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근대 관광문화상품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1920-30년대 관광문화상품을 중심으로)

        박암종 ( Park Arm Jo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1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근대 관광문화상품에 나타난 특징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획일적이며 창의성이 부족한 관광문화상품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관광산업은 한 가지만 갖춰진다고 활성화 되는 것이 아니라 분야별로 짜임새 있게 일정 수준에 도달해야 가능하다. 관광을 활성화 시키는 주요한 관광인프라 요소는 교통, 숙박, 먹거리, 볼거리, 즐길거리에 추가로 관광문화상품 같은 살거리가 빠질 수 없다. 이런 이유로 관광산업 활성화 측면에서 지난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관광문화상품 속에 담긴 디자인적 특징을 도출해 관광문화상품 발전에 기여코자 한다. 연구방법은 디자인적 특징을 도출 할 수 있는 객관적 분석틀 모형을 만들고 이에 대입하여 특징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연구범위는 우리나라의 근대디자인 자료를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근현대디자인박물관의 소장품 중 1920-30년대에 생산된 관광문화상품 중에서 그룹을 지울수 있는 문화상품군(文化商品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에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쇄 및 후 가공의 마무리 수준이 매우 높다. 둘째, 한국적 전통소재와 지역적 특징을 잘 살려 타 지역과 차별화 하였다. 셋째, 신선한 아이디어를 돋보이는 자연친화적인 상품이 많다. 넷째, 장정이나 패키지디자인에 신경을 많이 썼으며 사용설명문이 첨부돼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 우리나라 관광문화상품디자인에 자극제가 되어 참신한 관광문화상품들이 생산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design features shown on our modern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explore the ways to enhance the quality of our uniform and less creative contemporary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he tourism industry can hardly be invigorated with a single solution; a well-organized promotion policy is required. The major essential infra elements for invigoration of tourism are transport, hotels, must-eat, must-see, must-enjoy, and tourism cultural commodities. All in all, in order to invigorate the tourism industry, it is deemed necessary to identify the design feature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produc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reby, help develop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o this end, this study produced an objective analysis model conducive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design feature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however, limited to the modern design works produced during 1920's ~ 1930' and collected by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Design Museum reputed for its largest design collections in Korea; among them, the tourism culture commodity group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was sampl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nished quality after printing is very high; Secondly, the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local characteristics are well highlighted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Thirdly, many tourism culture commodities feature fresh ideas, being environmental-friendly; Fourthly, much efforts were made for marks or package designs, with the background and brochure attached.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stimulate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that fresh tourism culture commodities would be produced actively.

      • KCI등재후보

        북한 디자인의 이론적 배경과 특성에 관한 연구

        박암종(Park, Arm Jong)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1

        21세기는 이미 자국의 "문화(文化)‘가 중요한 산업의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자신의 고유한 문화를 토대로 부가가치가 높은 상품으로 변화시키는 매개체(媒介體)의 역할을 바로 디자인이 담당하고 있다. 세계적인 디자인대회 개최와 디자인상 수상 및 상품 수출실적 등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 디자인 수준은 이미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세계 디자인 트렌드의 중심에 서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가까운 북한은 세계 디자인 트렌드에서 벗어나 더딘 변화 속에 여전히 장막이 쳐진 미지의 세계로 남아 있다. 본 논문은 그 세계를 들여다보기 위해 북한의 미학적 배경과 그 배경에서 탄생한 디자인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 중 북한에서 가장 활발한 작품 활동이 이뤄지고 있는 선전화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70년대부터 최근까지 스타일에 있어 큰 변화 없이 제작되고 있는 선전화에 대해 시각요소를 중심으로 한 내용분석 결과 색채에서는 적색계열, 청색계열 등 강렬한 원색을 통해 선동적인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과장되고 인위적인 북한만의 독특한 색채 사용방법인 ‘제색법(制色法)’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화면에 있어 하나의 주제를 향해 모든 것을 집약하고 함축시키는 ‘종자론(種子論)’이란 그들만의 창작 이론을 활용한 것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소구방법은 감성적 소구는 전무하고 이성적 소구가 대부분이며 타이포그래피 또한 고딕체를 지속적으로 사용하였다. 2000년대 이후 서체와 컬러, 이미지와 레이아웃 등에서 기존과 다른 변화가 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the 21st century, native ‘culture’ has become a significant element of industry. Design is in charge of playing a role of medium that changes products into high value-added ones based on one’s own culture. As we know from opening a worldwide design competition, receiving design awards and product export performance, the level of Korea’s design has already been obtaining universal recognition and is considered to be at the center of world’s design trend. However, North Korea that has frontiers with South Korea still remains as the unknown world where a tent is still set up under tardy changes falling behind the trend of world design. For looking into the world, this thesis investigated aesthetic background of North Korea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design which was born in the background, and made an analysis on the features of North Korean poster that the most active art making is being established in North Korea. As a result of a detailed analysis on North Korean poster centering around visual elements which are being manufactured without considerable changes in style from 1970s until a recent date, this thesis found out that in colors, they create an inflammatory mood through gaudy colors such as reddish and bluish colors. Especially, North Korea’s own exaggerated and artificial color usage ‘Institutional Color Method’ is mainly used in design and utilization of its own creative theory named ‘Seed Theory’ that integrates and connotes everything toward one subject in screen is a prominent feature. As for appealing method, rational appeals are the majority and typography also uses Gothic font on a constant basis. It is confirmed that typeface, color, image and layout are undergoing divergent changes after the 2000s.

      • KCI등재
      • KCI등재

        도시 간판디자인에 나타난 시각요소에 관한 연구

        박암종(Park, Arm Jong)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4 No.-

        세계적으로도 유래 없이 복잡한 우리나라 간판 정비를 위해 오래전부터 정부 주도로 "아름다운 간판 만들기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서울을 비롯한 전국 곳곳으로 확산된 이 사업은 오히려 각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을 해치는 결과를 초래하며 개성과 창의성이 사라지고 획일적인 모습의 간판만을 양산하고 있다. 이것은 아름다운 도시환경을 만들어 주기 보다는, 장기적으로 볼 때 자유로운 심미감과 지역적 정체성을 훼손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이에 대해 문제점을 점검해보고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서울의 대표적 거리 세 곳을 선정하고 특징과 함께 문제점을 찾아내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도시 간판에 대한 연구 결과를 보면 홍대입구를 제외한 인사동과 강남역은 획일적인 간판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중 강남역은 더욱 심한 비개성적이고도 이질적인 스타일을 보여 주고 있다. 특정 지역의 환경과 역사를 반영하는 것은 간판디자인에 있어 중요한 문제이며 현실적으로도 절대 필요한 문제다. 현재는 간판이 고지뿐만 아니라 그 지역이 가지고 있는 특성과 개념을 확실히 반영하여 도시 공간에 지역적 맥락이 뚜렷해지도록 해야 하는 것까지도 고려해야하는 시대가 되었기 때문이다. 간판의 색과 형태 그리고 재질 같은 디자인적 요소들이 지역적 특색과 문화 사회적 배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사용자들과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디자인해야 한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Korea signs unprecedented worldwide for the maintenance of complex government, led by long time "beautiful sign making business" coming to proceed. However, spread around the country, including Seoul, this business is rather prejudicial to the cultural diversity of each region and the individuality and creativity, resulting in appearance of the signs will disappear and only the one-size-fits-all be spawned. This is a beautiful cycle, rather than to create an urban environment, free aesthetic sense in the long term the potential to undermine regional identity because trying to check about this issue and propose improvements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selected three areas of Seoul and the typical distance problems with features that identify and propose alternatives. Research results show that for Cultural signs Hongik University and Gangnam, Insadong, except in the form of a one-size-fits-all shows signs were more severe in the non-dual Gangnam style, personality and also shows heterogeneous. To reflect the particular area and history is an important matter and signboards design realistically never needed. Announced today, as well as the sign in the area have certainly reflected in the concept of nature and urban space should ensure that local context is a distinct era is because even consider. Signs, such as color and shape and material design featuring regional and cultural factors are in harmony with the social background to allow consider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users and the requirement that the design should not be overlook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