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심리적 계약위반이 근로자의 몰입과 노조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은철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근로자의 노조참여행동을 심리적 계약위반에 대한 반응으로 보고, 회사의 심리적 계약위반뿐 아니라 노조의 심리적 계약위반까지 고려하여 노조참여행동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들 변수가 조직몰입과 노조몰입을 매개로 노조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고자 하였다. 상기의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심리적 계약위반이 조직몰입, 노조몰입, 그리고 노조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연구모형을 구축하고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6개 조직 3,6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수된 응답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자료 805부를 사용하여 공변 량 구조분석방법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사의 심리적 계약위반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조의 심리적 계약위반도 조직구성원의 노조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심리적 계약위반은 소속 조직의 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둘째, 회사의 심리적 계약위반은 한계적 유의수준에서 노조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노조의 심리적 계약위반은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과는 정반대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셋째, 조직구성원은 회사와 노조에 대해 이중몰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몰입은 적극적 노조참여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지만, 일반적 노조참여행동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노조몰입은 적극적 노조참여행동과 일반적 노조참여행동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회사와 노조의 심리적 계약위반은 직접적으로 적극적 노조참여행동과 일반적 노조참여행동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이 노조참여행동의 연구 확대에 기여함으로써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고 생각한다. 아울러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결론 부분에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union participation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f both union and company,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mployees' union participation is made as a response to the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The research intended to verify precisely how these variables affect union participation behavior mediated by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union commitment. For this purpose,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o understand how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union commitment, and union participation behavior. A survey on a sample of 3,650 employees from six organizations was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The results of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upon 805 usable questionnaires are as follows: First, company's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the same time,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of union also have the same negative impact on workers' union commitment. That is, each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ommitment to the respective organization. Second, company's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had a negative impact on union commitment at the marginal level of significance. Contrary to the hypothesis, however, union's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caused a negative impact on the member's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Third, organization members were discovered to display dual commitment to both the company and the union. Fourth, organizational commitment negatively affected active union participation behavior, while it had positive impact on the general union participation behavior. Fifth, union commitmen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to both active and general union participation behavior. Lastly, psychological contract breach by the company and union was found to have a direct positive impact on both active and general union participation behavior. This research is considered to have made significant academic and practical contribution by broadening the horizon of union participation behavior study. The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in the conclusion.

      • 유연적 근로시간제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 교대근무제도를 중심으로

        박은철 東國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Shift work is currently implementing in many countries with its technical or economic benefits. This system has the merits of improvement in labor productivity with the higher rotation rate of expensive machines, and can utilize more labor forces with less investment. However, in spite of its benefits of the continuity of working, effectiveness, and more economic profits, shift workers can experience problems caused by working at inadequate time to their physical rhythm or the cycles of their daily lives. In case that shift workers don't adapt themselves to their shift working, they can be affected by disrupted physiologic rhythm due to working at nighttime or rotation of work for short period of time or long period of time. In addition to the effect on health, because shift workers have disruption in routine, their domestic lives and social lives are also affected. Mott and others (1965) reported that because shift workers are not easy to set schedules for their domestic occasions, their wives have lots of complaints of it, and they also have difficulties in all the same feeling with their wives and communicating with their children. We have lots of studies on the effect of shift work on health and the studies of shift workers' Job satisfaction undertaken by Sin, Ui-Cheol and Maeng, Kwang-Ho(1991), Rhu, Ki-Ha(1994), Kim Eun-Ju(2000), Lee, Seong-ja(2001), and Im, Gyeong-Hee(2002) domestically. However, we don't have any comparative studies of job satisfaction and involvement, and commitment to organization between shift workers and non shift workers, and there is none of any comparative studies on the level of personal satisfaction, which is related to their health and their domestic and social lives according to workers' propensity to move. From the recogn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 of shift work on the organizational effect and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proceeding researches. The study model and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1) I will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implementation of shift work and variables related to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job involv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ropensity to move). 2) I will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implementation of shift work and the level of personal life satisfaction, which is a variable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For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above study model and research question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on the subjects of shift workers and non shift workers working at nineteen Nuclear Power Plants and the results were drawn by a statistical method.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of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each variable included in this study model, most variables showed high degree of intrinsic consistency and validity of the constructing of concepts. 2. The group of non-shift workers showed lower propensity to move (p<0.05) and higher satisfaction level with their personal lives (p<0.001) than shift workers. In case of job involvement, the group of non-shift workers showed higher average scores than shift workers,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67). 3. The group of shift workers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p<0.01),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0.05) than the group of non-shift workers.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is study with the results. First, it is not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a company before the shift working schedules introduced, but limited to only the Nuclear power plant, which is a domestic power industry, so it has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result of the study. Second, there are problems that the study didn't consider various variables as control variables or moderator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the years of continuous service, and sex between the group of non-shift workers and shift work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asks or organization. Another problem lies on the fact that the study should have done with more detailed research in correlation with the reduction in working time (40 hours of working time a week), which is currently implementing. Furthermore, additional studies are required o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flict analysis between groups with different patterns of working in relation with plural unionism, which will be implemented from January 1, 2007. Even though the various working hour schedules have been int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point of effective division of work hours and its utilization through the efforts to acquire flexibility and elasticity in working hours, there have been almost no studies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ased on the shift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economics.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point that it dealt with the organizational effect and personal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shift work from the economic perspective even in the state that no other related study has been implemented yet.

      • 人蔘輸出 活性化를 위한 政策方案 硏究

        박은철 京畿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인삼산업의 현황과 해외인삼시장 동향을 고찰해 보고 침체되어 있는 인삼수출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을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최근 국내 인삼산업의 현황과 인삼관련 행정제도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함과 동시에, 국가별 인삼의 생산 및 소비·수출입 현황과 수입제도를 파악하여 외국과의 비교접근법을 활용하여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발견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1. 인삼산업의 현황 우리나라는 인삼의 종주국으로서 과거 세계최대의 인삼수출국이었으며 품질면에서도 세계최고로 인정받고 있었으나, 인삼에 대한 효능이 과학적으로 밝혀지면서 중국을 비롯한 미국, 캐나다에서 인삼재배가 본격화되고 생산량도 늘어나 우리나라의 인삼생산 및 수출은 1990년을 정점으로 감소상태에 있으며 국제경쟁력이 저하되고 있다. 그러나 인삼은 우리나라 농축산물 전체수출량의 6%정도를 차지하여 농가경제에 크게 기여하는 중요 작목일 뿐 아니라 우리나라 농산물 중에서 아직까지 김치와 더불어 국제화 가능성을 내다볼 수 있는 몇 안되는 품목중의 하나이다. 2. 인삼수출의 문제점 첫째, 생산기반의 취약으로서 인삼은 연작피해가 심한 작물로 재배적지 확보가 어렵고 규모화 등이 곤란하여 경영규모가 영세하며, 반음지성 작물로 많은 노동력이 소요되어 생산비가 높아지는 등 경쟁국에 비해 수출원가가 높다. 둘째, 수출장애요인으로서 ① 인삼관련 행정이 농림부와 보건복지부로 이원화되어 있어 행정절차가 복잡하고 인삼산업의 종합적인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② 인삼의 국제적인 잔류농약 기준이 없어 수입국의 까다로운 임의규정을 적용하여 통상마찰을 초래하고 있다. ③ 인삼이 Codex(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 등록되어 있지 않아 국제 식품규격이 없어 수입국이 이를 비관세 무역장벽으로 활용하고 있다. ④ 해외시장에서 고려인삼의 성가를 이용한 위조가 성행하고 있다. 셋째, 인삼 수출전략의 미흡으로서 한국인삼이 국제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현저히 떨어지고 있는데, 그 주요 원인은 제품의 다양화 부족 및 가격전략의 부재, 유통경로와 수출창구의 다원화 결여, 인삼에 대한 연구활동 및 홍보부족 등에서 비롯되었다. 3. 인삼수출 활성화 방안 첫째, 취약한 국내 인삼생산 기반의 확충을 위해서는 경영규모 확대에 의한 생산비 절감을 위해 기계화 보급과 답전윤환방식의 도입이 필요하며, 제품원료용 인삼에 한해서는 직파방식을 이용하여 인력부족을 완화하고 단위면적당 수량을 증대시켜야 한다. 또한 앞으로의 인삼경영체는 부업형 인삼농가, 전업형 인삼농가, 그리고 대규모 기업적 경영농 형태의 3가지로 구분하여 육성하여야 한다. 둘째, 인삼수출장애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① 인삼관련 행정을 농림부로 일원화시켜 기업의 불편과 행정비용을 감소시키고 인삼산업을 종합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② 최근 국제적으로 강화하고 있는 잔류농약 검사에 대응하기 위해 종합적인 잔류농약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③ 우리나라에서 생산되고 있는 Panax ginseng C.A. Meyer 종을 대상으로 Codex에 식품등록을 하여 수입국의 임의적인 수입기준에 의한 수입장벽을 제거하여야 한다. ④ 한국인삼의 위조방지를 위하여 포장방법 개발 및 홍보활동을 강화하고 지리적 표시제도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 셋째, 수출활성화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① 목표시장에 따른 다양한 제품 개발 및 가격 차별화, ② 유통경로의 개선과 수출창구의 다원화, ③ 한국 인삼의 우수성 및 그 성분과 약리작용 등에 대한 연구활동과 홍보의 강화, ④ 인삼의 생산에서 제조, 판매, 홍보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으로 관리할 “한국인삼위원회”를 운영하여야 한다. 넷째, 수출부진에 직면하고 있는 우리나라 인삼산업의 활로를 찾기 위해서는 각 국가별 특성에 맞는 수출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여야 한다. 홍콩은 한국인삼이 고품질 포지셔닝이 되어 있으므로 과학적 효능설명을 통하여 저가인 타국삼과의 제품차별화를 통해 성가를 유지시키고 현지 행정당국과 협조관계를 구축하여 한국 인삼시장을 잠식하고 있는 위조삼의 봉쇄에 적극 나서야 한다. 중국은 수입약품등록제도 등 비관세장벽을 활용하여 한국산 홍삼수입을 막고 있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통상협력이 이루어져야 하며 중국이 WTO 가입에 따른 대비를 해야 한다. 대만은 인삼가공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한국인삼의 정확한 효능분석을 통해 저가 경쟁국과의 차별성을 확보하여 한국인삼이 우수하다는 점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한다. 일본은 인삼의 정확한 효능분석을 통해 저가전략을 추진하는 경쟁국과의 차별성을 확보하고 효과적인 홍보를 통해 시장규모를 확대하여야 한다. 미국은 음료수, 과자 시장규모가 크므로 현지인의 기호에 맞게 쓴맛을 제거하고 달콤한 맛을 가미한 제품을 개발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trategic policies to promote the export of Korean ginseng products which has long been depressed. This will be done by examining Korean ginseng industry, overseas ginseng markets, and their movements in these days. 1. Current Status of Korean Ginseng Industry Korea, a suzerain state of ginseng, has gained a great reputation as the largest and leading ginseng export country in the world. The quality of the Korean ginseng has also won a high reputation. After the great effect of the Korean ginseng has been proved scientifically, China, USA and Canada as well as Korea got into the ginseng business and, accordingly, the production of ginseng has greatly increased. In the long run, the production and export of the Korean ginseng have fallen down starting 1990 as its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somewhat declined. 2. Problems in Current Ginseng Export First, a weak production base for the Korean ginseng makes maintaining proper cultivating field harder and harder. The size of ginseng business becomes smaller and smaller because of the difficulties in doing ginseng business on a relatively larger scale. In addition, as the ginseng industry requires a lot of labor, the production cost becomes higher and the export cost goes up automatically as compared to that of other rival countries. Second, there are some barriers against ginseng export. The administrations being responsible for the Korean ginseng industry were separated into two: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urthermore, there is no international food standard for the Korean ginseng. It sometimes, however, makes importing countries of the Korean ginseng use the fact as a non-tariff trade barrier. Finally, export strategies have been weak as follows: lack in the varieties of ginseng products; absence of pricing policies; limited market circulation and outlets for export; and the lack of research and publicity activities of ginseng products. 3. Strategies to Promote Ginseng Export First, in order to strengthen a weak production base for the Korean ginseng, mechanized ginseng production system must be widely introduced. Various cultivating methods should be continuously studied. In addition, business groups of the ginseng products must be strategically developed and supported in accordance with cultivating technology and business size. Second, in order to get rid of any possible elements which may cause some export barriers against the Korean ginseng, the management of ginseng-related business must be integrated into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Korean ginseng products must be registered on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as standard food so that import barriers from ever-changing standards randomly made by importing countries can be removed and the forgery of the Korean ginseng can be prevented. Third, in order to have some strategic solutions for the promotion of the export of the Korean ginseng products, a variety of ginseng products must be developed and their prices must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diverse target markets. Circulating routes should be improved and the export outlets should also be diversified. In addition, research and publicity activities must be strengthened and the so-called "Korea Ginseng Committee" should be soon established and play the role of managing the whole ginseng industry in Korea. Finally, in order to vitalize depressed ginseng industry in Korea, thorough export strategies must be established by finding out every importing country's characteristics with regard to its import, circulation, and consumption of the Korean ginseng products.

      • 실내시험에 의한 Giant Mix 혼합 노반재료의 공학적 특성

        박은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현대에 들어서는 국가 경쟁력이 향상됨에 따라 자동차 보급률이 확대되고, 교통량이 증가함에 따라 포장보급률이 급증하였다. 그 건설 규모는 고속도로, 일반국도, 특별․광역시도, 지방도 및 시․군도를 포함하여 약 10만km를 넘어선 상태로 많은 양질의 건설재료가 소진된 실정이다. 또한, 현재에도 끊임없이 추가적인 도로건설로 인해 양질의 입상재료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인근현장의 하천골재는 대부분 고갈되었기 때문에 골재채취를 위해 원거리 운반으로 인한 비용 발생으로 사업의 경제성이 확보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으며, 인위적인 석산 개발로 인한 비산·먼지 발생과 암 파쇄에 따른 소음발생 등으로 끊임없는 민원이 제기되고 있고, 최근 몇 년 사이에 환경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제기됨에 따라 석산개발이나 토취장개발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토목공사시 석산개발과 운반 및 분쇄과정을 거쳐 생산되는 석재의 비효율적이며 환경파괴적인 요소를 배제하고 전국적으로 산재되어 있는 막대한 자원인 화강토 및 일반 토사를 사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상태의 토사를 주원료로 하는 만큼 친환경적이며 경제적이고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공법인 Giant Mix의 지반공학적 특성을 분석해 보고, Giant Mix를 첨가한 Soil Cement가 도로의 기층 또는 보조기층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지 여부를 평가해보고자 한다. Giant Mix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다양한 실내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실내시험으로는 혼합재료의 배합비에 따른 다짐시험, 일축압축강도, 동결융해시험, 용출시험, SEM촬영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Giant Mix가 Soil Cement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Cement 9%시, Giant Mix contents 3~12%인 7일 일축압축강도는 3.10~3.97MPa로서 Giant Mix를 포함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해 최대 2.75배의 강도를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나 Giant Mix가 Soil Cement 강도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Cement 9%, Giant Mix를 3%이상을 첨가할 경우 7일 기준강도 3.0MPa 이상의 강도가 도출되어 강도측면에서 국내 도로 기층 및 보조기층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Giant Mix Soil Cement는 동결융해에 뛰어난 저항성을 보여주었으며, 7종의 유해중금속에 의한 용출시험 결과 허용기준의 15.4% 이내로 지반환경오염 가능성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일반도로에서의 기층 및 보조기층 뿐만이 아니라 날로 부족해 가는 천연골재 및 기타 건설재료를 고려할 경우, Giant Mix을 활용한 기타 다른 용도, 즉 매립지반, 댐 및 하천제방 축제 등과 같은 많은 분야로의 적용성이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되며, 실제 현장에서의 거동은 토질조건 및 지하수의 유무, 기후조건 등 예측 불가한 여러 가지 불확실한 요인들이 상존하므로 이에 대한 후속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orea, from 1960’s to 20 century, has achieved rapid economic growth, and roads for transportation have been constructed rapidly with a 5-year economic development plan. Also, nowadays, according to improv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paved roads penetration rate has increased with growth in traffic and increasing car penetration rate. The scale of construction including highways, general national roads, metropolitan city roads, and prefectural roads is more than hundred thousand kilometers, so good quality construction materials have been exhausted. Furthermore, good granular materials are demanded constantly because of additional road construction. Most river sands and gravels of vicinity field are already exhausted. Therefore, the cost for aggregate extraction has been increased because of long-distance transportation. Eventually, that can't secure economics of business. Also, when the explosion method is used in order to extract the materials from a rock mountain, civil complaints regarding dust scattering, noise, and etc are filed, and environmental problems has recently become a social issue. So a development of rock mountain and of borrow pit are getting hard. Therefore, the practical study to use granite soils and common soil spread around country is demanded, instead of stones producted by developing rock mmountain which are inefficient and environmental-destructive. In this study, geotechnical behaviors of Giant Mix, the method that economic and eco-friendly because main material is natural soil, are analyzed and usefulness of soil cement with Giant Mix as a base and a sub-base is evaluate. For analysis of effect of Giant Mix, laboratory test is carried out. Compaction test, freezing-thawing test, migration test, SEM, and compression strength test with mix proportion of mixture is carried out on laboratory test.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ffect of Giant Mix affecting compression strength of soil cement is analyzed, and 7days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of cement 9.0%, Giant Mix contents 3∼12% case is 3.10~3.97MPa, which is 2.75 times of strength of untreated sample, so it has an effect on strength enhancement. When 9.0% cement, 3.0% Giant Mix are added, 7days strength of this case is more than 7days reference strength 3.0MPa. So it is possible to use as a base and a sub-base. Freezing-thawing resistance of Giant Mix soil cement is remarkable and the result of 7 noxious heavy metals migration test is within 15.4% of acceptable standards, which means that assessed possibility is very low. Henceforth, In case of base and sub-base of general roads as well as natural aggregate and other construction materials which have been fallen short, it is supposed to be useful for application to many area including a reclaimed ground, dam, embankment construction, etc. Also, follow-up study should be carried out because the behavior of in-situ has many uncertain factors including geotechnical, ground water, and weather condition, etc.

      • 문법 영역 단원의 전개부에 쓰인 교과서 만화의 기능 평가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박은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어 교과서 문법 단원 전개부의 교과서 만화와 교육 내용 간 관계를 파악하고, 교과서 만화에 대해 기능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과서에서는 학습자에게 흥미롭게 학습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 만화를 활발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과거에 비하여 점차적으로 교과서 내 만화의 활용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사실상 교과서 만화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문법 영역의 경우 또한 마찬가지이다. 본고는 국어 교과서 문법 영역 단원에서 전개부에 쓰인 교과서 만화를 추출하여 교육 내용에 따라 교과서 만화가 많이 쓰인 원인을 밝히고, 교과서 만화가 제 기능을 올바르게 수행하도록 구성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에 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교과서 내의 삽화들 중에서 어떤 것을 교과서 만화라고 볼 것인지에 대해 규정하기 위해 만화의 정의와 구성 요소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교과서 만화의 기준을 세웠다. 또한 만화의 교육적 기능과 전개부의 기능을 파악하여 교과서 만화의 기능 평가를 위한 평가 항목을 구성하였다. 3장에서는 앞서 교과서 만화의 기준을 바탕으로 교과서 만화를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서 만화의 현황을 정리하였다. 먼저 교육 내용별 교과서 만화의 현황을 살펴보고,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성취 기준을 바탕으로 교과서 만화가 많이 쓰인 교육 내용에 대해 탐구하였다. 또한 14종의 검정 국어 교과서에서의 교과서 만화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교과서 만화의 기능 평가를 위한 세 종의 교과서를 채택하였다. 4장에서는 연구자를 포함하여 총 5명의 평가자가 전개부 지문 만화에 대해 기능 평가한 것을 바탕으로 결과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분석은 만화 기능 평가의 두 영역인 ‘전개부 지문 만화의 기능에 대한 평가’와 ‘만화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평가’로 나누어 진행된다. 각 영역에서는 다시 만화를 두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유형Ⅰ은 사례 제공의 만화이고, 유형Ⅱ는 탐구·분석 활동을 유도하는 만화이다. 결과 분석 방법은 ‘사단취장(捨短取長)’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기능 평가에서 높은 등급을 맞은 만화를 살펴봄으로써 좋은 점을 파악하여 취하고, 낮은 등급을 맞은 만화를 살펴봄으로써 안 좋은 점을 파악하여 버린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과서 만화 구성이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어떠한 단점을 피하면서도, 어떠한 장점을 갖추어야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영역1: 전개부 기능에 대한 평가’와 ‘영역2: 교육적 기능에 대한 평가’로 나누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영역1에서 유형Ⅰ의 교과서 만화는 만화 속 상황의 불명확성과 학습 내용과의 긴밀하지 못함을 피하면서도, 복수의 만화를 제시하여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유형Ⅱ의 교과서 만화는 발문과 탐구 활동, 만화의 메시지가 서로 긴밀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이 때, 탐구 활동과 만화의 메시지가 서로 호응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를 특히 조심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영역2를 살펴보면, 유형Ⅰ의 교과서 만화는 상황적 완결성이 결여되는 것을 피하면서도, 상황적 구체성이 잘 담기도록 교과서 만화를 구성하여야 한다. 유형Ⅱ의 교과서 만화는 발문과 탐구 활동, 만화의 메시지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이 때, 탐구 활동과 만화의 메시지가 서로 호응하지 못하는 경우를 특히 유념하여 교과서 만화를 구성하여야 한다. 국어 교과서 전개부의 지문 만화는 지문 안에서 단독으로 존재할 수는 없지만, 보다 완성도 높은 지문 만화를 구성하여야 학습 내용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지문 만화의 완성도를 방해하는 구성 요건들을 배제하면서도, 완성도 높은 지문 만화의 구성 요건들을 참고하여 지문 만화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뤄 낼 수 있다.

      • 특수학교 과학 담당교사의 과학교육에 대한 실태와 개선방안

        박은철 우석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ctual Situations and Suggestions on Science Education by Science Teacher in Special School Written by : Park, Eun-Chol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Directed by Prof. Chung, Jae-Kweon Ph.D. <ABSTRACT> This study is for capturing the real situations and seeking remedies on science education by science teacher in special school. To do this, I selected 90 schools by making a call to science teachers working at special schools all over the country on May 4, 2011. After doing that, I sent the questionnaires them by mail, re-claimed 73 questionnaires(81.1%), analyzed those multiple-choice questionnaires with crosstabulation by using SPSS(version 18.0), and gained the conclusion depending on gender, careers, and classified school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a laboratory, teaching materials, and instruments for science in special schools. However they are very formal and inadequate in their qualities. By considering the size of laboratory, internal facilities, and equipments being appropriate for the types and degrees of disability, they should be designed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not to feel unconvinced. Nevertheless those surroundings in special schools are very poor. Students' interests of science are not good. That reason is in the theory-oriented education rather than the experiment-oriented education. So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not interested in science. It seems for them to have poor understanding. All these results are due to shortage of laboratories, experiment materials and instruments. Now science teachers teach students with disabilites science with the textbook based on the Basic Curriculum. In the class, them, science teachers in special school have to be equipped with integrated knowledge. And they have to train themselves by learning special teaching methods. Second, in the remedies for science education in special school, the best way that leads for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science is to teach students science with life-size things and models. To minimize the differences in their abilities, students should experience sufficient experiment materials and instruments. Above all, for the individualizes class the proper teaching-learning materials have to be prepared. It is urgent that satisfying buget for student with abilities should be procured. There are some limitations in this study. First, the effects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views not of all national science teachers but of the individual science teachers in special school. Second, the effects came from viewpoints of only science teachers not from them of students with abilities or their parents. The proposals for following-up studies are as follow: First,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study targeting all science teachers all over the country. Second, it is necessary to compare each cases of special schools; such as a special school for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physical disability, and mental retardation, and to grasp them in detail. Third, it is necessary that the standard of teaching materials and equipments are created by considering the fields of disabilities. The standard of them will be made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type of special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