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놀이를 교수매체로 활용한 음악교수방법

        박은현 한국음악교육학회 2007 음악교육연구 Vol.32 No.-

        In dieser Untersuchung wird das Musiklernspiel als ein Lehrmedium vorgestellt. Das Musiklernspiel ist aehnlich wie die Spiele, die die Kinder zu Hause miteinander spielen und von TV Unterhaltungsprogramm her kennen. Waehrend des Spiels werden Begriffe aus der Musik verwendet, die somit ohne Zwang gelernt werden koennen. Das Musiklernspiel verfolgt verschiedene Absichten. Die Kinder werden spielerisch an Musik herangefuehrt und weckt das Interesse am Musikunterricht. Somit werden Lernprozess optimiert, indem des Spiels im Musikunterricht fuehrt zu aktivem Lernen und Foerderung der Musikalitaet und Kreaviaet der Kinder.

      • KCI등재

        1907년 발매 빅터음반 <국거리>의 성격 규명과 전승 -태평소 선율을 중심으로-

        박은현 국립국악원 2017 국악원논문집 Vol.36 No.-

        본 논문은 1907년에 발매된 유성기음반에 수록된 황실의 대취타계 음악인 <국거리>의 성격을 규명하고 어떤 악곡들과 관련이 있는지를 밝힌 것이다. 1907년에 미국 빅터(Victor) 음반사가 발매한 한국음악 SP음반에 취고수 9인이 연주한 악곡으로 <황실대취태>, <별가락>, <국거리>(이하 <황실 국거리>) 세 가지가 수록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세 곡 중에서 <황실 국거리>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해 구성음과 악곡 구조를 분석하였으며 골격선율을 추출하여 다른 곡과 비교를 하였다. <황실 국거리>의 전반부는 반복하는 선율에 의해 4장단이 한 단락을 이루며, 제1단락에서 제6단락까지 있다. 후반부도 마찬가지로 반복하는 선율에 의해 8장단이 한 단락을 이루며, 제7단락에서 제13단락까지로 구성된다. 전반부는 제1단락(제1-4장단)의 선율이 반복적으로 변주되는 형태로 구성되며 후반부는 제7단락(제25-32장단)의 선율이 반복, 변주된다. 각 단락의 골격음을 중심으로 하는 선율선이 유사하기 때문에 <황실 국거리>는 골격선율을 반복하면서 변주하는 형식의 곡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전반부의 골격선율 A와 후반부의 골격선율 B는 장단의 빠르기가 다를 뿐 같은 선율을 연주하므로 골격선율 B가 골격선율 A를 변주한 것으로 볼 수 있어, 결론적으로 이 두 개의 골격선율은 같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황실 국거리>는 하나의 선율유형을 장식음․리듬․빠르기에 변화를 주면서 계속 반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곡이다. 유성기음반에 수록된 악곡 중에서 <황실 국거리>와 시기적으로 가장 가까우며 곡목상 유사성이 보이는 한응태 연주의 <취타국거리>는 상기곡과 관련성이 없었다. 한응태 <취타국거리>의 선율은 한응태 연주의 <대취타>의 선율을 독창적으로 변주한 곡이며 현재 전승이 단절된 악곡이다. 궁중 전통을 계승했다고 하는 현행 피리정악 및 대취타보존회 전승 악곡 중에서는 <능게휘모리>가 <황실 국거리>와 유사했으며, 곡목상 유사할 것으로 추측되는 <취타굿거리>는 <황실 국거리>와는 관련이 없고 오히려 <능게굿거리>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황실 국거리>가 궁중으로 전승될 때는 <능게휘모리>라는 악곡명으로 전승된 것으로 보인다. 사찰 전승의 악곡 중에서는, 불교 계통 태평소 음악에 제일 정통하다고 알려져 있는 벽응스님의 <천수>와 비교를 했다. 비록 곡명, 연주 장소 및 목적 등은 다르나 <황실 국거리>와 유관한 곡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민간 전승 악곡 중에는 김점석의 <길타령>․<내림게가락>, 허용업의 <길타령>․<휘모리>, 최경만의 <천수바라>․<휘모리> 등이 곡의 연주 길이, 장단의 빠르기와 같은 면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일뿐, 모두 <황실 국거리>와 골격선율이 굉장히 유사하게 나타나 <황실 국거리>에서 전승된 곡으로 보인다. 이상으로 현재 궁중․사찰․민간에서 다양한 악곡명으로 전승되고 있는 피리정악 및 대취타보존회의 <능게휘모리>, 벽응스님의 <천수>, 김점석의 <길타령>․<내림게가락>, 허용업의 <길타령>․<휘모리>, 최경만의 <천수바라>․<휘모리> 등은 이름이 각기 다르지만 1907년 빅터 유성기음반에 수록된 <황실 국거리>와 음악적 내용은 동일함을 알았다. 또한 현전 대취타계 음악의 계보를 거슬러 올라가 보면 모두 최인서로부터 시작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군대 해산 이전인 1906년에 궁중 취고수들이 연주한 <황실 국거리>는 전승 계보, 연주 장소, 연행 목적 등에 ... This paper defines the characteristics of Gukgeori, a Daechwita music of the imperial family included in the gramophone album released in 1907, and finds out with which music this song is related with. This is a music played by 9 chwigosu in Korean music SP album, published by Victor, an American recording company, in 1907, and three songs Hwangsildaechwitae, Byeolgarak, Gukgeori (Hwangsil Gukgeori then on) are listed. This paper has analyzed the constituting sound and structure of the music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Hwangsil Gukgeori, and extracted the frame melody to compare with other music. In the first half of Hwangsil Gukgeori, four jangdans make up one paragraph with repeating melody, and there are 6 paragraphs, from one to six. Likewise in the second half, eight jangdans make up one paragraph, and there are seven paragraphs, from 7 to 13. In the first half, the melody of first paragraph (jangdan 1-4) is repeatedly played, while in the second half, the seventh paragraph (jangdan 25-32) is repeatedly played in variation. Because the melody lines with the frame note of each paragraph are similar, we can conclude that Hwangsil Gukgeori is a music played in variation, repeating the frame melody. However, the frame melody of the first half A and of the second half B differ only in the speed of beat, but play the same melody, so we can say that frame melody B is a variation of frame melody A. In conclusion, we can say that these two frame melodies are the same. Thus, Hwangsil Gukgeori has a repetitive structure, giving variation in the grace note, rhythm and speed of one type of melody. Among the musics listed in the gramophone album, Chwitagukgeori, performed by Haneungtae, that is the closest to Hwangsil Gukgeori in terms of time, and has similar name, had nothing to do with this music. The melody of Haneungtae’s Chwitagukgeori is a creative variation of Daechwita performed by Haneungtae, and it has stopped being transmitted. Among the music transmitted by current piri jeongak and daechwita Preservation Society that is said to have transmitted the royal court tradition, Neunggehwimori is similar to Hwangsil Gukgeori, and Chwitagukgeori, which is assumed to be similar due to its name, has nothing to do with Hwangsil Gukgeori, but is rather related to Neunggegutgeori. Therefore, it seems when Hwangsil Gukgeori is transmitted within the royal court, it seems to have been transmitted under the name of Neunggehwimori. Among the music transmitted by the Buddhist temples, Cheonsu of Buddhist Monk Byeokeung, which is known to be most authentic of Buddhism taepyeongso music was used for comparison. Although its name, venue of performance and goal are different, we could see that it is related with Hwangsil Gukgeori. Among music handed down among people, Kimjeomseok’s Giltaryeong․Naerimgegarak, Heoyongeop’s Giltaryeong․Hwimori, and Choigyeongman’s Cheonsubara․Hwimori show a little difference in the length of the music and the speed of the beat, but have a very similar frame melody to that of Hwangsil Gukgeori, which shows that they are handed down from Hwangsil Gukgeori. So far, Neunggehwimori of piri jeongak and daechwita Preservation Society, Cheonsu of Buddhist Monk Byeokeung, Giltaryeong․Naerimgegarak of Kimjeomseok, Giltaryeong․Hwimori of Heoyongeop and Cheonsubara․Hwimori of Choigyeongman all differ in the name, but have the identical musical content with Hwangsil Gukgeori, listed in the Victor gramophone album of 1907. Also, if we track back the pedigree of current daechwita lineage music, we can see that it all started from Choiinseo. Thus, in 1906, before the army is dismissed, Hwangsil Gukgeori, performed by the chwigosu of royal court, seems to have been transmitted under various types of names depending on its transmission pedigree, venue of performance and purpose of performance.

      • KCI등재

        발탈 연행 방식의 변화 양상 연구

        박은현 한국공연문화학회 2022 공연문화연구 Vol.- No.45

        본고는 즉흥적으로 재담과 기예를 펼쳤던 박춘재의 발탈이 시대를 거치면서 어떠한 변화 과정을 겪었는지 확인함으로써 발탈의 주요 구성을 확인하고, 국가무형문화재로서의 발탈에 관하여 논하고자 하였다. 이에 1980년대에 처음으로 발탈의 대본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이동안본부터 현행까지 종적으로 비교하고, 현재 연행하고 있는 박정임본과 조영숙본을 횡적으로 비교함으로써 발탈이 어떤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는지 짚어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확인한 바는 대본 구성 및 내용, 그리고 음악의 구성이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박춘재 시절에는 발탈의 기예를 뽐내며 어릿광대와 재담을 주고받던 것이 현재 박정임본에서는 재담을 주고받는 부분이 축소되고 발탈의 대사가 확대되었다. 조영숙본에서는 발탈과 어릿광대가 서로 주고받는 재담이 축소되었으나 어릿광대가 노래를 부르는 부분이 추가되고, 노래의 종류도 다른 연희본들에 비해 다양하다. 그러나 박춘재 시기 발탈의 모습을 생각했을 때 재담을 주고받는 부분이 현저히 줄어들고 있는 것은 발탈이 재담극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이러한 변화는 공연의 수요자인 관객의 요구에 따른 변화가 아니다. 조영숙이 이동안에게서 전수받은 기·예능을 본인의 발탈에 모두 녹여내기 위해 다른 연희본에는 없는 노래들이 추가되었고, 이런 노래들을 어릿광대 역할을 하는 조영숙 자신이 함으로써 조영숙본에서는 어릿광대의 기능이 확대된 것이다.

      • KCI등재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16년∼2019년 한국어 교육 연구를 중심으로 -

        박은현,이주희 한말연구학회 2020 한말연구 Vol.- No.57

        This study aims to look at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from 2016 to 2019. For this purpose, the abstracts of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collected and topical modeling was implemented. As a result, eight main topics studied over five years were selected and eight subjects were as follows. : Basic research for curriculum development, academic learners, 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ism, practicality of language use, learning strategy, writing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fterwards, we looked at the research trends by subject. As a result, writing education has been studied a lot recently, and there is a steady stream of research on the practicality of language use every year.

      • KCI등재

        다중지능과 개별적 선호학습형태를 고려한 음악교수-학습전략

        박은현 ( Eun-hyun Park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08 音樂論壇 Vol.22 No.-

        The new music curriculum in Korea contains “music in real life”. Students get to have the opportunity and a chance to enjoy fully the joy of music via a subject, music itself. To achieve the main objective and task of music class, each music class should offer students many opportunities to take part in the class actively and voluntarily. Howard Gardner suggests that each individual manifests varying levels of different intelligences, and thus each person has a unique cognitive profile. He claimed that the multiple intelligences work independently. According to him, the eight different intelligences that everyone is born with should compensate each other and developed simultaneously when people should work on to solve a certain problem. Therefore, I would like to combine the multiple intelligences of H. Gardner and music education. It will help students to take music classes actively with positive attitude and firm confidence.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with the theory are expected; First, the objective of music class will be easily accessible by using strong intelligences. Secondly, weak intelligences will be developed by doing musical activities related to the multiple intelligences. Thirdly, the musical intelligence will get stronger through various musical experiences with the multiple intelligences. Lastly, from the energetic musical impressions as a part of school life, students can enjoy music and their interest in music will grow in their lives.

      • 남북한 방송교류활성화를 위한 방송기술협력 방안

        박은현(Eun-hyun Park)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0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7

        남북의 상호이해, 신뢰회복, 이질감 완화를 위해 대내외적 정치적인 변수에 상관없이 남북방송교류는 지속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사회문화적, 단발적인 남북방송교류를 비정치적인 분야인 방송기술협력을 기반으로 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프로젝트형 남북방송교류로 전환하는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고는 평화공존과 협력이라는 방향성 아래 남북이 상생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송기술협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