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책임 및 그 제한과 관련된 독일 전자정보법률(TMG) 연구

        박신욱(Park Shin Uk) 한국비교사법학회 2016 比較私法 Vol.23 No.1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가해행위에 대해서만 손해배상의 책임을 부담하게 된다는 과실책임의 원칙이 인터넷과 관련된 영역에서, 특히 OSP의 책임과 관련하여 많은 부분 자신의 의미를 상실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사실상의 필요성에 의해 OSP에게 부담이 되는 의무들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의무의 부과는 타당한 것이며 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을까 본 논문은 이러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독일 전자정보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OSP의 책임과 그 제한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독일 전자정보법률의 내용 및 개정상황을 이해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논의들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우선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아가 우리의 법제도와의 비교대상으로써의 가치뿐만 아니라 향후 예상되는 일반법 도입과 관련한 논의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Die Zielsetzung dieser Arbeit liegt an der Vorbereitung von einer Grundlage für die zukünftigen Forschungen in Bezug auf die Haftung von einem Internetdienstanbieter (ISP) und ihre Begrenzung. Dafür ist das deutsche Telemediengesetz (TMG) vorgestellt in Korea und analysiert. Die Verantwortlichkeit im TMG kann m.E. in drei Kategorien eingeteilt werden. Erstens sind die Informationspflichten gemäß §§ 5 und 6 TMG geregelt. Allgemeine Informationspflichten: Einige dogmatischen Streite finden sich, weil jeder ISP nicht die gleichen Pflichten in Verbindung mit der Auslegung der Worte tragen, z.B. „in der Regel gegen Entgelt“, „geschäftsmäßige Telemedien“. Besondere Informationspflichten: Bei kommerziellen Kommunikationen muss ISP einige Informationen geben. Merkwürdig ist, dass weder der Absender noch der kommerzielle Charakter der Nachricht in der Kopf- und Betreffzeile verschleiert oder verheimlicht werden darf, wenn kommerzielle Kommunikationen per elektronischer Post versandt werden. Dies ist von Bedeutung in Korea, weil Korea ein der größten Ursprungsländer von der Spammail ist. Zweitens sind die Haftungsausschlüsse gemäß §§ 7ff. TMG umfangreich vorgeschrieben. Daneben ist das Verantwortungsprinzip noch mal bestätigt, so dass das TMG als ein allgemeines Gesetz funktioniert. Hinsichtlich mit der fremden Informationen ist es fraglich, ob ein ISP zur Gegenpartei in Bezug auf dem Unterlassungsanspruch werden kann. Daneben sollte sich die Diskussion über die Darstellung der Ergebnisse von Suchmaschine, Hyperlinks etc. fortsetzen. Drittens bestehen die Vorschriften über den Datenschutz in §§ 11ff. TMG. In dieser Arbeit wurden die Inhalte des Datenschutzes im TMG und ihre Rechtsprechungen dargestellt. Das TMG ist von Bedeutung aufgrund der koreanischen Situation. In Korea gibt es viele Gesetze, die sich auf ISP beziehen. Aber die Definition des ISP ist nicht so gleich geregelt, insbesondere im koreanischen Urheberrechtsgesetz und Act on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Diese Ungleichheit führt zu einer großen Verwirrung. Daneben trägt der ISP verschiedene Leistungspflichten und muss die verwaltungsrechtlichen Regelungen berücksichtigen. Dies verursacht m.E. zu groß Belastung für ISP. Obwohl es keine richtige Aufsichtspflicht gibt, bejaht der koreanische Gerichtshof die Verantwortung des ISP in Bezug auf den aus der fremden Informationen bestehenden Schadenersatz in Berücksichtigung des Gehilfen gemäß § 830 Abs. 3 KBGB wie § 830 BGB. Es bezieht sich nicht auf das traditionelle Verantwortungsprinzip entsprechend. Diese Rechtsprechung erneuert sich schließlich die Debatte um die Befugnis zur richterlichen Rechtsfortbildung. Für Lösung dieser Probleme kann das TMG m.E. als ein Vorbild funktionieren.

      • KCI등재

        도서정가제에 대한 우리나라와 독일의 법체계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대법원 2019. 9. 10. 자 2019마5464 결정에 대한 비판적 접근

        박신욱(Park, Shin-Uk) 한국비교사법학회 2020 비교사법 Vol.27 No.1

        2002년에 제정된 우리의 출판법 제22조는 간행물에 정가를 표시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를 판매하는 자는 정가의 15퍼센트 이내에서 가격할인과 경제상의 이익을 자유롭게 조합하여 판매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출판법의 이러한 규정은 “도서정가제(Buchpreisbindung)”로 불려왔는데, 지나친 가격경쟁으로 인한 간행물 유통질서의 혼란을 방지함과 동시에 저자, 출판사, 서점 등을 안정적으로 보호·육성하여 소비자인 독자에게 다양하고 풍부한 내용의 간행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2019년 9월 10일 우리 대법원은 출판법 제22조의 해석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결정을 하였다(2019마5464). 그러나 이 결정은 침익적 행정처분의 근거와 이에 대한 해석의 원칙에 모순될 뿐만 아니라 잘못된 근거를 통해 통신판매중개업자를 통신판매업자와 동일시하고 있다. 더욱이 이 결정은 간행물을 판매하는 자가 스스로 제공한 할인에 대하여만 도서정가제가 적용되고 제3자가 제공한 할인에 대해서는 도서정가제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기존의 대법원의 결정(2010마1403)과도 모순된다. 본고에서는 이를 적절히 입증하기 위하여 우리의 출판법과 입법의 목적이 동일하고 규정의 태도가 유사한 독일의 도서가격준수에 관한 법률(BuchPrG)을 소개하고 가격준수 및 가격결정에 대해 규정하고 있는 BuchPrG 제3조와 제5조의 입법형식과 이에 대한 판례들을 조사하여 우리 대법원의 결정과 비교분석하였다. Wenn ein Verlag Bücher etc. zum Zwecke des Verkaufs herausgibt, legt er den Preis für den Verkauf an Verbraucher fest und weist den Preis auf den Büchern etc. nach in Form der Verordnung des Präsidenten geregelten Maßgabe aus. Der Verkäufer des Buches kann jedoch innerhalb von 10 Prozent einen reduzierten Preis bzw. wirtschaftlichen Vorteilen innerhalb von 15 Prozent des Preises anbieten. Die Bestimmungen nach Artikel 22 vom PUBLISHING INDUSTRY PROMOTION ACT (Gesetz-Nr. 16065) gelten als Inhalt des sog. Buchpreisbindung, die ein vielfältiges Buchangebot bzw. eine flächendeckende Versorgung durch kleinere Buchhandlungen für den stabilen Schutz und Förderung von Autoren, Verlagen, Buchhandlungen und Verbraucher gewährleistet. Am 10. September 2019 traf der KGH eine sehr wichtige Entscheidung zur Auslegung von Artikel 22 vom PUBLISHING INDUSTRY PROMOTION ACT (2019MA5464). Diese Entscheidung widerspricht jedoch nicht nur den Gründen und dem Auslegungsgrundsatz einer belastenden Verwaltungsakte, sondern setzt auch den Verkäufer mit dem Vermittler im Online gleich. Darüber hinaus steht diese Entscheidung im Widerspruch zur vorherigen Entscheidung des KGH (2010MA1403), dass das Buchpreisbindung nur für Rabatte gilt, die vom Verkäufer angeboten werden, der die Bücher etc. verkauft, und nicht für Rabatte, die von Dritten gewährt wurden. Um dies richtig nachzuweisen, wird in dieser Untersuchung das deutsche Gesetz über die Preisbindung für Bücher eingeführt. Daneben sind die Inhalte über die Preisbindung gemäß § 3 BuchPrG und die Preisfestsetzung gemäß § 5 BuchPrG vorgestellt und die verwandte Fälle wurden verglichen und analysiert.

      • KCI등재

        스마트계약의 표준화 경향과 법적 한계에 관한 연구

        박신욱 ( Shin-uk Park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외법논집 Vol.45 No.3

        계약법은 시대의 흐름과 눈부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변화를 강제 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변화와 관련하여 최근 빈번히 논의되는 내용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계약(Smart Contract)” 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계약은 코드설계(i), 코드공개(ii), 조건성취(iii)와 계약의 자동실행(iv)의 4단계 과정을 거쳐 계약의 이행까지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스마트계약을 통한 거래는 경제적 효율성, 거래의 투명성, 익명성과 자가집행성(self-enforcing)의 확보라는 장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계약을 통한 거래의 경우에는 기존의 전통적인 계약과 달리 거래의 효율성이 확보되어 거래비용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분쟁해결의 비용이 감소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알려진 블록체인 기술로는 모든 계약상 권리의 무관계와 해석이나 평가를 요하는 내용들을 프로그램화 혹은 코드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소스 코드 자체의 오류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위험부담의 문제, 표시상의 착오 등의 문제도 상 존하고 있다. 더욱이 스마트계약을 통한 이행은 일반적으로 불가역적이기 때문에 우리의 법체계에 부합하는 가역적인 상황을 어떻게 만들어낼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계약의 법적 성질 그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계약 그 자체를 계약법상의 계약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 나아가 어떠한 유형의 계약인지에 대한 논의 등이 그것 인데, 이는 결국 어떠한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를 해결하는 방식이 결정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본고(本稿)에서는 스마트계약과 관련된 우리의 논의를 정리 및 분석하였으며, 지적되는 문제 들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법제화의 경향과 스마트계약의 표준화 경향을 ISO/TC 307를 통해 소개 함으로써 향후 활발한 활용이 예상되는 스마트계약과 관련된 문제해결의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Contract law is being forced to change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and the development of brilliant technology. In relation to these technological changes, recently frequently discussed content relates to “smart contracts” based on block chains. A smart contract is implemented through a four-step process: code design (i), code disclosure (ii), fulfillment of conditions (iii) and automatic execution of contracts (iv). Transactions through such smart contracts have advantages of economic efficiency, transaction transparency, anonymity and self-enforcing. Therefore, in the case of transactions through smart contracts, unlike traditional contracts, transaction efficiency is secured, thus reducing transaction costs as well as reducing dispute resolution costs. However, with the block chain technology known so far, it is impossible to program or code all contractual rights and obligations and the contents that require interpretation or evaluation. In addition, there are also problems such as risk burden and display errors that occur because the source code itself has the possibility of errors. Moreover, since the implementation of contracts through smart contracts is generally irreversible, the question of how to create a reversible situation is constantly being raised. There is also a fundamental discussion about the legal nature of smart contracts itself. For example, there are discussions about whether the smart contract itself can be viewed as a contract under contract law, and furthermore, what type of contract it is. This means that, in the end, when a problem arises, the way to solve it has not been decided. Accordingly, this paper summarizes and analyzes the discussions related to smart contracts so far, and introduces the trend of leg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smart contracts through ISO/TC 307 as a way to overcome the pointed out problems.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solving problems related to smart contracts that are expected to be actively used in the future.

      • KCI등재

        제3자 정자제공형 인공수정에 대한 동의가 갖는 친자법상 의미

        박신욱(Shin-Uk Park) 한국가족법학회 2021 가족법연구 Vol.35 No.3

        Unlike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the father-son/daughter relationship is not attributed to the fact of childbirth. Therefore, not only the sincerity of blood relationship, but also the welfare of the son/daughter, the intention of the par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etc.,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attribute the father-son/ daughter relationship. Moreover, the change of thinking (e.g. Same-sex marriage)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technology suggest the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a new family relationship, and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the father-son/daughter relationship are bound to increase accordingly. In addition, these factors need to be considered not only for the attribution of the father-son/daughter relationship, but also for resolving the already vested father-son/daughter relationship. If the interpretation of our law makes these changes and developments unacceptable, amendments to the law should also be considered. However, if any problem has to be resolved at this point without such amendments, interpretation of the law and the parties’ intentions must be made within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these factors for considerations can only have an effect within the system. In particular, since the judgment of the Supreme Court is not only a conclusion of the case, but also an important standard in interpreting the law and the parties’ intentions in similar situations, a serious approach to whether or not it contradicts the existing judgment is required. Basically, through the 2019 ruling, we can sympathize with how the Supreme Court of Korea has gone through the process of in-depth analysis of the case and led to the result.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agree on the need to secure the welfare of the son/daughter. However, in this paper, the question was raised as to whether this interpretation of the Supreme Court is possible within our legal system at this time,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since the written consent of the father, which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urrent Bioethics And Safety Act, is consent to the embryo-generating medical institution, consent between the husband and wife must be secured for artificial insemination. To clarify this, it is necessary to legislate the consent in the form of notarization as in Article 152 of the Austrian Civil Code. Second, the consent of the father is a form similar to the consent of adoption, and it is a kind of indication for establishing a father-son/ daughter relationship by a intention, and it can be seen as a contract for a third person based on Article 539 KBGB, in which the person who was born becomes a third person. Accordingly, the father bears a contractual obligation to nurture the child as well as the biological child. Third, since Article 844 (1) KBGB presumes that a child conceived by a wife during marriage is the husband s child, the assumption is made even in the case of artificial insemination. However, the father s right to deny paternity cannot be given up as an exclusive right. Fourth, even if the father’s right to deny paternity is exercised and the father’s paternity is denied, contractual responsibilities must be continuously borne, which may be subject to change of circumstances. This method of interpretation is made within the system of our law, and I think that the welfare of the son/daughter that our Supreme Court was trying to secure can be guaranteed through this as well.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he background of the introduction of Article 1600 (4) BGB, it is necessary to exclude the right to deny paternity to fathers who have consented to artificial insemination through the revision of the Korean Civil Code. This is because not only the custody of a son/ daughter born through artificial insemination, but also the status of inheritance can be secured.

      • KCI등재
      • KCI등재

        미국의 법제와 판례를 통해 바라본 공동주택에서의 흡연과 관련한 법적 대응방안

        박신욱 ( Shin Uk Park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法學硏究 Vol.22 No.4

        공동주택에서 흡연으로 인해 발생하는 간접흡연의 폐해는 私法영역에서 논의되어야 하는 시급한 문제로 여겨진다. 그러나 우리 학계의 현재까지 논의 진행상황에 비추어 볼 때, “임대인과 임차인의 계약상 합의, 금연아파트의 도입 및 공동주택관리규약을 통한 흡연의 제한”을 제외한다면 공동주택 내 독립된 주거생활 구역에서 흡연자의 권리를 제한할 수 있는 법적조치를 떠올리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이와 달리 미국은 판례를 통해 현실적인 요구들을 많은 부분 수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本稿는 미국의 판례와 법제를 소개함으로써 앞으로의 논의에 이론적 토대를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사항들을 적시하였다. 첫째, 흡연을 어떻게 이해하는지, 즉 흡연을 하나의 권리로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대해 미국의 법률과 판례들을 확인하였다. 둘째, 임대인이 비흡연자와만 임대차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지 여부 그리고 공동주택관리규약의 변경은 가능하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최근 금연아파트 지정을 위한 공동주택관리규약을 변경의 필요성과 흡연자의 반발로 인한 문제의 해결에 Christiansen v. Heritage Hills Condominium Association 사례가 단초를 제시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흡연에 대항한 소유권자의 법적구제수단은 존재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本稿에서는 이러한 구제수단을 법률의 규정을 통한 구제수단과 이론적 토대를 통한 구제수단으로 세분하여 소개하였다. 넷째, 간접흡연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임차인의 손해 그리고 소유권자의 의무에 대한 논의를 소개하였다. 이를 위하여 평온함을 향유할 권리와 주거적정성의 묵시적 보장의 개념에 대해 소개하고 이와 관련된 판례와 법률의 내용을 소개하였다. Because of so-called “Miracle on the Han River” Korean accomplished rapid economic growth. This rapid economic growth was based on centralization of population. The centralization caused necessarily several housing problems, e. g. the right of light and the right to a view. Korean jurist didn`t ignore problems and are developing academic research about problems, especially about the right of light and the right to a view. The housing problems, which are caused by the centralization of population, are not only limited just in the right of light and in the right to a view, but also recently in the noises through floor and in the second-hand smoking. In my opinion, these problems about the noises through floor and the second-hand smoking occur often in a condominium, which is recognized as typical dwelling pattern in Korea and is involved in field of private law. For solution of a conflict about the noises through floor between residents in same condominium, the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proposed a standard, with which man can judge, which the noises through floor is unacceptable. Unlike attempt on the solution of a conflict about the noises through floor, the problem about the second-hand smoking is not almost treated in field of private law in Korea. Because of this situation, in this paper, it is tried to start a research on American legislation and judicial precedent for solution of a conflict about the second-hand smoking in condominium. As we know, the Korean legislation is a kind of continental law, namely civil law,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mmon law in U. S. But in my opinion, the research on American legislation and judicial precedent casts a long shadow to us, because the American legislation and judicial precedent is based on rationality and efficiency. This rationality and efficiency can help us expand the scope of our thinking. For example, we can acquire some idea in case of "Christiansen v. Heritage Hills Condominium Association" for solve a question, how a apartment management rules can be amended, if a smoking resident opposes to the amendment to ban smoking. In addition, we can get some perception about the wesen of lease in case of "50-58 Gainsborough St. Realty Trust v. Haile" in point of "quiet enjoyment" and in case of "Heck v. Whitehurst Co." in point of "the warranty of habitability". This comparative legal research on American legislation and judicial precedent should facilitate to know countermeasure against second-hand smoking in condominium and the wesen of lease.

      • KCI등재

        페이팔(PayPal)을 통한 온라인결제 방식의 법적 쟁점 및 환불약관의 효력에 대한 독일연방대법원(BGH) 판례분석- VIII ZR 83/16 판결 및 VIII ZR 213/16 판결을 중심으로 -

        박신욱(Park, Shin-Uk) 한국재산법학회 2019 재산법연구 Vol.36 No.1

        지갑이 없는 생활이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최근 핀테크(FinTech)의 발전과 보편화는 결제방식의 다양화와 간편화를 이끌게 되었고, 이로 인해 결제를 위한 카드마저도 일상생활에서 배제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베이(eBay)의 결제방식으로도 사용되는 페이팔(Paypal)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독일연방대법원은 페이팔과 관련하여 두 개의 중요한 판결을 한 바 있는데, 이 판결을 통해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포괄계약을 통한 약관의 적용한계를 설정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이용약관 등에 동의한 경우라도 이를 당사자 간의 계약에 있어서 절대적인 합의의 내용으로 볼 수 없게 된다. 또 다른 시사점으로 의사표시해석의 방식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독일연방대법원은 페이팔을 거쳐 매도인에게 대금이 지급된 경우 종국적인 이행이 있었다고 판단하였으며, 환불과정을 거쳐 채권이 다시 발생한다는 숨겨진 합의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SEPA결제시스템과 페이팔 결제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논문에서는 이러한 독일연방대법원의 판결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에서도 페이팔 및 이와 유사한 결제시스템과 관련된 쟁점사항 및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선택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In diesem Beitrag sind die Entscheidungen vom BGH dargestellt und analysiert, um eine Option zur Lösungsvorschlägen im Zusammenhang mit dem Paypal- und ähnlichen Abwicklungssystem in Korea bereitzustellen. Das Leben ohne Bargeld ist realisiert. Kürzlich führte die Entwicklung und Verallgemeinerung von FinTech zu einer Diversifizierung und Vereinfachung der Zahlungsarten. Sogar werden Kreditkarte für die Abrechnung, die die meisten Koreaner haben, im Alltag ausgeschlossen. In dieser Situation ist Paypal, das auch als Zahlungsmethode für eBay verwendet wird, in mehr als 200 Märkten weltweit zur Verfügung steht und mit dem Verbraucher und Verkäufer Geld in mehr als 100 Währungen empfangen kann, zu beachten. Vor kurzem hat der Bundesgerichtshof in Deutschland (BGH) zwei wichtige Entscheidungen in Bezug auf PayPal getroffen, die m. E. einige wichtige Auswirkungen für Korea haben. Erstens können die Grenzen der Verwendung von allgemeinen Geschäftsbedingungen (AGB) etc. wie PayPal-Nutzungsbedingungen, PayPal-Käuferschutzrichtlinie, PayPal-Verkäuferschutzrichtlinie durch den Rahmenvertrag gefunden werden. Wenn man eine Beziehung mit dem Verwender aufnehmen wollte, muss man die AGB vom Verwender zustimmen. Es wurde jedoch durch BGH klargestellt, dass diese vom Verwender vorgelegten AGB etc. nicht als absoluter Konsens des Vertrags zwischen den Parteien angesehen werden können. Dies liegt daran, dass der Inhalt der AGB etc. unter Berücksichtigung des gesamten Vertrags zu interpretieren sind. Zweitens kann die Auslegung der Willenserklärung bzw. Verträge gemäß §§ 133, 157 BGB bestätigt werden, und dabei kann der Unterschied zwischen der Auslegungsmethode des Landesgerichts und des BGH ebenfalls bestätigt. Der BGH bestätigt, dass es eine endgültige Erfüllung gibt, wenn Kaufpreisforderung über PayPal an den Verkäufer geleistet wird. Nach der Auslegung vom BGH vereinbaren jedoch die Kaufvertragsparteien zugleich stillschweigend, dass die getilgte Kaufpreisforderung wiederbegründet wird, wenn das PayPal-Konto des Verkäufers nach einem erfolgreichen Antrag des Käufers auf Käuferschutz nach Maßgabe der PayPal-Käuferschutzrichtlinie rückbelastet und der Kaufpreis dem PayPal-Konto des Käufers wieder gutgeschrieben wird. Schließlich ist der Unterschied zwischen dem SEPA-Zahlungssystem und der PayPal-Zahlung bestätigt.

      • KCI등재

        합성생물학의 발전과 EU의 법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 유럽법원(EuGH)의 C-528/16 판결에 대한 평석을 중심으로 -

        박신욱 ( Park Shin-uk ),윤승필 ( Yun Seung-pil )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法學硏究 Vol.28 No.2

        학문ㆍ연구의 자유에 대한 개입을 정당화하거나 이와 관련된 법익을 형량함에 있어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일반적인 규정은 존재할 수 없다. 연구의 위험성이 크고 구체적일 수록 학문ㆍ연구의 자유에 대한 개입의 정당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정도의 원칙만이 존재할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위험성이 큰 연구의 경우 국가는 사전적 조치를 취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고(本稿)에서는 합성생물학의 발전에 따른 EU의 사전적 조치에 대해 유럽법원의 C-528/16 판결에 대한 평석을 통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유럽법원은 프랑스 국사원(Conseil d’État)의 청문에 따라 돌연변이 유발기술의 발전에 따른 법적 쟁점에 대해 판단하였다. 특히 돌연변이 유발로 인해 생성된 유기체가 유전자 변형생물체에 해당하는지 여부(i), 새로운 돌연변이 유발방식의 경우에는 기존의 돌연변이 유발방식과 마찬가지로 2001년 지침의 적용이 배제되는지 여부(ii)에 대해 판단하게 된 것이다. 유럽법원은 첫 번째 의문사항과 관련하여 유전자변형생물체에 해당한다고 판단하였고, 두 번째 의문사항과 관련해서는 2001년 지침의 적용이 배제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 생각건대, 이러한 유럽법원의 판단은 자연과학에 대한 이해의 한계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특히 유럽법원이 “효과”라는 측면을 강조함으로써 새로운 돌연변이 유발기술을 이식 유전자 기술과 동일하게 판단한 점은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또한 유럽법원의 판결은 법률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현실의 간극을 명백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현재의 과학기술의 안정성과도 모순되는 결과를 이끌어냈다. 이와 달리 법률고문 Bobek의 의견은 향후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해 명백히 보여주고 있다고 판단된다. Bobek은 기술 및 학문의 진보에 초점을 맞추고 사전예방원칙의 남용을 경계하였다는 점에서 더 높은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Es gibt keine allgemeinen Bestimmungen, um das Eingreifen in die Freiheit von Wissenschaft und Forschung zu rechtfertigen. Es gibt nur einen Grundsatz: Je größer und spezifischer das Forschungsrisiko ist, desto gerechtfertigter ist der Eingriff in die Freiheit von Wissenschaft und Forschung. Infolgedessen kann ein Staat mit hohen Risiken möglicherweise vorsorgliche und vorläufige Massnahmen ergreifen. In diesem Zusammenhang wurde in dieser Untersuchung beabsichtigt, die vorläufigen Maßnahmen der EU zur Entwicklung der synthetischen Biologie durch die Überprüfung der Entscheidung des Europäischen Gerichtshofs (EuGH, 25.07.2018 - C-528/16) zu bewerten. In der Vorlage des französischen Conseil d'État hat der Europäische Gerichtshof über rechtliche Fragen entscheidet, die sich aus der Entwicklung und dem Fortschritt der Mutagenesetechnologie ergeben. Insbesondere hat der Europäische Gerichtshof festgestellt, ob durch Mutagenese erzeugte Organismen gentechnisch veränderte Organismen sind (i) und ob bei neuer Mutagenese die Richtlinie von 2001 wie bei herkömmlichen Mutagenesemethoden ausgeschlossen ist (ii). Der Europäische Gerichtshof war der Auffassung, dass es sich in Bezug auf die erste Frage um einen genetisch veränderten Organismus handelt und dass die Anwendung der Leitlinien von 2001 in Bezug auf die zweite Frage nicht ausgeschlossen wurde. Meiner Meinung nach zeigt dieses Urteil des Europäischen Gerichtshofs deutlich die Grenzen unseres Verständnisses der Naturwissenschaften auf. Insbesondere scheint es schwierig zu sein, die Kritik zu vermeiden, dass der Europäische Gerichtshof die neue Mutagenesetechnologie genauso schätzt wie die Transgen-Technologie, indem er den Aspekt „Wirkung“ hervorhebt. Darüber hinaus zeigt das Urteil des Europäischen Gerichtshofs deutlich die Kluft zwischen der Realität und Recht aufgrund der Entwicklung von Technologie und führt zu einem Widerspruch zur Stabilität der gegenwärtigen Wissenschaft und Technologie. Im Gegensatz dazu zeigt Bobeks Meinung deutlich, in welche Richtung wir in Zukunft gehen sollten. Bobek sollte einen hohen Stellenwert haben, sich auf technologische und akademische Fortschritte konzentrieren und sich vor dem Missbrauch von Vorsorgeprinzipien schützen.

      • KCI등재

        2022 년 소비자법 동향

        박신욱 ( Shin-uk Park ) 한국소비자법학회 2023 소비자법연구 Vol.9 No.2

        우리나라의 소비자법에 관한 역사는 소비자기본법의 역사라고도 평가된다. 선행연구에서는 소비자기본법의 역사를 크게 3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소비자법 제정의 단계(형성)이며, 두 번째 단계는 법적·조직적 체제 정비의 단계(성장)이다. 세 번째 단계는 2006년 소비자보호법이 전부 개정된 「소비자기본법」 등장의 단계(안정)이다. 이렇게 소비자법이 밟아온 역사적 단계들은 소비자정책이 형성되고, 성장하고, 발전하는 일련의 단계와도 비교할 수 있는데, 이는 소비자법과 소비자정책은 같은 단계로 함께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법과 정책은 형성, 성장 그리고 발전 과정 후에는 안정 혹은 성숙의 시기로 접어들게 된다. 그러나 제4차 산업혁명으로 불리는 과학기술의 눈부신 발전과 코로나 시대 동안 급속도로 변해버린 사회는 오히려 소비자법과 소비자정책 영역에서 새로운 성장을 강제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러한 발전과 변화는 기존에 예상하지 못했던 형태와 방식으로 다양한 정보를 만들어 내고 있으며, 이는 끊임없이 시장으로 유입되고 있다. 이로 인한 정보격차의 심화는 너무나도 당연한 것이 되어버렸다. 또한 데이터 산업을 비롯한 다양한 산업의 등장 등으로 인해 필연적으로 소비자법 영역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렇게 다시 한번 소비자법과 소비자정책의 성장과 발전을 강제하는 시대에서 우리 소비자법제가 얼마나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우리 소비자법학회의 과제 중 하나이다. 이러한 과제를 이행하고자 이 논문에서는 방문판매법, 상표법, 부정경쟁방지법 및 식품법의 개정 내용을 살펴보고 그 방향성에 대해 평가하고자 하였다. 식품법 영역에서의 괄목할만한 변화를 제외한다면, 2022년 소비자법 영역에서의 입법적 성과는 매우 부족한 편이다. 더욱이 소비자법 영역에서 지속적으로 논의되었던 내용이 반영된 법안과 시대적 흐름에 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법안들이 다수 계류 중이라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2022년의 부족한 입법적 성과는 더 큰 아쉬움을 남긴다. The history of consumer law in Korea is also evaluated as the history of the Framework act on consumers. In previous studies, the history of the Framework act on consumers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stage of enactment of consumer laws (formation), and the second stage is the stage of reforming the legal and organizational system (growth). The third stage is the stage (stabilization) of the Framework act on consumers in which consumer laws were amended in 2006. The historical stages that the Framework act on consumers has taken can also be compared with the series of stages in which consumer policy was formed, grew, and developed. This shows that consumer laws and consumer policy are advancing together in the same stage. However, the remarkabl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alle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society that has changed rapidly during the Corona era are rather forcing new growth in the field of consumer laws and consumer policy. These developments and changes are creating a variety of information in previously unexpected forms and methods, which are constantly flowing into the market. The deepening of the digital divide has become a matter of course. In addition, due to the emergence of various industries, including the data industry, the scope of consumer laws are inevitably expanding. It is one of the tasks of the Consumer Law Association to check how appropriately our consumer laws system is responding in this era of forc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onsumer laws and consumer policy once again. In order to fulfill these tasks, this paper examines the amendments to Act on door-to-door sales, Act on fair labeling and advertising,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Food Law and evaluates their direction. Excluding notable changes in the area of food law, legislative achievements in the area of consumer laws in 2022 are very lacking.

      • KCI등재

        환경이익침해에 따른 인접 소유자간의 이해 조정

        박신욱 ( Shin Uk Park ) 한국법정책학회 2015 법과 정책연구 Vol.15 No.4

        “인간과 자연의 건강을 위한 법정책적 담론”라는 학술대회의 주제를 고려할 때, 私法 특히 민법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건강을 위해 어떠한 해석론을 제시할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의 시간이 필요하였다. 결론적으로는 상린관계와 불법행위만을 고려할 수밖에 없었는데, 친족편과 상속편을 제외하면, 우리 민법은 행위자인 “나”를 중심으로 “나”만의 이익을 위해 합리적으로 행동하는 인간상을 전제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나” 혹은 “나의 것”이 아닌 타인 또는 자연의 건강을 우리 私法이 적극적으로 고려하고 있지 않음은 너무나도 당연한 논리적 귀결이 될 것이다. 이러한 바탕에서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의 조망과 일조에 대한 우리 대법원의 판례들을 비판하고, 소유권의 행사로 인해 발생하는 소극적 생활방해를 불법행위로 구성하고 있는 우리의 판례의 태도를 비판하였다. 조망 및 일조의 침해는 두 가지 측면에서 바라볼 수 있는데, 첫째는 가해자의 측면에서는 정당한 소유권의 행사가 불법행위를 구성할 수 있는지 여부이고, 둘째는 조망 및 일조의 성질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당한 소유권의 행사가 불법행위를 구성할 수 없다는 논지의 주장을 펼쳤으며, 조망 및 일조는 단순한 반사적 이익에 해당한다고 주장하였다. 나아가 판례에서 언급되는 수인한도는 우리 민법 제217조에서 명시한 바에 따라 침해적 생활방해의 경우에만 적용되며, 이 경우 필요에 따라 보상청구권 도입의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음을 주장하였다. Dieser Beitrag wird in ?bereinstimmung mit der Konferenz zum Thema ?ein rechtspolitischer Diskurs f?r die Gesundheit von Mensch und Natur“ vorbereitet und ver?ffentlicht, welche durch The Korean Association of Law and Politics am 10. Oktober 2015 durchgef?hrt wurde. Die wichtigen Streitpunkt sind folgendermaßen: Erstens werden der Entzug von Licht und der von Aussicht in dem Beitrag in Bezug auf (?hnliche) Einwirkungen erw?hnt, weil diese Situationen wegen der hohen Geb?ude in Korea sehr h?ufig vorkommen. Der Koreanische Gerichtshof (KGH) betrachtet die Interessen bez?glich Licht und Aussicht vom Innenraum eines Geb?udes aus wegen der tats?chlichen Notwendigkeit als ein Recht. Infolgedessen entschied der KGH, dass derjenige, der z.B. ein neues Geb?ude errichtet. anderen gegen?ber zum Ersatz des aus diesen Entz?gen entstehenden Schadens verpflichtet. Meine Fragestellung beginnt wie folgt: wie und warum wird die Aus?bung des Eigentums zu einer unerlaubten Handlung? Die aus diesen Entz?gen herbeif?hrten Probleme sollten m.E. auch gel?st werden, aber nicht gem?ß § 750 KBGB (wie § 823 BGB), sondern mit Hilfe einer Gesetzgebung. F?r diese Behauptung wird die Entscheidung des KGH kritisiert, und einige Entscheidungen des BGH (V ZR 171/09, V ZR 199/02, V ZR 229/14 etc.) sind dargestellt. Zweitens wird die Notwendigkeit der Einf?hrung des Ausgleichsanspruches behauptet. Gem?ß § 217 KBGB (wie § 906 Abs. 1 BGB) kann der Eigent?mer eines Grundst?cks aufgrund einer unwesentlichen Beeintr?chtigung die Zuf?hrung nicht verbieten. Aber die Duldungspflicht bei einer wesentlichen Beeintr?chtigung ist m.E. gegebenenfalls notwendig, z.B. Ger?usch neben Flughafen, Autobahn, Industriegebiet etc. Diese Einwirkungen sind nicht negative Einwirkungen, sondern nur positive Einwirkungen. Der Flughafen kann zum Gegenstand des Beseitigungs- und Unterlassungsanspruches gem?ß § 214 KBGB (wie § 1004) werden. Deswegen wird die Einf?hrung der Duldungspflicht und des Ausgleichsanspruches ins Gesetz ber?cksichtig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