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위암 수술 환자에서의 삶의 질 -WHOQOL-BREF의 타당도 및 유용성-

        박이진,정양환,한상익,김진조,박승만,Park E-Jin,Jeon Yang-Whan,Han Sang-Ick,Kim Jin-Jo,Park Seung-Man 대한위암학회 2004 대한위암학회지 Vol.4 No.4

        목적: 본 연구는 위암 환자에서 한국판 단축형 세계보건 기구 삶의 질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를 이용하여 위암 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성모자애병원 외과에서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50명의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나이, 성별을 고려하여 선정된 성모자애병원 직원 50명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모든 대상군에게 100문항으로 이루어진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를 구성하는 26문항을 선별하여,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신체영역, 심리영역, 사회영역, 독립성 영역의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각각의 영역에서 단축형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점수와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신체영역과 사회영역에서 위암 수술 환자의 삶의 질은 대조군과 비교해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한국판 단축형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는 위암 환자의 삶의 질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고 타당한 도구라고 생각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WHOQOL-BREF (Brief form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and to explore quality of life (QOL) by using WHOQOL-BREF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a curative re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Fifty (50)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a curative resection were recruited with informed consents. Age- and gender matched hospital staffs served as controls. The 100-item WHOQOL instrument was employed for the all subjects. The scores of the WHOQOL-BREF, which is a short version (26 questions) of the WHOQOL, and includes four domains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were compared with those of WHOQOL. Results: The scores of the WHOQOL-BREF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of the WHOQOL in all domains. Two domains, physical and social, were associated with wors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after a curative resection. Conclusion: The WHOQOL-BREF is a valid instrument that is useful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omach cancer.

      • KCI등재

        아시아의 망령, 귀환자의 ‘전후’

        박이진(Park Yi-ji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아시아문화연구 Vol.35 No.-

        본 논문은 소설 「인어전(人魚?)」을 매개로 귀환자출신 아베 고보의 1960년대 초기 (실존적)인식론의 변화를 규명해 내고, 나아가 당시 일본 사회 속에서 부유하던 귀환자들의 ‘전후’상을 고찰해 보았다. 「인어전」에 등장하는 인어는 일반의 메르헨 세계를 통해 상상할 수 있는 모습이 아니다. 심해의 침몰선에서 발견한 인어는 마치 부유하는 사령(死靈)이나 환영처럼 묘사된다. 괴이해 보이나 그러한 이질성에 매혹된 주인공은 집 안의 욕조를 개조하여 인어를 인양해 온다. 그리고 매일 밤 인어를 애무하고 그 눈을 핥으며 사랑에 빠진다. 그로테스크하게 변형된 인어의 형체 뿐 아니라 욕조 안에서 인어와 부둥켜안고 있는 남자의 모습 역시 일반의 상상력을 넘어서 ‘위화감’을 느끼게 한다. 아베의 이러한 묘사는 초현실주의 회화기법 중의 하나인 ‘데페이즈망’과 관련해 생각해 볼 수 있다. 두 개의 이질적인 오브제를 조합시켜 그 효과를 담아내는 데페이즈망은 주로 ‘오브제를 원래 있어야 할 장소가 아닌 다른 장소로 옮겨 배치’시킴으로써 위화감을 창출하는 기법이다. 또한 주인공이 인어를 살해함으로써 로마네스크한 결론을 거부하고 있는 이 작품은 ‘암흑의 메르헨’세계로 대표되는 아베 고보의 우화 세계를 구현해 내고 있다. 특히 왜곡된 변형형태나 이질적인 변형방법에 대한 묘사가 주로 등장하는 그의 우화 세계는, 어디까지나 ‘현실 폭로’라는 의도가 전제된다. 「인어전」에서는 육지와 바다의 어느 영역에도 속하지 못하는 인어라는 상징체를 통해 전후 일본 사회에 부유하는 만주출신 일본인의 정체성을 그려내고 있다. 아베 스스로 자신을 ‘아시아의 망령’이라 지칭하듯이 ‘귀환’의 원체험을 잘 드러내고 있는 「인어전」은 만주에서 데페이즈망 된 귀환자가 전후일본 사회에서 느꼈던 이질적인 자기인식(정체성)을 우화적으로 구현해 내고 있는 작품인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how K?b? Abe, the Manchurian (colonial) Japanese writer, expressed this part of his identity in the 1960s, of which he was very much aware. Regarding the analytical method, we explain the creative techniques embodied in Ningyoden(tales of mermaid), published in 1962 by K?b? Abe, specifically the effect of surrealism as well as the creation of a Kafkaesque fable world. Further, we synthesize the literary values in Ningyoden, which are based on his unique creative writing technique. The mermaid in Ningyoden is not a typical figure who can be imagined through the Marchen perspective. The mermaid, discovered in a sunken ship in the deep sea, is described as if it is a wandering spirit or a ghost, and is of a dark green complexion, save for her white teeth. Despite the mermaid’s eerie appearance, the protagonist is charmed by her heterogeneity, and salvages the mermaid by renovating a bathtub in his house. In addition, the protagonist falls in love with the mermaid as he caresses her in the bathtub every night and licks her eye. The mermaid, who is deformed in a grotesque manner, as well as the image of the man embracing her in the bathtub, are beyond the realm of typical imagination, and strike the reader with a sense of incongruity. Such descriptions, which can be defined as characteristic of appearing in short stories by K?b? Abe, can be explored through their association with the surrealist painting technique called, “depaysement.” Depaysement, effectively captures a mysterious image that appears as two objects by combining them incoherently, thereby usually creating a sense of incongruity by “moving and placing an object to a different location, rather than a location where the object must be placed originally.” Moreover, this work, which rejects a Romanesque conclusion through the main character’s killing of the mermaid, is a realization of K?b? Abe’s fable world, which is representative of a dark Marchen world. Specifically, his fable world in which skewed modified forms or descriptions of heterogeneous deformations often appear is constructed with the intent “to expose reality.” In addition, in Ningyoden, the identity of the through the symbol of the mermaid, who neither belongs to the land nor to the sea. K?b? Abe refers to himself as “a wraith of Asia,” Ningyoden, which adequately reflects the original experience of “the returnee,” and Ningyoden is a work that allegorically realizes the heterogeneous self-awareness (identity) felt in postwar Japanese society by the returnee who had been depaysement from Manchuria.

      • KCI등재

        《귀멸의 칼날》 속 ‘경계’ 이야기 -다이쇼 모노가타리의 탄생-

        박이진(Park, LeeJin),김병진(Kim, ByeongJin) 동아시아일본학회 2021 일본문화연구 Vol.- No.79

        《귀멸의 칼날》은 철저히 경계영역에서 펼쳐지는 ‘사이’적 존재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라는 경계성은 이율배반과 역설을 내포한 주변적 존재들을 통해 인간사회의 비정함을 폭로하는 기능을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관점에서 《귀멸의 칼날》을 살펴보았다. 시대적 경계성만이 아니라 이 작품은 메이지 말기에서 시작해 다이쇼기를 통해 보편화 되는 호흡이나 ‘자연에너지’, ‘생명에너지’와 같은 담론들과 자연과의 합일, 봉사, 참회와 같은 수양론을 구사하며 당시를 전경화한 다이쇼 모노가타리다. 그러나 《귀멸의 칼날》은 다이쇼기를 무조건 낙천적인 낭만의 시대로 소환하지 않는다. 다이쇼 로망이라는 집단적 향수와는 다른 관점인 모호함이라는 시대정신을 통해 혼돈의 시대, 정체불명의 시대로서의 다이쇼기를 드러내었다. 시각적 가치보다 후각이나 청각, 촉각 능력과 같은 감각에 보다 중점을 둔 설정은 시각 중심적인 근대사회에 대한 비판이다. 시각적 정보가 주는 명백함이나 절대가치에 대한 의문과 그러한 의구심을 시각화하기 어려운 다른 오감에 의지하여 정체불명의 모호함의 시대를 강조하고 있다. 《Demon Slayer》 is the story of an ‘between’ being that is thoroughly unfolded in the boundary area. This boundary of ‘between’ served to expose the cruelty of human society through the surrounding beings that contained antinomy and paradox. This paper examines 《Demon Slayer》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work is not only about the boundaries of the times, but also a story of Taisho that foregrounded the times by talking about breathing method, “natural energy,” “life energy,” and “discipline” such as unity with nature, dedication, and repentance which became common throughout the late Meiji and Taisho periods. However, 《Demon Slayer》 does not summon the Taisho era as an era of optimistic romance without any conditions. In contrast to the collective melancholy of the Taisho era, the spirit of ambiguity reveals the era of chaos and uncertainty. The emphasis on other senses such as smell, hearing, and touch rather than sight is on criticism of modern society centered on vision. It emphasizes the era of unidentified ambiguity by relying on visual information, questions of clarity and absolute value, and other senses that are difficult to visualize.

      • KCI등재

        탈냉전 이후 일본의 동아시아 담론

        박이진(Park, Yi-ji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6 일본문화연구 Vol.0 No.58

        이글에서는 최근 일본에서 제기되는 동아시아 관련 언설과 특징을 논의하며 그 한계와 과제를 전개하였다. 한국처럼 일본도 냉전해체라는 요소가 대아시아관의 변화에 큰 변수로 작용한다. 아시아를 전통적 문화적 동질성을 지닌 공동체로 보지 않고 탈냉전 이후 한반도의 긴장완화라는 흐름 아래 아시아의 연대냐 고립이냐를 둘러싼 분열된 주장들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후’ 동아시아의 공동인식을 끌어내기 위해 미국을 버린 동아시아만의 냉전구조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이는 일본 전쟁책임에 대한 비판으로도 보인다. 패전과 동시에 냉전구도에 편입되면서 탈식민지화를 거치지 못한 상황을 문제시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본 동아시아론이 경제주의와 같은 편의주의적 연대론의 성격이 강함을 부정하기 어렵다. 대중의 아시아상이 담론차원의 평화적 공동체구상과 괴리되는 것도 사실이다. 특히 귀환서사가 일반에게 미치고 있는 영향을 볼 때, 올바른 해석의 틀(비판)이 없는 상황에서 확산되고 있는 아시아 ‘상’ 은 경계해야 한다. 귀환서사의 비교사적 분석을 통해 동아시아 간의 기억의 낙차를 확인하는 연구가 현실적으로 중요한 이유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East Asian discourse including features of recent interest in Japan. Elements of the dismantling of the Cold War in Japan are a major variable regarding changing points of view with respect to Asia. The Japanese do not think of Asia as a continent with traditional cultural homogeneity. Post-Cold War, in the background of the trend of a detente with the Korean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claim of a split between the solidarity of Asia and Japan and the isolation. To obtain joint recognition in Asia in the post-war era, the claim must be re-examined via the Cold War structure of Asia, where only removal of the United States has been raised.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the discourse on East Asia spoken in Japan strongly supports Asian solidarity. These problems are further seen in that the Japanese people think that Asia is not discursive. When considering the impact of the return narrative spanning out to the public, we should consider that their awareness is spreading without proper criticism. Therefore, a study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in memory between Asians is important and should be conducte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turn narrativ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알코올의존 환자와 병적 도박 환자의 사건관련전위 P300

        박이진(E-Jin Park),신경철(Kyung-Chul Shin),최용성(Yong-Sung Choi)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010 중독정신의학 Vol.14 No.2

        Objectives:This study aimed to evaluate an auditory and visual event-related potential, the P300, in patients diagnosed with alcohol dependence or pathological gambling. Methods:Subjects comprised patients with either alcohol dependence (N=24) or pathological gambling (N=24) and normal controls (N=24). To determine the subjects’ topographic auditory and visual event-re-lated P300 potentials, we used the standard “Oddball paradigm” method, measured via the conventional Global Field Power method. Results:In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or pathological gambling, the amplitudes of auditory and visual event-re-lated P300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normal controls (p<0.01). The auditory P300 amplitude and latency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lcohol dependence and pathological gambling patients. In pathological gambling patients, the visual P300 latencies were significantly later at Fz, Cz, and Pz than they were in alcohol dependence patients (p<0.01).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or pathological gambling have brain dysfunctions with certain neuro-physiological aspects. Visual P300 latencies at Fz, Cz, and Pz occurred significantly later in pathological gambling patients than in alcohol dependence patients, suggesting that pathological gambling patients may have greater cognitive function impairment than alcohol dependence patients have.

      • KCI등재

        아베 고보 문학의 동시대성

        박이진(Park, Yi-jin)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5 아시아문화연구 Vol.38 No.-

        본고에서는 아베 고보와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비교문학사적 연구 시점의 가능성을 구체화해 보았다. 먼저 둘의 초기 작품에 나타나고 있는 창작 수법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검토하고 이어서 가르시아 마르케스에 관한 아베 고보의 평가를 바탕으로 망명자·망명문학에 대한 문학적 비전을 확인해 보았다. 둘의 문학 세계는 ‘카프카적(Kafkaesque)’ 이라는 소설 작법상의 문제의식이나 유럽의 쉬르레알리슴과의 영향관계 속에서 거론할 수 있는 레토릭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소설 방법상의 ‘사상’과 ‘주제’, 즉 문학에 관한 비전에 있어서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특히 아베 고보는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문학성을 평가하면서 라틴 아메리카의 토착(토속)성이나 지역주의적 색채를 의식적으로 배제하고자 했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탈경계적 사상과 관련해 이해할 수 있다. 가르시아 마르케스 문학에 나타나는 토착성 혹은 지역성을 철저히 소설적 방법으로서의 탈경계적 대항의식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또한 아베가 가르시아 마르케스를 비롯하여 라틴아메리카 문학을 매개로 망명문학에 관심을 두고 있는 이유는 동시대의 문학에 나타나는 ‘국가 없는 작가’들에게 주목했기 때문이다. 그들은 시대 이외에는 소속할 곳이 없다고 말하는 아베는 지리적 공간(국가)에 귀속하지 않고 ‘시대’에 귀속하는 작가의 문학을 ‘내적 망명문학’이라 지칭하면서 독자적인 패러다임을 사용해 설명한다. 이는 아베의 문학적 테마와도 상통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아베가 가르시아 마르케스를 현재적 문학으로서 평가하고 그의 문학에 강한 관심을 가졌던 것은 ‘망명자의 의식과 문화’라는 그의 문학적 비전을 동시대의 새로운 문학적 지평으로 제시하기 위함임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Abe-Kobo’s recognition of an exile and exile literature;in particular, it pays attention to his discourse on Gabriel Garcia Marquez. Taking Gabriel Garcia Marquez as a major topic, Abe explains the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senses of an exile. He appraises that One Hundred Years of Solitude describes the world from an exile’s point of view. Such a standpoint can be viewed as Abe’s peculiar way of understanding unlike the generally acknowledged appraisal of Gabriel Garcia Marquez in Japan. To be more specific, unlike the general premise that Garcia was influenced, in creating One Hundred Years of Solitude, to a considerable degree, by Faulkner and his experience being a journalist, Abe understands Garcia close to Kafka and discusses it by comparison of Garcia’s realistic and mythical way of creating novels with the view of history of an exile. Needless to say, Garcia’s way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Abe’s literary world. Thus, it is possible to surmise that Abe intends to include himself into the new world literary horizon of exile literature, in appraising the literary value of Gabriel Garcia Marquez by comparison with his literary world.

      • KCI등재

        야나기다 이즈미의 근대문학관

        박이진(Park, Yi-jin) 동아시아일본학회 2018 일본문화연구 Vol.0 No.66

        본고에서는 일본의 자국문화를 중시하는 태도가 문학의 개념과 상호 유비적으로 어떻게 얽혀 있는지 살펴보았다. 논지의 전개는 먼저 일본의 문학 개념이 정착되어 가는 과정을 개괄하고, 이어서 문학 개념의 통일에 주목한 야나기다 이즈미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일본에서 근대문학에 대한 연구가 간토대지진 이후 메이지문화연구회의 추동에 의해 시작되었고, 아울러 사회사상의 산물로서 문학을 보는 야나기다 이즈미의 시각이 갖는 특징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야나기다 이즈미는 문학을 시대의 총괄로서의 ‘문화’로 또는 ‘사회문화사’로 인식하는 자세를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는 일본 문학의 효용성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현재적 레토릭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have examined how the Japan’s attitude that emphasizes its national culture is analogically intertwined with the concept of literature. First, this paper outlines the process in which Japanese literary concepts are being established. then looked at Izumi Yanagida’s discussions, which focused on the unification of literary concepts. In this process, I found out that the study of modern literature in Japan was started by the Meiji Bunka Kenkyukai after the Ganto earthquake. Also I could figured out the features of Yanagida"s view of literature as a product of social thought. In particular, Yanagida shows the attitude of recognizing literature as “culture” or “social and cultural history” as the main theme of the times. And it is no different from the current rhetoric us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Japanese literature.

      • KCI등재후보
      • 현대일본의 인종론 재고 -하프, 또 하나의 일본인론-

        박이진(Park, Yijin)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0 동북아시아문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Vol.2020 No.10

        ‘Nihonjinron’(日本人論, theories/discussions about the Japanese), which emerged in the late 1960s and became popular, enabled a new meaning for the Japanese thanks to Japan"s economic power. This Nihonjinron helped to make the Japanese people aware of the Japanese lineage as a homogeneous nation as if it were an immutable “truth”. The symbol of “single Japanese” naturally alienated all those who were classified as “non-Japanese”, not Japanese, as foreigners. It is not difficult to point out that the Japanese image of the time was a discourse of genderization, stratification, and racialization. But where have the “non-Japanese” beings hidden in Nihonjinron, which is wrapped up like a ethnically homogeneous society? Interestingly, the envy and longing for white people formed by actively accepting American culture at that time proceeded with the mixed-blood boom and half boom. Ironically, Nihonjinron, which has even assimilated racial prejudice due to the spread of a single-ethnic society, was paired with a “harp” discourse formed through a “biracial boom”. The harp discourse, which appeared like both sides of a coin, can be said to be a “another Nihonjinron” that complements and reinforces the image of Japanese people becoming racialized as a single people. In this presentation, I will look at the formation of the harp discourse, which served as another Nihonjinron. In addition, I will reconsider the racial theory of modern Japanese society by confirming the representations of mixed-race children who are called as images of positivity and negativity according to their conven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