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 시민의 범죄예방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순진(Park, Soon Jin) 한국피해자학회 2021 被害者學硏究 Vol.29 No.2

        일반인은 누구든 가능하면 범죄를 겪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이 논문은 일반 시민이 시도하는 범죄예방 행위를 살펴보고 개인의 범죄예방 행위가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다. 일반인이 인식하는 범죄에 대한 두려움은 당사자에게 범죄피해를 예방하는 다양한대응 방안을 모색하게 하고 상황에 따라 적절한 범죄예방 행위를 구체적으로 시도하게 만든다. 범죄피해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 언론을 통한 범죄 노출, 지역사회의 무질서와 공식·비공식적 통제, 범죄 발생 추세와 지역사회의 안전에 대한 인식 역시 일반인의 범죄예방 행동에 영향을 준다. 범죄피해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처한 상황에 대한인식에 근거하여 적절한 범죄예방 행위를 선택한다. 이 논문에서는 개인의 범죄예방 행위를개인적 방어행위, 개인적 회피행위, 집합적 예방 활동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일반 시민은범죄로부터 자신의 생명과 신체, 그리고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치나 행동을 취하고 있는데, 셋으로 구분한 범죄예방 행위 가운데에서는 개인적 방어행위를 가장 많이 하고, 다음으로 개인적 회피행위를 많이 하며, 집합적 예방 활동을 하는 비율이 가장 작았다. 범죄예방 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은 셋으로 구분한 종속변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개인적 방어행위 모형, 개인적 회피행위 모형, 집합적 예방 활동 모형에서일관되게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낸 요인은 교육 연수, 범죄피해 취약성, 범죄정보 노출, 지역사회 무질서, 일반적/구체적 범죄 두려움이다. 사람들은 교육 수준이 높을수록, 범죄피해 취약성이 높을수록, 범죄정보 노출이 빈번할수록, 지역사회 무질서를 높게 평가할수록, 범죄 두려움이 클수록 개인적 방어행위, 개인적 회피행위, 집합적 예방 활동 등을 더 많이 하는 것을알 수 있었다. In general, people try not to experience any crime. This paper examines individual crime prevention activities and attempts to analyze what factors affect individual crime prevention activities. Fear of crime perceived by individuals makes them come up with various countermeasures to prevent crime victimization and specifically attempt appropriate crime prevention activiti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Perception of the seriousness of crime, exposure to crime through the media, social disorder and formal and informal control of the community, and perception of crime trends and safety in the community also affect individual crime prevention activities. Individuals who are likely to be exposed to crime vitimization choose appropriate crime prevention activity based o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their situation. In this paper, individual crime prevention activities were divided into personal defensive measures, personal avoidance measures, and collective prevention activities. Individuals take a variety of measures or actions to protect themselves and property from crime,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three crime prevention activities being personal defencive measures, followed by personal avoidance measures, and collective prevention activities.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crime prevention activities differed depending on the dependent variables. Consistently significant factors in the Personal Defensive Measure Model, Personal Avoidance Measure Model and Collective Prevention Activity Model include level of education, vulnerability to crime, exposure to criminal information, community disorder, fear of general and specific crime. Looking at individual crime prevention activities, I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the vulnerability to crime, the higher the exposure to criminal information, and the higher the fear of crime, the more personal defense, personal avoidance, and collective prevention.

      • KCI등재
      • KCI등재

        배우자 살해의 유형과 특징

        박순진(Park Soon Jin) 한국공안행정학회 2006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2 No.-

        배우자 살해는 모든 범죄 가운데 가장 심각한 범죄의 하나라고 볼 수 있으며, 배우자 관계에서 일어날 수 있는 가장 극단적인 형태의 상호작용이자 치명적인 결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사건 기록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배우자 살해 사건의 주요 특징과 동기, 진행경과 등을 살펴보고, 특히 사건의 진행과정을 사건 발생 이전에 당사자 사이에 형성된 상호작용의 성격과 관련지어 논의하고 있다. 분석결과 남편에 의한 아내살해와 아내에 의한 남편살해는 사건의 동기나 진행과정에서 다소 분명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배우자 살해 사건에서 가정폭력이 문제가 되는 사건이 드물지 않았는데, 이때 가정폭력의 가해자는 남편에 의한 아내살해와 아내에 의한 남편살해 모두에 있어 남편인 경우가 보다 일반적이었다. 배우자 관계가 한쪽에 의한 다른 쪽의 살해라고 하는 극단적 상호작용에 이르게 하는 또 다른 주요 요인으로는 사랑과 증오에 관련된 문제를 들 수 있다. 남편에 의한 아내살해에 있어서는 아내의 외도나 결별요구와 관련된 사건이 적지 않았고, 아내에 의한 남편살해에서는 남편의 의심이나 집착이 문제가 되는 사례들이 다수 있었다. 그러나 배우자 관계가 그 특성상 장기간 지속되면서 형성되고 변화해온 다면적이고 복합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배우자 살해는 단순하게 이해하기 어려운 다양한 동기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건의 진행과정 역시 배우자 사이의 상호작용이 가진 복잡한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Marital homicide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most condemned crime and the most tragic outcome of spousal relationship. The study examin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ajor motives of murders in spousal relations. It reviews the proceedings of acts and events in the criminal scenes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 intera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fatal couples. It analyses 56 cases of criminal homicide in intimate relationship indicted for three years from 1995 to 1997 in Seoul. These 56 cases have 68 offenders and 61 victims. It is found that the histories of family violence and situations involving in the love triangle are two most important factors leading to fatal attacks in spousal relations. About half of the cases have histories of violence by offender or victim. There a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motives and proceedings of homicides among married couples. More than 40% of males who kill their female partners are perpetrators of family violence, but most of females who kill their male partners do so after suffering repeated violent attacks. People might kill their mates because they find themselves involved in love triangles. Females are likely to have higher risks of lethal attacks by their husbands when they are engaged in love affairs with men other than their own husbands and when they are suggesting divorces or making estranging gestures to their mates. Males are likely to have higher risks of fatal attacks by their own wives or allies of their wives when they distrust and cling to their estranged partners. While histories of violence and affairs of love triangle are most important factors leading to fatal outcome in spousal relations, it is not easy to classify marital homicides into several distinct types. Marital relationships generally have long histories and multi-faced aspects of interaction which affect the motives and proceedings of fatal attack. The study proposes that marital homicide should be viewed as a outcome of dynamic exchanges of struggle tactics between husband and wife not only in the narrow context of criminal scene but also in the wider context of violent and non-violent interactions.

      • KCI등재

        1990년대 강도 및 철도범죄의 변화추세

        박순진(Park, Soonjin) 한국피해자학회 2003 被害者學硏究 Vol.11 No.1

        This study examines short-term trends in robbery and theft using the Analytical Report on Crimes(official statistics published annually by the Supreme Public Prosecutors' Office) and Crime Victimization Survey(victimization data surveyed every 2-3 years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While the official statistics showed increasing rates since early 1990s, the victimization data indicated rather decreasing rates. The difference in the trends between the official statistics and victimization data is more obvious in late 1990s, especially since the beginning of economic crisis in 1997. The official statistics and the victimization data can be useful making inference about crime situations in Korea. But the official statistics compiles only the criminal incidents known to the police. The victimization data also has some problems defining and surveying the crime victimization. The study analyses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data and summaries the trends in the rates of robbery and theft since 1990. The rates in official statistics are analyzed by decomposing sub-categories of each crime. Three victimization data are checked their comparability with official statistic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increase in the official statistics might be taken as a sign of increased reporting.

      • KCI등재

        가족내 갈등 상황에서의 폭력 사용에 관한 연구 : 상호작용론적 설명을 중심으로

        박순진(Park Soon Jin) 한국공안행정학회 201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1 No.3

        이 논문은 갈등 상황에서의 폭력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있다. 일상생활에서 갈등은 드물지 않게 일어나는데 모든 갈등이 폭력으로 귀결되는 것은 아니다. 갈등이 폭력으로 악화되는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행위자의 기질적 특성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갈등의 내용과 갈등의 전개 상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다양한 유형의 대인 관계 가운데 상호작용 밀도가 높고 갈등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가족내에서 일어난 갈등 상황에서의 폭력 사용을 분석하고 있다. 분석에 사용한 자료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서울시와 6대 도시의 20세 이상 성인을 표본 조사한 자료이다. 원 자료에서 가족관계에서 갈등이 발생한 사례를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폭력 사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폭력의 원인을 설명하는 이론을 범죄성향론과 범죄상황론, 상호작용론적 설명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분석 모형을 설정하였다. 회귀모형에 포함된 변수는 범죄성향을 나타내는 요인, 갈등의 내용 및 특성 요인, 갈등 상황에서 당사자의 행위 등이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갈등 상황에서 폭력 사용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범죄 기회요인, 응답자의 철회 · 회피 행동, 상대방의 폭력 사용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갈등 상황에서의 폭력 사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폭력적 대면상황에서 마주한 당사자 사이에 진행되는 상호작용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It studies the causes of violence in conflict situations. Conflict situations are common in everyday life, but most of them do not result in violence. Violent outcomes can be explained by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 the interaction process in conflict situations and individual risk factors of crime. It examines conflict and violence in the family where interaction processes are more dense and conflicts are more frequent than those in any other personal relationships. It analyses subsample cases reporting conflict in the family, which are selected from the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citizens aged 20 and above in the Seoul and 6 biggest cities. It evaluates logistic regression models to explain the violent outcomes from conflict situations. As it reviews the criminological theories explaining violence from dispositional perspectives and situational perspectives, the regression model includes variables representing individual dispositions of crime, the characteristics of conflict and the actors' reactions in violent situations.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models shows that the variables representing criminal opportunity, withdrawal/avoidance and violent reaction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violent outcomes. The result implies that situational explanations are more valid than dispositional explanations. It proposes that violence can be better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interaction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