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작 뮤지컬의 극작 과정 연구 : 뮤지컬 <스페셜 레터>를 중심으로

        박인선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Writing process of creative musical - Focused on Musical <Special Letter> – Park, In seon Department of Movie & Musical The Graduate School Myung-Ji University Advisor : Professor Lee, Tae Won This paper is about the process from designing to completing the scripts, which is the most fundamental step during the course of a musical production. A musical is a performing art where a variety of the visual factors embracing instrumental and vocal music, dramatic lines and gestures and dynamic dancing are in harmony. Despite 100 years of short history, the musical has been attracted the audiences to the theater as a leading cultural contents among the pop cultures, while musical market in Korea has shown a kind of explosive growth. Nevertheles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translated licensed musicals are monopolizing the market in Korea. While some great creative musicals keep alive and are loved by their fans, it is also true that foundation and environment for creation has certain level of limitation compared to a sense of duty of the creators who want to create a creative musical which can be played in the long run. Moreover, data for how to write a script is scarce. Even from the researcher’s experience, the scripts only could be written in reference to writer’s internal sense or dramaturgy of other genres such as movies or plays. Therefore, by explaining the process of creating the musical <Special Letter> for which the researcher is in charge of writing the script and directing, I wish it to be used as data for dramaturgy in the musicals. The musical <special letter>, written and directed by Park Insun, composed by Ma changwook, and choreographed by Jung Doyoung, had be performed for 3 days in a workshop for graduation from directing department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K'Arts) in march, 2009. Within the same month, it was also performed in Korea University Inchon Memorial Hall. After that, in June it was nominated as a creative support artwork by DIMF in CT theater in Daegu and performed for 3 days, which brought a prize for the creative musical in the third DIMF. It was also performed in SM Art Hall from August to December and awarded a prize for the script. Next year, it was performed as open run. In 2010, it received a prize for the creative musical in a small theater by the fourth Musical Awards in April, and then it was officially invited by NYMF to be performed at Theater Duke in 42nd street for 10 days. After that, it was performed as open run in SM art Hall of Daehak-ro from 2011 to 2013. The researcher has studied how a work has changed from a small idea through cooperation of various artists including a composer, producers and actors, by taking a look into the 6 years of process of the musical <Special Letter>, focusing on creating the scipt. The script of a musical has a certain process finding a topic and source, creating synopsis, composing treatment and musical scenario, constructing lines, lyrics and acting, and revising. This process is the very series of cooperation with colleagues such as composer and producer, not only for the writer. The paper is to mak arrangement for systematizing dramaturgy by studying it. As for the script of a musical, especially, ‘music‘ itself plays a great role, which is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from the scripts for other genres. Therefore, the writer shoud have deep understanding about music. On the step of treatment, he of she has to come up with the musical scenario though the cooperation with the composer. In most cases, the writer is in charge of lyricst as well, which gives a kind of burden of methodology to write a song. Thus the script of the musical should be regarded as not only just a script, but something including the score based on the script. However, this paper focused on the process of playwriting, while the process of writing song coud not be covered. Instea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cript and the music is also studied.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ystematize dramaturgy of the musical in the light of 10 years of experiences as a play writer and director in the field area. The researcher hope it to help other researchers have theoretical establishment and give a directing point. 국문 초록 창작 뮤지컬의 극작과정 연구 - 뮤지컬 <스페셜 레터>를 중심으로 – 박 인 선 명지대학교 대학원 영화뮤지컬 학과 지도교수 이 태 원 본 연구는 뮤지컬 제작 과정에서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작업인 뮤지컬 대본의 기획에서부터 완성까지의 과정에 대한 탐구 과정이다. 뮤지컬은 기악과 노래가 포함된 음악과 드라마적인 대사와 몸짓을 아우르는 연기, 역동적인 무용과 다양한 무대 매커니즘을 통한 비쥬얼이 종합적으로 어우러지는 총체극이라 할 수 있는 무대예술이다. 불과 100여년에 불과한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뮤지컬은 대중 문화를 선도하는 문화 컨텐츠로서 관객들을 극장으로 흡입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뮤지컬 시장 역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의 뮤지컬 시장은 번역된 라이센스 뮤지컬들이 지배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좋은 창작 뮤지컬들이 그 명맥을 이어가고 관객의 사랑을 받고 있기는 하지만 뮤지컬 시장에서 롱런할 수 있는 창작 뮤지컬을 만들어야한다는 창작자들의 사명감에 비해 창작을 할 수 있는 기반과 여건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더구나 대본을 쓰고자 하는 열정은 있지만 어떻게 뮤지컬 대본을 써야하는지에 대한 자료는 거의 전무하다시피한 것이 현실이고, 본능적인 감각이나 영화나 연극 등의 여타의 장르의 극작법을 참고해 뮤지컬 대본을 쓸 수 밖에 없는 것도 본 연구자의 경험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직접 극작과 연출을 맡은 뮤지컬 <스페셜 레터>의 극작과정을 설명하며 이 연구 자료가 얼마 되지 않는 뮤지컬 극작에 대한 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하는 바램을 가진다. 뮤지컬 <스페셜 레터>는 박인선 작/연출, 마창욱 작곡, 정도영 안무로 2009년 3월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출과 전문사 졸업공연 워크샵으로 3일간 공연되었고, 같은 달 고려대학교 인촌 기념관에서 초청받아 공연되었다. 이후 같은 해 6월 대구 CT극장에서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DIMF) 창작지원작으로 선정되어 3일간 공연되었고 제 3회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DIMF) 어워즈에서 창작 뮤지컬상을 수상하였다. 같은 해인 2009년 8월부터 12월까지 대학로의 SM아트홀에서 공연되었고 2009년 10월 제 15회 한국뮤지컬 대상에서 극본상을 수상하였다. 다음해인 2010년 6월부터 오픈런으로 공연되었으며 2010년 4월 제 4회 뮤지컬 어워즈에서 소극장 창작 뮤지컬상을 수상했으며2010년 NYMF(뉴욕 국제 뮤지컬 페스티벌)에 공식 초청되어 10일간에 걸쳐 42nd street 에 있는 Theater Duke에서 공연되었다. 이후 2011년 여름부터 2013년 2월까지 서울 대학로에 소재한 SM 아트홀에서 오픈런으로 공연되었다. 본 연구자는 이렇게 공연된 뮤지컬 <스페셜 레터>의 대본 창작 과정을 중심으로 6년여 간의 제작 과정을 연구하며 하나의 아이디에서 시작된 작품이 작곡가와 프로듀서, 배우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가들과의 협업 과정을 통해 어떻게 변화되어가는 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뮤지컬 대본은 주제와 소재 찾기, 시놉시스 만들기, 트리트먼트와 음악 시나리오 만들기, 가사와 대사, 지문 쓰기, 퇴고의 과정을 거친다. 이런 과정은 작가 혼자만 겪는 것이 아니라 작곡가와 프로듀서 등 함께 작품을 만드는 동료들과의 협업의 연속이다. 본 연구자는 이와 같은 과정을 연구함으로서 뮤지컬 대본의 극작법에 대한 체계를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뮤지컬 대본은 여타 장르의 대본과는 달리 ‘음악’ 이라곻 k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이것이 다른 장르의 대본과의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작가는 음악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야하며 트리트먼트 단계에 이르러서는 작곡가와의 협업을 통해 음악 시나리오까지 구성해야하고, 대부분의 경우 작사가의 역할까지 수행해야 하므로 가사를 쓰는 법에 대한 방법론도 자기 것으로 만들어야만 한다. 그럼으로 진정한 뮤지컬 대본은 대본 그 자체라기보다는 대본과 그 대본을 기반으로 완성된 악보까지를 이야기해야한다는 것이 본 연구자의 견해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작곡 과정까지를 다룰 수가 없기에 주로 대본 작업만을 다룰 수밖에 없었으나 최대한 대본과 음악의 연계성을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현장에서 10여년간 극작가와 연출가로서 작업을 하며 느낀 뮤지컬 극작법 체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정리하면서 본 연구가 본 연구자를 비롯한 다른 연구자들에게 이론적인 정립을 돕고, 하나의 지향점이 되기를 바란다.

      • 에어로졸 물리⋅화학적 특성 및 발생기작 분석 : 용인지역 중심으로

        박인선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at the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UFS) located in Yongin, a suburban region of Korea, from February 15 to March 31 and May 5 to June 15, 2022, to identify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M2.5. The concentrations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PM2.5 and gaseous precursors (NOX (NO, NO2), SO2, O3, CO, CO2, HNO3, NH3, and NMHC) were measured to study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generation mechanism of secondary aerosols according to the time. Our results revealed that ammonium nitrate in Yongin was produced due to ammonium-rich conditions, and ammonium sulfate was neutralized in February—March compared to May—June. Organic aerosols were more oxidized in urban areas and neutralized in rural areas. Organic aerosols were more oxidized than in urban areas and neutralized than in rural areas. In high PM2.5 concentration cases, the ratio of NO3- increased during local and long-range transport. And before and after the case, while NO3- decreased, the ratio of organics and SO42- increased.

      • 치주질환 위험요인에 기반한 비외과적 치주처치 중심의 치위생관리 모형 개발

        박인선 강릉원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치과위생사 임상업무의 기본 틀인 치위생관리 단계에 따라 치주질환 위험요인에 기반하여 치주질환자를 효과적으로 관리 및 예방하기 위한 모형을 개발하고, 이의 시범운영을 통해 구조·과정·결과 평가를 진행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개발한 치위생 치주챠트 치위생관리 단계에 따라 사정 항목은 최근 치과방문경험, 구강관리행태, 흡연, 음주, 영양, 전신질환병력, 치주탐침 시 치은출혈, 부종, 치주낭 깊이, 치은 퇴축, 치아동요도, 치석의 유무로 구성하였다. 치위생 판단 단계에서는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치주질환의 위험도를 판단하며, 치위생 계획 및 수행단계의 항목은 자가 관리와 전문가 관리로 구성하였다. 이는 전문가 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수정 및 보완의 단계를 거쳤다. 다음으로 개발한 치위생 치주관리 매뉴얼의 내용은 치위생 치주챠트를 활용하기 위한 지침 및 준비사항과 당뇨병 · 심혈관계 질환 · 호흡계 질환 · 골다공증 · 조산으로 총 5개의 질환의 전신질환자의 치주처치 시 지침 및 교육사항의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개발된 치주챠트와 매뉴얼을 토대로 치위생 치주관리 시범운영을 진행하였다. 시범운영의 대상자는 구강검진을 완료하고 본 연구에 참여를 동의한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치주질환 위험요인에 기반한 치위생 치주챠트 및 치위생 치주관리 매뉴얼을 개발하여 이를 기반으로 시범운영을 실시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연구에서 개발한 치위생 치주챠트에 대한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결과, 치주챠트 내용에 대한 19개의 항목 중 17개의 항목에 0.8이상의 CVI를 받았으며 다른 2개의 항목에 대해서는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 및 보완하였다. 2) 시범운영 전·후 전체 대상자의 4mm 이상 치주낭 보유율은 51.4%에서 30.3%로 감소하였으며(P<0.001), 전체 대상자의 치은출혈 보유율은 38.3%에서 11.6%로 감소하였다(P<0.001). 3) 시범운영 전·후 전체 대상자의 구강건강행태의 변화는 전체 대상자 중 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은 7.2개피에서 4.1개피로 감소하였으며(P<0.01), 전체 대상자의 구강관리용품 사용율은 시범운영 전 25%에서 시범운영 후 75%로 증가하였다(P<0.01). 전체 대상자의 하루 평균 칫솔질 횟수는 2.2회에서 2.6회로 증가하였고(P<0.05), 칫솔질 방법은 시범운영 후 전체 대상자가 올바른 방법(회전법, 바스법)으로 변화하였다. 결론: 비외과적 치주처지 중심의 치위생관리는 치과임상에서 치과위생사 주도로 성인 치주질환자의 구강건강증진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향후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에 근거하여 치과임상에 적용 및 확대하고, 적용 결과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 노인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인선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This research particularly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long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s family cohesion and suicidal ide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survey taken from June 2014 to September 2014 , approximately for three months, aimed at the elders over 65 years of age living in Gyeonggi-do and Seoul area. Sampling was done after explaining the intention and objectives of this study and receiving approval from chiefs of the Elderly Welfare and General Social Welfare Center in Seoul and Gyeonggi-do area. The interview investigation was held for total of 157 interviewees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otal of 200, collecting 144 back. Among total of 301 surveys collected, 279 surveys were finally secured excluding 22 inappropriate ones and carefully analyzed. The result from analys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 proves that females tend to evoke suicidal idea more than males do. Also, the poorer their economic statuses are, the more they tend to become identified with suicidal idea. Furthermore, the result shows that the absence of the elders’ spouses can increase the possibility of their suicide ideation. In regards to religion, the elders who do not hold religious belief tend to have high chance of suicidal ideation. Second,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empirically proved once again that depression is the most crucial risk element leading to elderly suicide. Third, after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s family cohes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rate of suicidal ideation tends to decrease as the elders sense higher rate of family cohesion. Especially,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end to show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egree of family cohesion. Through the result of the research investigating the factors such as the eld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cohesi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ttempts were made to provide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social welfare: First, in regards to marital status, elders who experienced bereavement and unmarried elders tend to hold high rate of suicidal ideation. Hence, solutions to solidify the social support system for elders with such cases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Especially for elders disconnected from their children and surroundings, there needs to be social support system developed through valuabl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us, social workers should strive to develop and maintain official and unofficial social support system for socially fragile elderly population. Second, since depression holds absolute impact on the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professional intervention in the aspect of social welfare is needed. Elders with severe depression belong to potentially high risk group regarding suicidal ideation. Hence, communities are required to search for the elders who have not yet been cured on their own from depressio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need to proceed exhaustive case management including in-depth assessment, visitation and phone call particularly aimed at high risk groups suffering from severe depression. Also, it is significant to promote leisure program as part of social welfare program in order to prevent elderly suicide. Third, since the growth in family cohesion lowers the degree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t is required to take approach in social welfare regarding family cohesion in order to prevent elderly suicide before the elders’ depression intensifies. Elders with radically reduced social network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amily ties, leading them to regain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Under the most important and contiguous form of social supporting system, family can reduce suicidal risk of the elders. Based on the result mentioned above, the practical implication on social welfa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orough management of ‘center for elderly suicide prevention’ in the West and the active application of ‘Conventional Outreach Program’ such as Gatekeeper programs supporting the elders’ daily lives by phone call or visiting. A program identifying and referring elders with high possibility of suicide needs to be developed by training employees such as hospital workers or pharmacists in the organization where they have frequent contacts with those elders. Solutions like promoting economic stability of the elders, solidifying health protection system, establishing family support system and expanding various opportunities to be socially involved are recommended to improve the elders’ living condition at the same time as well. These will consolidate the foundation for social workers and policy makers to facilitate manuals for the prevention of elderly suicide. Second, social policy support on the elders with high degree of depression and suicide risk has to be provided. Japan’s case of CBS (Community Based Screening) based on research on preventing depression and suicide of elders in Japan proved that conventional form of prevention program such as health education on depression decreases the possibility of elderly suicide. Hence, professional and systematic training for professionals on elderly suicide prevention is required as Korea walks the path to the aging society. Also, in terms of policy, elders with high risk of suicide should be offered job positions and supported to restore their mental stability via expansion of personal exchange. Furthermore, economic support such as basic senior pension needs to be provided to the low-income elders by offering them jobs, they will be able to economically support themselves and be socially involved via ac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se will eventually reduce suicidal rate of the elders. 본 연구는 노인들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노인들의 가족결속력과 자살생각간의 관계와 우울과 자살생각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조사는 2014년 6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약 3달 동안 경기도 및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한 후 서울 경기지역의 노인복지관과 종합사회복지관의 기관장들에게 허락을 받은 후에 표본 추출을 하였다. 총 157명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200명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44부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301부의 설문지들 중 부적절한 설문지 22부를 제외한 279부를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이 자살생각을 하고 노인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수준이 낮을수록 자살을 더 많이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우자의 부재가 노인들이 자살 위험에 처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으며, 종교가 없다고 대답한 노인들의 자살생각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노인 자살에 있어서 우울증이 가장 결정적인 위험요소라는 사실이 본 연구를 통하여 다시 실증적으로 입증되었다. 셋째, 노인의 가족 결속력과 노인의 자살생각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가족결속력을 높게 지각할수록 자살생각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결속력의 정도에 따라 노인들의 우울과 자살생각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의 인구학적 특성, 우울과 자살생각, 가족결속력이라는 변인들 간 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결혼 상태에서 사별한 노인들과 미혼인 노인들인 경우 자살 생각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사별하거나 혼자 살아가는 노인들일 경우 사회적지지 체계를 강화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해야만 하겠다. 특히 자녀 혹은 주변들로부터의 단절 되어 있는 노인들을 위해 대화를 통하여 정서적 차원에서 교감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체계의 구축이 필요 할 것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사회적 지원망이 약화된 노인들을 위해 공식적 및 비공식적 사회적지지망을 개발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하겠다. 둘째, 우울은 노인들의 자살생각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전문적인 사회복지 개입이 필요하다. 우울이 높은 노인들은 자살생각에 잠재적인 고 위험집단이기 때문에 지역사회에서 스스로 우울증을 치료하지 않은 노인들을 찾아내어야 한다. 사회복지관련 기관들은 높은 우울을 보이는 자살 고 위험 군 대상으로 심층사정 및 방문, 전화 등 사례관리 진행을 철저하게 해야겠다. 또한 노인들의 자살예방을 위해 사회복지 실천 프로그램으로서 여가활동 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가족 결속력의 증가가 우울과 자살 생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노인들의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노인들의 우울이 심화되기 전에 가족결속력의 사회복지 실천적 개입이 요구된다. 사회적 관계망이 급속도로 축소된 노인들의 경우에는 가족과의 유대관계가 심리적 안정에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 가족은 가장 중요하고 근접한 사회적 지원체계로서 노인들의 자살 위험을 낮출 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구에서 실시하고 있는 노인자살방지 전용센터의 운영과 Gatekeeper 프로그램과 같은 고립된 노인들을 전화상담 또는 방문을 통하여 그들의 생활을 원조하는 전통적인 Outreach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처해진 환경이 열악한 노인들과 자주 접하는 기관이나 조직에 속한 고용인, 가령 병원인력, 약사 등을 대상으로 한 교육과 훈련을 통해 자살가능성이 높은 노인들을 발견하여 의뢰하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동시에 노인들의 경제적 안정의 도모, 건강보호체계의 강화, 가족지원체계의 수립,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역할기회의 확충 등을 통하여 노인의 생활조건을 개선할 수 있도록 주력하여야 한다. 이는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정책 입안자가 효과적인 노인자살의 개입과 예방 프로그램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둘째, 우울 혹은 자살 위험 군에 있는 노인들에 대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일본 노인의 우울과 자살방지 대책에 관한 연구 결과를 통해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우울증 스크리닝(CDS: community based screening)은 우울증에 대한 보건교육 등 보편적인 예방 프로그램이 노인의 자살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최근 한국이 초고령화 사회로 급변하고 있는 시점에서 전문적이고 체계화된 노인자살예방 전문가의 양성과 교육을 보다 활성화 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본다. 또한 정책적 측면으로 자살 위험 군에 있는 노인들에게는 노인일자리 연계하고 인적교류 확대를 통한 정서회복을 추진해야겠다. 또한 기초노령연금등과 같은 재정적 지원으로 저소득층 노인들의 경제적 어려움을 덜어주고 노인 일

      • 대학생의 중도이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대학만족, 자기효능감, 대학적응의 상호작용

        박인선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birth rates have been downwards, the number of students who enter tertiary education at universities and colleges are drastically declining. Faced with the low entrance to tertiary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S. Korea pushes forward various policies for college restructuring. In the meantime, the institutions’ efforts to maintain and increase the number of students are primarily made upon the decrease in the college drop-off students. The major objective in this paper is to explore some relations among the factors such as ‘College Satisfaction, Self-efficacy, College Adaptation, and College Drop-off’. One of the major contributions of this paper is both to prove a new relations among them and to find an empirical model to test the relations. In order to have an appropriate estimate for the relations among the factors for ‘College Drop-off’, the paper employed statistical method with two computer applications such as SPSS(verion 18) and AMOS(version 16). The SPSS used to provide basic descriptive statistics and AMOS utilized to reveal some pathways of affecting ‘College Drop-off’. Analysis of Variance (F-test) method employ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mong ‘College Satisfaction, Self-efficacy, College Adaptation, and College Drop-off’.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 with the data samples of 377 in 2018 from a university in Chung-Buk Province. The survey questionnaire in this study is made up of 22 questions consisting of 18 main questions on 4 factors and 4 demographical questions.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 ‘Education Satisfaction, and Pride in Major and University’ are the two highest response rate on average among survey responses. In contrast, the students in the sample answered that ‘Competence to Preparedness for Career’ is recognized as the most negative sub-item in the 4 factors. These analyses in the study provide four new ways of approaching ‘College Drop-off’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① the way from Self-efficacy to College Drop-off are found to be effective in preventing College Drop-off (increase in drop-off), ② the way from College Adaptation via Self-efficacy (increase in drop-off), ③ The way from College Adaptation to College Drop-off (reduction of drop-off), and ④ the way from Self-efficacy via College Adaptation (reduction of drop-off), ⑤ the way from College Adaptation via College Satisfaction to College Drop-off(reduction of drop-off), and to have policy implications to retain current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the research provides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One of potential policy tools for university to maintain the number of currently-enrolled students is both to primarily expand facilities and amenities for student welfare and to lessen physical and/or distance alinea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developing a college program of linking between ‘Self-efficacy and College Adaptation’ is a better strategy to maintain sufficient students in the college. In order to this, both the developing and maintaining a new program accommodating various student needs and staffing professionals in responsible for the program is effective to prevent college students from dropping off. 대학의 학령인구가 비약적으로 감소함에 따라 대학입학생도 동반적으로 대폭 줄어들고 있다. 전국 대학들은 학생들의 충원 및 유지에 학교의 사활을 걸고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교육부는 대학 폐교를 중심으로 한 구조조정 정책을 강도 높게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재학생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대학만족도, 대학적응, 자기효능감, 대학이탈의 4요인 간 연계관계를 찾는 것이다. 본 연구의 기여도는 대학만족도, 대학적응, 자기효능감, 대학이탈 4요인간의 관계구조를 새롭게 밝히고 계량적으로 증명함으로써 대학재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구조를 규명하면서,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공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일원분산분석(F-test)을 활용하여 대학만족도, 대학적응, 자기효능감, 대학이탈 4요인 간 차이가 어떤 기준에 의해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설명하였으며 AMOS를 통해 구조방정식 모델을 설계하고 대학이탈에 이르는 여러 가지 유의미한 경로를 찾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8년이며,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충청북도 소재 대학교의 재학생이다. 연구대상은 충청도 소재 1개 대학을 표집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와 선행연구를 통해 18개의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 4문항을 포함하여 총 22개 문항을 분석하였다. 설문 결과는 문항 전체로 볼 때 교육만족, 학과 및 전공 자긍심이 가장 높은 긍정적 응답을 얻었으며 진로준비역량을 가장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모형을 설계하고 분석한 결과, 5가지의 유효한 경로를 도출할 수 있었다. 5가지의 유효한 경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로 자기효능감이 대학 대학이탈을 증가시키는 경로(직접효과), 두 번째로 대학적응이 자기효능감을 거쳐 대학이탈을 증가시키는 경로(간접효과), 세 번째로 대학적응이 대학이탈을 감소시키는 경로(직접효과), 네 번째로 자기효능감이 대학적응을 거쳐 대학이탈을 감소시키는 경로(간접효과), 다섯 번째로 대학적응이 대학만족을 거쳐 대학이탈로 감소시키는 경로(간접효과)이다. 이를 바탕으로 대학이탈을 감소하는 방안으로 학생복지시설 확충과 지리적 이격감 해소를 제안하였고, 자기효능감을 대학적응으로 연계시키기 위해 다양한 학생특화프로그램의 신설과 유지 및 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담당자 역할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소음지도 최적화를 통한 상세 소음노출인구의 산정방법 연구 : 한국인의 주거형태와 생활패턴의 고려

        박인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환경소음으로 인한 성가심, 수면장애 등과 같은 영향을 파악하고 이로 인한 위해성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한 기술적, 행정적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소음 발생 지역에서의 상세한 소음노출인구의 산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소음 노출인구의 산정을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지역 특성, 주거환경, 생활패턴 및 노출인구 산정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최근 들어 해외에서는 이를 위해서 기존의 소음측정을 이용한 방법 뿐 아니라 광범위한 지역의 소음예측이 가능한 소음지도를 이용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소음지도는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음이 주민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거나, 도시개발사업과 도로건설사업 등으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소음을 예측하고 효과적인 소음 제어를 위한 정보를 신속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하여 그 중요성이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소음지도 제작시 영향인자의 조사 방법이나 중요 인자 결정 방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본 연구에서는 상세한 소음노출인구산정 및 국내 환경에 적합한 소음지도 제작을 위한 영향인자의 최적결정방법을 연구하였으며 소음노출인구 산정지역의 특성에 따라 2D(Over-ride Value Noise Map)형태와 고층 건물이 밀집한 지역의 층별 노출인구산정이 가능한 3D(Facade Noise Map)형태의 소음노출인구 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한 주거형태를 고려한 주거인구결정방법과 생활패턴을 고려한 소음노출인구산정방법을 연구하였다.소음지도 제작시 영향인자 결정방법의 최적화를 위한 연구결과 차량속도인자 결정시 직선구간(신호가 없는 구간)과 교통량 유입이 적은 외곽도로에서는 도로유형별 속도결정방법의 사용이 적합하였고 교통흐름에 영향을 많이 받는 도심의 소음지도 제작시는 구간속도방법이 효과적이었으며, 국내차량조사방법은 CRTN과 RLS 90을 이용한 소음예측시에는 교통조사지침(10종 분류)이 적절하였고 XPS 31-133을 이용한 소음 예측시에는 도로교통량조사지침(11종 분류)이 효과적이었다. 또한 소음지도 제작시 격자크기는 도심지역의 경우 10 × 10 m, 도심외곽지역의 경우 20 × 20 m의 격자가 적절하였다.소음노출인구산정결과 Facade Noise Map을 이용한 소음도의 계산과 예측식의 타당성 조사는 주거건물 및 층별 소음도의 차이를 상세하게 나타냈고 보다 객관적인 데이터를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인의 주거정보를 고려한 주거 인구의 산정은 기존에 획일적으로 계산되던 건물의 주거 인구를 세분화된 계산이 가능하게 했으며, Conversion Factor의 계산을 통해 보다 실제와 가까운 주거인구산정방법을 제시하였다.한국인의 생활패턴을 분석한 결과 한국인의 취업자와 학생의 등교시간과 이동시간을 고려한 주간시간대는 07:00~17:00, 08:00~18:00로 구분되었으며, 주간시간과 경제활동과 취학을 고려한 주간시간의 인구는 대상지역 전체인구 중 41 %였다. 이러한 생활패턴을 고려하여 노출인구를 산정한 결과 대상지역의 전체인구 중 6,189명이 소음도 ?35~<70에 노출되었으며, 생활패턴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와 8,909명의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시간의 구분이 소음노출산정에 있어 중요한 요소임을 의미하며, 또한 실제적인 평가와 효과적인 대책수립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세분화된 노출산정방법의 적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Assessment of noise exposed population is a method for checking the degree of environmental noise and social influence in order to reduce the risks such as annoyance and disturbance that are generated by environmental noise. Also, this method suggests the preferential noise reduction policy and action plan by accurately assessing the area that noise causes harm to human health.Recently, a noise map, which can predict noise in comprehensive areas, is used for the assessment of noise exposed population, breaking from the methods using existing measures.As it shows some merits that can catch the effects of noise occurred by various reasons on residents or can promptly provide information to effectually control noise, predicting noise which is possibly caused by urban development and street construction, its importance is highly considered in gradual. However, our reality lacks studies for the measurement methods or decision methods of effect factors to manufacture a noise map.This paper studied the optimal decision methods of effect factors to fabricate a proper noise map to domestic environment, before assessment of noise exposed population. Also,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ssessment districts of noise exposure, it suggested the assessment methods of noise exposed population with a 2D(Over-ride Value noise map) type and a 3D(Facade noise map) type, which can assess exposed population by each part of districts closely aggregating multistoried-buildings. Although preceding studies had not considered house types, this study reflected the decision methods of resident population and life patterns based on house types to examine the assessment methods of detailed noise exposed population.The results of studying the optimization of decision methods of effect factors to make a noise map showed that a speed decision method was proper to a straight portion (without traffic signal) and outer road, which had low traffic influx rate, when a traffic speed factor was decided. On the other hand, a portion-speed method was effective to make the noise map of the urban center which was considerably affected by traffic flow. For noise prediction using CRTN and RLS 90 among the investigation of domestic car types, the instruction of traffic investigation (10 classifications) were appropriate, but the instruction of road traffic volume investigation (11 classifications) were effectual to predict noise using XPS 31-133. 10 × 10 was proper to the urban area regarding the size of a lattice to make a noise map, and 20 × 20 was a suitable size for the outer area.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of noise exposed population reported that the calculation of noise level using fa?ade noise map and a validation investigation specified the differences of noise level by resident buildings and floors, and also brought out more objective data. Moreover, assessment of resident population considering Korean resident information made possible to calculate resident population in a building in details, which was ver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andardized calculation, and suggested the assessment methods of resident population closer to the reality through the calculation of conversion factor.The results of analyzing Koreans’ life style presented that day hours was realized 7:00 ~ 17:00 and 8:00 ~ 18:00 considering the employees’ transportation hours and students’ school hours. 41% of total population in an object district was the population of day hours for economic activities and entering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exposed population was assessed. 6,189 among the total population of the object district exposed ? 35 ~ < 70 of noise level, which showed the difference of 8,909 people in case that life patters were not included as a factor. This means that division of timezone is very important factor for the assessment of noise exposure, and appeals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more detailed assessment methods of exposure suggested by the study for actual assess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measures.

      • 유아다례교육에 관한 어머니들의 인식과 요구도 조사

        박인선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d strengthen the fundamental research data which makes the child tea manner teaching programs performed more effectively in home and the child training facilities, by investigating the recognition and demand for such education of the mothers which send their children to the child training facilities. The sample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mothers in Taejeon City in Sugu who lives with 3~5 years old children. For these samples, total 655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Of the collected answers, 24 samples were excluded because the answers were not appropriately made, and the rest 386 sampl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by using SPSS 17.0, and processing conducted includes frequency analysis, recursive analysis, t-validation, distribu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experience and interest in the Tea Manner Education showed that 44.3% of those questioned about experience in Tea Manner answered “Yes”, but only 7.0% of those questioned about interest in Tea Manner Education answered “Very high”, 28.8% of them answered “Somewhat high”. Overall 35.8% of the respondents are interested in Tea Manner Education. The result showed that all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tea manner education are not positively interested in tea manner education. As for intention to involve their children in tea manner education 74.1% said “Yes” and as fo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ea manner training programs with their children, 86.1% said “Yes”. In the result, most of the respondents are highly willing to involve their children and participate with their children in tea manner education. As for the benefit of the tea manner education, 43.8% answered it is good for 'the formation of good behavior, followed by the 'patience and being considerate'(24.9%),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and attention ‘(8.3%), 'being respectful to the adults'(5.7%) Secondly, in the result of surveying the method of the child tea manner education “Tea manner should be trained at home, in nursery and kindergarten altogether and become a way of life” appeared to the highest, marking 3.93, followed by “Above all parent have to learn and practice the tea manner education” (3.81), “the tea manner education should be trained in nursery or kindergarten” (3.67) Thirdly, As for the recognition of mothers on the child tea manner education, among 5 fields (health, society, expression, language and research) social life(4.06) and health living(4.01) were higher than total average(3.96) and expressing life marked 3.94, language life marked 3.89, research life marked 3.86 Fourthly, in the survey of demand on the child tea manner education, among three factors of manner, tea and culture, etiquette (4.13) scored the highest, followed by tea (3.75) and culture (3.68). In the case of demand on manner, “greeting manner” (4.13)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ound health of body” (4.58) and “sound health of mind” (4.57) Fifthly, according to the survey of influence that the demand on the child tea manner education impacts the recognition on the child tea manner education, those who have high demand on tea turned out to have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social life” ( .646), followed by “research life” (.635) and “language life”(.631). Those who showed high demand on culture turned out to have correlation with “language life” (.583) and those who showed high demand on manner turned out to have correlation with “social life”(.530)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result, by reflecting the demand and recognition on the child tea manner education of mothers who have 3-5 years old children,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chances that mothers are able to conduct the tea manner with their children and to develop the tea manner programs in order that the child tea manner education can be conducted more effectively in the child train facilities and home.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유아 어머니들의 유아다례교육효과에 대한 인식과 교육내용 요구도를 파악하여,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다례교육이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은 대전 서구지역에 위치한 7곳 유아교육기관에 다니는 만 3-5세 자녀를 가진 어머니들이었으며, 2011년 10월 7일까지 총 655부를 배포하였고, 13일까지 회수를 하였다. 부실 기재된 설문지 24부를 제외한 총 386부가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프로그램으로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회귀분석, t검증, 분산분석, 상관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다례교육에 대한 다례경험 및 관심을 살펴본 결과, 다례경험 여부에 대해 ‘예’가 44.3%였으나, 다례교육에 관심은 ‘관심이 매우 높다’가 7.0%, ‘관심이 높은 편이다’가 28.8%로 35.8%의 응답자가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례교육에 대한 경험이 모두 긍정적인 관심도를 가지는 않는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다례교육에 자녀를 참여시킬 의향에 대해 ‘있다’(74.1%), 자녀와 함께 하는 다례프로그램에 참여할 의향에 대해서도 ‘있다’(86.3%)가 유아다례교육을 자녀에게 그리고 부모와 함께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에게 다례교육 시 가장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올바른 행동습관 형성’(43.8%)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 순으로 ‘참을성과 배려하는 마음’(24.9%), ‘주의력과 집중력 향상’(8.3%), ‘어른을 공경하는 태도’(5.7%)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다례교육방법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다례는 가정과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함께 지도해서 생활화되도록 해야 한다’(3.93)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다음 순으로 ‘다례교육은 우선은 부모가 먼저 배워 익혀야 한다’(3.81), ‘다례교육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가르치는 것이 좋다’(3.67)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다례교육효과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건강,사회,표현,언어,탐구 다섯 가지 영역 중 사회생활영역(4.06)과 건강생활영역(4.01)이 전체평균인식(3.96)에 비해 높은 편으로 나타냈으며, 표현생활영역(3.94), 언어생활영역(3.89), 탐구생활영역(3.86)이 각각 3,4,5번째로 인식수준을 보였다. 넷째, 유아다례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를 살펴본 결과 예절, 차, 문화 세 가지 요인 중 예절(4.13)은 평균 요구수준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 순으로 차(3.75), 문화(3.68)로 요구수준을 보였다. 유아다례교육 중 예절 요구도의 경우, ‘인사예절’(4.65)이 가장 높았고, ‘바른 몸가짐’(4.58), ‘바른 마음가짐’(4.57)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유아다례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도가 유아다례교육효과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특히, 차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응답자는 사회생활영역( .646)과 상관관계를 비교적 높게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탐구생활영역( .635), 언어생활영역이( .631)의 상관정도를 보였다. 문화요구도가 높은 응답자는 언어생활영역( .583)과의 상관성을 보였고, 예절요구도가 높은 응답자는 사회생활영역( .530)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인식과 요구를 반영하여 유아다례교육이 유아교육기관과 가정에서 좀 더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 제공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하겠다.

      • Cupriavidus necator의 포집된 이산화탄소 전환을 통한 생체적합성 의료용 플라스틱의 생산

        박인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요 온실가스 감축에 대한 교토의정서가 채택됨에 따라 모든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이 현실화되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2020년 배출전망치 대비 30%를 감축하기로 목표를 설정하고 국가 CCS (Carbon Dioxide Capture and Sequestration) 종합 추진계획을 발표하였다. CCS는 이산화탄소 (CO2)의 포집 및 처리 기술로, 최근 산업공단 등에서 CCS 사업의 일환으로 포집된 CO2의 친환경적 처리와 재생 가능한 고부가가치 자원으로의 전환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바이오기술을 활용한 CO2의 PHA로의 전환은 CO2를 유용물질로 전환하는 생물학적 전환이용 기술로써 이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O2를 이용하여 PHA를 생산함에 있어 주요 기질로 사용되는 CO2 농도가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수소산화균인 Cupriavidus necator를 이용하여 PHA 합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CO2 농도를 각각 1, 3, 10, 20%로 변화시키며 미생물의 성장과 P(3HB)의 축적 양상을 관찰하였고, 그 결과로 최적 이산화탄소 농도를 도출하였다. 2단계로 이루어진 배양 실험의 첫 번째는 미생물 성장을 목적으로 했고, 미생물 개체수의 증가는 CO2 농도와 관계없이 일정했지만, 미생물 내 축적된 P(3HB)의 양은 CO2 농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였다. 두 번째는 P(3HB) 축적 단계로 합성된 P(3HB)의 양은 3% CO2에서 가장 많았고, 첫 번째, 두 번째 단계에서 축적된 총 P(3HB)의 양은 1% CO2에서 가장 많았다. 하지만 1, 3% 사이의 차이가 크지 않았고, 10, 20%로 농도가 올라가야 저해 현상이 뚜렷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고농도의 CO2를 사용할 경우 P(3HB)의 합성에 저해 현상이 일어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보조기질로 사용한 발레르산이 PHA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발레르산을 0.05, 0.075, 0.1, 0.2% (v/v)의 농도로 변화시켜 주입하며 PHA 축적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CO2에 의해 3HB가 합성되고 발레르산에 의해 3HV가 합성되어 P(3HB-co-3HV)의 공중합체가 생성되었다. 3HV의 경우 발레르산 농도가 0.1% 이하에서는 합성에 저해를 받지 않고,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합성량도 증가하였지만, 3HV 수율은 농도가 낮을수록 더 높았다. 3HB 역시 발레르산 농도에 영향을 받아, 발레르산 농도가 0.05% 이상일 때 축적에 저해를 받았다. 최종적으로 합성된 P(3HB-co-3HV)의 3HV 함량은 0.05, 0.075, 0.1, 0.2%에서 각각 17, 21, 33, 46 mol%였다. 이를 종합해 볼 때, P(3HB-co-3HV)의 축적을 위한 발레르산의 주입 농도는 0.05% 이하가 적절하고, 더 높은 3HV 함량을 얻기 위해서는 높은 농도의 단일 주입보다 연속 주입을 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판단하였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발레르산 주입 방식에 변화를 주어 다양한 3HV 함량을 갖는 P(3HB-co-3HV)를 합성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주입 방식은 연속주입으로 t=0, 48시간일 때 각각 0.05% 발레르산을 주입하는 것과, t=0시간일 때는 0.05%, t=48시간일 때는 0.025% 발레르산을 주입하는 것, 두 가지로 진행하였다. 3HV의 경우 두 가지 방식에서 주입한 발레르산의 양이 차이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합성된 3HV의 양은 같았다. 3HB의 경우 48시간 후에 0.05%의 발레르산을 한번 더 추가하자 축적에 저해현상을 보였지만 총 축적량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또한 최종적으로 생성된 P(3HB-co-3HV)에서 3HV의 함량은 각각 31, 28 mol%로 큰 차이가 없었다. 연속 주입의 결과를 0.05% 발레르산의 단일 주입과 비교해 보면, 3HB의 합성량은 줄어들었지만 3HV의 합성량이 늘어나면서 총 P(3HB-co-3HV)의 양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3HV의 함량은 약 2배로 늘어났다. 따라서 약 30 mol%의 3HV 함량을 얻기 위해서는 t=0, 48시간에 각각 0.05, 0.025%의 발레르산을 연속 주입하고, 그의 절반인 약 15 mol%의 3HV 함량을 얻기 위해서는 0.05% 발레르산을 t=0시간에 단일 주입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일정한 품질 (일정한 3HV 함량)의 P(3HB-co- 3HV)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연속식 배양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미생물 성장 단계를 연속식으로 진행하여 약 36% (w/w)의 P(3HB) 함량을 갖는 미생물이 0.9 g/L의 농도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한 후, 이 미생물을 이용하여 0.05% 발레르산의 단일 주입 방식으로 PHA 축적 단계를 3회 반복 수행한 결과, 3회 모두 16 mol%의 HV 함량을 갖는 P(3HB-co-3HV)가 생산되었다. 또한 연속식 배양으로 얻은 P(3HB-co-3HV)의 구조, 분자량, 물성 분석도 수행하여 일반적인 미생물 합성 P(3HB- co-3HV)의 특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CO2와 발레르산의 농도 및 주입 방식이 P(3HB-co-3HV)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생산된 P(3HB-co-3HV)는 체내에서 이물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는 3HV 함량이 30 mol% 이하로 의료용 플라스틱으로의 활용 목적에도 부합한다. 이는 포집된 CO2를 의료 용도의 PHA로 전환시키는 최적 조건들을 찾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임상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심혈관질환의 대사성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인선 檀國大學校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심혈관질환의 대사성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2년 후 추적조사를 통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충남 천안시에 소재한 일개 3차 전문요양 기관 간호사 중 1차 연구대상자 132명에서 탈락자 57명(미검진자 10명 포함)을 제외한 최종 연구 대상자 75명 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01년 9월부터 2003년 9월까지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직무 긴장군별 심혈관질환의 대사성 위험요인을 2003년과 2001년을 비 교한 결과, 혈당은 능동군에서 평균과 표준편차 9.1±12 ㎎으로 가장 많은 감소를 보였으며, 수동군만 2.3±12.5 ㎎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3). 혈압은 고긴장군에서 수축기혈압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11.4±15.6 ㎜Hg로 가장 많은 증가율을 보였고, 고긴장군에서 이완기혈압의 평균과 표준편차 10±11.8 ㎜Hg로 가장 많은 증가율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78). 총콜레스테롤은 고긴장군에서 평균과 표준편차 15.6±44 ㎎/dl로 가장 많은 감소율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81). 직무 긴장군별 사회적 지지에 따른 심혈관질환의 대사성 위험 요인을 2003년과 2001년을 비교한 결과, 능동군의 사회적 미지지군에서 수축기혈압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4), 능동군의 사회적 지지군(p=0.04)과 사회적 미지지군(p=0.02)의 총콜레스테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임상 간호사의 직무 스트레스가 심혈관질환의 대사성 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수동군 간호사들에게 직무재량도(DECISION LATITUDE, CONTROL)를 향상시킴으로써 직무긴장도를 줄일 수 있고, 이는 고혈당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또한 동기부여가 된 능동군 간호사에게는 상사나 동료로 부터의 적절한 사회적 지지가 고혈압과 고지혈을 예방하리라 생각된다. 반면에 고긴장군 간호사에서 혈압은 가장 높은 수치로 증가를 보였고, 총콜레스테롤은 가장 높은 수치로 감소를 보였으나 둘 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고긴장군이 14명으로 대상군의 규모가 작기 때문에 실제로 존재하는 차이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는 것인지 확실치 않다. 또한 탈락자 중 고긴장군이 23명(40.4 %)으로 가장 많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이직률이 높은 간호사에게서 “건강 근로자 효과(HEALTHY WORKER EFFECT)"와 유사한 선택 비뚤임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한다. 본 연구는 직무 스트레스가 심혈관질환의 대사성 위험요인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였고, 추후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장기간의 추적조사와 탈락군의 탐색연구를 비교할 것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on metabolic risk factors affecting cardiovascular diseases through the panel study for 2 years. A total of first 132 clinical nurses were recruited who was working for a third referral medical institution located in Cheonan, Chung-Nam Province. The data of the final 75 nurses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2001 to September, 2003, with the experimental mortality of 57 nurses, including 10 who did not get a medical examination.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Comparing the metabolic risk factors affecting cardiovascular diseases of 2003 with those of 2001 among 4 groups of job strain model, results shows that the level of blood sugar is reduced most in the active group with mean of 9.1 ± 1.2(SD)mg, revealing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blood sugar during 2 years with p=0.03. In terms of blood pressure, among the high strain group, the systolic blood pressure is increased most with the mean of 11.4±15.6(SD)mmHg, while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is also increased most with the mean of 10±11.8(SD)mmHg, though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p=0.78). The level of total cholesterol is reduced most in the high strain group with the mean of 15.6±44(SD)mg/dl,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Comparing the metabolic risk factors affecting cardiovascular diseases of 2003 with those of 2001 among 4 groups of job strain model in terms of social suppor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ystolic blood pressures is found among individuals with low social support in the active group(p=0.04). There is als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years in the level of total cholesterol among both the high social support(p=0.04) and the low social support individuals(p=0.02) in the active group. After analysing the effect of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on the metabolic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s, it is proposed that nurses in the passive group can reduce the job strain by increasing the decision latitude, which, in turn, helps prevent the high level of blood sugar. It is also argued that sufficient social support from their superiors and peers helps nurses of the active group prevent both high blood pressure and high cholesterol. Among the nurses in the high strain group, the blood pressure is increased most, and the level of cholesterol is decreased most, but they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not clear that the real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ould have been suppressed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high strain group that is composed of 14 nurses. The highest incidence (n=23, 40.4%) of drop-outs from the final analysis was found in the high strain group. This might show that the selection bias such as "healthy worker effect" happened to be exist among nurses who quitted jobs. This study indicates that job stress can increase the metabolic risk factors affecting cardiovascular diseases. Thus, it is suggested that further studies need to be done with a larger sample, comparing with the drop-outs through the longitudinal panel res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