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판례분석을 통해 본 아동,청소년 인권과 체벌연구

        박연주(Yeon Ju Park),김정우(Jung Woo Kim) 한국아동복지학회 2014 한국아동복지학 Vol.- No.48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권리보호를 위해 체벌과 관련된 판례를 살펴판례가 제시하고자 하는 점이 무엇이며, 각 판례들의 보완점이 무엇인지를UN아동권리협약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서 앞으로 아동·청소년의 인권을위한 사법부의 노력과 체벌에 대한 개선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있다. 이를 위해 헌법재판소결정을 비교 분석하면서 대법원판결을 비교 분석하여 사회복지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된 판례는 헌법재판소결정의 경우 체벌과 관련하여 청구인에게 다른 결정을 내린 두 개의 결정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대법원판결은 교사의 체벌과 관련한 허용범위를살펴본 판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판례 분석의 내용 분석을 위해법률적 해석방법론 중 목적적·객관적 해석방법론을 따라 판결에 대한 내용분석을 하면서 사회 복지적 함의를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의 인권보호를 위한 학생인권조례가 단지 형식에 지나지 않고 체벌의 전면적 금지가 사회전반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법률해석을 통한 입법적 정책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살펴봄에 그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past rulings related to corporal punishment on childrenand youth and compare those to UN Convention on the Right of the Child in orderto seek efforts and improvements made by the judical courts to protect the rights ofchildren and youth. For this purpose, the author has attempted to deduce socialwelfare implications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Constitutional Court and SupremeCourt rulings. Two of the Constitutional Court. rulings related to punishment, where different rulings have resulted, and SupremeCourt rulings that examined the tolerance band of teachers’ punishment werecompared and analyzed. In terms of the methodology used for legal interpretation,purposive·objective interpretation methods were utilized to draw the conclusion ofthis study to find social welfare implication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sthat student rights ordinance to protect the rights of children and youth is nothing buta formality. We also examine possible legislative policies through legal interpretationto strengthen the basis of the total ban on punishments in the society at large.

      • KCI등재

        노동시장에서의 여성 제도에 관한 판례분석: 육아휴직 및 임금?부당해고관련 판례를 중심으로

        박연주 ( Yeon Ju Park ),조원희 ( Won Hee Cho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4 사회보장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노동시장에서 여성의 고용의 안정화를 위해 어떠한 소송들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내용을 검토하여 여성고용의 개선방안을 살펴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 분석된 판례들은 여성의 저임금 및 부당해고를 근간으로 한 행정소송, 대법원소송관련 판례들과 여성의 고용을 촉진하기 위한 육아휴직관련판례들로 내용이 중복되는 재판을 제외하고 비교적 사실관계가 명확한 판시사항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여성이 노동시장에서 받는 임금상의 차별과 여성이라는 이유로 부당해고가 어떻게 이루어 졌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성차별관련 성희롱 재판은 제외되었으며, 하급법원 판례는 제외하였음을 밝힌다. 또한 육아휴직과 관련해서는 육아휴직제도가 여성의 고용촉진이라는 면에서 본 제도의 활성화를 위해 앞으로 재판이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함과 동시에 사회복지급여부분인 육아휴직급여신청에 있어 재판에서 제도의 취지에 맞게 간과하지 말아야할 사항을 분석하여 제시 하였다. 분석대상 판례들로는 2001년∼2013년 판례 중 헌법재판소결정 2건, 행정 법원판례 2건, 대법원판례 3건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고용시장에서 여성의 고용을 활성화시키고 고용차별을 철폐하기 위한 법률적 개선방안을 살펴 여성의 고용 안정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judicial precedents based on the discrimination for the stabilization of woman employments in the labor market and research the improvement methods for woman employment. The analyzed judicial precedents in this study are cases of administrative proceedings and Court proceedigns based on low-income and unfair dismissal of woman, and cases related to parental leave to promote women``s employment and were clear in fact relation and selected as analysis of target except for some duplicated trials. It is discussed that wage discrimination and unfair dismissal that woman undergo in the labor market how been made through this study. Therefore, sexual harassment cases related to sex discrimination and the lower court trial were excluded. Also with regard to parental leave, in terms of that parental leave is the promotion system, this study informs the direction judgement goes for the activation of this system. For precedents to be analyzed, 2 precedents from the Constitutional Court, 2 precedents from administrative courts and 3 precedents from the Supreme Court were analyzed cases in 2001-2013.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promoting woman employment and for suggesting political undertone to stabilize the woman employment by researching improvement method to get rid of job discrimination.

      • KCI등재

        인권 관점에서 살펴본 장애아동 학대 판례연구 - 성적 학대와 방임을 중심으로 -

        박연주 ( Park Yeon Ju ) 한국아동권리학회 2024 아동과 권리 Vol.28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대와 관련한 판례를 내용 분석하여 재판과정에서 장애아동의 인권이 최우선 고려되는지를 살펴본 연구로 장애아동 인권과 관련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함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학대유형은 성적 학대, 방임과 관련한 판례를 선정하여 각 판결 내용을 분석하여 장애의 특성을 고려하거나 국제인권규약인 UNCRC와 UNCRPD 를 재판에서 인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과: 그 결과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재판의 내용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재판에서 국제인권규약인 UNCRC와 UNCRPD 규정을 직접적으로 인용한 판결문은 살펴볼 수 없었으나 장애아동의 인권에 대한 간접적 언급을 시사한 판결은 살펴볼 수 있었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법적 측면에서의 정책적 시사점과 입법적·행정적 측면에서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regarding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whether their rights had been protected during the trial process. Methods: The current study chose court cases on sexual abuse and neglect to determine whether the cases considered children’s disabilities or employed the relevant human rights treaties, including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UNCRC) and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UNCRPD) as references to protect their rights. Results: Our findings were mixed in that some cases considered the abused children’s disabilities in relation to their rights while others cases did not. Notably, we observed no direct citations of the UNCRC or UNCRPD during the trials. However, indirect references to the human righ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 in the judgment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judicial,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system.

      • KCI등재후보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선정을 위한 부양의무자 기준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연주(Park, Yeon-Ju),김수정(Kim, Soo-Jung),정수정(Jeong, Su-Jeo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3 비판사회정책 Vol.- No.39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급여는 국민의 생존을 보장해주는 최후의 사회적 보장이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부양의무자 기준으로 인해 실제로 보호받아야 하는 수급자를 탈락시키고 있어 빈곤가족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가족에게 떠넘기고 있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따라서 공공부조로서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부양의무자 기준이 수정되어야 한다. 특히 부양의무자가 있어도 ?부양을 기피하거나 거부하는 경우?로 인해 부양을 받을 수 없는 경우는 그 기준이 구체적이지 않아 보장기관의 재량권에의해 좌우될 여지가 크다. 이에 본 연구는 이와 관련된 국민기초생활보장법 부양의무자 기준의 법적 근거를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판례를 분석함으로써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개선방안으로 첫째, 부양을 기피하거나 거부하는 경우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명시되어야 하며 둘째, 사회복지소송을 위한 특별소송 절차나 사회법원 마련이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장기적으로는 부양의무자 기준과 관련된 원칙이 수정되어야 함을 밝혔다. They payment from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is the last social security to guarantee individual’s survival. Despite the high degree of its importance, it is under fire since the recipients who must be protected are excluded because of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s, passing the social responsibilities of poverty to the families. Therefore, as public aid, there must be revision on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s for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to function properly. Under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s, the article, “the case of rejecting and avoiding support” is unclear, so the institution has a right to decide. Thus, the study will find the legal evidence of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rules based on th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and finds out how to improve based on the recent case studies. As a result, firstly, when avoiding and rejecting family support, the detailed criteria must be indicated, secondly for the lawsuit regarding social welfare, the special legal process or the Social Community must be formed and lastly, the principle and regulation on the family support obligation must be revised in a long-term.

      • KCI우수등재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전·후 판결 비교

        박연주(Park, Yeon-ju),김봉선(Kim, Bong-su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사회복지학 Vol.70 No.3

        본 연구는 2014년 1월 제정된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의 실효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아동학대 사망사건에 대한 판결 변화경향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아동학대특례법 제정 이전인 2000년에서 2013년까지의 아동학대 사망사건(46건)과 동법 제정 이후인 2014년에서 2017년까지의 아동학대 사망사건(20건)에 대한 양형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양형비교는 행위 요소, 행위자 요소, 판사의 재량적 요소에 의한 형량변화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아동학대특례법 제정 이후에 양형기준이 확연히 엄격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양형기준의 엄격성이 아동학대특례법 조문 기준에 의한 것이라기보다는 판사의 재량적 기준과 사회적 이슈에 의한 것일 가능성도 함께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앞으로 아동학대특례법에 아동학대 범죄에 대한 처벌기준을 명확히 제시하도록 아동학대특례법 개정 필요성을 제언하면서 재판에서 유엔아동권리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이 직접적으로 적용될 필요를 언급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공개된 판례에 한정하여 선별적으로 분석한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endency of judgment changes in the case of child abuse death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Law on special cases of punishment of child abuse crimes] enacted in January 2014.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46 cases of child abuse deaths from 2000 to 2013, which were enacted before the Special Act on Child Abuse, and 20 cases of child abuse deaths from 2014 to 2017. The specific sentence comparisons were discussed focusing on the behavioral elements, assailant elements, and sentencing changes caused by judge "s discretionary factor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entencing standards became strictly strict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pecial law.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ictness of the guideline was based on the discretionary standards of the judge and the social issues rather than on the criteria of the special law.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needs to be applied directly to the need for amendment of the Special Act and the trial so that the punishment criteria for child abuse crimes can be clarified in the Special Cases Act. However, this study reveals that there are limitations that can only be analyzed selectively in case of public cases.

      • KCI등재

        13세미만 아동성폭력 재판에서의 아동진술연구

        박연주(Park Yeon Ju),김정우(Kim Jung Woo) 한국아동복지학회 2016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5

        본 연구는 13세미만 아동의 법정 증언과 관련해 특히 영상매체를 통한 전문 진술이 재판에서 아동인권보호 측면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본 제도의 정책적 개선방안을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판례의 분석은 사실관계에 따라 분석하면서 판례의 내용에 따라 분석하였다. 내용의 분석은 13세미만 아동성폭력 판례들 중 판결의 주요 쟁점사항을 질적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동의 간접 진술인 영상매체를 통한 전문 진술을 법적 쟁점 사항으로 다루고 있는 판례들을 선별하여 영상매체의 증거능력의 유무 및 그 증거능력의 신빙성(증명력)을 살펴보면서 국제기준인 유엔아동권리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을 통해 아동인권보호를 위한 체계적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13세미만 아동의 성폭력 재판에서 영상매체에 대한 증거능력 및 증명력판단에 전문적 지표를 만들어 재판에 활용하여 법관의 재량에 의한 판단을 축소할 것과 아동의 전문 진술에 대한 대질심문 적용범위와 관련한 규정을 신설할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판례를 통해 아동의 인권이 성인에 비해 재판에서 취약한 근거를 살펴 법률 정책의 개선방안을 살펴봄에 그 의미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공개된 판례에 한정하여 판례를 선별하여 연구를 살펴 볼 수밖에 없는 연구의 한계점이 존재하고 있음을 밝힌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video-recorded hearsay statements are taken in trial with regard to testimony of children less than the age of 13 in terms of children`s rights, and to asses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current system. This study analyzed the precedents in accordance with their facts and contents.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dealt with the main issues of trials concerning the sexual violence of children less than the age of 13. Specifically, This study selected precedents dealing with video-recorded hearsay statements, which are children`s indirect statement, as core legal issues; examined the credibility(probative power) and admissibility of video-recorded statements; and prepared systemic alternatives in accordance with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the international standards for the protection of children`s rights. As a result, this study proposed creating and utilizing indicators to assess evidence admissibility and the credibility of video-recoded statements in trial, thus reducing judgement through judges` discretion. Also proposed are new regulations with regard to cross-examination coverage of the hearsay statement of a child in a sexual violence trial of concerning children less than the age of 13. This study suggests an improvement in legal policies, based given that children`s rights are more vulnerable than those of adults in trial. Nevertheless, this study is limited in that it selected and reviewed only among precedents that are in the public record.

      • KCI등재후보

        젖소에서 Staphylococcusaureus균의 동일 유우군에 대한 유방염 예방 효과

        박연주 ( Yeon Ju Park ),양동군 ( Dong Kun Yang ),한홍율 ( Hong Yul Han ) 한국예방수의학회(구 한국수의공중보건학회) 2011 예방수의학회지 Vol.35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herd specific vaccine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by different inoculation route, IMI (intramammary injection), Koso, and supramammary lymphnode area. Based on strains of S. aureus from a case of acute clinical mastitis in Daekwanryeong farm, two experimental vaccines were made, inactivated vaccine and sonicated one. To determine the antigen concentration of the vaccine, 220 ICR-mice were immunized by the intraperitoneal route with inactivated or sonicated experimental vaccines according to different schedules with 10 ICR mice as a control group. The sonicated vaccine was selected for further experiments in vaccination and the highest antibody titer in ELISA was observed at 3㎎/㎖of the vaccine. The vaccine was administrated to 22 healthy cows at drying up. The quarter milk samples and bloods were collected before vaccination, right after parturition and 3 months postpartu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vaccination routes based on the antibody titers in serum and intramammary bacterial infections during drying up period. The antibody titer in serum of vaccinated cows was higher at parturition than 3 months postpartum but it had no statistical meaning, though decreased clinical signs and morbidity were observed.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concept of the vaccine against S. aureus is to decreasing clinical mastitis rather than preventing the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