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urface Roughness Controlled Si, Si1-xGe1-x Nanowires and Their Thermal Conductivities

        박용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 study on the effect of surface roughness to the thermal conductivity of rough surfaced Si nanowires (NWs) opened a possibility of new physics in phonon conduction. Scattering of phonon at the rough surface is believed to reduc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ir materials. However, relation between the magnitude of surface roughness and thermal conductivity of nanowires has not been addressed yet. In this thesis, the rough surfaced Si and Si1-xGex NWs were synthesized with various surface roughness, periodicity and diameter with an assist of Mn as catalyst. Si and Si1-xGex NWs were grown by combinatorial vapor-liquid-solid- and vapor-solid growth mechanism for longitudinal- and radial growth, respectively. Diameter of NWs has a range from 100 nm to 500 nm and lengths of NWs were several tens of ㎛. Si and Si1-xGex NWs roughness was controlled by hydrogen flow rate from smooth up to about 37 nm by the VS radial growth. Thermal conductivity data shows that rough surfaced Si, Si1-xGex NWs thermal conductivity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mooth surfaced nanowires and decreased with increasing surface roughness even though diameter of the smooth nanowire is lower than that of the rough nanowire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NWs rough surface induces phonon boundary scattering and reduces the NWs thermal conductivity. Observation of these roughness induced large phonon boundary scattering in roughness controlled Si, Si1-xGex NWs promises for novel thermoelectric devices and experimental proof that roughened surfaces are induce the large phonon boundary scattering.

      • 상악동에 대한 비염의 영향

        박용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론 : 상악동의 함기화는 교정치료의 치아 움직임에 있어서의 제한 요소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악동 함기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부정교합 치료 시 항상 확인되는 비염(rhinitis)을 고려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상악동에 대한 비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비염군과 정상군에서 상악동의 부피를 비교하고, 다양한 선형측정을 통해 상악동의 형태와 수직 위치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교정치료를 위해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를 촬영한 골격성 III급 성인 여성 환자 총 37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비염을 가진 군과 정상군으로 표본을 나누었다(비염군 17명, 정상군 20명). CBCT를 이용하여 부피를 측정하고 다음의 선형측정을 시행하였다. 1) 상악동의 수직 높이(cranio-caudal height) 2) 상악동저(sinus floor)에서 FH plane까지의 거리 3) 상악동의 medio-lateral 및 antero-posterior 최소 길이, 4) 교합평면에서 상악동저까지의 수직 길이(cranio-caudal length). 선형측정은 상악골의 형태와 수직 위치를 분석하는데 이용되었다.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두 군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측모두부방사선 사진 계측치 중 전두개저(anterior cranial base)의 길이를 이용하여 얼굴 크기를 보정하여 각 수치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 비염군과 정상군 사이에서 상악동의 부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상악동의 수직 길이, 전후방 길이, 폭경에서도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주위 안면 구조에 대한 수직 위치, 교합면에서 상악동 기저부까지의 거리 또한 유의차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안면의 크기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전두개저 길이로 각 측정항목을 나누어 비교한 결과에서도 모든 항목에서 유의차가 없었다. 결론 : 비염군과 정상군의 상악동 함기화 형태를 비교하고자 3차원적 평가를 시행한 결과 두 군 사이에 부피, 형태적 특성과 수직 위치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 연약점성토의 성토재 사용에 따른 시공방안 및 압밀거동특성에 관한 연구

        박용희 경기대학교 건설·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유수면 내 간석지를 활용하여 단지를 조성하는 경우, 지반 특성상 점토 및 실트가 대부분인 해안 퇴적지형으로 부지조성 시 응력과 변위에 문제가 있어 연약지반 처리가 불가피하고, 또한 단지조성을 위한 대규모 성토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간석지내 단지조성 공사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점성토를 자원재활용과 경제적 측면에서 성토재료로 바라보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외부사토 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성토재료로 활용함으로써 소요토량 절감을 통한 경제적 시공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절취되어 교란된 원지반 점성토의 지반공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교란된 지반조건에서의 시공성 확보방안과 점성토 성토지반에 대한 연약지반처리 설계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또한 이를 적용한 현장을 선정하여, 실제거동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시공성 확인 및 연약지반처리 설계방안과 비교검토 하였다. 그 결과 원지반 교란 조건시 압밀특성(압축지수,간극비) 및 전단특성(전단강도)에서 모두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고, 교란된 조건에서의 장비주행성 평가를 통해 경제적인 시공계획을 검토하였다. 또한 연약지반 설계에 있어, 점성토 성토층을 압밀대상층으로만 적용하는 방안과 압밀대상층인 동시에 원지반상에 하중으로 작용하는 복합하중 작용층으로 적용하는 방안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연약점성토를 성토재료로 활용한 현장에 대하여, 시공계획에 대한 시험시공 등을 통해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연약지반처리 계측결과와 설계방안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점성토 성토층을 압밀대상층으로만 적용하는 방안보다 복합하중 작용층으로 적용하는 방안이 실측치와 일치한 결과를 보였다. 현재 각종 산업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건설폐기물은 성토재, 순환골재, 뒷채움재 등으로 재활용이 활성화 되어, 처리비용절감 및 자원확보 등 경제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연약점성토의 경우 처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대부분 사토처리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활용실적 및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성토재활용 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와 많은 현장적용을 통해 보다 신뢰성이 큰 설계방안 및 경제적인 시공방법에 대한 개발이 필요할것으로 판단된다. When creating a residential land on tidelands within public waters, large scale embankment materials are needed to cut and stabilize the soft ground into a coastal depositional landform. The cut ground is extremely soft, and processed into spoiled soil without use at the site, so there is the issue of securing a place for this process and the issue of obtaining approval, and supplying a large amount of embankment material requires much time and cost. The study comprehends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the cohesive soil which occurs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residential land on tidelands, in order to use this soil as embankment material, and examines a construction plan at disturbed ground conditions and a design plan regarding soft ground. Also, the study confirms constructability and comparatively evaluates a design plan for soft ground,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actual behavior, and by means of a site using soft cohesive soil as embankment material. The results revealed decreases in both the consolidation property (compression index, void ratio) and the shearing property(shear strength) during soil disturbance, and satisfied the construction plan through the evaluation of trafficability at disturbance conditions. Also, when designing the soft ground, the plan of using the embankment layer of the cohesive soil as overburden load as well as the consolidated layer resulted in agreement with the actual measurement value. Most soft cohesive soil is thrown away due to its difficulty of use. Thus, much more advancement seems to be necessary, by means of various studies on the use of embankment material as well as economical construction plans through much field application and more reliable large-scale design plans. Keywords : Soft ground, Clay, Fill material, Consolidation, Trafficability, Disturbance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의 읽기 영역에 나타난 소재 분석

        박용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 중 영어 교육 과정에서 제시되고 있는 19개의 소재 항목을 바탕으로 현재 영어 교과서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읽기 지문에 나타난 소재를 분석하고 그 연계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4종의 교과서를 선택하여 영어, 영어Ⅰ, 영어Ⅱ 세 교과서의 읽기 지문들을 모두 분석하였으며, 최근 2010학년도부터 2012학년도까지 3차분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읽기 부분 지문을 모두 분석하였다. 영어 교과서 소재 분석 결과는 4종의 교과서 중 한 교과서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교육부가 제시한 19개의 소재 항목을 골고루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최근 3차분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읽기 부분 지문들을 분석해본 결과 교육부에서 제시한 19개의 소재 항목들이 특정한 몇 가지 항목에 편중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육부가 제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19개의 소재 항목 중에서 4종 출판사의 영어, 영어Ⅰ, 영어Ⅱ 교과서 전체에서의 소재 항목 제시 수를 살펴본 결과 두 종의 교과서가 15개의 소재 항목을 제시함으로써 약 79%의 소재 제시율을 보였고, 나머지 교과서가 각각 14개와 10개의 소재 항목을 제시함으로써 74%와 53%의 소재 제시율을 보였다. 특이한 점은, 전체 4종의 교과서 모두에서 한 번도 제시하지 않은 소재는 17번 항목으로 애국심, 평화, 안보 및 통일에 관한 내용으로 뒤에서 살펴보게 될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소재 분석에서도 마찬가지로 단 한 번도 제시되지 않은 소재로 분석되었다는 점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소재들을 분석한 결과는 2010학년도부터 2012학년도까지의 읽기 부분 시험 문항들과 관련한 지문들이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소재 항목 중에서 일부 특정 소재 항목에 편중되어 내용이 구성됨으로써 교육부의 소재 제시가 제대로 반영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0학년도와 2011학년도, 2012학년도 모두 공통적으로 18번 항목인 정치, 경제, 역사, 지리, 수학, 과학, 교통, 정보 통신, 우주, 해양, 탐험 등 일반교양을 넓히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의 소재와 19번 항목인 인문학, 사회 과학, 자연 과학, 예술 분야의 학문적 소양을 기를 수 있는 내용의 소재가 다른 내용의 소재 항목보다 월등히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3차분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중 단 한 차례도 출제되지 않은 소재 항목이 다섯 항목이나 된다는 점이다. 그 항목들을 살펴보면, 학교생활과 교우 관계에 관한 내용(항목 3), 우리 문화와 다른 문화의 언어적 문화적 차이에 관한 내용(항목 9), 우리의 문화와 생활양식을 소개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항목 10), 진로 문제, 직업, 노동 등 개인 복지 증진에 관한 내용(항목 15), 애국심, 평화, 안보 및 통일에 관한 내용(항목 17) 등이다.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의 목표인 자유로운 의사소통 능력과 좋은 인성, 세계 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르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소재들이 교과서와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적절하고 다양하게 적용되어 제시되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유도발전기로 연계된 풍력발전시스템의 시뮬레이터 개발 및 연계 특성분석

        박용희 명지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화석에너지 고갈에 대비한 환경 친화적 대체 에너지원으로 풍력발전이 세계적으로 주목 받고 있다. 그에 맞추어 풍력발전시스템을 모의할 수 있는 풍력 시뮬레이터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특히 실제 풍속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모의하는 풍력 터빈 모델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풍속이 가변하는 상황에서 풍력 발전 시스템의 동작을 모의 할 수 있는 풍력 터빈 시뮬레이터를 설계·구현하였다. 실제 풍속과 회전 속도를 실시간으로 입력 받으며, 토크 계산에 필요한 블레이드의 효율을 주속비에 관한 함수로 처리하여 사용함으로서 복잡한 조작 없이 가변 풍속조건에서 블레이드에 의한 토크입력을 모의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풍력터빈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농형 유도발전기식 풍력발전 시스템을 구성하여 계통에 연계하였을 경우 발생되는 무효전력을 보상하기 위해 펄스 다중화 보조브리지 회로를 이용한 새로운 구조의 36-펄스 전압원 컨버터방식의 실시간 무효전력보상기(STATCOM)를 적용하였다. 그리고 그 특성을 분석하고 제어시스템의 성능해석을 위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EMTDC/PSCAD과 Matlab을 이용하여 제안하는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축소모형 하드웨어 실험을 통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된 시스템이 실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a model for variable-speed wind turbine using the real wind data, and a reactive power compensator for the interconnected wind power system using a new 36-pulse voltage source converter. The proposed wind turbine model was developed through more practical approach considering wind characteristic, blade characteristic, and blade inertia compensation. The operational feasibility of proposed model was verified by simulations with PSCAD/EMTDC and experimental works with 3.5kW motor-generator set. The proposed reactive-power compensator was developed using a new 36-pulse voltage source converter with DC auxiliary circuit. The operational feasibility of proposed reactive-power compensator was verified by computer simulations with PSCAD/EMTDC and experimental works with 2kVA hardware model. Both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confirm that proposed turbine simulator and reactive-power compensator can be utilized for performance analysis of actual wind power system. Also the research results can be utilized for studies of actual interaction between various wind power system and grid for reliable operation and protection of power system. Also the newly developed configuration of 36-pulse voltage source converter can be widely used for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the power quality compensator, and the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 중학교 미술교과서 분석을 통한 조소 교육에 관한 연구

        박용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미술 교과서에 있어 제 7차 교육과정과 현행 7종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교육목적과 목표를 바탕으로 한 교과서의 편찬 실태와 각 학년별 교과 내용체계의 단계적, 체계적 구성에 의한 학습 목표달성여부, 영역별 연계성, 단원의 설정과 내용 구성 요소의 조화와 적합성 등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05년 출판된 미술 교과서는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교육적 의도와 방향을 비교적 잘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일부 내용에 있어 미흡한 점이 있는데 현대미술의 흐름에 맞춰 장르별 구분을 없애고 통합 교육의 형태를 띄고있으나 정확한 목표와 방향에 미치지 못하는 통합적 내용을 보이고 있으며, 영역별 학습내용의 연계성이 미흡하고, 종별 재량에 의한 교과 내용의 구성에 따라 학년별 학습 내용이 다르다. 또한 학습자의 성장에 따른 수준별 학습 내용의 편성이 미흡하며, 기초적 이론 학습에 관한 내용이 미흡하고, 편집구성원의 전공에 따라 장르별 내용구성의 차이가 나타나는 등의 문제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과서의 내용과 구성체계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학습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학습지도안을 참고용으로 제시하여 학교의 실정과 교육여건에 맞추어 반드시 필요한 학습내용은 누락되지 않도록 지도 계획안을 작성하는데 기초 자료가 되고 각급 학교의 특수성을 감안하여 실정에 적합한 미술교과서의 선택과 활용에 필요한 사천 지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학교 미술교육의 질을 높이고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는 바람직한 내용의 교과서 편찬에 발전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and contents of the current 7 kinds of textbooks with regard. to art textbooks for middle schools. In addition, this study purposed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compiling textbooks based on aims and objectives of education proposed in the curriculum, whether or not objectives of learning are achieved by step and systematical structure of contents system of textbooks by each grade, connection of domains, and harmony and suitability between establishment of units and structural elements of contents.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its problems and present to improve. Art textbooks which were published in 2005 relatively represented educational intention and direction presented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However, some materials have insufficient points : although the textbooks have form of integrated education by removing classification by genre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modern art, they show integrated contents which do not arrive at the exact objectives and direction. In addition connection of learning contents by domain is insufficient, learning contents by grad are different depending on structure of contents based on discretion, arrangement of level-based learning contents depending on growth of learners is insufficient. Problems also were discovered that contents related to learning of basic theories also are unsatisfactory and contents composition by genre shows difference depending on majors of members of compiling textbooks. As plan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intended to understand contents of textbooks and structural system, present plans for instructing learning for reference so that efficient learning may be conducted, and prepare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drawing up teaching plans so that indispensable learning contents may not be omitted in accordance with the actual situation and education condition of schools. In addition, this thesis aimed to raise the quality of art education in schools by presenting information about prior knowledge necessary for choosing and using art textbooks suitable to the actual condition taking specialty of each school into consideration and to present developmental data for compiling textbooks with desirable contents which can be to a good use.

      • 초등 아동의 리코더 앙상블을 통한 표현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박용희 숙명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Nowaday, it is a trend that in the music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guide their students into the music world so that they can feel the beauty of music by themselves and they can express the experience of music once felt musically. This study aimed at expanding childrens experience of music, deepening their understanding of music and their musical performance through some recorder ensembles, fostering their cooperative spirit working well with their classmates, and improving their ability of expression, through learning activities centered on some musical instruments through recorders, escaping from the traditional, music-learning activities centered on singing songs. In this study, since it was found out that most of the elementary children lack the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the recorders suggested from the 3rd year(grade), and no systematic guidance of musical education has been achieved in elementary school, it is intended to suggest some plans to guide elementary children into good musical behavior, based on the inspection of the reality that all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have the recorder. And as for the processes of the practice of such guidance, three stages of musical education - the 1st stage to guide children in terms of some basics step by step in learning soprano through the recorder, 2nd stage to guide children in terms of some basics step by step in learning alto through the recorder up to the level proper to the children, and 3rd stage to guide children into better ability to express music through recorder ensembles. And these stages were applied to the learning of music by some elementary children. The results of such application showed that childrens understanding and recognition of the recorder were so much fostered; children improved not only their basic posture in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such as piano, violin, etc. but also their ability to play a musical instrument while reading music; they understand music better through performing solo, duet, and concert, based on some pieces of music; more important is that their power to express music including their confidence in music is very much improved and extended. In conclusion, through applying those three stages of musical learning, it was found out that first, elementary children became skillful, through the recorder, to play a musical instrument; second, their ability of recorder performance has been much improved, and through systematic ensemble etudes, their ability to express harmonic beauty has been well fostered; and third, those children became habituated themselves to musical life since they have the cooperative spirit, love to sing merry and bright childrens songs always and play a musical instrument for such songs because they love music through recorder ensemb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