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독서토론 활성화가 학교도서관 이용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독서토론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박정애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독서토론 동아리 활동 후 교사와 학생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학교도서관 이용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교육과학기술부가 “독서교육 및 학교도서관 활성화 방안”으로 실시한 “사제동행 독서토론 동아리 지원 사업”의 대상인 경기도 내 중학교 10개 학교를 선정하여 2009년 9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독서토론 동아리 활동에 참여한 사서교사․교과교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적 방법 등을 이용하였다. 첫째, 독서토론 동아리 활동을 진행해 온 경기도 내 용인․수원지역 소재 중학교에서 진행된 독서토론 프로그램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둘째, 사서교사․교과교사․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통해 독서토론 동아리 활동 후 인식하고 있는 교육적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셋째, 독서토론 동아리 활동 후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이용행태의 변화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연구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교육과 학교도서관 활성화 방안으로 선정한 독서토론 동아리 활동은 토론의 운영 및 진행 주체가 교과교사보다 사서교사가 되어야하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사서교사는 독서교육 전문가로 무장되어야한다. 둘째, 독서토론의 교육적 효과를 높이려면 비정기적인 독서토론보다는 월 1-3회 이상 정기적으로 확대 실시하는 것이 학교도서관 이용 증가 측면에서 필요하다. 특히 중학교에서 찬ㆍ반 토론을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학생의 자발성을 높이는 교육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독서토론이 동아리 중심으로부터 모든 학생들에게도 전면 실시되면 학교도서관 이용도 활성화 되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독서토론 참가 후 학생의 문제해결 능력, 언어사고력, 비판적․논리적 사고력이 증가하였다. 즉 토론 준비를 위하여 학교도서관을 통한 자료수집 활동을 통해 교과 학습 능력과 정보 활용능력이 증가하였다. 또한 정보자료 탐구활동과 토론지 작성 과정을 반복하면서 학생들은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이 증진되었다. 넷째, 독서토론 활동 후에는 학교도서관 이용효과인 정보검색 이용 증가로 이어졌다. 더 나아가 타 교과교사와 학교의 관심 증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독서토론의 활성화는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이 정보매체센터로서 기능을 다 하려면 가정에서 접근 할 수 없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교도서관의 인프라 구축도 필요하며, 도서관 이용 제도 개선도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recognition changes of teachers and students for school library after carrying out a group activity of reading discussion upon the effects of school library use. Study subjects were school librarians, teachers and students at 10 junior high schools in Gyeonggi-do, which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upport project of teacher-student joint group reading discussion" for "the activation plan of reading education and school library"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 questionnaire survey of study subjects who were participated in the group activity of reading discussion was carried out over the period from September, 2009 to June, 2010. First, the current status of reading discussion program of junior high schools in Yongin and Suwon, Gyeonggi-do which carried out the activity of group reading discussion was examined. Second, by means of questionnaire survey of school librarians, teachers and students, the educational effects of group reading discussion recognized by study subjects after the activity were looked into. Third, the change of students' use behavior of library after the activity of group reading discussion was examin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body of opera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activity of group reading discussion, which was established as an activation plan of school education and school library, must not be teachers but be school librarians. In addition, school librarians must be reading education specialists. Second, in order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s of group reading discuss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it not irregularly but periodically by 1~3 times monthly, from the aspect of increasing the use of school library. In particular, by repeatedly carrying the discussion of pros and cons at junior high schools, it is expected to result in such an educational effect as the increase of students' spontaneity. If all the students carry out reading discussion in full-scale, on the basis of the group activity, such a positive effect as the activation of school library use can be resulted in. Third, after taking part in the activity of reading discussion,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language thinking ability and critical/logical thinking ability were improved. Via the activity of data collection at school library for the preparation of reading discussion, students' learning ability of subjects and use ability of information increased. In addition, by repeatedly carrying out searches for information data and working out discussion sheets, students experienced the increase of their self-leading learning ability. Fourth, the activity of reading discussion was followed by the increase of information research, a use effect of school library. Furthermore, the activity of reading discussion seemed to have direct influence upon the increase of interests of teachers and schools. Therefore, the activation of reading discuss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school library. However, in order for a school library to complete its function of an information media center, it is necessary to find out a strategy of searching such information that is not possible to be accessed at home. For this,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the infra of school library and improve the system of library use.

      • 韓國漢文敎育用基礎漢字와 中國現代漢語常用漢字比較硏究

        박정애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韓國和中國是同屬漢字文化圈的國家。 在韓國,“訓民正音”出臺之前,從中國借用漢字及漢文。漢字及漢文流入韓國初期,其漢字及漢字語字形及字義從根本上說,和中國漢字及漢字語沒有本質上的差別。但是,隨着歷史的發展,歲月的流逝,在韓國使用的漢字及漢字語,與中國漢字及漢字語,在字形和字義方面有一樣的,但卻也產生了不一樣的。另外,二十世紀五十年代中期開始,中國進行了漢字文字改革。中國的文字改革,使原來繁雜的漢字,改寫成比較簡單的易寫的漢字,漢字字形發生了很大的變化。韓中雙方的種種這些事實和原因,使兩國間在漢字及漢字語使用上產生了一些差異。 這些差異,使學習相對國語言的學習者以及雙方的各種交流,帶來麻煩,甚至產生副作用。 本論文,就是針對這些問題,用比較分析的方法,比較韓中漢字及漢字語的共同點和不同點,找出產生差異的原因,以使得學習相對國語言的學習者,克服母語的負遷移,少走彎路,得到幫助。 本論文以韓國漢字、漢字語與中國現代漢語漢字、漢語詞語,從字形和字義兩方面做了比較研究。 在論文第二部分,首先對比分析了韓國漢文教育用基礎漢字和中國現代漢語常用漢字的漢字字數,找出韓國漢文教育用漢字與中國現代漢語漢字的共有字,找出共性及個性。比較結果,韓國漢文教育用基礎漢字與中國現代漢語常用漢字共有字數有1703個,占韓國漢文教育用漢字的94.6%,顯示出非常高的比率。 在第三部分,主要分析比較了漢字字形及字義,找出韓中漢字字形不同的原因之一是,韓國的“固有漢字”;之二是,中國的文字改革。 在第四部分,主要對比分析了,產生韓中之間漢字字義之差異的主要原因是:一是,漢字基本意義和派生意義之間的差異,二是,兩國各持有的固有名詞、地名、專有名詞、方言、口語等。 第五部分,首先從韓國漢字語之來源着手,分析了由不同來源之產生的和中國現代漢字語的差異。差異的主要根源在於, 因當今,在中國使用的是現代漢語,而流入到韓國的漢字語是中國的古代漢語。其次是,韓國漢字語,受日本漢字語的影響的結果。最後是,由韓國的“韓國式漢字語”而導致和中國現代漢語的差異。 這些差異是兩國歷史的、文化的差異,是社會的差異,是兩種不同語言體系的差異。所以,學習和瞭解相對國的歷史文化,有助於學習相對國的語言。 韓國과 中國은 같은 漢字文化圈에 속하는 나라로서 오래 전부터 많은 교류와 왕래를 해 왔다. 韓國에서 ‘훈민정음’이 창제되기 전까지는 中國으로부터 漢字 및 漢文을 차용하여 사용하였다. 漢字 및 漢文이 韓國에 유입된 初期의 漢字나 漢字語는 中國 漢字의 형태 및 의미와 근본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歷史의 흐름 속에서 韓國에서 사용되는 漢字나 漢字語는 中國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現代漢語漢字 및 漢字語와 형태나 의미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동시에 서로 다른 차이점도 있다. 이러한 차이점으로 인해 상대국 언어를 배우고 서로 교류하는 데 있어서 어려움이 생기게 되었고 심지어는 잘못 이해하여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우려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이런 차이점이 생기게 된 가장 주요한 원인은 첫째 한국 내에서 자체로 만든 한자와 한자어 때문이며, 둘째로는 중국에서의 漢字文字改革으로 인해 생성된 문제이다. 본 論文은 韓中 두 나라 漢字 및 漢字語 사용에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 韓中 두 나라 學習者들에게 상대국 언어를 습득하는데 편의를 제공해주고 나아가서는 韓中 두 나라 漢字敎育에도 일조하고자 한다. 2장에서는 韓國 漢文敎育用 基礎漢字와 中國 現代漢語 常用漢字의 字數에 대한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그 字數를 구체적으로 比較하였다. 韓國 漢文敎育用 基礎漢字와 中國 現代漢語 常用漢字에서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는 한자는 1703자로서 韓國 漢文敎育用 基礎漢字의 94.6%를 차지한다. 韓國 漢文敎育用 基礎漢字가 中國에서도 역시 가장 기초적이고 사용빈도가 높은 基礎漢字로 채택되어 敎育用 基礎漢字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韓國人들이 漢語習得를 습득하는 데 매우 유리한 조건을 제공해 주고 있다. 3장에서는 주로 韓國 漢字와 中國 現代漢語 漢字의 形을 비교연구하였다. 漢字形에서 서로 차이점을 보여주는 주요 원인은 韓國의 “固有漢字”와 中國에서 20세기 50년대 중반에 시행된 文字改革이었다. 4장에서는 韓國 漢字와 中國 現代漢語 常用漢字의 의미를 比較연구하였다. 韓中 두 나라 漢字 字義에서 차이점을 나타내는 주요 원인은 첫째로 中國의 漢字가 韓國에 유입되는 과정에서 漢字의 기본적인 의미는 유입되었지만 派生적인 의미는 유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둘째로 두 나라의 固有名詞, 地名, 專有名詞, 方言, 口語 등으로 인하여 많은 차이점을 보이는 동시에 두 나라 獨特性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5장에서는 韓中 두 나라 漢字語를 比較분석하였다. 漢字語에서 더 많은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韓國 漢字語는 中國漢字語뿐만 아니라 일본 漢字語의 영향도 받았다. 韓中 두 나라간 漢字語에서 차이점을 보이는 주요원인은 일본 漢字語(중국에서 사용되지 않은 일본한자어)와 “韓國式 漢字語”에 기인한 것이다. 본 論文에서 比較한 漢字 및 漢字語 차이점은 역사적, 사회적 원인 그리고 서로 다른 문화배경 하에서 생성된 것으로, 이는 상대국 언어를 배우는 데 있어서 상대국 문화역사를 이해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 특수교육보조인력의 안전사고 경험에 대한 실태 연구

        박정애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ate of safety accident experienced by special education support personnel, their methods to cope with safety accident, and their recognition on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 To this end, this study, targeting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working in Chungcheongnam-do, distributed 193 questionnaires regarding safety accident experience types, methods to cope with safety accident, and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 and collected 170 of them.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state of safety accident, methods to cope with safety accident, and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are recognition on prevention of safety accident, and to make items requiring multiple responses for body parts injured by safety accident and safety accident injury types. And frequency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make items requiring orders in causes of safety accident, situations of safety accident giving physical help, symptoms of safety accident, preventive factors of safety accident, and contents that are supposed to be included in safety education. The study results are as below. First, 64.5%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experienced school safety accident, and the most frequent cause of safety accident was students’ aggressive acts. 92%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who had experience of safety accident knew advance information about students’ aggressive acts, and 86% of them responded that they shared information about the reason of aggressive acts or coping measures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is indicates that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lack professional knowledge or coping ability in the situation of safety accident. In addition, this also indicates that they have an insufficient interest in acts and emotions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For body parts injured by safety accident, the back of the hand turned out to be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wrist, fingers, and facial parts (eyes, nose), and for safety accident injury types, abrasion was the most frequent, followed by bruise and pain without injury. This had no difference according to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are years of service or their school process. Most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had safety accident requiring 3-7 days of treatment period. And 48.3% of them showed ‘full recovery’ and 51.7% of them responded ‘under recovery’, ‘still suffering’, and ‘aftereffects’. This indicates that most of the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continuously experience physical, mental, and monetary damages after safety accident. Second, 66%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who had experience of safety accident took care of medical expenses on their own or by health insurance, and only 2.5% of them received compensation from Mutual Aid Fund to the School Safety,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or guardians of assailants. And even i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r managers knew about their safety accident, they only advised or consoled them and could not provide specific measures. Third, 93% of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responded that safety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to prevent safety accident, but actually safety education was being conducted just once or twice a year. For safety education programs, special education paraprofessionals requested programs related to defensive methods against students and positive intervention methods, positive support and intervention methods for students’ problematic behaviors, manuals physically helpful for types and degrees of disability, and positive support for educational guidance. 이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육보조인력이 경험한 안전사고의 실태, 사고처리 방법 및 예방에 대한 인식에 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충청남도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육보조인력을 대상으로 안전사고 경험 유형과 안전사고 처리 및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설문지 총 193부를 배부하고 회수된 180부 중 170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안전사고의 실태, 안전사고처리 방법, 안전사고 예방에 대한 특수교육보조인력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안전사고부위, 안전사고유형은 복수응답을 요하는 문항으로 복수응답빈도분석을 하였다. 또한 안전사고 원인, 신체적 도움을 줄 때 안전사고를 겪은 상황, 안전사고 증상, 안전사고예방 요인, 안전교육에 포함되어야할 내용은 순위를 요하는 문항으로 빈도분석을 통해 순위를 분석하였다. 특수교육보조인력이 경험한 안전사고의 실태, 사고처리 방법 및 예방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문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보조인력의 64.5%가 학교안전사고를 경험하였으며 그중에서 학생의 공격성 행동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많았다. 안전사고를 입은 92%의 특수교육보조인력은 공격성 행동에 대한 사전정보를 알고 있었고, 86%의 특수교육보조인력은 공격의 이유나 대처방안을 특수교사나 통합학급교사와 정보를 공유한다로 응답하였다. 이는 특수교육보조인력들의 전문적인 지식 부족과 안전사고 상황에서의 대처능력이 결여되었거나 예방지식이 부족하여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한 경우로 나타났다. 안전사고부위는 손등, 손목, 손가락, 안면부(눈, 코)의 안전사고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안전사고유형은 찰과상, 타박상, 외상없는 통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특수교육보조인력의 근무경력과 근무하는 학교과정과는 차이가 없었다. 안전사고 정도는 치료기간이 3일 이상~1주일 미만인 안전사고를 주로 입었으며, 안전사고를 경험한 특수교육보조인력 중 48.3%만이 완치를 보였고 51.7%가 호전중, 지금도 고생함, 후유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안전사고를 입은 후 계속적인 육체적, 정신적, 금전적 피해를 겪고 있음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안전사고를 경험한 특수교육보조인력 중 66%가 안전사고로 인해 발생한 치료비용을 자비로 부담하거나 건강보험으로 처리하고 있었다. 학교안전공제회에 의한 보상, 산업재해보상보험에 따른 보상, 가해자의 보호자에 의한 금전적 보상의 방법으로 보상을 받은 경우는 2.5%로 아주 낮게 나왔으나 이것은 입원이나 수술 등 크게 다친 경우이다. 특수교사나 관리자들도 특수교육보조인력의 안전사고를 알게 되더라도 걱정과 위로의 말이나 조언은 있었으나, 구체적인 대응책을 마련해 주지는 못했다. 셋째, 특수교육보조인력이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93%가 안전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으나 안전교육의 실시는 1년에 1회 이상 정기적 연수로 낮게 나타났다. 안전교육의 프로그램은 학생의 공격성에 대한 방어와 긍정적 중재 방법,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인 지원과 중재 방법, 장애유형과 정도에 따라 신체적 도움을 주는 메뉴얼, 생활지도 지원에 대한 긍정적 지원 방법 등을 들고 있었다.

      • 활동중심 진로인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박정애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진로의식의 발달에서 가장 기초적인 진로인식 단계에 해당하는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하도록 활동중심으로 구성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활동중심 진로인식 프로그램을 통해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중심 진로인식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킬 것인가? 둘째, 활동중심 진로인식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킬 것인가?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전주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30명의 학생들은 실험집단으로, 또 다른 학급의 학생들은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에게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10주 동안 10회기의 활동중심 진로인식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통제집단은 참여하지 않았다. 실험집단에 적용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들은 SPSS WIN(version 12.0)으로 통계처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중심 진로인식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 측정 결과 진로성숙도의 전체점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한 결과 활동중심 진로인식 프로그램을 적용한 뒤 사후 검사에서 학습동기 전체 영역에서 의미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통제집단과 비교해 볼 때, 활동중심 진로인식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 활동중심 진로인식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 향상에 효과적임을 증명하게 되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진로독립도를 제외한 진로성숙도의 4개의 하위요인, 즉 진로결정성, 진로참여도, 진로준비도, 진로타협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학습동기에서는 자아효능감을 제외한 학습동기의 2개의 하위요인, 즉 본질적 가치와 시험불안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활동중심 진로인식 프로그램은 진로성숙도와 학습동기 향상에 의미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진로인식의 발달에 있는 초등학생들에게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여 미래를 창조적으로 준비하도록 돕는 과정은 중요한 일이다. 초등학생들 수준에 알맞은 진로인식 프로그램의 적용은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고 더 나아가 학습동기를 향상에 도움이 되어 의미 있는 학교생활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앞으로도 초등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높이기 위한 진로인식 프로그램 관련 자료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다양한 계획들이 추진되어야 한다.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awareess program in developing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tudents who are going through a basic career recognition stag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 〈Question 1〉 Will career awareness program influenc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Question 1〉 Will career awareness program influence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verify the questions above, 2 classes from the 6th grade of B elementary school in Jeon-ju city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n, a pre-test measuring the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motivation was given to subjects. 30 students under my charge were placed in experimental group, while other 30 students((15 males, 15 females)who had same quality with the experimental group were placed in controlled group. This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0 terms of career awareness program during 10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did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version 12.0) program to check the effects of the program and evaluate the similarities and the differences of the two groups.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 First, after the application of career awareness program to the 6th grad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s on career maturity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Second, after the application of career awareness program to the 6th grad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s on learning motivation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s. Third,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career awareness program was more increased. It was also statistically proved to be very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 it was proved that the career awareness program had great effects on impr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motiv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learly show that the career awareness program has a remarkable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motiv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awareness program is a very important issue that can maintain school life actively and positively. Thus, this research suggests that career awareness program can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career maturity and learning motivation for the meaningful school lif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tentional and continuous career awareness program and to develop relevant programs.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make diverse plans to maintain career awareness program and learning motivation

      • 일제의 공창제 시행과 사창 관리 연구

        박정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study has a critical mind on that the existing researches on prostitution only consider the process of introducing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and abolition of unlicensed prostitution campaign. A lot of researchers are commonly appointing that prostitution form and its industrial structure marking Korean society now were started from the period of the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However, they don’t give us accurate answer that prostitution has been publicly carried out in Korean society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abolishing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is proposed as one of methods to settle a problem of prostitution whenever prostitution is at issue in Korean society since recognition on history of Korean government&#8208;regulated prostitution is fragmentary. Realistic diagnosis and solution on prostitution of Korean society can be explained through historical consideration of prostitution policy including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During the period of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Japan carried out state&#8208;regulated management and prohibited unlicensed prostitution through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in Korea. However, actually Japan permitted and managed partial prostitution in unlicensed prostitution. Therefore, the prostitution policy during the period of Japan’s colonial rule of Korea will be able to be grasped in a proper way through recognition and regulation attitude of the police on licensed prostitu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police and unlicensed prostitution out of the control of the police.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which is a system to permit prostitution officially appeared in the process that Japanese imperialism went on securing political domination in Korea. Having developed prostitute quarters from the Edo Age, Japan newly reorganized modern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in a way of strengthening 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y in collecting area of prostitution already formed in the modern times. After opening Joseon compulsively in 1876, Japanese prostitution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prostitute quarters in foreign concession based on the open port. However, official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was not carried out, and Japan controlled prostitution by regulating only s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in collecting area of prostitution. The above form of ‘Semi&#8208;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was a result of considering ‘Dignity of the nation’ to avoid eyes of the world powers. Expansion of prostitution to Joseon society was started with introduction of Japanese prostitute quarters. However, in the early period, prostitution was connected with amusement like Sampae Gisaeng for the most part than a naked form of prostitution. Most of them were scattered here and there than spatially collected. Japanese imperialism changed female receptionists with complex characteristics to a prostitute by introducing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to Joseon society. For, Japan needed to prescribe 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y (VDRL) by law for the female receptionists by changing female receptionists against venereal disease research laboratory (VDRL) to a prostitute. When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was nationally carried out in 1916, the prostitution policy had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society in Joseon and Joseon society.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of Japanese society in Joseon was more gathered and received strict VDRL. However,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of Joseon society received a little loose VDRL in a form of scattered prostitution.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business depended on consumption of the Japanese in Joseon for the most part, and the Joseon’s business was carried out for the most part in a form of unlicensed prostitution. Regulation of prostitution was carried out with differences by each region by ‘Discretion’ of each customs police. Therefore, there were areas where prostitution was managed in almost the same way as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although a lot of areas were not belong to the prostitution area. Regulation of female receptionists’ business including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put a focus on venereal disease prevention through regulation of prostitution. Therefore, the police regulated gisaeng or barmaid as a prostitute, and substantially permitted their prostitution. Because of criticism toward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was reduced as time went on. By pressure of international society with a problem of human traffic and anti&#8208;prostitution activists’ activities,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went on losing its position. Unlicensed prostitution and venereal disease were increased for all that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was carried out, which made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lost its justification. Japanese imperialism managed prostitution by strengthening control of unlicensed prostitution as well as reducing the scale of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The assumption of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was to prohibit unlicensed prostitution. However, Japan thought that unlicensed prostitution could not be ineradicable from the first. Thus, Japan managed unlicensed prostitution by limiting their outgoing and carrying out VDRL. Such a management of unlicensed prostitution was realized with entertaining business which got business permission from the police under the control of the police. On the other hand, Japan made a relatively strict execution of unlicensed prostitute quarters or entertaining business. As soon as Japan had confidence for management of unlicensed prostitution, Japan examined a policy to abolish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However, Japan didn’t abolish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to the end for all that a lot of areas in Japan abolished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The contents of abolition of licensed prostitution were to abolish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formally and to control unlicensed prostitution in a way of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not to prohibit prostitution itself. Abolition of licensed prostitution was not realized in Joseon although it was a formal policy since VDRL system in Joseon was not enough. It was difficult to abolish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that Japanese people in Joseon used for the most part since <Act on VD Prevention> which was a precondition of abolition of prostitution was not carried out in Joseon. Abolition of prostitution was not realized. However, in the form of Joseon’s prostitution,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was gradually reduced and unlicensed prostitution was expanded little by little. For, people avoided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by an effect of abolition of prostitution, and preferred enjoying amusement and prostitution at once for cheap expenses. The attitude of the police aiding and abetting expansion of unlicensed prostitution, taking action of management, not prohibiting changed unlicensed prostitution, was a cause of the above situation. Japan went on strengthening management of unlicensed prostitution by strengthening VDRL, gathering prostitutes and converting unlicensed prostitution to licensed prostitution such as a barmaid or a waitress. During the period of wartime in a form of total war,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was advocated and unlicensed prostitution was restricted. The entertaining business such as food restaurant, caf&eacute; and bar was regarded as ‘Merrymaking pleasure business’ giving damage to the spirit of the situation in emergency, and so was restricted.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business control and an increase in tax of amusement & food restaurant, the entertaining business was restricted and was closed their door. On the other hand,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such as Daejwabu getting loose control relatively didn’t received a large damage even during the period of wartime and continued to open their door. Daejwabu focused on prostitution was judged as a business with a few ‘Amusement elements’. First of all, Dajwabu continued to open the door since major users of the state&#8208;regulated prostitution were Japanese people in Joseon and military men for the most part. In th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female receptionists were rearranged in the frame of Japan’s women mobilization policy. To secure women resources during the period of wartime, Japan attempted to intercept channels of female receptionists to prostitution by quitting business of female receptionists or strengthening regulation of human traffic. In addition, Japan made female receptionists participate in labor mobilization or nursing mobilization, and made female receptionists play a role of ‘Wartime consolation’ by making consolatory visit groups or comfort bags. Under Japan’s control policy, receptionists strived to overcome difficulties in their business with unlicensed prostitution or to find a way out by entering into new areas such as China and Southeast Asia. Female receptionists quitting their business also transferred to new unlicensed prostitution places or earned money for their life by existing as an unlicensed prostitute. Japan strived to manage unlicensed prostitution positively at that time by strengthening regulation of unlicensed prostitution, registering them or strengthening their VDRL. In its background, there was an advance notice for execution of <Act on VD Prevention> at that time. <Act on VD Prevention> gave the police a help in strengthening VDRL by only raising its anticipation and discussing on the need of its execution although it was not carried out in Joseon.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일제시기 성매매 문제에 대한 기존연구가 공창제의 도입과정과 폐창운동을 고찰하는 데 머물러 있다는 사실에 문제의식을 갖는다. 오늘날 한국 사회를 특징짓는 성매매 형태와 그 산업구조가 일제시기로부터 비롯되었다는 사실은 많은 연구자들이 공통적으로 지적을 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공창제가 폐지된 해방 이후의 한국사회에서 성매매가 공공연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현상에 대해서는 제대로 해명을 하고 있지 못하다. 한국사회에서 성매매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그 해결방법의 하나로서 공창제가 제기되는 것도 한국 공창제의 역사에 대한 인식이 단편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사회의 성매매 문제에 대한 현실진단과 해결방안은 공사창을 포함하는 성매매 정책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서 해명할 수 있다. 일제는 공창제를 시행하면서 공창 관리와 사창 금지를 표방하였지만, 실제로는 사창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성매매의 일부까지 허용하고 관리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제시기 성매매 정책은 경찰의 관리 안에 있던 면허영업과 관리 밖에 있던 무면허 영업에 대한 경찰의 인식과 단속 태도를 통해서 제대로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성매매를 공인하는 제도인 공창제는 한반도에서 일제가 정치적 지배력을 확보해가는 과정에서 등장하였다. 에도시대부터 유곽이 발달했던 일본에서는 근대시기에 들어와 기왕에 형성돼 있던 성매매 집결지역에 성병검진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근대 공창제를 새롭게 재편하였다. 1876년에 조선을 강제로 개항하고 난 뒤, 개항장을 중심으로 형성했던 거류지에서도 일본인의 성매매는 유곽을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그러나 공식적인 공창제는 시행하지 않은 채, 성매매 집결지에서 공창방식의 관리단속을 펴는 것으로 성매매를 관리했다. 이러한 ‘준공창’의 상태는 세계 열강의 시선을 의식하여 ‘국가의 체면’을 고려한 결과였다. 조선인 사회의 성매매 확대는 일본 유곽문화의 도입과 함께 시작되었다. 그러나 초기에는 노골적인 성매매 형태를 갖기보다는 삼패기생의 경우와 같이 유흥에 성매매가 결합된 방식이 많았다. 공간적으로도 집결되기보다는 여기저기 산재되어 있는 형태가 많았다. 일제는 조선인 사회에 공창제를 도입하면서 복합적인 성격의 접객여성들을 창기화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성병검진에 저항이 심했던 접객여성들을 창기로 정체성화하고 이들에게 성병검진을 규범화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1916년에 전국적으로 공창제가 시행되었을 때, 성매매 정책은 재조일본인 사회와 조선인 사회에 대해 차이를 두고 있었다. 재조일본인 사회의 공창이 좀 더 집결화되고 엄격한 성병검진을 받는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면, 조선인 사회의 공창은 散娼의 형태에 약간은 느슨한 성병검진을 받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공창영업은 재조일본인의 소비에 의지한 바가 컸으며, 조선인의 영업은 사창 형태를 띄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성매매 단속은 각 지역의 풍속경찰이 각자의 ‘재량’에 의해 지역마다 차이를 두고 시행하였으며, 이 때문에 공창지역이 아니면서도 공창에 버금가는 방식으로 성매매가 관리되는 지역도 있었다. 공사창을 아우른 접객업 단속의 중점은 무엇보다 성매매 관리를 통한 성병예방에 있었다. 이 때문에 경찰은 예기나 작부에 대해서도 창기에 준하는 관리와 단속을 하여 이들의 성매매를 실질적으로 허용하였다. 공창제에 대한 비판 속에서 공창은 시간이 흐를수록 위축되는 경향을 보였다. 인신매매 문제를 내세운 국제사회의 압박과 폐창운동가들의 활동으로 공창제는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었다. 공창제가 시행되고 있으면서도 사창과 성병이 증가하는 상황 또한 공창제의 명분을 잃게 했다. 이에 대해 일제는 공창의 축소를 추인하면서 사창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는 것으로 성매매를 관리하였다. 공창제 시행의 전제는 사창에 대한 금지였지만, 일제는 애초부터 사창을 근절할 수 없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접객여성에 대한 외출제한과 성병검진을 시행하는 것으로 사창의 성매매를 관리하였다. 이러한 사창 관리는 경찰에게 영업허가를 받고 경찰의 관리 영역 안에 있는 접객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반면 무허가 유곽이나 접객업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엄격하게 처분을 하였다. 사창 관리에 대해 자신감이 생기자 일제는 공창을 폐지하는 방침을 검토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실제로 폐창을 실현하는 지역들이 출현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에서는 끝내 폐창을 실현하지 못했다. 폐창의 내용은 성매매를 금지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형식상의 공창제를 폐지하고 사창에 대해 공창방식의 관리를 하겠다는 것이었다. 형식상의 정책이었다고는 해도 조선에서 폐창이 실현되지 않았던 이유는 성병검진 시스템이 미비했기 때문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폐창의 전제조건인 <화류병예방령>이 조선에서는 시행되지 않은 상황에서 재조일본인들이 주요 이용자였던 공창을 폐지하기가 곤란했던 것이다. 폐창이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조선의 성매매 형태는 점차 공창이 위축되고 사창이 확산되는 경향을 보였다. 폐창론의 영향으로 공창을 기피하는 풍조가 생겼고, 저렴한 비용으로도 유흥과 성매매를 할 수 있는 성매매 형태가 선호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러한 변화는 사창에 대해 금지가 아닌 관리방침을 취하면서 사창의 확산을 방조했던 경찰의 태도 때문이기도 했다. 일제는 성병검진의 강화, 집결화, 무면허 사창을 작부나 여급 등의 면허사창으로 전환시키는 방식을 통해 사창에 대한 관리를 강화해 나갔다. 총력전체제로 특징지을 수 있는 전시체제기에는 공창이 옹호되고 사창이 억제를 받았다. 요리점, 카페, 바 등의 접객업은 비상시국의 정신을 해치는 ‘유흥향락업’으로 치부되어 억제의 대상이 되었다. 영업통제의 강화, 유흥음식세 등의 증세를 통하여 접객업은 억제되고 전폐업의 대상이 되었다. 반면 상대적으로 통제가 느슨했던 대좌부 등의 공창은 전시체제기에도 그다지 타격을 받지 않고 영업을 계속할 수 있었다. 성매매를 위주로 하는 대좌부는 ‘유흥적 요소’가 적은 영업으로 판단되었고, 무엇보다 이시기 공창의 주요한 이용자가 당시 조선 내에 증가했던 재조일본인과 군인이었기 때문이다. 총동원체제 속에서 접객여성은 일제의 여성동원정책의 틀 안에서 재배치되었다. 전시의 여성인력 확보를 위해 일제는 접객여성을 전폐업시키거나 인신매매 단속강화를 통하여 접객여성의 유입경로를 차단하려고 하였다. 또한 접객여성들을 단위로 노무동원이나 간호동원을 하였으며, 위문단을 꾸리거나 위문대를 제작하게 하여 ‘전시 위안’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일제의 통제정책 속에서 접객업자들은 무면허 사창을 두고 영업난을 타개하려고 하거나 중국, 동남아시아 등 새로운 지역에 진출하여 활로를 개척하려고 하였다. 전폐업을 했던 접객여성들도 새로운 사창업소로 전업하든가 무면허 사창으로 존재하면서 생계를 이어가고 있었다. 일제는 무면허 사창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는 한편 이들을 등록시키거나 접객여성에 대한 성병검진을 강화하는 것으로 이시기 사창을 적극적으로 관리하려고 하였다. 그 배경에는 이 시기 <화류병예방령>의 시행예고가 있었다. <화류병예방령>은 조선에서 결국 시행되지 않았지만 시행의 기대감을 높이고 그 필요성을 논의한 것만으로도 경찰이 성병검진을 강화하는 데 일조를 했던 것이다.

      • 中國延邊朝鮮族漢語敎育硏究

        박정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중국 연변 조선족자치주 내 소수민족인 조선족에 대한 중국어 교육의 역사를 고찰하고 중국어교육 모델개혁과 창의적인 교육모델도출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이를 통하여 작금의 중국어교육에 내재된 제반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중 언어교육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중국 조선족에 대한 중국어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타의 소수민족에 대한 중국어 교육에도 일조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