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디젤 게이트 쟁점에 대한 폭스바겐의 대외 커뮤니케이션 분석

        박예진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mega risk era in which various business factors could become risks approaches, there have been increasing cases when an issue develops into a crisis due to the failure of issue management. Considering the fact that a crisis could be sensed in advance, the importance of active communication for preventive issue management has been emphasized. This research analyzed Volkswagen’s external communication regarding the recent issues of the Diesel Gate. It observ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of media report and examined phases of the incident according to the stages of issue life cycle that Crable & Vibbert(1985) suggested. Then it utilized Benoit’s image recovery strategy model and Coombs’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made classification by 4 different features, ‘defense’, ‘justification/rationalization’, ‘acceptance’, and ‘silence/no-action’ strategies, and analyzed. Volkswagen’s Diesel Gate incident can be classified as 5 stages. First is the Potential stage(2015.07.01~2015.09.17) when airbag defect recall and downward regulation of mileage report came to the surface. Second is the Imminent stage(2015.09.18~2015.11.25) when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nnounced installment of exhaust gas control software on Volkswagen’s Diesel vehicles and started vehicle examination in Korea. Third is the Current stage(2015.11.26~2016.02.18) when recall and surcharge were impose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prosecution that Volkswagen vehicles in Korea were found to have controlled exhaust gas. Fourth is the Critical stage(2016.02.19~ 2016.07.10) when the seizure and search of the prosecution and Volkswagen Korea’s fabrication of papers were announced. Fifth is the Dormant stage(2016.07.11~2016.10.31) when Volkswagen Korea’s apology and follow-up measures started to come out after the cancelation of accreditation and imposition of surcharge. The characteristics of Volkswagen Korea’s external communication shown from the media report throughout the stages of the crisis are as follows: In the beginning, Volkswagen Korea showed feature of ‘defense’ by absolving their responsibility and denying, and used ‘silence/no-action’ strategy. Also, they showed communication discordance by continuing evasion of responsibility even after making apology. Shown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cation such as silence or evasion of responsibility, Volkswagen Korea is assumed not to have a unified crisis management group, communication with the headquarters is not smooth, and communication at times of crisis is not speedy enough.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Volkswagen’s Diesel Gate incident, failure of issue management on major issues is identified as to be connected to the following potential stage. This research tried to look for efficient external communic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different stages of issue life cycle by examining the Diesel Gate incident of Volkswagen.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t has theoretical significance since it tried to apply issue life cycle theory that Crable & Vibbert suggested to an actual business case, Volkswagen’s Diesel Gate incident, and define and establish standards. Also, by conduc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related media report, it can serve as a basic data for managing and anticipating issues before crisis because the Diesel Gate incident of Volkswagen is currently underway. Second, it verified issue life cycle that Crable & Vibbert(1985) suggested from the operational perspective, focusing on the possibility and importance of preventive public relations strategy. Also, it analyzed external communication strategy of domestic customers and the government at times of crisis for a global corporation’s Korean branch. The current issue management communication focuses on crisis management communication that proceeds after a crisis happens. However, efficient crisis management should be an extension of issue management that anticipates issues and responds. Further researches on systemic theory related to issue management communication and its successful cases are expected to be conducted. 다양한 경영 요소들이 리스크가 될 수 있는 메가 리스크 시대가 도래하면서 조직의 쟁점 관리 실패로 쟁점(issue)이 위기(crisis)로 발전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하지만 위기는 사전에 감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 쟁점을 사전에 능동적으로 선점하는 적극적 형태의 사전 예방적 쟁점 관리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최근 발생한 폭스바겐의 디젤 게이트 쟁점에 대한 폭스바겐코리아의 대외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였다. Crable & Vibbert(1985)가 제시한 쟁점 라이프 사이클 단계에 따라 언론 보도의 양적, 질적 추이를 관찰해 해당 사건의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Benoit의 이미지 회복 전략 모델과 Coombs의 상황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차용해 ‘방어’, ‘정당화/합리화’, ‘수용’으로 구분하고, 여기에 ‘침묵/무대응’ 전략을 추가하여 총 4가지 특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폭스바겐 디젤 게이트 사건은 크게 에어백 리콜 결함, 연비 하향 조정 보도 등의 잠재 단계(2015.07.01~2015.09.17)와 미국 환경보호청이 폭스바겐 디젤 차량에서 배출가스 조작 소프트웨어 설치를 발표하고 국내에서 차량 조사를 시작한 임박 단계(2015.09.18~2015.11.25), 국내에서 환경부와 검찰 수사 결과 국내 폭스바겐 차량에서의 배출가스 조작이 밝혀져 리콜 및 과징금이 부과된 현재 단계(2015.11.26~2016.02.18), 검찰의 압수수색과 함께 폭스바겐코리아의 인증서류 조작이 발표된 위험 단계(2016.02.19~ 2016.07.10), 그리고 인증 취소 및 과징금 부과 후 폭스바겐코리아의 사과와 후속 대응 방침이 나오기 시작한 동면 단계(2016.07.11~2016.10.31) 등 총 5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위기의 전 단계 과정에서 언론 보도를 통해 나타난 폭스바겐코리아의 대외 커뮤니케이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위기 초반에는 책임 회피와 부정 등 ‘방어’의 모습을 보였으며 ‘침묵/무대응’ 전략을 사용하기도 했다. 또한 사과를 한 뒤에도 책임 회피를 하는 등 커뮤니케이션 불일치 현상이 나타났다. 침묵이나 책임 회피 등의 커뮤니케이션 특징은 폭스바겐코리아 조직 내에 통일된 위기관리 조직이 없으며 본사와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고 위기 시 커뮤니케이션이 신속히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유추할 수 있었다. 더불어 폭스바겐 디젤 게이트 사건 진행 분석 결과, 주요 쟁점에 대한 쟁점 관리 실패가 다음 단계에 새로운 잠재 단계와 연결된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폭스바겐 디젤 게이트 사례를 통해 쟁점 라이프 사이클 단계별 효율적인 대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알아보고자 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첫째, Crable & Vibbert가 제시한 쟁점 라이프 사이클에 대한 이론을 폭스바겐의 디젤 게이트 사건이라는 실제 기업 사례에 적용해 정의와 기준을 정립시키는 시도를 하였다는 점, 사례로 채택한 폭스바겐의 디젤 게이트 사태가 아직 현재 진행 중으로 관련 언론보도의 양적, 질적 분석을 통해 위기 전 쟁점들을 관리하고 예측해내는 기본 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미를 갖는다. 둘째, Crable & Vibbert(1985)가 제시한 쟁점 라이프 사이클을 실무적 관점에서 사전 예방적 홍보 전략의 가능성과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 해외에 본사를 두고 있는 글로벌 기업의 한국법인에서 위기 발생 시 국내 소비자와 정부와의 대외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함의를 가진다. 현대의 쟁점 관리 커뮤니케이션은 여전히 위기가 터진 후에 진행되는 위기관리 커뮤니케이션에 치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효율적인 위기관리는 이슈, 즉 쟁점을 능동적으로 예측하고 대응하는 쟁점 관리의 연속선상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앞으로 쟁점 관리 커뮤니케이션과 관련된 체계적인 이론과 전략적 쟁점 관리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성공적 대응 사례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 기독교인 초보상담사의 신앙과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박예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elf-reflective experiences of novice Christian counselors and their faith. In order to explore in-depth self-reflective experiences with faith of novice Christian counselors and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Amedeo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tilized. Seven novice Christian counselor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hey were in their late 20’s to early 40’s, and they were either graduate school students or graduates. Thev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13 to February, 2014 by intensive interviews.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y method. Based on the results, total 143 semantic units, 25 subconstituents, 7 constituents, and 4 main themes were deriv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relied on God's sovereignty and accompaniment when they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as novice Christian counselors. They faced great difficulties when Christianity and counseling viewpoints conflicted. Another difficulty was that the participants were not able to accept clients or treat them as who they were due to their religious frame and prejudice. They reflected on their experiences of not accepting their clients and the problem of acceptance. Also, the participants were having difficulties with facing their own vulnerability and immaturity as counselors, but they were coping with those difficulties by relying on God, who was not restricted and empowered them by accompaniment. Likewise, the participants as novice Christian counselors had more anxiety and self-doubt through self-reflection rather than readily accepting themselves. However, they gained stability through God's sovereignty and accompaniment in their personal lives and counseling sessions. The findings implied that self-reflective experiences based on faith could be therapeutic to novice Christian counselors. Second, the participants reflected that faith was the nourishment for their professional growth. They learned that they could have good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they could meet clients in-depth as much as they have relationship with God. Through this reflection, they discovered that their personal lives and professional lives Christians were interactive. Especially, they realized their personality and professionalism as well as their spirituality as Christians were very significant factors to grow as counselors compared to non-Christian novice counselors through this self-reflection. This implied that constant self-reflection in faith facilitated the professional and spiritual growth of the participants. Third, the participants have found out self-reflection based on faith was helpful to their counseling. Above all, they have felt their own experiences could be the resource to help their clients. Also, they have focused more on their own attitude as counselors than their counseling skills. This was a resourceful feature that helped novice Christian counselors grow as mature counselors; this was different from the general features of novice counselors who only concern mastering theories and counseling skills.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its using qualitative research vividly having dealt with the faith and self-reflective experiences of novice Christian counselors with less than 3 years of experience who have hardly been studied in previous studies. It especially has meaning that this study found out the difficulties of novice Christian counselors studying secular counseling with the two conflicting viewpoints counseling and Christianity. It is also meaningful that this study found out the contents of self-reflection based on faith of the novice Christian counselors studying secular counseling. Moreover, i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self-reflection between novice non-Christian counselors and novice Christian counselors. Lastly, this study revealed abundant and constant self-reflection based on faith facilitates the professional growth of novice Christian counselors. It is also meaningful to confirm that self-reflection based on faith is an important factor of the professional and personal development for novice Christian counselors.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인 초보상담사의 신앙과 자기성찰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있다. 기독교인 초보상담사의 신앙과 자기성찰 경험을 심도 있게 탐색하고 경험의 본질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아메데오 지오르지(Amedeo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현재 상담을 진행하고 있으며 상담 경력이 3년 이하인 7명의 남, 여 기독교인 초보상담사들을 모집하였다. 이들의 연령대는 2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이었으며 석사 과정 중이거나 졸업한 사람들이었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3년 4월부터 2014년 2월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개인별 심층 면담으로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지오르지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분석 결과, 총 143개의 의미단위와 25개의 하위 구성요소, 7개의 구성요소 그리고 4개의 주요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기독교인 초보상담사의 신앙과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기독교인 초보상담사로서 여러 가지 고충들을 경험할 때에, 자신을 주관하시고 함께 하시는 하나님께 의지하였다. 그들은 기독교와 상담의 관점이 대립되는 것에 대해 큰 어려움을 느꼈으나 그에 대한 가치관이 아직 정립되지 않아 수동적으로만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다른 고충으로, 참여자들은 자신의 신앙의 ‘틀’이나 선입견 때문에 내담자를 그 자체로 보거나 수용하지 못함을 느꼈다. 또한, 그들은 자신의 연약함을 계속해서 직면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과 상담사로서의 미숙함을 느꼈는데, 이러한 자신의 ‘한계들’에 제한받지 않으시고 ‘함께 하시며’ 자신을 성장시키시는 하나님을 의지하며 대처해 나가고 있었다. 이처럼 참여자들은 기독교인 초보상담사로서 자신을 수용하기보다는 불안이나 자기 의심에 관한 자기성찰을 주로 하였다. 하지만 그들은 개인의 삶에서나 상담 장면에서 ‘주관하시고’ ‘함께 하시는’ 하나님으로 인해 안정감을 느꼈다. 이는 신앙을 기반으로 한 자기성찰 경험이 초보상담사들에게 치료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생각된다. 둘째, 참여자들은 신앙이 상담사로서의 성장을 위한 자양분임을 성찰하였다. 그들은 자신이 하나님과 깊은 관계를 맺는 만큼 가정 안에서나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잘 지낼 수 있고, 내담자들과도 깊이 만날 수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은 기독교인으로서의 개인의 삶과 상담사로서의 삶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음을 성찰하였다. 특히, 비기독교인 초보상담사들과 비교했을 때 그들은 상담사로 성장하는 데 있어 인성과 전문성뿐만 아니라 기독교인으로서의 영성이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자기성찰을 통해 깨달아갔다. 이러한 결과는 기독교인 초보상담사들의 신앙 안에서의 지속적인 자기성찰로 그들의 인성과 전문성 그리고 영성의 성장이 촉진됨을 시사한다. 셋째, 참여자들은 신앙을 바탕으로 한 자기성찰이 실제 상담에 도움이 됨을 경험하였다. 우선, 그들은 자신의 경험이 내담자를 도와줄 수 있는 자원이 됨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그들은 상담 기술보다 상담사 스스로의 태도에 더욱 집중하게 되었다. 이는 상담에 이제 막 입문하여 이론 학습과 기술 습득을 따라가기에만 급급한 초보상담사의 일반적인 특징과는 달리 신앙을 가진 초보상담사가 ‘성숙한 상담사’로 성장하는 데 자원이 되는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그동안의 선행연구가 미흡했던 3년 이하의 상담 경력을 가진 기독교인 초보상담사의 신앙과 자기성찰 경험을 질적 연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을 바탕으로 생생하게 다루었다는 점이다. 특히, 일반상담을 공부하는 기독교인 초보상담사가 경험하는 기독교와 상담의 두 관점의 대립에 대한 고충이 무엇이며, 이에 관한 그들의 신앙과 자기성찰 경험의 내용이 무엇인지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비기독교인 초보상담사의 자기성찰 내용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힌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초보상담사일수록 신앙을 기반으로 한 자기성찰이 상담사로서의 전문적, 인격적 성장과 발달에 중요한 요소가 됨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모바일 게임의 확률형 아이템 관리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박예진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로 그 어느 때보다도 여러 가치관이 충돌하고 격변하는 격동의 시대를 사는 현대인들에게 스마트폰의 등장은 현대인들의 삶의 질을 눈에 띄게 성장시켰다. 스마트폰의 보급은 인터넷이 자유로워지게 되면서 신속함과 편리함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제 모바일은 단순히 통신 수단으로의 역할이 아니라 가정에서조차 널리 유용하게 쓰일 정도로 성장하게 되면서 이는 휴대용 PC로 보아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우리 생활 곳곳에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성장으로 인해 모바일은 현대인들에게 생활필수품으로 자리 잡게 되었고, 이는 곧 스마트폰 열풍으로까지 이어져 게임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렇듯 국내 게임산업에서 모바일의 영향력과 그 비중이 급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반면에 모바일 게임과 PC 게임을 비교했을 때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게임에 대한 관리제도의 마련이 아직도 미흡한 상황이다. 최근에 모바일 게임 내에서 콘텐츠의 하나로 제공되고 있는 확률형 아이템과 관련하여 게임 이용자들의 과몰입과 과소비에 이어서 사행성 조장 문제에 대해 정부의 규제 혹은 게임사 간의 자율규제로 관리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팽배하여 사회적 논쟁거리가 되었다. 특히, 모바일 게임에서 확률형 아이템은 성장기에 놓여있는 미성숙한 청소년들에게 과몰입으로 인한 중독과 과소비를 유도하여 이후에 성인이 되었을 때, 사회적 문제를 유발시키는 대상이 될 가능성을 주기 때문에 모바일 게임 이용자들이 중독과 같은 질병에 빠지지 않고 재산을 탕진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방안을 통해 이들의 권익을 보호하여야 한다. 그리고 게임 이용자들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턱없이 낮은 확률의 설정 등으로 인해 수익만을 추구하는 이미지가 되어버린 게임사와 이용자 간의 무너진 신뢰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때이다. 즉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환경 개선을 통해 미성년자 등의 게임 이용자들이 과소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게임 이용자들에 대한 사전예방조치로서 아이템 구매 전 정보제공 의무의 활성화와 실효성 있는 예방교육이 필요하다. 더불어 사행성에 대한 정의를 명확히 정례화시켜 사행성을 판단하는 기준을 마련하여 게임물에 대한 정확한 등급 분류를 통해 사행성 조장 문제를 예방해야 한다. 또한 인증마크를 부여 받은 게임사를 위한 다양한 혜택과 모니터링 기준의 강화를 통해 사후관리를 보다 강화시켜 자발적으로 게임사들이 자율규제에 책임을 부여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 모바일 게임 중 확률형 아이템과 관련하여 많은 관심과 관리 그리고 이에 대한 제도 개선의 내용을 제공하여야 한다. The emergence of smart phones for modern people living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evidently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Mobiles no longer serve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due to the convenience, exquisiteness and easy access to internet as well as expeditiousness acquired due to smart phones. In particular, due to continuous development of mobiles, smart phone has developed to be similar to the computer. This has led to the boom of smart phones as well as had a great impact on the game industry. Like so, mobile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domestic game industry and its level of importance has rapidly increased. On the other, the base for mobile games, which is growing very quickly in comparison to PC games, is still insufficient. Recently, in relation to the probability-type items that are being provided to game users during contents within mobile games, social issues have arose due to government regulations or overflowing arguments about the voluntary restraints between companies about gambling problems. Lately, the argument about how probability-type items provided as one of contents within mobile games encouraging not only overindulgence and excessive consumption of game users but also gambling should be controlled by government regulation or self-imposed regulation between game companies has become a great social issue. In particular, it promotes the problem of addiction and excessive consumption towards games to young adolescents who are in their period of growth due to overindulgence. This may cause the potential of these children becoming the subject of social problems when they become adults later in the future. Therefor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mobile game users should be protected through measures including prevention of falling into diseases like addiction, loss of fortune, etc. Also, regardless of the intentions of game users, it is necessary to create measures to recover the broken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and the game company, which has become the image that pursues only profit due to low probability setting, etc. It is important to make effort in improving the mobile payment system to activate probability-type items as well as to strengthen advanced prevention and follow-up control of game users so that game companies will take responsibility towards self-imposed regulations in order to continuously provide a lot of interest, management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in relation to probability-type items within mobile games. In this regard,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paper is to prevent social issues, including addiction, overindulgence of growing teens, etc. over probability-type items within mobile games and to recover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e game companies and users by providing corrective measures as well as legal ethics.

      • 자연재해에 대한 고속철도의 재해위험도 평가

        박예진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경주와 포항지진의 계기로 자연재해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상황이며, 전세계적으로 재해의 규모도 점차 대형화하고 있는 추세이나, 현재까지 자연재해에 대한 철도의 위험요소를 고려하여 재해위험도를 산정할 수 있는 기법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이 연구에서는 지진 및 태풍을 포함한 자연재해에 대하여 국내에 운영 중인 고속철도의 재해위험도를 평가할 수 있는 재해위험지수를 제안하였다. 고속철도에 대한 재해위험지수는 위험성, 노출성, 취약성 뿐 아니라 대응성 및 복구성까지 고려하여 재해에 대한 위험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산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역사 간 상대적 위험도를 측정에도 적용할 수 있다. 재해위험도 분석 결과 국가지진재해지도에서 가장 취약한 지역에 위치한 역사인 대전역, 동대구역, 김천구미역, 신경주역, 오송역, 공주역, 계룡역, 울산역 순서로 재해에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볼 때 지진위험도가 재해위험도에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포항역은 위험성 지수에서 가장 위험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재해위험지수에서는 중위권에 있다. 이는 포항역이 있는 지역은 재해가 발생할 확률이 높지만 경부선의 종점으로 상대적으로 역사이용도가 낮기 때문이다. 이렇게 평가된 재해위험지수를 통해 어느 지역이 재해에 취약한지 상대적으로 알 수 있다. 향후 재해피해에 대한 데이터가 축적된다면 재해지수를 통해 실제 피해 양상을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 L.v. Beethoven의 초기 피아노 소나타에 관한 연구 : No.7 in D Major Op.10-3과 No.8 in C Minor Op.13 제 1악장을 중심으로

        박예진 동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32곡 중에 초기 소나타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No. 7 in D Major Op. 10-3과 No. 8 in C Minor Op. 13 두 곡을 연구 분석함으로 베토벤의 작곡 기법과 베토벤의 초기 소나타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결과에 따라 연주에 도움을 주는 것에 목적을 가지고 있다.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 ∼ 1827)은 고전파 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여러 가지 새로운 창작 기법을 사용하여 음악을 만들어내었다. 그 중 베토벤의 32개의 피아노 소나타는 신약성서로 간주될 만큼 피아노 음악에 있어 거대한 성과를 남겼다. 베토벤의 No. 7 in D Major Op. 10-3 소나타는 전형적인 소나타형식으로 고전주의적 양식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으며 3악장에 미뉴엣을 추가하여 Op.10의 3곡 중 유일한 4악장의 곡이며 형식적 확대화의 정점에 이른 곡이다. 전체적으로 폭 넓은 음역을 활용하고 있으며 모티브를 활용한 다양한 표현기법들을 찾아볼 수 있다. 제 1악장의 빠르기가 Presto인 것이 눈에 띄는 점이며 단순한 리듬으로 되어있지만 약박의 당김음으로 곡의 긴장감을 더해주는 것이 이 곡의 특징으로 베토벤의 독창적인 시도를 볼 수 있다. No. 8 in c minor Op. 13은 ‘Grande Sonata Pathetique’라고 베토벤 자신이 직접 표제를 붙인 곡으로 초기 소나타 중 가장 비중이 큰 곡이라고 할 수 있다. 보통의 고전적인 소나타와는 다르게 조성이 자주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곡은 초기의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베토벤의 독창적인 모습이 나타나는데 그의 피아노 소나타에 있어서는 처음으로 도입부가 등장한다. Grave로 장엄하고 느린 서주부는 2악장과 3악장에서도 등장시켜 전 악장을 하나로 통일시키는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시도들로 이 곡은 초기의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베토벤의 독창적인 모습이 나타나고 고전주의를 벗어나 낭만주의로 가는 그의 작곡 양식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는 곡이다. 베토벤의 초기 작품들은 선배 작곡가들의 작곡 경향과 함께 베토벤 본인의 특색이 조금씩 묻어나는 시기이고 중기, 후기의 걸작들의 기초가 되어 많은 영향력을 주고 있고 더 나아가 낭만주의의 밑거름이 되고 있다.

      • 레코드 컨티뉴엄에 기반한 방송사 보도영상 기록관리 체계 연구

        박예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terpret the news division of the broadcasting company and its video as an organization and an object for recordkeeping with an explanation provided by the Records Continuum and to explore what should be the video recordkeeping system for news broadcasting. First, as a current state analysis, the study approaches its subject by the sequential analysis of the news production work process and their existing business information system with ISO 26122 and the DIRKS manual. Then the author attempts to interpret the discovered entities - the type of news video as records, related transactions, and actors - through the Records Continuum model, particularly its four dimensions that map recordkeeping processes. The targets for news video recordkeeping can distinguish into four categories; the original, the materialized, the wholly-edited, and the aired. They have an organic relationship, and each type affects the other type according to the progressive work procedure; however, the requirements and features for their Create, Capture, Organize and Pluralize dimensions can be clearly identified. Furthermore, the author discusses the current issues in designing a recordkeeping system, such as contextual accumulation problems due to the divided source of recordkeeping metadata and deprivation of control due to system movement. Meanwhi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cordkeeping metadata of the originals is the first form of news video records that is a touchstone of continuous recordkeeping that enables reaching the Organize and Pluralize dimensions in the future. Second, the Record Continuum Model of the news video has a unique pattern of inwards exploring the circles as conducting organizational function returning from Organize dimension to Create dimension. Lastly, their MAM(media asset management) system has served as a similar recordkeeping system that captures, controls, maintains, and discards the video information objects that are evidence of news production business activities. Therefore, the author proposes to supplement the abovementioned limitations and operate MAM as an integrated business activity and recordkeeping system by redesigning metadata schemas and securing the intellectual control based on Postcustodialism. This study places news videos into the broader conceptualizations of recordkeeping and archival science by putting the recordkeeping/archiving of the "video" and the "broadcasting" area into a theoretical discussion.

      • 국내 동기강화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박예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내 동기강화상담프로그램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6년부터 2019년까지 출판된 학술지와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동기강화상담프로그램의 경향을 파악하고 효과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동기강화상담 기반 프로그램의 개발과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근거로 활용되기 위함이다. 먼저 연구문헌의 검색 전략으로 PICOTS-SD 기준을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34편의 문헌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메타분석은 최종분석문헌 34편 중 높은 빈도수로 나타난 종속변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그 중 비뚤림 위험 평가에서 심각한 비뚤림이 없고, 연구설계가 동일한 문헌들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구직역은 간호영역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연구설계방법은 유사실험연구가 주로 활용되었고, 추후검사는 일부 연구에서만 제한적으로 실시되었다. 둘째, 연구대상의 참여자 유형을 분석한 결과, 아동·청소년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환자가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셋째, 종속변수를 개별적 특성에 따라 분석한 결과, 보호요인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중독관련요인, 건강관리관련요인, 위험요인, 진로 및 학업관련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동기강화상담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동기강화상담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고 우울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이고, 일일 흡연량 감소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메타분석을 통해 일부 보호요인의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은 0.839(p=.006)로 높은 효과 크기를 가졌고, 자기통제력 또한 0.878(p=.011)로 높은 효과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동기강화상담프로그램에 대한 후속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meta-analysis on academic journals and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2006 to 2019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motivational interviewing program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rends of motivational interviewing programs in Korea and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ir effectiveness to use them as a basis for seeking the development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effective motivational interviewing programs. As a search strategy for the literature the PICOTS-SD standards were used and 34 literatures were finally selected. The sample for the meta-analysis was selected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s of the 34 final publications, which had a high frequency, that the literature had no serious bias in the bias risk assessment, and that the literature had the same research desig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requency of studies on the area of nursing was the highest. The most of the studies was used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and only few studies conducted a post-test. Second,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types of study participants,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the largest, followed by patients. Third, the analysis of the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protection factors were most commonly used, followed by addiction-related factors, healthcare factors, risk factors, and career and academic factors. Fourth, the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the motivational interviewing programs were effective in enhancing self-efficacy and alleviating depression, and also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duction of daily smoking volume. Fifth, after analyzing the effect size of some protection factors through meta-analysis, self-efficacy had a high effect size of 0.839(p=.006), and self-control also showed a high effect size of 0.878(p=.011).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for further research on the Korean motivational interviewing programs.

      • 청소년의 비속어 사용 실태와 의식 연구

        박예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 and awareness of slang among adolescents. A survey was conducted on 210 middle or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 use and awareness of slang. The results showed that over 55% of participants had begun to use slang when they were in the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most common target of using slang was same-gender peers, followed by opposite-gender peers, online, and lower graders, in order from most common to least. As for the frequency of using slang, about 80% of participants used slang either once in a while, frequently, or habitually. The biggest reason for using slang was that it was from habit. The most recently used slang terms were mainly sexual, and variations of existing slang terms were used like fad words. The results regarding awareness showed that participants were aware that there was a problem in their use of language, and approximately 72& of them thought that they should reduce the use of slang. However, they used harsher slang when talking to same-gender peers and expressed an insensitive attitude towards using slang.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were mostly indifferent about using slang themselves and hearing it from others. Participants lacked awareness of one’s own use of slang as well as others’; they rather shared intimacy by using slang among peers. Although adolescents have a negative attitude towards slang, they use it from habit. When asked how they feel about slang, most participants answered that “It is fun” or “It is okay to use.” Nevertheless, although they use slang from habit, many participants answered “One should not use it” particularly for the sexual slang terms such as “씨발(Sibal)”or “엠창(Ehmchang)”; it suggests that adolescents do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origin and the severity of slang terms. Because adolescents are aware of the severity of slang but use it from habit, continuous education on the use of slang is necessary. 본고는 청소년의 비속어 사용 실태와 의식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210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비속어 사용 실태에 관한 조사와 비속어 의식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비속어 사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55%가 넘는 청소년이 초등학교 고학년 때 비속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비속어를 사용하는 대상으로는 동성친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이성친구, 온라인상, 후배 등 순으로 나타났다. 비속어를 사용하는 빈도는 청소년의 약 80% 이상이 가끔 혹은 자주, 습관적으로 비속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청소년이 비속어를 사용하는 이유는 습관적이라는 것이 가장 컸다. 최근 사용하는 비속어를 조사한 결과, 성과 관련된 비속어였고 기존에 있는 비속어가 변이되어 유행어처럼 사용되었다. 비속어 사용에 대한 의식을 조사한 결과, 청소년은 자신의 언어생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의식하고 있었으며 약 72%의 청소년이 비속어 사용을 줄여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청소년은 동성친구끼리 심한 강도의 비속어를 사용하고 있었고, 비속어 사용에 있어서 무감각한 태도를 보였다. 대화 도중 비속어를 사용하거나 상대방이 비속어를 사용해도 별 생각이 없다는 의식이 강했다. 청소년은 본인의 비속어 사용에 대한 자각이 부재한 상태였으며 타인의 비속어 사용에 대해서도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고, 오히려 또래 간 비속어 사용을 통해 친근감을 느끼고 있었다. 비속어의 사용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취하면서도 실생활에서는 비속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였다. 비속어에 대한 느낌을 물어 본 결과 비속어가 ‘재미있다.’거나 ‘사용해도 괜찮다.’는 응답이 많았다. 비속어를 습관처럼 사용하지만, ‘씨발’이나 ‘엠창’과 같이 성적인 내용을 포함한 비속어는 ‘사용하면 안 된다.’는 응답 결과가 높았다. 이를 통해 청소년은 비속어의 어원에 대한 이해와 비속어 강도에 대한 의식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비속어의 강도를 의식하지만 비속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비속어 사용 자세를 위한 지속적인 의식 교육을 할 필요성이 있다.

      • 소규모 음식 및 숙박업 사업장 근로자의 안전행동 분석

        박예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 산업구조 내 서비스업이 증가함에 따라 산업재해율도 급격히 증가하면서 산업안전보건학적 측면에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었다. 서비스업에는 다양한 종류의 업종들이 포함되어 있지만, 그 중 음식 및 숙박업의 산업재해율이 가장 높은 실정이다(고용노동부, 2011). 이에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서비스업 사업장 중 50인 미만의 소규모 음식 및 숙박업 사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안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소규모 음식 및 숙박업 근로자의 행동변화 및 안전행동실천을 유도할 수 있는 안전교육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설문조사는 경인지역에 소재하는 소규모 음식 및 숙박업 사업장을 방문하며 2012년 10월 17일부터 11월 7일까지 실시되었으며, 소규모 음식 및 숙박업 사업장 근로자 320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사회인구학적 특성, 건강신념, 안전행동)은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파악하였고,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건강신념 및 안전행동 수준은 t-test와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건강신념과 안전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을 실시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안전행동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전체 건강신념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3.25점이었으며, 하위요소 중 인지된 유익성이 평균 3.84점으로 가장 높았고, 인지된 감수성이 평균 3.00점으로 가장 낮았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전체 안전행동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3.36점이었다. 직책이 사업주인 경우 일반 근로자에 비해 전체 건강신념 수준이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이는 사업주가 일반 근로자에 비해 안전행동에 대한 실천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안전행동은 연령이 높아질수록(p<0.001), 사업주가 일반 근로자에 비해(p<0.01), 정규직 근로자가 비정규직 근로자에 비해(p<0.001) 실천하는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건강신념은 안전행동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175, p<0.01), 안전행동에 대해 인지하는 유익성 수준이 높을수록(r=.400, p<0.01), 업무 수행 시 안전행동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적을수록(r=.400, p<0.01), 안전행동을 취하도록 유도하는 행동의 계기가 많을수록(r=.351, p<0.01)는 안전행동 실천 수준은 높았다. 마지막으로 다중회귀분석 결과, 안전행동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된 유익성(β=0.287, p<0.001), 연령(β=0.221, p<0.001), 행동의 계기(β=0.164, p<0.01), 고용형태(정규직 여부)(β=0.143, p<0.05), 인지된 장애요인(β=0.142, p<0.01)이었으며, 모두 정(+)적인 방향으로 안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소규모 음식 및 숙박업 근로자의 안전행동 수준이 타 업종에 비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서비스업 중 상대적으로 산업재해율이 높은 음식 및 숙박업의 실태와 직결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하여 소규모 음식 및 숙박업 근로자의 안전행동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단면적 연구로서, 음식 및 숙박업 근로자의 안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향상시켜 안전행동을 실천하도록 하는 실질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Nowadays, as the portion of service activities in Korean industrial structure increases, it becomes the social problem that the rate of industrial accident gets higher. There are many kinds of businesses in services activities. However, Food service and Accommodation Activities has the highest rate of industrial accident among them. Given this situ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that helps to make the Food service and Accommodation Activities workers perform safer, or lead them to behave safer in their workplace. This study recognized the safety behavior of Food Service and Accommodation Activities workers in small-scale workplaces, applying to Health Belief Model(HBM), and analyzed the factors affecting the safety behaviors.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the Food service and Accommodation Activities workers in the small-scale workplaces with under 50 employees, located in Gyeong-In(Seoul-Incheon) district. Visiting the workplace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7, 2012 to November 7. Totally, the questionnaires of 320 workers were fully filled out. The data was analyzed by means of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 the average score of health belief was 3.25 points out of 5.00 points. While the average score of the perceived susceptibility was the lowest among the components of health belief, that of the perceived benefits was the highest.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score of safety behavior was 3.36 points out of 5.00 points. The subjects who was in the position of the owner in the workplace got higher Health Belief score than the subjects who were the average workers,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1). In case of safety behavior, The older the worker were(p<0.001), the higher the score of safety behavior was. Futhermore, according to the score, the owners behaved safer than the average workers(p<0.01), and regular workers performed more safely in the workplaces than the non-regular workers(p<0.001). The health belief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afety behavior(p<0.01). At the last, the factors that affected to the safety behavior were perceived benefits(β=0.287, p<0.001), age(β=0.221, p<0.001), cue to action(β=0.164, p<0.01), the type of employment(regular worker or not)(β=0.143, p<0.05), perceived barriers(β=0.142, p<0.01). In the conclusion, if the Food service and Accommodation Activities workers in the small-scale workplaces perceive the benefits of safety behavior, are away from the barriers to safety behavior, and are motivated to behave safely by surroundings(family, coworkers, etc.), they work safely in their workplace. It is very important in that the occupational safety education program can be developed, based on these results. However, further study is needed to specify the plans to form the positive cognition of safety behavior and lead to safety behavior in the work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