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각적 방법과 자각적 방법에 따른 CA/C 비 비교

        박언주,김형수,노병호,홍성일,손정식,곽호원 대한시과학회 2017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7 No.06

        목적: 본 연구는 타각적 방법인 Nott 측정법과 자각적 방법인 BCC 측정법에 따른 CA/C비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 양안시 기능을 가진 젊은 성인 34명(평균 22.54±1.66세, 남자 20 명, 여자 14 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원, 근거리 사위검사를 포함한 양안시 기능 검사와 조절력 검사를 진행 후 검영기(Streak Retinoscope WEL18245, Welch Allyn, America)와 BCC (binocular crossed cylinder)를 이용하여 프리즘 굴절력과 기저방향에 따른 조절반응량을 측정하여 CA/C 비를 평가하였다. 결과: 타각적 검사법과 자각적 검사법 사이에서 조절반응량의 차이는 모든 프리즘 굴절력과 기저방향에서 MEM 측정법과 BCC 측정법 사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p=0.000), BI에서 BO의 기저방향으로 프리즘 굴절력(△)이 증가할수록 조절반응량이 점차 증가하는 선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프리즘 굴절력과 기저방향에서 CA/C 비는 BCC 측정법이 MEM 측정법 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10 △, BI을 제외하고 모두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모든 검사법에서 10 △, BI으로 CA/C 비를 측정할 경우 검사법 사이의 평균 차이가 가장 적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상 양안시 기능을 가진 사람의 경우, 10 △, BI으로 측정된 CA/C 비의 평균은 MEM 측정법 0.052±0.004 D/△, BCC 측정법 0.057±0.010 D/△로 평가되었다. 결론: CA/C 비는 타각적 측정법에서 더 낮게 나타났으며, MEM 측정법으로 CA/C 비를 측정할 때에는 10 △, BI의 프리즘 굴절력과 기저방향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CA/C 비의 표준값으로 약 0.052 D/△를 제시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까뮈의 부조리의 신화

        박언주 프랑스학회 2012 프랑스학연구 Vol.60 No.-

        Ce travail se propose comme but de démontrer le contact avec l'absurdité camusienne du mythe à la lumière de la confiance fondamentale de Camus pour la pensée grecque. Les écrits de jeunesse de Camus se caractérisent par la marche hésitante et incertaine dans la mesure où s'y révèlent des tendances contradictoires qui divisent l'auteur Camus. Ce caractère assez disparat, d'une certaine manière, de toute production littéraire antérieure au Mythe de Sysiphe, se révèle également dans l'attitude de Camus à l'égard du dieu(x) et du mythe à cette époque. En fait,des mots comme dieu(x) ou mythe dans ce 'premier Camus', surtout dans Noces, sont remarquables par l'absence de sens strict. Ces voix instables qui s'accompagnent de dieu et mythe plus ou moins vides de sens tiennent peut-être à la division intérieure, c'est-à-dire l'état moral de jeune Camus déchiré par les dualités dont les termes sont irréconciliables. Dans ce contexte, le(s) dieu(x) incertain(s) ainsi que le mythe mal défini pourrait un effet du besoin d'unité de Camus. En d'autres termes, jeune Camus avait le but d'être en accord aussi étroit que possible avec le monde par la luciditéhumaine refusant l'Absolu ou la transcendance religieux. Ainsi, sa désir de 'noces' avec le monde passe par ce(s) dieu(x) ou ce mythe auxquels il fait si constamment référence tout en s'éfforçant de le(s)renier. Le mythe à cet égard est désapprouvé dans la mesure où il risque de nuire à l'accord de l'homme avec le monde. Pourtant, en tant que le fils de la Grèce, Camus depuis toujours en apprécie l'équilibre supérieur qui recherche la justice dans certaines limites. C'est ce que avec pieuse nostalgie il appelle pensée méditerranée. Cette confiance en hellénisme conduit Camus à révéler son inspiratiom artistique et philosophique à travers le mode mythique. C'est la raison pour laquelle Sysiphe avec le regard lucide peut renaître comme un modèle qui représente la condition humaine. Dans un sens, cette formulation absurde en termes mythiques marque la fin des incertitudes et hésitations touchant l'attitude de Camus à l'égard du mythe. En somme, Camus a paradoxalement atteint au mythe comme un facteur d'harmonie et d'équilibre. Ici, nous pouvons confirmer les rapports avec le mythe de l'absurde. D'abord, en ce qui concerne Sysiphe traditionnel, son travail répété et inutile implique par sa répétition la notion de l'absurde, mimer-répéter au lieu d'expliquer. Quant à l'écrivain, il en anime la doctrine par un dire répété. Deuxième rapport, c'est que le mythe est avant tout un savoir répété et transmis par la tradition ou une sorte de langage tout prêt à être réutilisé. Né de l'expérience absurde, mais peut-être d'une dualité constitutive propre à Camus, le mythe uni au mime agit nettement comme un principe à la fois actif et uniformisant chez Camus. Ce qui signifie que toute production littéraire de Camus n'est rien d'autre que le long cheminement pour retrouver et mimer sa racine mythique.

      • KCI등재
      • KCI등재

        가정폭력맥락에서의 빚과 빚짐에 대한 시론적 연구

        박언주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3

        This study is an introductory study on debt and indebtedness in the context of domestic violence. Existing studies on domestic violence and debt is limited to finding out debt as a cause of domestic violence or explaining debt coerced by the abusers. More comprehensive explanations on debt in the context of domestic violence is needed. Issues of debt and indebtedness in the context of domestic violence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economic exploitation in the capitalist system, negative emotions related to debt, debt as interdependence and social bond, and debt as life, love, and car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tried to expand the discussion on debt and indebtedness in the context of domestic violence to the areas of affect beyond the micro and economic system.

      • KCI등재

        인간 존엄의 조건으로서의 상호의존과 연결성: 치매인의 경험세계를 중심으로

        박언주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8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ways that personal dignity of people with dementia would be maintained in their everyday experiences. To achieve the aim, this study reviewed existing qualitative studies conducted with people with dementia as individuals or couples. This study found the followings: First, capacities and power of people with dementia were embodied in their bodies and found in their behaviors, nonverbal communications, and performances of social roles as forms of interaffectivity. Second, as a subcategories of personal identity, dignity of identity of people with dementia was maintained based on their sense of self, personhood, and couplehood. Finally, for personal dignity of people with dementia, it might be important to practice their embodied capacities and power and to construct and manage the context of interdependence and relatedness through interaffectivity to maintain thier sense of self, personhood, and couplehood. Human dignity based on independence and individuality could be reconsidered in the context of interdepedence and relatedness. 본 연구는 상실과 의존으로 표상되는 치매인의 경험세계에서 인간 존엄은 어떻게 유지되는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치매인을 연구대상으로 하거나 연구대상에 포함하여 수행된 국내외의 질적경험연구를 검토한 결과 발견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인의 몸에 체화된 역량과 동력은 치매인의 잔존기능에 기반한 행동, 몸을 통한 비언어적 상호작용, 과거 역할의 수행으로 상호정동의 형태로 나타난다. 둘째, 치매인의 정체성 존엄은 자기감, 인간임, 커플임을 훼손하지 않는 방향으로 커플, 타인, 사회환경과의 상호작용이 조율되는 가운데 유지되고 있었다. 정체성 존엄은 인간 존엄 중에서 타인과의 관계 및 사회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구성되는 것으로서 개인적 존엄에 해당한다. 결론적으로, 몸에 체화된 역량 및 동력의 활성화와 상호정동을 통한 상호의존과 상호연결의 맥락은 치매인의 정체성 존엄 유지를 위한 중요한 조건이었다. 치매인의 인간 존엄은 정동적 측면을 고려할 때, 개별성과 독립의 근대적 정의를 넘어 상호의존과 상호연결성 속에서 재구성되고 있었다.

      • KCI등재

        가정폭력노출 아동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의 변화과정

        박언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3 학교사회복지 Vol.- No.26

        본 연구는 가정폭력노출 아동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가정폭력에 노출된 경험을 가진 자녀를 둔 10명의 가정폭력피해여성을 심층면접 하고,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가정폭력노출 아동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의 핵심범주는 폭력 속에서도 자녀의 성장을 돕고 폭력을 제거하려는 시도를 하면서 자녀의 욕구에 부응하고 자녀와 상호적인 관계를 만들어 가기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도구적 모성의 강화였고, 가정폭력 및 어머니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인과적 조건, 사회적 개입방향, 가해자의 폭력전략, 자녀의 폭력노출, 폭력의 후유증이 중재적 조건, 자녀의 독립성 증가. 자녀와 거리두기가 작용/상호작용 전략, 관계적 모성의 형성 및 도구적 모성의 재편이 결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노출 아동 어머니의 자녀양육 경험은 도구적 모성 강화단계, 탈 폭력 시도단계, 모성의 재편단계의 과정을 거쳐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천의 장에서 가정폭력노출 아동의 문제해결을 위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개입하게 될 경우, 아동의 성과지표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어머니의 도구적 모성을 강화하는 방향보다는 아동과 어머니의 역량을 강화하여 독립적이고 상호적인 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문제의 원인이 되었던 폭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을 제안한다. 아울러, 자녀양육에 대한 논의를 특정 시점의 양육행동으로 축소하기 보다는 변화에 열려있는 관계적 속성을 갖는 것으로 확장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xisting literature on parenting behaviors of battered mothers and to explore patenting experiences of mothers whose children were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Analysis utilized the ground theory method on the data from in-depth interview with 10 battered mothers whose children were exposed to domestic violence showed the following. The central phenomenon identified was ‘enhanced instrumental mothering’ triggered by ‘domestic violence’ and ‘social expectations on mothers.’ The core category was defined as ‘helping children for their recovery and growth while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and developing interactive relationship with children as taking actions to escape from domestic violence. ‘This study expanded the discussion on battered women’s mothering beyond ‘parenting behavior’ by showing the model for battered women’s mothering from the data.

      • KCI등재

        Hamlet as a Reflexive Revenge Tragedy

        박언주 대한영어영문학회 2022 영어영문학연구 Vol.48 No.1

        This article argues that generic ambiguity of Hamlet results from its reflexive engagement with the genre of revenge tragedy. Renaissance revenge tragedy demonstrates a high level of self-consciousness about its own dramatic mode as well as its history and conventions. Yet Hamlet merits special scrutiny because its metatheatricality is intended to question the basic assumptions of the genre. Indeed, unlike other avengers, Hamlet postpones his revenge in order to debate and reflect on his obligation to vengeance itself. The prince hesitates because he is not able to naturally acquiesce to the obligation of revenge, which is predicated upon the kinship between the avenger and the victim as well as the unrepentant perpetrator. Hamlet’s self-reflexivity not only alludes to a common writing practice in the early modern period, but also contributes to establishing the genre of revenge tragedy as modern and open to constant change and innovation.

      • KCI우수등재

        가정폭력과 반려동물 학대의 문제 및 개입

        박언주,김효정,류다현 한국여성학회 2023 한국여성학 Vol.39 No.2

        This paper aims to explore ways to respond to and intervene in the overlap between animal cruelty and domestic violence, as no research on systemic response to such issue has been discovered in South Korea. This research examines the concepts and theories that explain the overlap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animal abuse, as well as the responses to animal abuse in South Korea and the overlap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animal abuse in the United States. The findings of this investigation indicate the followings. First, policies should be enacted to develop a response system to the overlap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animal abuse and to provid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animal abuse with integrated, government-funded services. Second, formal services providers should increase their capacity to provide assistance to multiple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animal abuse and reduce the barriers that prevent victims from seeking assistance. In addition, changes to the legal status of animals should ensure the safety of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nd animal abuse and enhance their support. Last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at the overlap between domestic violence and animal abuse is an issue of ethics founded on the value of life and the interconnectedness of all living things.

      • KCI등재

        아내폭력 피해여성의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행위에 대한 연구

        박언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0 여성학논집 Vol.27 No.2

        본 연구는 아내폭력 피해여성이 사회적 지원체계로부터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이유를 밝히고,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행위의 의도를 중심으로 피해여성의 저항을 개념화하고자 하였다. 아내폭력 피해여성에 대한 연구는 “왜 폭력적인 관계를 떠나지 않는가?”라는 오래된 질문에 답하거나 피해여성들이 “떠나는 과정”을 밝히는데 주력해 왔으며, “왜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가?”는 연구자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아내폭력 피해여성들이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행위에 주목하여 피해여성의 행위성을 부각하고, 피해여성들이 어떠한 상황에서 특정 지원체계로부터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가를 밝힘으로써 기존의 사회적 지원체계가 갖는 한계에 대해 논하고 대안을 모색하려 하였다. 10명의 아내폭력 피해여성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질문지에 기초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한 결과 밝혀진 바는 다음과 같다. 아내폭력 피해여성이 도움요청을 하지 않는 행위는 가해자의 추가적 폭력을 막고, 관계를 유지하며, 피해여성을 향한 비난 및 양가적 메시지를 피하기 위한 의도적이며 선택적인 행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떠날 준비가 된” 아내폭력 피해여성을 위한 위기개입 위주의 지원체계에 대해 피해여성은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비가시적 행위로 저항하며 기존의 지원체계의 문제점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이는 가해자를 떠나는 것이 폭력을 종식하는 유일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통념을 넘어서는 방향으로 사회적 지원체계가 재정비되어야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battered women's reasons for not seeking help from social support systems. Likewise, it attempts to conceptualize battered women's resistance based on intent of women's acts of not seeking help. This study suggests that researchers redirect their attention from "Why do battered women stay in the abusive relationship?" to "Why do battered women not seek help from social support systems?" The former question has stigmatized battered women and limited their choices. This study attempts to expand battered women's agency by paying attention to their acts of not seeking help and to discuss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ocial support system through analyzing the intent and meanings of such acts. In-depth interviews with ten battered women revealed the following. Battered women seem to intentionally choose not to seek help from certain social support systems. They do not seek help from such systems in order to prevent further abuse, to keep the relationships, and to avoid blames and ambivalent messages against themselves. Battered women's readiness to leave the abuser appears to affect their acts of not seeking help. Battered women tend to postpone seeking help from social support systems until they believe that they are ready to leave the abuser. It seems problematic that existing social support systems achieve the goal of stopping wife abuse by supporting only the battered women who are ready to leave the abuser. This study finally suggests that social support systems provide the battered women who are not ready to leave the abuser with diverse and sensitive services to promote their help-see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