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영 문학 번역에서 주제문의 번역 방식: 박완서의 "집 보기는 그렇게 끝났다"에 근거해서

        박옥수 ( Ock Sue Park ) 한국비교문학회 2014 比較文學 Vol.0 No.62

        The degree that the typical style of the source text gets lost in the target text when minority language is translated into majority language is much higher than the one lost in translation of the opposite direction. It is because the target readers are not familiar with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culture to which the source language belong. This study examines how the style of the topic text is shifted in the target text in the language environment where minority language is translated into majority language. The source text is “Chibbogineun Geureoke KKeutnatta” written by Pak Wan-so. The data selected in this study convey the psychology of the narrator. I examine whether the hypothesis of “the style of the source text is partly lost when minority language is translated into majority language” can be adopted in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In specific details of the research method, the contrastive study between the source text and the target text is performed. It analyzes shift between them through back translation. Ten topic texts consist of subjects on psychological description, resistance to the relationship of a mother and a daughter-in-law, and introspection of hypocritical conjugal relations. The feature of the target text is that the degree of the shift is higher when it is compared to the analysis results of English translation of the some other Korean short stories. That is, faithfulness toward the original is relatively low. Especially the features such as increase of sentence number and repetition of topic sentences show distinctiveness to the other translations of the same text typ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문학 번역가의 입장: 산문 분석에 근거함

        박옥수 ( Ock Sue Par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8 동화와 번역 Vol.15 No.-

        문학 번역가는 번역을 낯설게 하기도 하고, 동시에 목표 언어에 익숙하게 보이게도 한다. 따라서 번역학에서 이국화/자국화의 문제는 동서양에서 지속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었다. 이 논문은 최근에 우리 말로 번역된 영어 소설에서 선정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을 통해서 동시대의 문학 번역에서 이국화/자국화의 문제를 논의한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다룬다. 우선 이국화/자국화에 드러난 번역 방식에 관한 개념을 논의한다. 실제로 번역학에서 통용되던 이국화/자국화의 용어가 우리의 직역/의역의 개념과 어떤 공통점이 있으며, 어떻게 다른지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그리고 데이터 분석에 의해 이국화 혹은 자국화의 번역 전략을 확인한다. 한국의 번역가들이 구체적으로 취하고 있는 번역 방식은 무엇인가를 분석한다. 한국의 현재 번역 경향과 함께 그 번역 경향이 세계적인 추세와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본다. 한국의 번역가들이 외국의 낯선 개념을 번역문에 옮기는 과정에서 문제가 되는 세 가지 표현, 은유, 기술적인 용어, 문화적인 개념 등을 영한 소설 번역에서 자료를 찾아서 그 번역문을 소개하고,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 KCI등재

        아동 청소년 문학번역의 기능적 분석과 번역 전략 연구

        박옥수 ( Ock Sue Par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5 동화와 번역 Vol.30 No.-

        본 연구에서는 아동 청소년 문학의 세 가지 기능을 각각 분석하고, 해당 번역문과의 대조 분석을 통해서 그 기능이 번역된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항목별로 특징적인 번역 방식을 논의하고, 추후 아동 청소년 문학 번역의 시사점을 논의했다. 여기서 세 가지 기능은 저자의 언어적 양식이 드러난 표현적 기능, 작품의 배경이나 인물이 제시하는 특정 정보를 전달하는 정보적 기능, 작품의 사회 문화적 현상을 표현한 화용적 기능이다. 표현적 기능은 원문의 미학, 고유의 언어적표현을, 정보적 기능은 사물이나 상황에 대한 새로운 소식을, 화용적 기능은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언어 기호의 용법을 갖는다. 이 연구의 분석 자료 원본인 Anastasia’s Chosen Career는 아홉 권의 아나스타샤 시리즈 중의 하나로 각각의 시리즈가 단행본의 형태로 출판되었다. 이 작품은 ‘그래, 멋진 직업을 갖고 말테야’라는 제목으로 1992년 국내에 소개되었다. 원작의 주제와 사회적 함의는 현재 한국 사회가 지향하는 바를 제시한다. 사회적 평가 기준과 경쟁에서 벗어나서 순수하게 자신이 원하는 일을 찾아나가는 두 소녀의 방식이 학교 성적과 순위 매기기에 치중하는 한국 사회에 교훈적인 메시지를 준다. 이 작품의 번역에서 드러난 표현적 규범의 특징은 의미와 형식의 충실성을 동시에 충족시켰다는 점이다. 정보 전달 규범의 특징은 괄호 안에 번역자가 부연 설명을 덧붙여서 대상 독자가 해당 어휘를 이해하기 쉽게 배려한 전략이다. 화용성의 규범에서 드러난 현상은 자국화와 일반화의 번역 방식을 들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three functions of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translation strategies of each function through comparative studies of the source text and the target text. In the process, we discussed the translation methods of classified items and implication for translating children’s literature. The functions are expressive, informative, and pragmatic function. The expressive function takes the source text’s aesthetics and typical linguistic styles, the informative function does meaning of things and situation, and the pragmatic function reveals the linguistic signs between a sender and a receiver. The source text, Anastasia’s Chosen Career, was translated in 1992. The theme and contents depict the problems and phenomena of Korean society and send instructive messages. The feature translating expressive norms in this study is to satisfy the faithfulness of form and meaning. In informative norms, the translator puts further explanation and considers the target readers’ readability. In pragmatic norms, the main strategies are the ones of domestication and generalization.

      • KCI등재

        저자의 의도가 번역문에 반영된 방식 -<아저씨의 훈장>의 영역본 분석에 근거해서-

        박옥수 ( Ock Sue Park ) 겨레어문학회 2013 겨레어문학 Vol.50 No.-

        문학번역에서 언어적, 문화적 한계 때문에 원작의 양식이나 저자의 의도를 충분히 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특히 한영 문학번역처럼 소수의 언어가 다수의 언어로 번역되는 환경에서 충실성의 규범을 따르기 어려운 번역 항목들이 있다. 단편소설의 경우 장르의 특성상 고유 언어나 문화의 전달에서 충실성만을 지향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원작과 번역물 독자 사이의 소통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번역물 독자가 원작의 의사소통 규칙과 배경 지식을 공유해야 한다. 이 두 가지를 더 많이 공유할수록 등가의 효과는 커진다. 그러나 한영문학 번역의 경우 서양 독자들은 원천 문화에 대한 지식이 미약하기 때문에 번역자는 불가피하게 대상 독자의 가독성을 위해서 개입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원문의 의도가 번역문에 어떻게 정착되었는지에 초점을 맞춰서 분석하였다. 원문의 의도는 충실성의 추구를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 중점을 둔 자료 분석 항목은 저자의 의도를 반영한 번역 항목이다. 그 결과 작품 속의 중심 인물을 묘사한 부분과 이 작품의 주제를 완성하기 위한 두 가지 장치인 과거와 현재의 규범에 관한 항목, 그리고 작품 속에 개입하기도 하는 화자의 어조를 비교 분석 자료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번역문 분석의 틀은 미시적 항목의 개별 분석보다는 저자의 의도를 얼마나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췄다. 원작은 ‘박완서 문학선``의 ‘그 가을의 사흘 동안’에 수록된 ‘아저씨의 훈장’이고, 번역본은 My very Last Possession에 수록된 Mr. Hong`s Medals으로 번역자는 전경자이다. 박완서는 1980년대 중반 이후 여성문학의 대표적 작가로 주목 받았다. 한국문학작가상, 이상문학상 등을 수상 하였다. In literary translation, the translator sometimes is not able to transfer the style or the intention of the author in its fullness. In particular, there are some translating items which cannot pursue the norms for fidelity in the environment translating minor languages into major languages such as Korean-English literary translation. Translation of short stories makes it harder to get faithfulness due to the features of the text type.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 source text and the target readers, the target readers should share the communicating rules and the background knowledge of the source text. The more the readers share them, the more effective of the equivalent effect. However the western readers hardly have the source culture knowledge and the translator inevitably intervenes for the readerbility. In that case it is desirable that the intervention should be at a minimum. In this study the present author examined how the intention of the original author has been established in the target text. The selected items for analysis are the ones which reflect the intention of the author. In specific detail, they describe the main characters and norms defining the past and the present of Korean society, and the tone of the narrator who sometimes intervenes into the work. The main frame of the analysis focuses how the text performs the contextual and macro equivalent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individual analysis of the micro units. The source text is Ajussiui Hunjang(The uncle`s medals) written by Pak WansO and the target text is ``Mr. Hong`s Medals`` translated by Chun Kyung-Ja. Pak Wan Seo is most respected and wildly read contemporary writers in Korea. She has attracted attention as one of the greatest author of feminism literature since mid 1980s. She received the Writer`s Award of Hankuk Munhak and Isang Munhak Award.

      • KCI등재

        한영문학 번역의 대화체에서 드러난 생략어의 번역

        박옥수 ( Ock Sue Par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3 동화와 번역 Vol.25 No.-

        소설의 언어는 이야기의 내용을 전달하는 정보적 기능뿐만 아니라 문학 작품의 정서를 드러내는 표현적 기능도 담고 있다. 이는 지문과 대화체에 똑같이 적용된다. 그러나 대화체 담화의 형식은 지문의 그것과는 다르다. 대화체가 갖고 있는 본질적 특징은 생략어법이다. 상대방을 마주하고 발화가 이루어지는 대화체에서는 생략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이런 특징을 갖고 있는 대화체의 번역에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은 대상독자가 원문에 등장하는 인물의 정체성과 작품의 서사를 이해하게 하는 것이다. 번역자는 이런 요소들을 고려하여 문학작품이 갖고 있는 본질적 요소인 의미 전달과 정서적 효과를 발휘하는 번역물을 생산하기 위해 고심한다. 이 연구에서는 대화체 번역에서 생략 어휘의 요인을 알아보고, 생략부분의 번역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서 번역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이는 추후 대화체 번역에 참고할 만한 연구 결과를 제시할 것이다. 이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된 원본은 「무진기행」이며 이 원본의 번역물 두 편을 비교 대상으로 삼았다. TT1은 정종화 번역으로 1988년에 출간되었으며, TT2는 케빈 오록(Kevin O’rourke)으로 1980년에 출간되었다. 분석 자료인 대사 텍스트를 기술적으로 분석한 결과 생략의 원인은 다음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첫째, 이미 발화된 정보일 경우, 둘째, 심층구조와 표층구조가 서로 다른 경우, 셋째는 화자와 청자가 공유하는 인지적 정보일 경우이다. 이상의 요인을 항목별로 기술 분석하고, 그 번역 방식을 서술하였다. 그 결과 번역 방법은 축어역, 생략된 부분을 보충한 번역, 의미로 전환한 번역, 그리고 관점을 바꾼 번역 방식, 생략의 방법을 보여주었다. The language of a literary work has an expressive function for reflecting emotion and sentiment of the work, as well as an informative function for conveying the contents. These functions apply to both narration and dialogue. However, the form of dialogue is different from that of narration. An essential distinction of dialogue style is ellipsis. Dialogue which takes place face-to-face has various causes for omitting. The priority to focus in translating dialogue is to make target readers understand identity of the characters and the contents of the work. The translator takes pains considering these factors to produce the target text conveying the appropriate meaning and the emotional effect. In this study, the present author will examine the cause of ellipsis in literary dialogue and the translational norms of the text, and infer the problems in the translation of the dialogue texts and give information on overcoming them or minimizing them. The result will offer a general guideline in translating the Korean literary dialogue into English. The texts for data analysis is ‘A Journey to Mujin’ written by Kim Seung-ok and two target texts. The target text 1 was translated by Jung Chong-wha and published in 1988 while the target text 2 was done by Kevin O`rourke and published in 1980.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for the factors leading to ellipsis are as follows; firstly, ellipsis takes place in the case that the ellipsis dialogue is uttered previously in the discourse, secondly, in the case that deep structure and surface structure is different each other, thirdly, in the case that the ellipsis parts include the cognitive information that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share. The texts were analysed in a descriptive way and the translation norms were defined. As the result, the translation strategies in the translation are categorized into supplement of the omission texts, communicative translation, shifting the perspective of the text, and leaving out of the ellipsis parts.

      • KCI등재

        The History of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in Korea

        Park Ock-Sue(朴玉洙) 동아인문학회 2007 동아인문학 Vol.12 No.-

        통번역학은 외국어 분야의 실용 학문에서 한 분야를 차지하게 되었다. 지난 20년 동안 한국의 대학과 대학원에서 통번역학을 개설하기 시작한 것도 이 때문이다. 대학과 대학원의 학과목에서 ‘번역사’는 필수적인 학문이 되었다. 하지만 여태껏 주로 논의된 것은 서양의 번역사였다. 근대 이전의 한국의 번역사가 체계적으로 정리된 문헌은 찾아보기 힘들다. 이는 자료가 많이 남아있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아직 이 분야에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에서 통번역학이 시작되어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한국 번역사를 고찰한다. 현재 한국에서 문학, 혹은 기술 분야에서 정보가 이전되는 중요한 외국어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이다. 이 언어가 한국의 중요한 외국어가 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한국의 번역사를 살펴보면, 이 세 외국어가 현재 한국에서 중요한 외국어가 된 이유를 알 수 있다. 한국의 번역사와 관련된 두 가지 사건은 바로 신라 학자들이 향찰을 이용하여, 향가를 창조한 것과 한글의 창제를 들 수 있다. 한글의 창제는 이제 번역에서 필수적인 원본 언어 혹은 대상 언어를 확보했기 때문이다. 근대 번역사에서 획기적인 사건은 다양한 외국어 학교의 설립과 성경번역이라고 할 수 있다. 외국어 학교가 존재했던 1895년부터 1910년에 이르는 기간은 한국의 번역 문학사 중에서 계몽기였다고 할 수 있다. 활발하게 서구 문화가 유입되었고, 한국의 근대 문학이 시작된 시기였기 때문이다. 특히 성경 번역은 조선시대의 계급과 성별 우선주의를 타파했으며, 구어체와 문어체의 일치를 가져와서 문자를 읽고 쓰는 능력을 높였다는 점이에서 성경 번역의 영향력은 깊은 의미를 갖는다.

      • KCI등재

        개화기 한국 번역 작품의 기술적, 기능적 분석

        박옥수 ( Ock Sue Park ) 겨레어문학회 2008 겨레어문학 Vol.41 No.-

        개화기의 사상가들은 자국 국민의 계몽이나 교화를 위해서 외국 작품의 번역물을 소개했다. 따라서 개화기의 번역물은 번역 독자들을 설득하거나, 교화할 목적을 갖고 있었다. 이런 특성 때문에 이 시기의 번역은 번역과정에서 원문이 많이 훼손되거나, 원래의 언어가 아니라 일본어나 중국어로 번역된 것을 대본으로 중역(重譯)하는 경우가 흔히 있었다. 그러므로 개화기의 번역물은 언어적 접근으로 분석하기는 어렵다. 개화기 번역물의 시대적 위상과 조작여부, 그리고 개화기 번역자들의 사상, 번역 방식 등은 그 시대의 번역물을 정의하는 요소들이다. 개화기 한국의 번역문학의 위상은 중국, 일본과 서로 연관성을 보이는데, 이는 개화기에는 서양문헌의 대본이 주로 일본어와 중국어의 번역본이었다는 사실에서도 드러난다. 이 시기에 번역을 주도적으로 소개한 이는 최남선이었으며, 주요 수용매체는 『소년』『청춘』이었다. 당시의 번역은 일본어나 중국어를 통한 중역(重譯)의 형태를 띠고 있었으며, 번역 방식도 완역(完譯)이나 축자역(逐字譯)이 아닌 초역(抄譯), 경개역(梗槪譯), 축역(縮譯) 등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 논문은 한국의 개화기에 소개된 번역 문학을 번역학 이론인 `기술(記述) 번역학`의 틀에서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개화기 번역물의 환경적 영향을 `다중체계이론`을 근거로 살펴보았고, 당시의 대표적 번역자인 최남선의 번역 방식을 통해서 번역물에 가해진 `조작`의 상태, 그리고 당시의 번역 규범과 번역의 기능을 분석했다. 개화기의 번역 방식은 원본이 `표현적 기능`을 중시한 고급의 문학작품의 번역이라 할지라도 `정보적 기능`의 역할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이 시기의 번역물이 전체의 내용을 요약하거나, 아니면 작품의 일부만을 번역한 것은 작품의 내용을 알리려는 `정보적 기능`의 역할을 우선적으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또한 독자를 격려하고, 계몽하려는 의도 때문에 `작용적 기능`도 함께 할 수밖에 없었다. 최남선의 번역에 일종의 `조작`이 포함되었던 것은 이 `작용적 기능` 즉, 계몽과 교화의 기능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Intellectuals in enlightening period of Joseon translated the western literature in order to enlighten and civilize their people. The translations often deviated from its source text or retranslated the Chinese or Japanese translations for their purpose of enlightenmen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translations in the period by linguistic approach. The translations of the enlightening period can be defined from the viewpoint of the status of translations, manipulation, and the translators` ideology. The status of translations is related with Chinese and Japanese literary works because the translators in the period translated western literature through Chinese or Japanese translation. Choi Namsun took a leading role in introducing foreign literature through the main journals publishing the translations that time, `Sonyun` and `Chungchoon`. The translational methods used were abridgement, or summary translation rather than complete or literal translation. In this paper, translations in the enlightening period are analyzed within the framework of Descriptive Translation Studies and Functional Theory. The situational influence has its theoretical ground on `Poly-system Theory. In specific, the manipulation of translations, translation norms and function are examined through the translation strategy of Choi Namsun, a representative translator of the time. The translators in the enlightening period had to consider the function of information in the first place even in the literary translation which values highly `expressive function`. Abridged or summary translations are the symbolic representation of a focus on `informative function`. The translations also include `operative function` in order to encourage and persuade the readers. The reason that Choi Namsun`s translations took manipulation is that he always considered the `operative function` of enlightenment and civilization.

      • KCI등재

        동화와 단편소설 번역물의 오류 분석: 학부 과정의 지시어 오류를 중심으로

        박옥수 ( Ock Sue Par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2 동화와 번역 Vol.23 No.-

        이 연구는 동화와 단편 소설에서 지시어 번역의 오류를 분석하고, 그 결과와 함의를 고찰하였다. 분석 자료로 사용된 원천 텍스트는 모 멕콜리(Mo McAuley)의 동화 "The Tidy Drawer"와 1950년대 영국의 단편 소설인 뮤리엘 스파크(Muriel Spark)의 단편소설인 "You Should Have Seen the Mess"이다. 두 텍스트의 번역물은 학부의 번역 수업에서 교재로 사용되었다. 원문의 내용은 결속력 있는 구조에 의해 전개된다. 원문의 지시어는 정보를 연결하고, 결속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번역자가 지시어의 지칭 대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을 때 지속적인 오류가 발생하고, 내용은 심각하게 훼손된다. 따라서 지시어의 지칭 대상을 이해하는 것은 원문 이해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학부과정의 번역 수업에서 오류는 주로 원문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거나 목표언어의 규범을 위반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 중에서 ``심각한 오류``는 전자의 이유로 발생한다. 자료 분석에서 오류의 정도는 ``심각한 오류``와 ``부분 오류``로 분류하였다. 전자는 원문의 의미가 달라질 정도로 훼손된 경우이며, 후자는 문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소한 오류를 의미한다. 오류를 정성적으로 분석한 후에는 계량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22개의 명목 횟수 중에서 18 명목 횟수가 ``심각한 오류``로 분류되어 ``부분 오류``을 압도적으로 능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심각한 오류가 발생하는 이유는 통사구조가 복잡한 문장에서 지시어가 지칭하는 대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거나, 지시어가 앞부분 전체를 지칭하거나, 비교적 광범위한 대상을 지칭하고 있을 때 지칭 대상을 파악하는데 실패하였다. 그리고 문장 내에서 지시어가 많을 경우에도 지시 대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음이 드러났다. The errors in literary translat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take place due to misunderstanding the source text or violating the norms of the target language. In the class, the items classified as a serious error mostly are caused by the former.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are developed by the cohesive structure which the author has arranged. The designator takes a role to connect informations and keep coherence. When the translator cannot understand the directive target of the designator, the error takes place continuously and the contents might be seriously damaged. Therefore grasping the directive target of the designator is crucial in understanding the source text.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analyzes the errors in translating designators and examines the result and implication. The degree of the errors is categorized as ``serious`` and ``partial`` after data analysis. The former applies to the case, where the meaning of the text are damaged and represents the different message of the original while the latter is a micro one which does not affect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The errors are described and the quantitative analysis performs based on the result. Accordi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eighteen tokens in twenty two tokens from eleven items are classified as a serious error. The serious errors overwhelmingly outnumber the partial errors. The serious errors are caused by followings; the students cannot grasp the directive target of the designator in the sentence that has a complicated syntactic structure; the designator refers to the previous former sentence or extensive range of the text; there are several designators in a sentence. In practical translation class, the professor or lecturer should train how to catch the target of the designator and transfer it. The class must put focus on understanding thoroughly of the source text and transferring faithfully into the target text rather than on producing natural trans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