed and pursed as an emerging cultural capital. A simple taste is represented by unfussy, pared-back beauty and a capability to make a presentation effortlessly. It tends to remove any excessive details and to leave only essential components, highlighting a sense of decency and elegance. The simple lifestyle is represented by rejecting wealth accumulated via fierce competion and by pursuing composure in everyday life. The Kinfolk people’s relationships are characterized by small gatherings in which the participants share their cultural tastes. The Kinfolk members highly appreciate individual happiness, friendship and family rather than big community. Simplicity is chosen to enhance one’s cultural identity and to keep distance from the masses. The culture of simplicity also derives not only from the process of aesthetic appreciation but also from the tiredness against the survivalism that has become a dominant culture in Korea. Kinfolk culture provides a moment of tranquility. However, the virtue of simplicity has come to be engaged with a large scale of consumer culture and consequently its practice has been marginalized. The image of simplicity has been utilized to maintain the survivalism in Korea, rather than to challenge it, serving as an ‘emerging cultural capital’ to obtain. The virtue of simplicity has played a role to satisfy individuals visually by being shared in small gatherings and social media platforms, rather than being integrated into everyday lives.

      • KCI등재

        김승희의 시에 나타난 탈식민주의 연구

        박주현(Park, Joohyun),이승하(Lee, Seungha)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4 No.-

        본 논문에서는 김승희의 시에 나타난 탈식민주의적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김승희는 현 시대에서 지배와 피지배의 논리가 아직 존재하는 것을 인식하고 제국주의적 폭력과 신자유주의에 의한 자본권력의 지배, 가부장적 권위에 의한 억압에 대해 비판적 시각으로 바라보았다. 제국주의의 표면과 이면을 포착하여 식민 통치의 교묘한 속성을 폭로함으로써 독자로 하여금 보이지 않는 문화적, 정치적 억압 현실을 직시하도록 하였다. 자본주의로 인한 여러 현상을 신자유주의의 관점으로 바라보고 그 속에 존재하는 지배와 종속의 관계에 집중하였다. 또한 신식민주의적 체제와 남성중심주의의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서 이중의 식민화를 겪는 여성이 타자화 되는 상황을 탈식민주의적 글쓰기를 통해 보여주었다. 이를 통해 지배 권력의 위계질서를 해체하여 주체와 타자 사이의 경계를 무너뜨리고자 하였다. 나아가 김승희는 세계 각국의 여성들의 고통에 공감하고 연대하여 여성의 훼손된 정체성을 회복하는 것이 지배 이데올로기의 억압구조에 맞서는 일이자 여성의 고통을 치유하는 일이라고 보았다. 이러한 김승희의 탈식민주의적 사유는 타자로서 존재하는 피지배층의 해방의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paper, I examine the postcolonial aspects which appear in the poetry of Kim Seung-Hee. Kim Seung-Hee recognizes the logic of dominance and that subordination still exists, and also takes a critical view of imperialistic violence and patriarchal repression. She helps the reader confront invisible cultural and political repression by capturing the dark side of imperialism and revealing the fiendish properties of colonization. She also reveals the plight of women, who suffer from the overlapping colonization between the neocolonialist system and patriarchal ideology, become others through postcolonial writing . Through this writing, she tries to disarm the hierarchical rule of the governing class and break the boundar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Furthermore, Kim Seung-Hee believes that sympathizing with the suffering of women all over the world and restoring the damaged identity of women is a way to fight against the suppression caused by the domination ideology. These postcolonial thoughts of Kim Seung-Hee’s reveal the possibility of liberation for the subjugated class , who exist the others.

      • KCI등재

        But Why Did They Kill? : Psychological Interpretations of the Papin Case and Kesselman’s Reinterpretation in My Sister In This House

        Park Joohyun(박주현) 한국현대영미드라마학회 2009 현대영미드라마 Vol.22 No.3

        The infamous murder of the Papin sisters aroused the attention of not only popular media of the time, but of psychoanalysts such as Jacques Lacan and literary figures like Jean Genet and Wendy Kesselman. Journalists in Papins’ time defined maids’ madness and sexual perversity as the most significant cause of the murder. Such was to relieve the fear of the employers of maids--they needed to believe that not all maids are dangerous. Similarly, psychoanalysts focused on the mental disorder of the sisters, emphasizing the abnormality of the incestuous lesbian relationship of the two girls, thereby reconfirming the common understanding that madness may lead to violence. Genet’s “The Maids” is a literary adaptation which follows the line of such psychological interpretation. Such reading of the case, however,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the two murderesses were maids. Maids were doubly oppressed because of their gender and class; without high education, they had to take jobs in the domestic area where they were threatened by not only desire of male members of the household but the oppressive behaviors of their mistresses. Wendy Kesselman’s My Sister In This House (1982) challenges the presupposition of the sisters’ madness and reveals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inhuman working condition and constant surveillance of the employers. She emphasizes the shrewdness of the employer who denies the maids of the rudimentary needs of life such as a heated room or break from work, and allows the sisters to speak out as subjects who have the right to demand justice.

      • KCI등재SCOPUS
      • KCI등재
      • KCI등재

        How Folk tales Function in Heniz Insu Fenkle’s Memories of My Ghost Brother and Nora Okja Keller’s Fox Girl

        Joohyun Park(박주현) 한국아메리카학회 2011 美國學論集 Vol.43 No.1

        하인즈 인수 핑클의 『내 귀신 형의 기억』(1996)과 노라 옥자 켈러의 『여우 소녀』(2002) 는 한국 기지촌 여성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핑클과 켈러는 한국 전통 민화인 구미호 이야기를 차용하여 자신들의 소설 속에 삽입함으로서 구미호 이미지와 기지촌 여성들의 이미지를 연계하여 소설을 풀어간다. 흥미로운 것은 이 두 작품이 같은 뿌리에서 뻗어 나온 민화를 차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민화를 소설 속 이야기꾼이 어떤 의도로, 어떤 형태로 청자에게 전하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메시지를 담게 된다는 점이다. 즉, 같은 구미호의 이야기라도 변주에 따라 가부장적일수도, 혹은 여성에게 가부장적인 사회를 비꼬아 비판하는 전복적인 것이 될 수 있다. 핑클의 소설에서 이야기꾼인 형부는, 구미호를 이유 없이 사람들을 잡아먹는 악한 존재로 그린다. 이러한 서술은 당시 팽배했던 남성 중심적인 사고방식을 그대로 나타낸다. 남성들의 입장에서 구미호는, 남편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으며 자신의 욕망을 좇아 거리로 나와 사람들을 위협하는 존재이다. 형부의 구미호 민담은 이야기 속의 남편처럼 자신의 권위와 사회의 안녕을 위협하는 여성을 제거하고자 하는 욕망으로부터 비롯된다. 즉, 핑클은 형부가 들려주는 민담을 통해, 한국 전쟁 이후 무기력하게 자신들의 주도권을 빼앗기고 불안감을 느꼈을 한국 남성들의 상황을 그려내고 있다. 켈러가 여우 이야기를 차용하는 방식은 보다 복잡하다. 『여우 소녀』에서 켈러는 여성 이야기꾼 덕희를 통해 구미호 이야기의 여성 판을 들려주며, 민화라는 공간이 사회적인 억압에 의해 목소리를 잃었던 이들이 자신들의 주장을 펼 수 있는 새로운 발화의 공간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일깨워 준다. 덕희의 이야기 속에서 구미호는 연인이었던 남성이 훔쳐간 ‘지혜의 구슬’을 찾기 위해서 남성들을 따라다니는 존재이다. 이 이야기에서 구미호는 피해자이며 그녀가 사람의 형상을 띠는 것은 생존 전략이다. 구슬을 찾기 위해서는 여성의 모습으로 변신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이와 흡사하게, 기지촌 안에서 살아가는 여성들은, 자신을 지키기 위해서 구미호의 탈을 쓸 수밖에 없었다. 켈러의 소설은 그 자체로 또 하나의 구미호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 덕희가 구미호의 여정이 시작된 이유를 설명했다면, 켈러는 현대판 구미호라고 볼 수 있는 숙이와 현진의 고된 삶을 그림으로서 그 후속 이야기를 쓰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살펴본다면, 같은 시공간에 대하여 같은 민화를 차용하여 쓰고 있는 두 작가 중에서 보다 전복적인 목소리를 내는 것은 켈러라는 점을 알 수 있으며, 이 전복성은 민화의 차용을 넘어 선 민화 다시 쓰기를 통하여 얻어낸 결과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