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N-치환 Nortropane spirohydantoin의 합성 및 약리활성 연구

        박종훈 동아대학교 1997 국내석사

        RANK : 247647

        항경련활성을 보이고 있는 hydantoin구조와 tropane구조를 합쳐 다양한 경련증상을 동시에 억제시킬 수 있는 nortropane spirohydantoin을 합성하고자 한다.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The nortropinones 10, 19, 21, 23, 25 were respectively synthesized by the treatment of acetonedicarboxylic acid 11 with 2,5-dimethoxytetrahydrofurane 13 in various amines 7, 18, 20, 22, 24. The nortropane spirohydantoins 26, 27, 28, 29, 30 were respectively synthesized by the treatment of synthesized nortropinones 10, 19, 21, 23, 25 with potassium cyanide 15 ammonium carbonate 16.

      • 갈락토스 이용 고율 바이오수소 생산

        박종훈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차세대 바이오에너지 원료인 홍조류의 주요 구성성분인 갈락토스로부터의 효과적인 수소 생산을 위한 방법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먼저 갈락토스-글루코스의 혼합비를 0:10, 10:0, 8:2 의 비율로 혼합한 기질을 사용하여 HRT의 변화를 주었으며 고부하 조건에서의 완전 혼합형 연속 반응조 내부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이후 고정화-입상화를 동시에 수행한 군집체를 제조하여 수소 생산에 적용하였으며 운전 중 다양한 단기 충격 조건을 주어 수소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글루코스만을 기질로 사용할 경우 6-18 hr로 진행될 동안 수소 생산 속도 및 수소 수율이 각각 4.49 L/L/d, 1.62 mol/mol glucoseadded 였으며, 갈락토스 단일기질의 경우 12-24 hr로 진행될 동안 2.35 L/L/d, 1.00 mol/mol glucoseadded로 나타났다. 갈락토스-글루코스 혼합당의 경우 생산 효율이 단일당에 비해 65 %감소된 효율을 보여주었으며, 2.75 L/L/d, 0.48 mol/mol glucoseadded의 값이 6-18 hr동안 나타났다. 수소 생산 미생물을 대상으로 입상화, 고정화를 동시에 수행하여 고정화 미생물 군집을 제조하였다. 완성된 고정화 미생물 군집은 재이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소 생산 속도 및 수소 수율은 현탁액 상태의 수소 생산 미생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화 미생물 군집의 수소 생산 속도는 HRT 12 hr 조건에서 7.67 L/L/d, 8 hr 조건에서 11.82 L/L/d로 나타나 현탁액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모든 경우에서 탄수화물 제거율은 95 %를 상회하였다. 수용성 대사 물질을 분석해본 결과 발효 과정에 있어 뷰티릭산 및 아세트산을 주로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뷰티릭산이 혐기성 수소 생산의 주요 유기산임을 알 수 있었다.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ugar composition and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on continuous hydrogen fermentation. Continuously-stirred tank reactors (CSTRs) were inoculated with heat-treated digester sludge and fed with 15 g/L of glucose, galactose and galactose: glucose mixture (8:2 ratio- simulating the hydrolysate composition of macro algae) at HRTs of 6 to 24 hrs. Peak hydrogen production rate (HPR) and hydrogen yield (HY) of 4.49 L/L/d and 1.62 mol/mol glucoseadded were attained while using glucose as feedstock at HRTs of 6 and 18 hrs, respectively. Meanwhile, galactose provided a peak HPR and HY of 2.35 L/L/d and 1.00 mol/mol galactoseadded during the HRTs of 12 and 24 hrs, respectively. Incase of mixed sugars(galactose8:glucose2) the production performances were inferior to the solesugar conditions due to the low substrate utilization of less than 65 %, which showed a maximal HPR and HY of 2.75 L/L/d and 0.48 mol/mol carbohydrateadded at the HRTs of 6 and 18 hrs, respectively. A high-rate hydrogen production was achieved via hybrid immobilized cells fed with galactose in a continuous reactor system. The hybrid immobilized cells were broken down after 20 days and begun to form as granules by self-aggregation. Peak hydrogen production rate (HPR) and hydrogen yield (HY) were achieved as 11.82 ± 0.6 L H2/L/d and 2.1 ± 0.1 mol H2/mol galactoseadded, respectively at a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of 8 hrs with an organic loading rate (OLR) of 45 g/L/d, which were the highest reported ever for the galactose in a continuous system. However, due to the stability of self-aggregated granules, the process performance has been regained within 4-7 days.

      • 풍력발전사업을 위한 지수형 날씨보험의 설계 : 제주지역 풍력발전사업을 대상으로

        박종훈 숭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풍력발전은 풍속에 영향을 받는다. 제주지역 풍력발전에서의 지수형 날씨보험의 적용을 통해 풍속변화에 따른 풍력발전의 화폐적 충격의 감소 정도를 추정한다. 자기회귀 가중평균 시계열모형을 사용하여 풍속을 예측한 후, 예측한 풍속과 시장참여 설비용량을 토대로 로그-로그 모형을 사용하여 전력거래량을 예측한다. 또한 자기회귀 누적가중평균 시계열모형을 사용하여 계통한계가격을 예측하고 이에 전력거래 예측치를 곱하여 전력거래금액을 도출한다. 지수보험을 적용할 때 보험료와 책임준비금을 산정할 수 있다. 풍속의 변동성이 작다면 보험에 대한 수요가 줄어드는 반면, 변동성이 크다면 위험 인수가 어려워져 보험료가 높아지므로 적절한 변동성이 필요하다. 분석 결과 평균 전력거래금액 1% 감소 대비 표준편차가 약 5.0%에서 약 6.5% 감소해 화폐적 충격이 효과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Wind speed affects the fluctuation of the wind power production. This paper estimates the reduction of monetary shock of Jeju wind generation applying index-based weather insurances. By using ARMA time-series model based on estimated wind speed and market participated installed capacity while electricity transaction quantity is deduced from log-log regression model. I also estimate SMP estimated by using ARIMA time-series model. Then electricity transaction amount is deduced from multiplication of SMP and electricity transaction quantity. Demand for such insurances would decrease critically if the volatility of the wind speed is too low while it would be difficult for insurance company to accept the weather risk if the volatility is too high.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e 5.0-6.5% reduction of standard deviation per 1% of average electric transection amount mitigating monetary shock effectively.

      • 동대문지역의 보행환경개선을 위한 지하공간 개발에 관한 연구

        박종훈 건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글초록:고도의 산업 사회의 발달로 인한 인구와 기능의 도시 집중으로 대규모 도시가 발달하게 되었고, 급격한 도시화 현상에 따른 도시 기능의 일극 집중, 가용 토지의 부족 및 지가 폭등 등 많은 문제가 야기되어 왔다. 이에 따른 폭발적인 공간 수요의 증대에 반해 도시 공간은 한정적이다. 그러므로 도시 공간의 수평적인 확대보다는 수직적인 개발을 요구하게 된다. 도시의 지하공간은 현대 도시가 추구하는 집약형 도시(Compact City)로의 발전을 가능케 하는 유일한 대안으로 토지의 입체적 활용을 통해 부족한 도시기능을 개선하는데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이다. 우리 나라의 경우 도시지하공간이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것은 대도시 중심부를 중심으로 지하철이 건설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지하철 시대가 열리면서 지하철역과 주변의 주요 건물 또는 장소 등을 연결하는 지하보행자 네트워크 형성에 대한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도시지하공간의 이용과 개발은 기존 시가지 또는 중심부의 고지가 형성과 가용 토지의 한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부족한 도시기능을 보완하고 새로운 고품격 도시공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에 필요한 추가 토지공급이 필요하지만, 현실적으로는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도시공간의 입체적 활용에 대한 수요가 생겨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서울의 일부 도심상업지역에 있어서 대형 쇼핑센터들의 급격한 건축활동 및 확산으로 인하여 해당 지역만이 아니라 주변지역의 지역공간구조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동대문시장지역은 오랜 시간동안 많은 도시민들의 일상적 생활기반으로서의 ‘시장’이라는 친근한 이미지를 형성하여 왔으며, 재래시장으로서의 그 입지적 특성을 굳혀왔던 지역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최근 몇 년 사이에 밀리오레, 두산타워 등의 새로운 대형쇼핑센터들이 형성되면서 지역경관 및 지역공간구조에 있어서의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최근의 청계천의 복원 또한 동대문지역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즉, 대형 상업용 건축물들의 고층고밀화와 청계천의 복원에 의한 유동인구의 증가와 이에 따른 노점상들의 난립 등으로 인하여 보행환경의 질적 변화가 큰 대표적 지역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행환경의 변화가 도시상업공간으로서의 매력을 상실케 하고, 도시민들의 보행 기피현상이나 지역발전의 저해요인으로 모두에게 인식되어지고 있다. 또한 현재 인근 청계천의 복원사업 및 추후 동대문운동장의 시민공원화, 주변노후지역의 재개발 등으로 인하여 동대문지역의 유입인구는 더 증가될 것이다.현재 동대문지역의 하루 유동인구는 40만명으로서 70만명인 명동지역 다음으로 많은 지역이다. 또한 복원된 청계천은 15만명 이상의 유동인구를 유발하고 있다. 하지만 명동에 비해 매우 열악한 보행환경을 가지고 있다. 보행로 위에서 행해지는 상업시설들의 이벤트 및 행사, 공연, 상권특성상 난립해 있는 노점상등으로 인해 유효보도폭은 평균 2~3m에 불과하다. 더불어 지역상인들의 이해관계 및 동대문야구장의 존치로 인해 보행공간의 확장을 위한 가용토지의 확보가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대문상권 내 유동인구가 가장 과밀한 현상을 보이는 흥인문로에 지상공간의 포화상태를 해결하고 지하의 네트워크화를 통해 지상의 생활을 보완하거나 대행함과 동시에 도시문제의 실질적인 해결책으로서 지하공간을 계획하고자 한다. 계획된 지하공간은 지하공중보도로서 유동인구의 이동 및 분산시키며, 복합문화시설로서 지상의 공간부족으로 제약되었던 행위나 공간을 수용할 수 있다

      • Self-improving Image Captioning Framework with Questions and Answers based on Bottom-up and Top-down Attention : 상향식 및 하향식 주의 기반의 질의응답을 통한 자가 개선 이미지 캡셔닝 프레임워크

        박종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인공지능은 이미지 분류, 객체 감지, 언어 생성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큰 성공을 얻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인공지능은 스스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데이터셋의 질에 영향을 크게 받지만 잘 구성된 데이터셋을 구축하기란 어렵다. 이와 달리, 인간은 인간의 기본 학습 메커니즘 인 Perception-Action (PA) 순환 학습을 바탕으로, 정보를 획득하고 스스로 이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이 있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Perception-Action (PA)에 기반으로 한 인간의 학습 과정에서 영감을 얻은 새로운 자가 개선 이미지 캡셔닝 프레임 워크를 제안한다. 인간과 유사하게, 인식 단계에서, 우리의 모델은 주어진 이미지로부터 정보를 인식한다. 이미지 캡션에 대한 기본 모델에서 초기 설명을 가져 오면서 동시에 생물학적 영감을 받은 돌출 맵에서 여러 시맨틱 객체를 감지한다. 동작 단계에서, 제안 된 질문 생성기는 인식 단계로부터 획득 된 정보에 기초하여 질문을 사전에 생성하고, 응답 생성기는 이미지의 설명을 자기 개선하기위한 답변을 제공한다. 이 향상된 캡션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캡션 모델을 훈련시키는 데 사용된다. 우리의 접근 방식을 통해 캡션 모델은 장면에서 객체의 의미론적 중요한 객체에 집중할 수 있으며, 사람의 추가적인 도움 없이 이미지 캡션을 자동으로 개선 할 수 있다. 제안한 접근 방법은 모델이 MS-COCO 이미지의 기존 기준 캡션 모델과 비교하여 더 많은 정보가 담긴 캡션을 생성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Recently Artificial Intelligence(AI) gets encouraging success in a variety of fields such as image classification, object detection, language generation and so on. However, it still has a limit that it can’t improve its performance by itself. A well-constructed dataset affects its performance but it is hard to construct. Different from this, humans acquire information and improve understanding by themselves. This is due to human basic learning mechanism, Perception-Action(PA) cycle learning. In this thesis, we propose a novel self-improving image captioning framework inspired by a human learning process based on the Perception-Action (PA) cycle. In our model, the image captioning process is regarded as human perception, and self-generation of a question is regarded as the action step. Similar to humans, in the perception step, our model perceives information from given images. It obtains an initial description from a baseline model for image captioning, and at the same time, detects several semantic objects from a biologically inspired saliency map. In the action step, the proposed question generator proactively generates questions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perception step, and then an answer generator provides answers to self-improve the description of an image. These improved captions are used to train the caption generator to improve its performance. Our approach enables the captioning model to know the semantic meanings of objects in the scene and also automatically improves the image caption without human support. In experiments, we show that our approach can generate more informative caption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baseline captioning models on MS-COCO images.

      • 영미문학을 활용한 배움중심 수업활동이 고1 중하위 학습자들의 흥미도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배움의 공동체를 중심으로

        박종훈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영미 문학을 활용한 배움 중심 수업활동이 고1 중·하위 학습자들의 흥미도와 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인문 고등학교 1학년 학생 중, 중·하위권 학생 28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영미문학을 활용한 배움 중심 수업활동을 진행하였고, 비교집단은 일반 강의식 읽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은 정규 시간이 아닌 방과 후 수업으로 총 14차시(평가포함)로 진행하였으며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전·사후 흥미도 및 성취도 검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영어 흥미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영미문학을 활용한 배움 중심 수업활동이 학습자들의 흥미도 향상에 유의한 결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영어 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사전·사후 평가에서 오히려 평균점수가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교집단을 분석해보면 역시 평균 점수가 하락했고, 특히 중위권 그룹에서 통계결과에 의하면 하락점수의 폭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영미 문학을 활용한 배움 중심 수업이 중위권 학습자들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흥미도와 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 흥미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성취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원인을 찾기 위해 인터뷰를 한 결과 학습자들은 서로의 친밀성이 형성되기도 전에 수업이 끝난 부분을 지적하였고, 영어에 대한 자신감이 없기에 오히려 소극적으로 모둠활동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영미문학을 활용한 배움 중심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과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영미문학을 활용한 배움의 공동체식 수업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현장에서의 적용이 진행된다면 학습자들에게 일방적인 지식의 전달이 아닌 배움의 즐거움을 전해줄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적 전환이 이루어질 것이다.

      • 자율 이동로봇의 경로계획법

        박종훈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동로봇의 자율 주행을 위해서는 안전경로계획이 필수적이다. 많은 연구자들은 자율주행 로봇의 경로 계획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나, 신뢰성 있는 환경정보 없이는 안전 주행을 보장하지는 못하였다. 특히 이동로봇은 모서리와 같은 장소에서 충분한 환경정보를 획득하지 못하게 되고, 이 때문에 경로계획 및 자율주행이 실패하게 된다. 그럼에도 안전한 경로 계획을 수행하여야 한다면 주어진 환경정보를 이용하여 수동적인 안전을 고려한 경로 계획을 수행할 수 있다. 수동적인 안전은 이동로봇이 충돌 전에 정지할 수 있는 경로를 계획하는 것이다. 수동적인 안전을 위해 이동로봇의 정지거리 개념과 시야의 제한성에서 오는 위험을 고려하여 위험거리를 계산한다. 이 거리를 이용하여 안전 공간 및 위험 공간을 생성한다. 또한, 제한된 속도 공간을 생성한다. 안전 공간을 기반으로 경로를 생성하기 위하여 먼저 셀 분해법으로 격자 형태로 지도를 이진화한다. 격자 지도에 위험지수를 반영하고 개선된A*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안전경로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경로는 제한된 속도 공간 속에서 안전하게 주행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개선된 A*알고리즘과 기존의 A* 및 Probabilistic Road Map (PRM) 알고리즘을 비교하여 모의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제한된 속도 공간에서 생성된 경로를 Dynamic Window Approach(DWA) 방법을 사용하여 주행 실험하였다. 개선된 A*알고리즘이 빠르고 안전한 경로가 생성되었음을 검증하였다. Path planning is essential for the autonomous navigation of mobile robots. Researchers have been working on ensuring the safe navigation of mobile robots, but could not guarantee absolute safety without reliable environmental information. Particularly, mobile robots are not able to acquire sufficient environmental information at corners, resulting in path planning and navigation failure. In this paper, a navigation approach using passive safety is proposed in order to remedy safe path planning insufficiencies. Passive safety is a system in which provides a feasible path for mobile robots to navigate through obstacles without collision. To ensure passive safety, safety distance is calculated considering the stopping distance and limited sight distance of mobile robots. These distances are used to provide safety and risk space. They also create a speed limit space for local path planning. Safety space is binarized by the cell decomposition method for safe path planning. Safety path is then created using the modified A* algorithm on grid map with risk index. The proposed path can make mobile robots to navigate safely in speed limit space. The simulations are done using the modified A* algorithm that outperformed the classical A* and PRM (Probabilistic Roadmap) algorithms respectively. In addition, results of an experiment conducted on a real robot show that the modified A* algorithm can successfully find a safe path in speed limit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