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래하소서 여신이여”, “말해주소서 뮤즈여”: 고대 그리스의 음악과 음악가, 그리고 여성

        박정숙 ( Jeongsook¸ Park ) 한국음악학학회 2020 음악학 Vol.28 No.2

        본 연구는 고대 그리스에서 여성을 중심으로 한 음악문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여러 개의 도시 국가들로 구성된 고대 그리스는 ‘그리스어’라는 언어를 공유했을 뿐, 각각의 도시 국가들은 서로 다른 신을 섬기며 다른 문화형태를 갖고 있었기 때문에 그들의 사회문화적 특색을 하나로 일반화시킬 수는 없다. 그러나 고대 그리스의 여성들은 공통적으로 여성과 남성이 분리된 공동체나 혹은 성별에 따라 엄격하게 구분되는 생활 영역 안에서 사회화되는 경향을 갖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는 그러한 분리된 여성의 일상에서 이루어진 여성들의 음악 활동을 찾아보고자 했다.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여러 문헌자료들과 아티카 도기의 그림을 바탕으로, 철학적이고 이론적 측면에서 주로 서술되어 왔던 고대 그리스의 음악사에서 사라져버린 여성의 음악 경험의 흔적을 찾아보고자 했다. 레스보스 출신의 사포는 고대 그리스 초기 여성 공동체를 이끌었던 대표적인 여성 서정시인-음악가로서, 고대 그리스에서 그 이름과 시가 구체적으로 전해지는 유일한 여성이다. 이후 아테네의 시민사회에 속했던 여성 도시민들은 민주정의 발전과 함께 공적 사회에서 배제되었고, 이상적인 시민 양성을 위한 1차연도의 일부로 행해진 음악1차연도에서도 배제되었으나, 결혼의식이나 종교축제의 합창대에서 노래함으로써 음악 활동에 그나마 참여할 수 있었다. 한편 고대 그리스에는 아울레트리스라는 낮은 계급의 전문적인 여성 아울로스 연주자가 있었는데, 이들은 결혼의식이나 축제 행렬을 위해 고용되기도 했으나 무엇보다 남성들의 전유물이었던 향연에 참여함으로써 고대 그리스의 매춘 문화와 결부되기도 했다. This study explores music culture of women in Ancient Greece.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of Ancient Greece because it consisted of several poleis (city-states). Although Greek was a shared language, each polis served its own god, which contributed to establishment of peculiar form of culture. However, Ancient Greece society strictly separates community between women and men and this distinction results in different socialization processes depending on type of sex.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female musical activities of Ancient Greece that were isolated from those of the opposite sex. To trace women’s music-making, evaporated in Ancient Greek music history that focuses on philosophy and theory, this study closely reads several surviving writings and Attic vase painting. A lyric poetry-musician, Sappho of Lesbos led a female community. She is the only women whose name is specified with Ancient Greek poetry. Since then, astè, female citizens in Ancient Athens, were excluded in development of democracy as well as public society. They were not allowed to learn music, one of core elements of education for fostering ideal citizens, but participated in singing as chorus member in wedding ceremonies and religious festivities. As professional female aulos player from low social class, aulētris was hired for wedding rituals and festival procession. Above all, the aulos player was associated with Ancient Greek prostitution culture because of their participation in symposium that is exclusively male-dominated.

      • KCI등재

        사랑과 죽음의 역설: 마달레나 카술라나(c.1544~c.1590)의 마드리갈 연구

        박정숙 ( Jeongsook Park ) 한국음악학학회 2021 음악학 Vol.29 No.2

        마달레나 카술라나(Maddalena Casulana, c.1544~c.1590)는 16세기 이탈리아에서 활동한 가수이자 류트연주자이며, 서양 음악의 역사에서 자신의 작품을 최초로 출판한 여성 작곡가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오늘날까지도 출판되어 전해지는 마달레나 카술라나의 4성부 이탈리아 마드리갈에 관한 연구이다. 마드리갈은 대개 한 성부 당 한 명씩 노래하는 관습을 가진 소규모 그룹을 위한 세속노래로, 주로 귀족이나 중상계층의 모임, 혹은 아카데미 등에서 남성과 여성이 어우러져 노래할 수 있는 장르였다. 감상을 위한 것이기 보다는 연주자들 스스로 노래하는 기쁨을 즐기기 위해 작곡되었던 마드리갈은 16세기 후반이 되면서 선율과 양식이 더욱 복잡해지고 보다 전문적인 가수를 위한 장르로 변해갔다. 카술라나의 마드리갈은 점차 전문화되어가기 이전의 단계에서 16세기 중반의 다양한 마드리갈 작곡 기법들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녀의 첫 단독 마드리갈 곡집 1권은 1568년에 처음 출판되었고, 2권은 1570년에 출판되었다. 당시의 많은 마드리갈들이 그러했듯이 카술라나의 마드리갈 역시 주요 시 주제는 사랑과 죽음이다. 욕망(갈망 혹은 간절한 바람)을 통한 사랑과 죽음의 관계는 함축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들을 갖고 있는데, 카술라나는 중요한 시어들을 가사 그리기 기법을 통해 다양하게 표현한다. 오늘날 전해지는 카술라나의 마드리갈은 대부분 4성부이며, 복잡하지 않은 대위기법의 사용과 함께 화음 중심의 음향이 주를 이룬다. 실라빅한 진행 가운데 주로 최상성부를 중심으로 선율이 구성되고 베이스 성부는 화성적 기초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시의 구문과 시어의 악센트가 반영된 선율, 보다 유연한 리듬 등은 낭송조의 선율 경향을 갖기도 하고, 대화체의 마드리갈 등 다양한 스타일의 마드리갈이 있다. 카술라나의 시에 대한 감각은 음악을 더욱 섬세하고 정제된 표현으로 돋보이게 한다. Maddalena Casulana (c.1544-c.1590), an Italian singer and lutenist of the Cinquecento is the first female composer who published her own compositions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western music. This study investigates Casulana’s four voices Italian madrigals that have been transmitted until today. Madrigal is secular vocal music for small group and the number of voices varies from one to several people. It is a musical genre that men and women sing together for aristocratic gatherings or academy. Early madrigals were compositions for enjoyment of singing performance rather than appreciation. In the late sixteenth century, madrigals exhibit more complex melodies and complicated styles primarily for professional singing. Casulana published her first madrigal collection in 1568 and the second in 1570, which showed various compositional techniques of the mid sixteenth century madrigals without complexity of the later period. Like other madrigals, main themes of Casulana’s madrigals are love and death. The relationship between love and death through desire or dearly wish has implicative and symbolic meanings for which Casulana uses important poetic words through word-painting techniques that expressed in a diverse way. Most of Casulana madrigals have four voices setting and show uncomplicated counterpoint with homophonic sonority. Her madrigals are characterized by syllabic settings, main melody on the top voice, and bass line that plays a role in harmonic basis. A variety of her madrigal style includes melody that reflects poetic structure and accent, flexible rhythm for declamatory, and dialogue. Her poetic acumen redounds to musical sophistication and refined expression.

      • KCI등재

        장애자녀 양육자의 학부모로서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박정숙 ( Park Jeongsook ),박재연 ( Park Jaeyeon ),박주혜 ( Park Juhye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자녀를 둔 양육자의 학부모로서의 경험과 생각을 듣고, 현실적인 어려움을 분석하고,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장애자녀의 취학을 경험하고 있는 주 양육자 10명을 선정하여 인터뷰 하였다. 반구조화된 질문들을 활용하여 1:1 면담의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추출되어진 자료는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에 의해 분석하였다. CQR 분석을 통해서 최종적으로 추출된 9개의 영역을 장애자녀의 진학에 대한 경험, 장애자녀의 학부모로서의 경험, 향후 진학과 진로에 대한 생각의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장애자녀의 초등학교 입학과 학교생활 그리고 진로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isten to parental experiences and thoughts of parents having with a disabled child, analyze realistic difficulties and find improvement points. To do this, there were interviews after choosing 10 main caregivers who are currently sendi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 school. It was implemented as one and one interview method taking advantage of the semi-structured inquiry and the extracted data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e nine areas finally extracted through the CQR analysis were divided into three areas: experience on admission of a disabled child, experience as a parent of a child with a disability, and thoughts about future admission into a school and care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bout elementary school admission, school life and career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고대 그리스 음악의 문화사적 조명: 아테네의 ‘대 디오니소스 제전’을 중심으로

        박정숙 ( Park Jeongsook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0 이화음악논집 Vol.24 No.4

        This paper examines cultural aspects of the music of ancient Greece during the 5th and 6th B.C.E. in the context of religious festivals. Religious ritual of the polytheistic ancient Greece, especially the Athenian Great Dionysia, was public festivity that was politically reorganized by a polis to encourage citizens’ sense of belonging to polis and to emphasize regional integration. As a core component of such religious events, music used for the festival reflects various forms and changes of the ancient Greek music. The Great Dionysia is characterized with various musical features: Mousike as a comprehensive concept encompassing music, poetry, and dance; singing oriented music culture; choros and choral lyric that emphasized a voice of community; important a poet-composer, Kitharodos; Dithyrambos as a refined art form; music plays including tragedy and comic play; virtuosic aspects of aulos players with professionalism; nomos as the traditionally standardized musical frame; effort of later musicians to be free from nomos; and a tendency of ‘new music’ to express emotions in music through mimesis. These features are critical to understand music and culture of the time of the ancient Greece.

      • KCI등재

        ‘아버지의 이름’을 향한 욕망의 목소리: R. 슈트라우스 ≪엘렉트라≫(1909) 비평

        박정숙 ( Jeongsook Park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6 이화음악논집 Vol.20 No.2

        이 논문은 리하르트 슈트라우스(Richard Strauss, 1864-1949)의 오페라 ≪엘렉트라≫(Elektra, 1909)의 해석에 관한 연구로서, 모더니즘을 대표하는 작품에 깊이 박혀있는 가부장적 가치체계를 드러내고자 하는 페미니즘 비평의 일환이다. ≪엘렉트라≫는 20세기 초 공연되었을 당시는 물론이고 오늘날까지도 음악계에서 매우 진보적인 성향을 가진, 혁신성과 모더니티를 수용한 대표 작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여주인공 엘렉트라는 시종일관 과도하고 격렬하며, 혐오스럽고 히스테릭하다. 세기말의 부정적 이미지들을 오롯이 입고 있는 엘렉트라는 비논리적이고, 이성이란 없는 감정적 존재이며, 퇴행적인, 마치 짐승과도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그녀의 음악은 격렬하고 과잉된 불협화와 과도한 반음계적 진행 속에 달려 가지만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조성이라는 목표를 향해 달려간다. 그녀가 가진 강력한 육체도 물질성도 파괴적인 에너지도 모두 조성 질서라는 하나의법 안에 잠식되어 버리고 만다. 슈트라우스는 ≪엘렉트라≫를 통해 극적 긴장감을 위한 화성적인 실험들을 감행하고 전통적인 조성으로부터 멀어지려 하였지만, 그 표면 아래에는 분명한 조성의 토대를 마련해 두고 종지를 향한 움직임에 강렬함을 제공하면서 그에 지속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것이다. 엘렉트라는 그녀가 가진 감정적, 육체적 에너지로 자신을 배제시키려는 법질서를 끊임없이 재생산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엘렉트라≫를 세기말이라는 특정 공간 안에서 생성된 하나의 텍스트로 간주하고, 그곳에서 드러나는 권력관계의 문제, 가치체계의 문제 등에 대해 면밀히 살펴보고자한다. 세기말 사회적 불안과 도덕적 관념과 질서의 혼란, 퇴폐적이고 향락적인 분위기에 위기를 느낀 남성 극작가와 작곡가가 자신들의 위기감을 극복하기 위해 그리고 그들만의 사회적 일치를 강화하기 위해 허구적인 여성 주인공을 어떻게 설정하고 이용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of interpretation of the opera Elektra (1909) composed by Richard Strauss and concentrates on the feminist criticism to reveal the patriarchal value system of this opera. Since its premiere in 1909, Elektra has been regarded as the representative of modernism expressing the most progressive ideas until now. Elektra, the main female character, is filled with the negative images of the fin-de-siecle wearing consistent excessivity, intensity, misogyny and hysteria. Additionally, she is described as illogical, solely emotional, lack of rationality and regressive, like an animal rather than human being. Meanwhile, Elektra`s music always moves toward to the tonality in spite of its vehement and excess dissonance. In other words, her strong body including materiality and explosive energy obeys the only law, tonality. Strauss performed an experiment of harmony with his opera Elektra in order to dramatize sonic tension by distancing the music from the tonal tradition. On the other aspect, however, he implicated tonality as the musical platform because the harmonic progression is subordinate to the law of tonality that is an expression of strong tendency to cadence in terms of harmony while experimenting the acoustic discordances. As a result, Elektra reproduces the patriarchal and tonal system by alienating herself from her emotional and bodily energy, and, finally, leading her death. In this study, I consider Elektra as one of the texts that was produced in a specific circumstance, the fin-de-siecle Wien, and analyze this text in terms of both relation of power and system of value. In the context of the fin-de-siecle, the male librettist and composer put their efforts to overcome the crisis that they had experienced the social unrest, confusion of moral idea and order, degeneration and hedonism by establishing the fictional female protagonist in order to consolidate their own social consensus. Thus, the analysis of Elektra`s personality discloses the distorted concept of gender of the librettist and composer.

      • KCI등재

        발달장애 자녀 양육과 교육의 어려움 연구

        박정숙 ( Park Jeongsook ),최웅용 ( Choi Woongyong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발달장애 아동 부모들의 자녀 양육 경험 중 교육지원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현재 발달장애 아동 대상 교육 지원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부모님들의 가족지원에 대한 요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 경북 지역에 거주하는 발달장애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204부에 대해 빈도 분석을 하였고 발달장애아동 부모 10명에 대해서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합의적 질적 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를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로는 첫째, 발달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은 ‘산 넘어 산의 어려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 자녀의 교육에 대한 부모들의 기대감에 비해, 교육 지원을 위한 인프라는 ‘양적으로 질적으로 모두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 자녀 양육을 위한 가족 지원으로 ‘경제적 지원’과 함께 ‘가족 심리상담’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으로는, 교육 관련 정보제공을 위한 인프라 구축, 장애전문 어린이집과 발달관련 센터 등에 전문 상담사 배치, 바우처 지원 금액의 확대와 제공인력의 교육 관리를 통한 질적인 향상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zero in on finding out difficulties of the parenting process,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educational support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rough the study of parenting experience of parents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rveys and interviews are conducted for parents hav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Daegu, the Gyeongbuk area. As a result of the survey, analysis is implemented for 204 parts and interviews are conducted on 10 parents to derive results from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research, First of all, the process of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ems to be 'Difficulty of Mountains beyond mountains(What's even worse)'. Secondly, compared with parents' expectation for the treatment and educ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infrastructure for the treatment educ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ems to be ‘insufficient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Third, it was found that they want 'family psychological counseling' along with 'economic support' as support for rais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relevant infrastructure needs to be structured, such as establishing a route for providing information. a professional counselor should be arranged in a daycare center and a development-related center for the disabled, it's necessary to improve quality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voucher aid amount and the education management of the manpower provided for stable therapeutic education.

      • KCI등재후보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이직의도와 관련요인

        박정숙(Jeongsook Park),오윤정(Yunjung Oh) 한국농촌의학 지역보건학회 2014 농촌의학·지역보건 Vol.3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방문간호사의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과 이직의도의 예측요인을 분석하여 맞춤형 방문건강관리사업의 안정적인 정착과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조사대상자는 대구시와 경상북도의 방문간호사를 대상으로 총 237명의 조사결과를 최종적으로 활용하였다. 방문간호사의 이직의도는 3.12점(5점 만점)이었고 직무만족도는 2.41점(4점 만점) 이었다. 직무만족도 하위영역에서는 운영요인의 점수가 가장 낮았고, 인간관계요인 점수가 가장 높았다. 방문간호사의 이직의도와 관련이 있는 일반적인 특성은 결혼상태, 종교, 방문건강관리업무 근무경력, 고용형태, 근무 지역이었으며,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이직의도를 설명하는 주요변수로는 직무만족도, 결혼상태, 고용형태로 나타났고, 방문간호사 이직의도를 19.8% 설명하였다. 방문간호사들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업 만족도 향상 방안과 각 지자체마다 방문간호사의 연속고용이 보장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이로 인해 방문보건사업의 정립과 함께 질적인 성과도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fine th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customized home health care nurses. Methods: Research participants were 237 nurses who worked in the customized home health care of 33 public health centers i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 report questionnaires from July, 1 to August, 30, 2011.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s: The average score for turnover intention was 3.12 (5 score) and job satisfaction was 2.41 (4 score). The scores for sub-categories of job satisfaction were operational factors, 1.99, personnel factors, 2.03, work factors, 2.64 and relationship factors, 3.04. Marital status, religion, visiting nurses career, employment status, work area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in these subjects.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r=-0.354, p<0.001). Significant factors were job satisfaction, marital status, employment status (Cum R2=0.198, F=17.179, p<0.001) that explained 19.8% of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s: Customized home health care nurses management policy which includes job satisfact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f visiting nurses should be established to enhance of quality of customized home health care service.

      •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선향(Park, Seonhyang),박정숙(Park, Jeongs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ively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adolescents academic stress, the personal factor, the learning - related factors, the family - related factors, and the school inside outside - related facto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77 students were enrolled in two high schools in G City and C coun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stress of youth was 2.27 points out of 5 points, which was a little low. First, Female students compared to boys, students with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compared to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fter-school classes had significantly higher academic stress tha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fter-school classes. Second, the academic stress of adolescen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go - resilience, academic self - efficacy, teac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Third, academic self - efficacy, after - school class participation, peer attachment, and gender wer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academic stress of adolescents,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tudents was 18.1 (F=9.50, P<.00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관련 요인, 학습 관련 요인, 가정 관련 요인, 학교 내외 관련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G시와 C군에 소재한 2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14일부터 6월 22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17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2.27점으로 조금 낮은 수준이었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학생이 좋은 학생에 비해, 방과후 수업에 참여하는 경우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사애착, 또래애착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방과후 수업 참여, 또래애착, 성별이었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높았고 이들의 설명력은 18.1(F=9.50, P<.001)% 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의 방향과 교육 현장에서의 시사점에 대해 논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