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멍흐하이르항산 주변 알타이-오리양하이족의 역사와 민속학적 연구현황

        박원길 한국몽골학회 2012 몽골학 Vol.0 No.32

        This is the treatise on the history and folklore of Altai-Uriyangkhai who live around Möngkekhayirkhan Mountain in west Mongolia. Altai-Uriyangkhai is a descendant of ancient Uriyangkhai tribes lived in around Onan river located in eastern Mongolia. They are regarded to have lived around Onan river from A.D.8C to A.D.10C. While they live in Onan river, they were conquered by Kiyad clan of Mongol tribes. On the view point of cultural heritage, ancient Uriyangkhai tribes and ancient Koreans connected with Bulham(Burkhan) culture which was the original cultural form of northern nomadic people. So we study the history and folklore of ancient Uriyangkhai tribes. Altai-Uriyangkhai living in around Möngkekhayirkhan Mountain preserves ancient Uriyangkhai's hereditary custom well. Accordingly, If we study Altai-Uriyangkhai, they would provide us with reliable hereditary custom of ancient Uriyangkhai. This treatise is based on the research of Altai-Uriyangkhai around Möngkekhayirkhan Mountain in August 2009. Its content consists of "the Altai-Uriyangkhai's history" and "the present status of folklore study on Altai-Uriyangkhai lived in around Möngkekhayirkhan Mountain".

      • KCI등재후보
      • 바이칼호 주변의 철륵(鐵勒) 3부(Bokhud, Bayirkhu, Khurigan) 고찰

        박원길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2016 몽골지역연구 Vol.1 No.1

        History in the area around Lake Baikal, from the ancient through modern age, is very unclear except that in a short period around A.D.647 as the early Tang Dynasty. Thus researches on the area’s history are very few even among researches on northern nomad peoples’ history. Recently, however, the author became to consider the possible errors in recorded classification about ethnics in Chinese literatures such as New History of the T’ang Dynasty(新唐書; Xin Tang shu) or Old History of the T’ang Dynasty(舊唐書; Jiu Tang shu). Based on the perspective, this article looked deeper true nature of three tribes as Bokhud(僕骨), Bayirkhu(拔野古), Khurigan(骨利幹) who lived around Lake Baikal in the period between The First Türk Empire(A.D.555~630) and The Second Türk Empire(A.D.682~745). For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rcheological and cultural anthropological materials as well as following Chinese literatures: Comprehensive Statutes(通典; Tongdian), Institutional History of the Tang dynasty(唐會要; Tang Huiyao), Universal Geography of the Taiping Era(太平寰宇記; Taiping Huanyu Ji), New History of the T’ang Dynasty(新唐書), and Old History of the T’ang Dynasty(舊唐書). As the result, Bayirkhu(拔野古) tribe, Khurigan(骨利幹) and Tuba(都波) tribes who were firstly appeared in the early Tang period, are highly possible to have been native Mongol people around Lake Baikal from their origins. And it is also highly possible for the three tribes to be the ancient Mongol people appeared in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On the viewpoint, it can be thought that Barkhujin area around Lake Baikal should be added to places where Mongol people is originated, not only middle and upper stream area of Heilongjiang(黑龍江; Manju. Sahaliyan ula) as their origin considered in existing views.

      • KCI등재후보

        ≪몽골비사≫의 原本논쟁과 成書年代의 고찰

        박원길 한국몽골학회 2002 몽골학 Vol.0 No.12

        A study of the Original Text and Dating the compilation of The Secret History of the Mongol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HMIPv6에서 실시간 트래픽의 전송 성능 향상 방안

        박원길,김병기,Park, Won-Gil,Kim, Byung-Gi 한국통신학회 2006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1 No.11B

        HMIPv6(Hierarchical MIPv6)는 MAP(Mobility Anchor Point)이라는 에이전트를 사용하여 MIPv6의 핸드오버 처리 성능을 향상시켰다. 이 프로토콜은 모바일 노드 대신에 모든 패킷을 받으며, 모바일 노드를 대신하여 모바일 노드를 목적지로 하는 모든 패킷을 받아서 모바일 노드의 CoA(Care-of Address)로 패킷을 재전송한다. 그러나, 계층적 MAP 구조에서 발생되는 등록의 집중화 현상 때문에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노드가 MAP 선택 시 트래픽 특성에 의하여 MAP을 선택하는 방법과, 흠 에이전트나 상대 노드에서 바인딩 업 데이트를 처리할 때 실시간 트래픽을 위한 멀티 레벨 큐에 의한 차등화 처리방법을 제안하였다. 성능 평가는 겔 거주 시간에 따른 전체 핸드오버 비용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성능 분석을 통해 제안방법이 위치 등록 비용과 모바일 노드의 전체 비용에서 향상됨을 보았다. HMIPv6 improved the handover management of basic MIPv6 by introducing the new protocol agent MAP. In this new protocol, MAP instead of the Mobile Node intercepts all packets and redirects the packets to CoA of the Mobile Node. However, this process may degrade the network performance due to the centralization phenomenon of registration occurring in the hierarchical MAP structure. ffe propose two schemes to improve real time traffic performance. First proposal is a MAP selection mettled in which MAP is selected based on traffic characteristics. And we also propose differentiated traffic processing scheme with multi-level queues when Home Agent or Correspondent Nodes process Binding Update messages. Performances of the proposed scheme are analyzed. Analysis result shows that our model has good performance in the respect of location update cost and total cost of Mobile Nodes.

      • KCI등재

        Sine-usu碑文과 P.1283文書에서 본 바이칼 주변 및 동몽골의 민족분포 - Čik과 鞠部, Mug-lig(貊族)와 白霫을 중심으로-

        박원길 한국몽골학회 2018 몽골학 Vol.0 No.54

        This article examines records on Čik, Jubu(鞠部), Mug-lig(貊族), Baishi(白霫) written in Sine-usu Inscription, P.1283 Document, and Xian luji(陷虜記). Through the examination, it is shed new light on the truth about peoples who lived around Lake Baikal and Eastern Mongolia and their residence. As the result of comparative examination, Čik and Jubu is turned out as each individual people, Turk and Tungus. Along with it, their residence is appeared as only partially overlapped in Erkuu gol(Irkut river) and Eastern Sayan Mountains. In case of Mug-lig(貊族), it is reviewed all inner records and external situations through P.1283(Pelliot tibétain 1283) Documents and Xian luji, which written by Hu Jiao(胡嶠) in A.D.953 is treatise in the history of the Kitan and Northern Country. Baishi(白霫) is ascertained as the tribe who has the same origin as Shi(霫) in Shilin gol, and their final southward residence was the area around Beijing nowadays. 본고는 돌궐과 위구르의 비문, P.1283(Pelliot tibétain 1283)문서, 陷虜記, 각종 史書에 기록된 Čik과 鞠部, Mug-lig(貊族)와 Baishi(白霫)에 대한 기록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바이칼 호수 주변과 동몽골 일대에 거주했던 민족들에 대한 실체 및 거주 지역을 재조명하였다. 이 비교검토 작업의 결과 Čik과 鞠部는 각각 별개의 민족(튀르크와 퉁구스)으로 나타났고 그 거주지도 에르후河와 사얀 동부산맥에서만 일부 겹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ug-lig(貊族)의 경우는 P.1283(Pelliot tibétain 1283)문서 및 陷虜記를 통해 내부기록 및 외부상황을 모두 검토하였다. P.1283문서에서는 Mug-lig(貊族)와 백제에 대해 식인습속이나 나체생활 등 부정적인 표현이 나타나는데 이는 보고자들인 소그드 상인들의 종교적 차이와 백제의 해상활동 등과 연관된 것으로 판명된다. Baishi(白霫)의 경우는 실링골 지역의 霫과 같은 기원을 가진 부족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당나라 때 오늘날의 몽골국 수흐바아타르와 도르노드 아이막 일대에 살았으며, 최종 남하지는 오늘날 북경 일대로 나타났다.

      • KCI등재

        비교민속 자료로서의 몽골지역에 위치한 돌궐ㆍ위구르 비문 소개

        박원길 국립민속박물관 2020 민속학연구 Vol.0 No.46

        The inscriptions constructed in the early days of the Second Turkic Khaganate and the Uighur Empire recorded the achievements and life of the main characters as their own language, Turk and Uighur Runic, and they have value as a source for studying northern history, language, and folklore. The Turk and Uighur Runic inscriptions are divided into Orkhon inscriptions and Yenisei inscriptions. Orkhon inscriptions are found mainly in Mongolia, and currently there are 100. The content of the inscription focuses on the achievements of his life. As a result, Orkhon inscriptions have a strong character called Monument to distinguished services. Yenisei inscriptions are 158 inscriptions distributed around the tributaries of the Yenisei River, mainly in the Khakassia and Tuva regions. The characteristic of Yenisei inscriptions is that the content is very short and does not represent the year of the year directly, all of which belong to the 8th to 10th centuries. The content of the inscription is mainly active in the name, title, age, and life of the burial person. As a result, Yenisei inscriptions have a strong character called Memorial inscription. 돌궐 제2제국과 위구르제국 초기에 건립된 비문은 주인공들의 업적과 생애를 자신들의 언어인 돌궐ㆍ위구르 룬문자로 기록하고 있어 북방의 역사나 어학, 민속을 연구하는 근원 사료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이로 인해 돌궐ㆍ위구르 룬문자 비문에 대한 연구는 근대 초부터 활발히 전개되었다. 그런데 연구 결과 이 비문들은 크게 오르홍 비문(Orkhon inscriptions)과 예니세이 비문(Yenisei inscriptions)으로 나누어진다. 오르홍 비문은 주로 몽골 지역에서 발견된 문자자료로 현재 100개가 발견되었다. 비문의 내용은 그가 생전에 이룩한 업적에 초점이 두어져 있다. 이로 인해 오르홍비문은 <기공비(紀功碑)>라는 성격이 강하다. 예니세이 비문은 예니세이(Yenisei)강의 지류나 본류를 중심으로 하카시아(Khakassia), 투바(Tuva) 등의 지역에 분포된 비문형태의 문자자료로 현재 158개가 발견되었다. 예니세이 비문의 특징은 내용이 아주 짧고 기년(紀年)을 직접 나타내지 않는다는 점인데, 모두 8∼10C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비문의 내용은 주로 피장자(被葬者)의 이름ㆍ칭호ㆍ나이ㆍ생애 중의 활약이다. 이로 인해 이 비문들은 <묘지명(墓誌銘)>이라는 성격이 강하다. 돌궐ㆍ위구르 룬문자 비문의 연구현황은 ①1889∼1910년대, ② 1950∼1980년대, ③199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세단계로 나누어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