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귀환 중국 동포의 기존 밀집 지역을 벗어난 곳에서의 자영업 창시

        박위준(Weejun Park)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5 문화 역사 지리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귀환 중국 동포 자영업자들 중 어떤 조건을 가진 사람들이 원래의 정착 지역을 벗어나 새로운 곳에서 자영업에 종사하는지 확인했다. 이를 위해 인간생태학 관점에 따른 민족적 기업가(ethnic entrepreneur)의 개념을 사용했고, 분석에는 퍼지 집합 분석(fsQCA)을 사용하였다. 귀환 중국 동포 자영업자 중 원 정착지를 벗어나 새로운 곳에서 사업을 확장한 사람들은 보호받는 시장과 경제적으로 낙후된 곳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동시에 한국에서 충분한 적응의 과정을 경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조건들을 통해 이들을 한국의 귀환 중국 동포 중 비교적 높은 수준의 경제력을 갖춘 사람들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는 그들이 경 험한 한국에서의 적응 과정에서 묻어나온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귀환 중국 동포 자영업자를 자영업 창시자(business founders)로 개념화 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이민자 내부에서 발생하는 하위 집단의 존재를 확 인하고 그들이 만들어내는 변화를 인식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e concept of ethnic entrepreneurs in human ecology and Fuss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fsQCA) were used to analyze spatial dispersion conditions of returned Korean-Chinese. Returned Korean-Chinese who relocated their businesses to new areas have some conditions: they located their businesses in non-protected markets, economically affluent areas and they had a successful adaptation experience in Korea. That is, these conditions can make them relatively affluent migrants among co-ethnic migrants(returned Korean-Chinese). The high level of their economic power, however, is stemmed from their long and successful adaptation in Korea. In this study, these returned Korean-Chinese are conceptualized as “business founders.” This newly conceptualized term can contribute to recognize subgroups in migrants and changes engendered by them.

      • KCI등재

        코로나 19의 생명정치 : 안전장치와 규율의 작동으로 바라본 한국의 코로나 19 ‘정치-역학’ 모델과 기술의 사용

        박위준(Park, Weejun) 한국공간환경학회 2020 공간과 사회 Vol.30 No.4

        본 논문은 코로나 19를 관리하고 있는 한국의 방역 모델을 푸코의 생명정치 개념으로분석한다. 대부분의 국가들이 전면적 봉쇄나 국경 폐쇄와 같은 공간적인 강제 조치를 통해코로나 19에 대응한 데 반해, 한국은 어떠한 형태의 광범위한 공간적 폐쇄 조치 없이 현 상황을 관리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러한 예외적인 방역 모델을 강압적인 명령 보다는 ‘순환의 문제’에 집중하는 안전장치의 작동을 기본 전략으로 하고, 국지적으로 규율적 격리와치료의 방식을 덧붙인 생명정치적 ‘정치-역학’ 모델로 해석한다. 또한 본 논문은 이러한 모델의 작동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기술들이 공통적으로 이러한 메커니즘하에서 작동했다고본다. 이와 같은 이해는 이 ‘정치-역학’ 모델의 개별적인 부분에 집중하는 해석과 달리 대규모 전염병 관리에 대한 보다 포괄적이고도 실천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This paper analyses South Korea’s response to COVID-19 in the concept of Foucauldian biopolitics. South Korea’s model is managing this pandemic situation without any extensive spatial restrictions, such as lockdown and blocking borders, whereas most countries rely on them. This paper understands this model as a biopolitical ‘politico-epidemiological’ model which takes the apparatuses of security, focusing on the ‘problem of circulation’, as a global and primary strategy, rather than oppressive orders, and locally utilizes disciplinary exercises. Also, this paper argues that various technologies which are regarded as instrumental in this model, such as geospatial technology, computational technology, and medical technology, are jointly exercised under this mechanism. This approach provides a more comprehensive and practical understanding of the ‘politico-epidemiological’ model that is actually exercised in the pandemic situation, rather than just focusing on the individual parts of the mod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