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차연적 놀이로 본 패션스타일의 가변성

        박신미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31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패션은 항상적 가치를 지닌 이전의 이미지를 기저에 두고 즉시적인 트렌드 (trend)에 따라 변화한다. 지금까지의 패션스타일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특정한 스타일의 속성을 분석하거나 현상규명에 주력하였으며,보편적으로,패션에서 해체주의와 변화에 관한 연구들은 외형적 형태분석에 국한되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끊임없이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패션스타일의 본질적인 가변성의 원리를 밝혀내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품논리를 정립하는데 있다. 논자는 본 이론을 규명하기 위해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해체주의(Deconstruction)' 논리에 주목하였다. 데리다의 '해체'는 과연 외형적 형태의 해체만을 추구한 것 일까? 그의 이론 내면에는 '차안(La differance)'의 논리가 있으며,이 질료(substance)는 내적 형식(internai form)과 외적 형식(external form) 모두의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패션에서 해체주의적 가변성은 무한한 미적 가치를 창출하는 질적 계기를 제공하며,이것은 내적 형식의 외적인 형태의 재구성으로 표현된다. 상반되는 두 가지 논리 [내면과 외형/항상성과 즉시성/항상적 차연적 이미지와 대 리보충물]의 조화내지는 어울림은 예술창작의 기본덕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스타일의 가변성을 '차연적 이미지들의 놀이'로 해석한다. 또한,이러한 과정은 차연적 틈의 상태에서 변증법적 기호의 맥락으로서 '차연'과 상통하며,패션스타일이 변화하는 속성으로 파악될 수 있다. 다의성을 내재한 데리다의 ' 대리보충(supplement)'이라는 계기는 이러한 맥락을 논의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적 계기이다. 곧,가변적 패션스타일은 변증법적 기호의 맥락으로서 '차연' 그리고 차연적 매개체의 계기로서 '대리보충'에 의해 완성된다. 그러므로 패션스타일의 가변성에서 차연의 틈의 주인인 '대리보충'이 열쇠이고,또한 가장 중요한 이론의 축이다.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증법의 기호학적 맥락으로서 '차연'의 원리에서 차연의 이미지는 헤겔의 '절대적 차이 지움(absolute differentiating relation)'과 '지양(止揚,sublation)'을 분석함으로써 근거로 한다. ▶둘째, 차연적 이미지들은 헤겔의 철학 읽기인 순환하는 변증법적 틀 안에서 움직이며,이 이미지들은 '차연'을 통한 '대리보충' 상태에서 동일화과정을 거치면서 기호화된다. ▶셋째, 차연적 매개체의 계기로서 '대리보충'의 원리는 데리다에 의해 파악되었으며,이것에 대한 구체적인 논거를 플라톤의 '파이드로스(Phaedrus),' 아리스토텔레스의 '해석론(Interpretation),' 루소의 '위험한 보충(Dangerous Supplement)'에서 찾을 수 있다. 논자는 세 번째 이론적 근거를 개진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스타일이 반드시 이상적으로만 표상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대한 논리적 근거를 찾을 수 있었다. 이것은 패션스타일의 가변적 놀이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현존되는 새로운 차연적 이미지가 반드시 이상적으로 표출되지 않는다는 보편적 논리 에대한 이론적 잣대가 된다. 곧, 본 연구에서 패션스타일은 개인차 혹은 현존의 시점에 따라 긍정성과 부정성의 양면성을 내재 한 채로 존재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스타일의 가변성은 각기 다른 차연적 이미지들의 놀이에 의해 전개되며, 이 놀이는 변증법적 틀을 주축으로 한 내부의 차연의 공작소와 외부의 차연의 공작소(工作所)에서 순환하는 운동이었다. '새로운 차연적 이미지들'은 이들 공작소에서 일어나는 영속적인 원환(圓環)와 운동을 통해서만 현존의 시공(時空)에 표상되었다. ▶둘째,패션스타일의 재구성 과정을 통하여 가변화의 놀이전반에 산재되어있는 차연의 하부 목록들인 연기(Postponement), 지연(defermene), 미룸(defer), 유보(reservation), 지체(delay),산종(dissemination), 흩뿌림 (scattering), 재현(representation), 결정불가능성(ihdeterminacy) 그리고 대리보충(supplement)은 각자의 속성에 맞는 역할을 부여 받고 있었다.'차연'은 자신이 놀이의 전면에 나서지 않은 체로 놀이의 작통 권(作統權)만을 틀어쥐고, 자신의 하부의 조직들을 적절히 운용하여 놀이의 장에 침투시키며 유희를 완성해 나갔다. ▶셋째, 재구성의 놀이에서 '차연'과 함께 한번 이상의 놀이를 진행한 차연적 이미지들, 곧 항상적 차연적 이미지, 새로운 차연적 이미지, 산종적 차연적 이미지, 흔적의 차연적 이미지들은 차연의 내부와 외부의 공작소에서 자신의 위치를 공고히 하였고, 가변화의 놀이에서 각자의 역할이 분명하게 구분되어있었다. '차연적 이미지들'은 차연의 공작소에서 자신의 소임을 다하며, 끝없이 진행되는 이 거대한 놀이의 공작소의 주춧돌(礎)이 되어있었다. ▶넷째, 패션스타일의 가변화 놀이에서 촉매제의 역할을 담당하는 대리보충 논리는 플라톤의 '파이드로스(Phaedrus)'를 계기로 이원론적 논리를 보장 받으며 자신의 적절한 위치를 찾아내었고,아리스토텔레스의 '해석론 (Interpretation),'을 통하여 구체화의 방법을 습득하고 차연과의 층차구조를 정립하였으며 그리고 루소의 '위험한 대리보충(Dangerous Supplement),'을 통해 스캔들을 만들어내는 우선권을 틀어쥐었다. 또한,데리다에 의해 다의성과 영속성을 얻어내었다. 하지만, 이들 모두의 담론이 본질 우선주의를 잣대로 언급되고 있다는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 논의되고 있는 대리보충이라는 질료는 이들의 "대리보충"과 궁극적인 속성의 차이를 보였다. 패션스타일의 가변화 과정에서 보이는 '대리보충'이라는 질료는 데리다나 이들 철학자들의 전유물이 아닌 새로운 스타일을 탄생시키는, 곧 자신만의 논리를 세워 현상학적 구조 층들과 구조주의적 구조 층들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중간화의 상태를 지양하는 특수성을 내재한 독립적인 명제이었다. ▶다섯째, 시간의 공간화를 위해 차연의 외부공작소에 부유하는 흔척의 돌이를흔 '유보,' '지연' 그리고 '연기' 의 상태에사 타자의 관점을 수용하는 반성과 성찰을 앙속하며,높은 감성을 지닌 미래의 이미지들의 올바른 거울이 되기 위해 노력하였다. '흔적의 놀이들' 은 과거- 현재. 미 래를 잇는 차연적 놀이의 외부의 공작소에서 일어나는 '유보,' '지연' 그리고 '연기' 의 상태의 놓여있는 한프늬흐·芝프. 로 추구하는 蘆 뾰였 다. ▶여섯째, 새로운 스타일의 재구성을 위한 연구자의 차연적 놀이의 논리를 정립해 본 결과,'패션스타일의 가변성' 은 현존이 요구하는 새로운 개 창조를 위해 끊임없이 지속되는 서로 다른 속성을 지닌 이미지 고리들의 끝이 보이지 않는 순환의 행진으로 규명되었다. 결론적으로,패션스타일의 가변성에서 보이는 '대리보충' 현상과 '차연적 이미지들' 은 변증법적 틀인 차연의 내부의 공작소에서 대리보충이 주도하는 놀이를 통해 구조 층들의 경첩의 간극을 메우고,현존에 가치를 지 닌 스타일을 창출하며,산종의 놀이를 거쳐,보편화된 흔적의 차연적 이미지가 된다. 이 이미지들은 또 다른 새로운 차연적 이미지의 재창조를 위해 자신만의 놀이를 거듭하며,'유보' 와 '지연 ' 그리고 '연기 ' 의 상태에서 어울림의 미학을 완성해나간다. 준비된 역사인 이들은 또 다른 시대의 요구에 의해 항상적 차연적 이미지를 만들고,차연의 틈에서 다시 '대 리보충물' 과의 결합을 시도한다. 이 과정은 시간과 공간이 주도하는 차연적 놀이를 통하여 변증법적 틀 내외에서 무한히 반복하며, 다른 시공(時空) 이 요구하는 새로운 스타일을 지속적으로 탄생시킨다. On entering the 21st century, each field of fashion should not be discussed while excluding style. It is well known that such style takes a role in the breakthrough expressed to the outside of world of fashion by integrating all kinds of different individualities into a design. Saying that the 20th century was the era of "Mode," the 21st century could be certainly defined as the era of "Style." Fashion today cannot be discussed in any way without considering the changeability of constantly reforming fashion styl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 fashion designer's designs are expressed in and as a part of a new style trend. Fashion trend, which shifts along with a generation, is based on the former images with the ultimate values, and varies as the immediate trend changes. Then, how could the attributes of fashion be explained? This study aims to search out the fundamentals of fashion that tend to change continuously.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Jacques Demda's theory of "Deconstruction" in order to proceed with this study. In general, the former studies of "Deconstruction" and "Transformation" in fashion were limited to the external form itself. Is what Derrida pursued only the external deconstruction? In contrast to previous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my thesis by studying the intrinsic changeability principle of fashion style, which always pursues endless transformation. I, as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am convinced that the theory certainly includes "La Differance" and this can be viewed at both the internal form and external form. I believe that the deconstructional changeability provides qualitative opportunities that allow creating limitless aesthetic values in fashion. This is expressed in reconstruction of the external form consolidated into internal form ideas, sensibility which is evidenced in philosophers and artists, and something that enables one to generate distinctive properties of formative arts. The harmony or combination of two contrasting theories is the cardinal virtue in creation of art. I have questioned how the changeability of fashion style could be logically clarified. I eventually realized that this could be elucidated in "La Differant Images Play." The changeability of fashion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La Differant" in the threads of blank spaces of "La Differance," and dialectical codes. This also could be understood as the nature of fashion that ceaselessly alters. I suppose that Derrida's theory of "Supplement" is a clue to discuss such assumptions. In other words, fashion style that constantly changes is completed with "La Differance" in the context of dialectical codes, and "Supplement" as a medium of "Differance" Therefore, "Supplement" is the key to spaces of "La Differance" in examining the changeability of fashion style, and the core of this study. The theoretical basis in deriving the conclusion for this thesis is as follows. First, the principle of "La Differance" in the context of dialectical codes is based on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s theory of "Derabolute Unterschie," and "Aufgehobe." Secondly, 'La Differant Image' move within the circulating dialectical frame, which is Hegel's philosophy interpretation and they become coded by understanding the identification process in the state of "Supplement" through "La Differance." Lastly, the theory of "Supplement" is established by Jacques Derrida, extra concrete data regarding this can be found in Platon's "Phaedrus," Aristoteles'"Interpretation," and Rousseau's "Dangerous Supplement."In the process of advancing the third theoretical basis, I have discovered that a new style was not always ideal, and the current style was not necessarily expressed ideally while the changeability was in progress. Fashion style is quite ambivalent. It can be both positive and negative depending on an individual difference and in the existing point of that time. The conclusion of this thesis is as below. ▶Firstly, changeability of fashion style evolves from the each individual Play of La Differant Image, and this was a circulating motion that centers on dialectical basis within the internal and external place of La differance. ew La Differant Images' were represented in the currently existing space and time, only by the means of everlasting circulation of motion that is happening in the place of creation. ▶ Secondly, the sub-contents of La Differant that exist in the entire play of changeabilit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fashion style, such as postponement, deferment, reservation, delay. dissemination, scattering, representation, indeterminacy and supplement were given the roles that suit their characteristics. La differance took control of the leadership without appearing in the play, and completed the play by appropriately facilitating its sub-contents in the play scene. ▶ Thirdly, the La Diff&ant Images that took part of the reconstruction play more than once with 'La Differance,' namely Ultimate La Differant Image, New La Differant Image, La Dissemination La Differant Image, La Differant Image of the trace, firmly secured their positions in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struction place of La Differant. And the individual roles of each of these images were clearly classified in the play of changeability. 'La Differant images' accomplished their duty in the construction space of La Differance, and they had become the basis of the endlessly progressing enormous play of the construction space. ▶ Fourth, the supplement logic that acts as the catalyst in the play of changeability of fashion style found its appropriate position from securing the dualism theory underscored from Platen's 'Phaedrus.' This logic acquired the embodiment method and erected a hierarchy structure through Aristotle's 'Interpretation.' It also held precedence to make scandal through Rousseau's 'Dangerous Supplement.' In addition it acquired diversity and perpetuity by Derrida. However, from the aspect that their discussions were mentioned on the basis of intrinsic priority, the substance of supplement shows an ultimate characteristic difference with their "supplement." The substance of supplement that is displayed in the process of changeability of fashion style was not an exclusive possession of Derrida or of these philosophers. But it was an independent proposition that creates new style. In other words, it was a proposition that enforces its theory to gain specialty in sublation of the median status in order to fill in the gap between structural layers of phenomenology and structuralism. ▶ frifth, the plays of trace that floats in the external place of La Differance in order to transform time into space, continued to mediate and examine the other's viewpoint in the state of 'reservation,''deferment' and 'postponement.' The play aimed at promoted a good reflection enduring of high-quality future images that endures strong awareness. "The plays of trace" was a play that pursued the harmony of 'reservation', 'deferment' and 'postponement' that occurred in the external site of La differant' Play, which connects the past-present-future. ▶Sixth, by compiling the researcher's creative theory of La differant' Play in an effort to restructure a new style, it is found that 'changeability of fashion style' is an endless circulation of image rings that ha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and which is continuously carried on to re-produce the creations that are required by the current era. In conclusion, the 'supplement' phenomenon and 'La Differant images' shown in the changeability of fashion style, covers up the gap between the structural layers through the play led by supplement logic in the subconscious place of La Differance of dialectical frame. They produce styles that have current value and become generalized La Differant images of trace through The Play of 'La Dissemination.' These images repeat their individual play to reproduce a new different 'La Differant images' and complete the aesthetics of harmony in the state of 'reservation,''deferment' and 'postponement.' The images are ready to make history and they create ultimate 'La Differant images' from the demand of different period, and tries to combine with 'supplement' within the gap of 'La differance.' This process endlessly repeats in the dialectical frame through the La differant' Play led by time and space, and it continuously produces new style that is required by different time and space.

      • 기독청년의 신앙성숙도와 자존감 및 정신건강과의 관계

        박신미 총신대학교 선교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신교 교회소속의 기독청년들을 대상으로 신앙성숙도에 따른 자존감과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연구조사를 하였다. 먼저 설문에 응답한 기독청년들의 전체적인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총 100명의 기독청년들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신앙성숙도와의 관계,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존감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신앙성숙도와 자존감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신앙성숙도에 따른 자존감과 정신건강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얼마나 오랫동안 교회에 출석하였는가 또는 교회에서 어떤 직분을 맡고 있는가, 얼마나 많은 시간 말씀과 기도의 생활을 하는가와 같은 신앙에서의 외적인 변인보다는 구원의 확신을 가지고 지속적인 주일예배 참석과 개인의 삶 속에서의 QT와 같은 꾸준한 경건의 생활, 그리고 선교사의 소명을 가지고 나 자신만을 위한 신앙이 아닌 이웃과 다른 민족을 위한 신앙생활이 개인의 신앙성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자신이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지음 받았고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다는 신앙의 고백 즉, 구원의 확신은 기독교인의 자존감을 형성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학력이 높을수록 자존감이 높다는 것은 단지 학년이 높아진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업무나 학업 등 자신의 전문 분야에 부여하는 의미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셋째, 자기 자신을 가치 있게 여길 줄 아는 자존감이 높은 기독청년은 원활한 대인관계, 긍정적인 사고와 적극적인 행동, 타인에 대한 포용력 등으로 육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신앙성숙도의 세 가지 하위요인 중 교회 안에서의 성도의 교제 및 생활을 나타내는 교회생활성이 신앙성숙도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는 교회 안에서의 성도간의 관계가 각 개인의 신앙과 자존감에 매우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성경에 근거한 개인의 신앙고백과 동일한 신앙고백을 가진 성도들 간의 교제, 그리고 신앙을 통한 친사회적 관계를 이루는 성숙한 신앙을 가진 청년은 자존감이 높으며 정신건강도 건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성숙한 신앙은 자신을 하나님의 소중하고 사랑스러운 존재, 용서와 구속의 은혜를 받을만한 피조물로 받아들이는 건강한 자존감의 핵심이 되며 그러므로 성숙한 신앙에 따른 건강한 자존감은 정신건강에도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 프로선수를 위한 스포츠웨어 디자인 연구 : 여자테니스웨어를 중심으로

        박신미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이 생활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이 차지하고 있는 위치에 따라 그에 맞는 환경조건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며, 그에 적합한 도구나 생활 양식이 필요하기 마련이다. 또한 이러한 환경은 인간의 역할 위치를 대변해주는 요소로 작용하며, 여러 가지 형태로 다른 환경 집단들과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 의복생활에서도 이러한 환경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역할과 환경에 적합한 의복 생활은 개인의 사회생활에서 올바른 역할수행을 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사회 문화가 발전함에 따라 스포츠는 우리생활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다. 1970년대 후반에 이르러 전세계적으로 생활 수준이 높아지고 여가시간이 확대됨에 따라 여가시간을 유용하게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테니스, 골프, 스키, 볼링의 인구가 늘어나 여러 분야에 비전문가들이 고도의 장비를 갖춘 스포츠매니아(sportsmania)로 기반을 잡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스포츠웨어시장은 낙후를 면하지 못하고 있다. 사람들은 자신이 직접 즐기는 스포츠이외에 전문 선수들의 경기의 관람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며, 이 경기가 국가 대항전이 될 때는 그 관심도가 극적으로 높아진다. 스포츠경기에서 경기복은 선수의 컨디션이나 경기 능률을 향상 시키는 한가지 요소로 작용함과 동시에 경기를 관람하는 관객에게 더 많은 것을 보는 즐거움을 주는 요소로 작용한다. 이러한 시대적인 요구 아래 프로 선수를 위한 스포츠웨어의 개발은 시기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사회적인 변화의 기류에 뒤 떨어진 프로 스포츠선수를 위한 스포츠웨어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여러 종목 중 특히 여자테니스선수의 스포츠웨어를 기능성에 맞게 체계화하고 분류된 종류에 따라 선수들 선호하는 테니스웨어 디자인을 연구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로여자테니스선수를 위한 테니스웨어 디자인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제한 범위를 정한다. 첫째, ‘스포츠웨어’라는 단어는 전문 스포츠 선수용 의류로 국한 한다. 그러므로 일반적인 의미의 스포티한 캐주얼이나 여가 활용을 위한 일반인의 운동복은 이 의미에서 제외된다. 둘째, 설문 조사 대상은 본 연구자가 연구하는 스포츠웨어가 프로여자테니스선수를 위한 테니스웨어임을 고려하여 여자 테니스 선수들로 한정하였다. 셋째, 설문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하여 설문의 대상자는 현재 활동하고 있는 국내 프로선수들과 국외 프로선수 그리고 국가대표 선수들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웨어의 일반적인 고찰과 더불어 테니스웨어의 역사와 발전에 대하여 이론적인 기반을 갖춘다. 둘째, 이론적인 기반을 바탕으로 한 설문지를 제작하여 프로 여자테니스 선수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셋째, 테니스웨어의 변천을 고찰하고 현재 시판되는 테니스웨어를 관찰하여 문제점과 수용점을 찾아내고 테니스에서 필요한 기능적인 테니스웨어의 종류를 찾아낸다. 넷째, 이러한 설문조사의 결과와 기능적인 분류를 바탕으로 선호 디자인을 찾아내고 선수들이 필요로 하는 테니스웨어 개발의 기초로 삼는다. 다섯째, 제작된 테니스웨어는 가봉 상태에서 2명의 국가대표선수(박성희, 최주현)와 1명의 국내 프로 선수에게 착장 실험을 하여 기능성에 맞는 디자인 수정과정을 거친다. 여섯째, 테니스웨어의 기능적인 분류는 연습복, 경기복. Wind - up & Moving Wear, Training Wear, Wind - breaker, Warm Wear로 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적인 스포츠웨어는 눈으로 보이는 미적인 디자인요소와 그 종목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기능성이 조화 · 분리 되어야만 재구실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론적 배경과 설문분석 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둘째, 문헌적 자료를 바탕으로 한 이론적배경과 설문조사 및 현재 판매되고 있는 테니스웨어의 상황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자는 테니스에 필요한 기능성웨어의 종류를 6가지로 분류하였다. 기능성에 맞게 분류된 의상의 종류는 연습복, 경기복. Wind-up & Moving Wear, Training Wear, Wind - breaker, Warm Wear 이다. 셋째, 프로여자테니스 선수들에게 테니스웨어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 분석한 결과, 선수들은 유채색 보다는 무채색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오래 동안 이어져온 테니스웨어의 의복 규율때문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현상은 개인 면담 결과 자신감이 없는 선수 일수록 더 강하게 나타났으며 성적이 좋은 선수 일수록 유채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선호하는 색상은 White와 Navy로 나타났으며 경기복의 경우 White를 주조색으로 Navy, Pink, Yellow의 색상을 선호하였다. 넷째, 선수들은 운동 시 불편함이 적은 라운드 네크라언을 가장 선호하였으며 소매는 기본스타일을 하의의 경우는 고무줄형을 선호 하였다. 가장 선호하는 경기복의 스타일은 스커트를 기본으로 한 투피스형이며 투피스형 팬츠(10%)보다 원피스(18%)에 더욱 좋은 반응을 보여 팬츠보다는 경기복으로는 스커트의 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기복 이외의 기능복의 경우 연습이나 이동을 위한 의상이므로 팬츠를 선호하였다. 다섯째, 여밈 방식의 경우 선수들이 선호하는 여밈 방식은 지퍼였으나 이는 보온을 위한 방안복에 만 적용하고 이를 제외한 다른 기능적 테니스웨어의 경우는 입고 벗기가 편리하고 금속성이 없어 피부에 자극이 없는 벌크로를 사용하여 마무리 하였다. 벌크로의 경우 기존의 테니스웨어에 전혀 사용 되고 있지 않으므로 선수들은 이 여밈 방식을 접해 볼 수 없었고 이 여밈방식의 기능성을 검증해 보기 위하여 3명의 선수들에게 벌크로로 여밈 한 테니스웨어를 가봉상태에서 착용 시켜 보았다. 그 결과 세 명의 선수 모두 지퍼보다 벌크로를 선호하였다. 여섯째,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경기복. Wind-up & Moving Wear, Training Wear, Wind - breaker Wear, Warm Wear 등의 분류에 따라서 테니스웨어를 디자인 하였으며 경기복은 4벌, 그 외의 것은 2벌씩 제작하였다. 2벌씩 제작한 의상은 1벌은 기본 기능성을 고려하여 Simple하게 디자인하였고 나머지하나는 이를 바탕으로 미적 디자인요소를 가미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국내의 스포츠웨어 브랜드들이 종목별 의상제작에 관심을 기울인다면 선수들의 경기 능력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의 수준이 날로 높아짐에 따라 급증해가는 스포츠매니아의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브랜드 자체의 판매율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분야에 기존의 스포츠 브랜드들이 연구와 투자를 아끼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According to development of society and culture, sports have been a parts of our life. From the end of 1970s, all over the world, living condition has been getting better and better so people can have plenty of extra time. There was a movement which is that people wanted to use their spare time in usefully way. Now a days many sports (for example tennis, golf, ski, bowling and etc.) Have their own mania. The sport mania helps the sport grow up. By the way sportswear is also a part of sports. However our sportswear market is still in falling behind. These day people consider various sports(even they are not interested in them). Sportswear is an essential part which influences on player's condition or games' efficiency during the playing. In this point I recognized the problem of sportswear. I studied about women's tennis wear in this report. Classified into function and in the other of the division I categorized aesthetics, pleasantness and faculty. The goal of this study is production of functional clothes.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as follows. At first the word "sportswear" is only set limits to professional player's clothes, therefore amateurs' are exclude from it. The second the questionnaires is only for women's tennis players. Because I studied the sportswear of their clothes. The third women's tennis plays are only restricted professional players and members of the national team. The contents of this report are as follows. The first, this research refers to undeveloped sportswear market especially tennis wears. The second I tried to develop tennis wears which are aesthetic, pleasant and fimctional. The third, (for improvement of this research's quality) the category of this report is only professional and members of the national team. I considered the specialty of this report so inquired into general and special knowledge of tennis wear. The last combining the theory and practice (which is from the research), develop women's tennis wears, plan production of them and produce them. There are the methods of study. Firstly, I wrote general knowledge, history and development of tennis and tennis wears. Secondly, made questionnaires and asked professional tennis players and members of the national team. Thirdly, I studied the merits and problems of women's tennis wear, which are marketing, present time, and divided them by function. Fourthly, use the research and find out what players need. And develop tennis wears. Fifthly, samples of developed tennis wear were amended by putting them 2 members of the national team (park sung-hee and choi ju-hyun) and one professional player. Sixthly, separated into exercising wears, game wears, warn wears, wind up & moving wears, training wears and wind breaker wears. Produced 4 game wears and 2 others for each. One is made just simply by function and the other is made fashionably by design and function. Lastly developed productions were wore by professional playas and confirmed their preferenc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showed that members of the national team are in better situation of sports clothes compare to another tennis players. Also preferences of colour, design and tennis wears' disconten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s. The second, functional sportswear should be considered its design and utility. The third, made 6 categories which are exercising wears, game wears, warm wears, wind up & moving wears, training wears and wind breaker wears. The fourth, after the research, produced tennis wears, which have aesthetics, pleasantness and faculty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makes players mere aesthetic, pleasant and functional during the playing. In conclusion if our domestic sportswear companies consider more above research processes they might make players better situation, they could help them being in aesthetics, pleasantness and faculty. Also it satisfies the desire of sports mania, and it is good for their marketing. Sportswear is a part of high value added industry. Consequently our internal sportswear companies should investigate and study more and more.

      • Hyperthermia aggravates Neuronal Apoptosis following Global Ischemia in Gerbils : 저빌에서 전신성 뇌허혈시 고체온증이 신경세포의 Apoptosis를 악화시킴

        박신미 Graduate School Cheju National University 2001 국내박사

        RANK : 247615

        Brain hyperthermia has been known to be implicate in the exacerbated damage of neuronal cells during ischemic insult or recircul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and how hyperthermia (39℃) affects the neuronal apoptosi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brain regions such as hippocampus, thalamus, neocortex, piriform cortex at an early reperfusion stage.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ies occlusion (CCAo) was induced in gerbils for 5 min during which brain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either 37℃ (normothermia) or 39℃ (hyperthermia) followed reperfusion for 48h. Apoptotic cell death was evaluated by terminal deoxyribo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biotin nick end-labeling (TUNEL) and Bax, pro-apoptosis member.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state of astrocyte or microglial cells including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nNOS),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and neuronal nitric oxide sqfnthase (nNOS) within the same brain areas. The numbers of TUNEL-positive neurons were increased within neocortex and hippocampus in hyperthermic(HT) animals. but not in normothermic (NT) and sham-operated animals at 48 h after reperfusion. The numbers of Bax-positive neurons were increased within the hippocampus, thalamus, neocortex and piriform cortex in HT animals, but not within neocortex and piriform cortex in NT animals. The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immunoreactivity of HT animals was increased in the hippocampal region compared with that of NT animals. In contrast with NT animals, the intensive activation of microglial cells by isolectin B4 histochemistry could be seen in the hippocampus. thalamus and neocortex region in HT animals. The nNOS-positive cells between the HT and NT animals were not changed in these regions. However, the iNOS-and eNOS-positive cells (abundantly in neuron) were highly increased within the hippocampal CAI region in HT animals.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hyperthermia may be one of the crucial factors in acceleration of the neuronal apoptosis by the elevation of iNOS express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microglia and astrocyte after ischemic injury. Brain hyperthermia has been known to be implicate in the exacerbated damage of neuronal cells during ischemic insult or recirculation.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and how hyperthermia (39℃) affects the neuronal apoptosi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brain regions such as hippocampus, thalamus, neocortex, piriform cortex at an early reperfusion stage. Bilateral common carotid arteries occlusion (CCAo) was induced in gerbils for 5 min during which brain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either 37℃ (normothermia) or 39℃ (hyperthermia) followed reperfusion for 48h. Apoptotic cell death was evaluated by terminal deoxyribonucleotidyl transferase-mediated dUTP-biotin nick end-labeling (TUNEL) and Bax, pro-apoptosis member.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state of astrocyte or microglial cells including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nNOS), endothelial nitric oxide synthase (eNOS) and neuronal nitric oxide sqfnthase (nNOS) within the same brain areas. The numbers of TUNEL-positive neurons were increased within neocortex and hippocampus in hyperthermic(HT) animals. but not in normothermic (NT) and sham-operated animals at 48 h after reperfusion. The numbers of Bax-positive neurons were increased within the hippocampus, thalamus, neocortex and piriform cortex in HT animals, but not within neocortex and piriform cortex in NT animals. The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immunoreactivity of HT animals was increased in the hippocampal region compared with that of NT animals. In contrast with NT animals, the intensive activation of microglial cells by isolectin B4 histochemistry could be seen in the hippocampus. thalamus and neocortex region in HT animals. The nNOS-positive cells between the HT and NT animals were not changed in these regions. However, the iNOS-and eNOS-positive cells (abundantly in neuron) were highly increased within the hippocampal CAI region in HT animals. Therefore, our results suggest that hyperthermia may be one of the crucial factors in acceleration of the neuronal apoptosis by the elevation of iNOS expression through the activation of microglia and astrocyte after ischemic inj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