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燕巖(연암) 朴趾源(박지원)의 漢詩文學(한시문학)

        박수천 ( Soo Cheon Park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5 石堂論叢 Vol.0 No.61

        연암 박지원은 조선 후기 영·정조 시대의 최고 문장가였지만 여타의 문인들에 비해 한시는 많이 짓지 않았다. 평소에 그가 한시 짓기를 그리 즐겨하지 않았고, 그가 지었던 한시 작품도 보관이 잘 되지 않아현존하는 한시 작품들은 모두 50수 정도이다. 그러나 박지원의 한시작품이 이루어낸 문학성은 일찍부터 그의 문장들 못지않게 높은 평가를 받아 왔다. 현존하는 박지원의 한시에서 가장 두드러진 모습은 古調장편의 작품들이다. 그의 古調장편 작품들은 모두 매우 긴 편폭으로 구성되어, 탁월한 문장가로서의 필력과 역량이 한시 작품에서도 유감없이 발휘되었다고 하겠다. 박지원이 시를 즐겨 짓지 않았다고 하지만, 때에 따라 거침없는 필력으로 도도한 氣勢의 장편을 만들어내는 뛰어난 솜씨를 보였다. 박지원은 한시를 지을 때 근체시의 격률에 얽매이는 것을 매우 싫어하였다. 律詩와 絶句는 그 형식의 구속으로 인해 가슴속의 말을 자유롭게 쏟아낼 수 없어 항상 그것을 못마땅하게 여겼다고 한다. 이로 인해 그는 근체의 율조를 벗어나 古風으로 여러 편의 작품을 창작해냈다. 박지원이 써낸 단형의 고체 작품들은 그가 평소 지향한 ‘朝鮮之風’의 한 측면을 보여준다. 그는 『영處稿』에 서문을 쓰면서 李德懋가 조선의 森羅萬象을 시편에 담아내었으니 그것을 ‘朝鮮之風’이라 부를 만하다고 말했다. 李德懋의 시에서는 우리나라 말을 시로 적고 민요에 다 운을 달아 자연스런 작품을 이루었던 점을 지목했는데, 박지원 스스로도 그의 시작품에서 우리말을 한자로 옮겨 적거나 우리나라만의 풍속을 작품에 그려내고자 하였다. 박지원은 근체시의 격률에 구속되어 詩想을 자유롭게 펼치지 못하는 것을 싫어하여 근체시를 짓다가는 그만두어 버리는 일이 잦았다고 한다. 그러나 박지원도 조선 시대를 살았던 문인이라 修學期에는 과거를 염두에 두면서 근체시 형식의 작품 쓰기를 배제하지 않았고, 燕行시기에도 근체의 작품을 많이 썼던 것으로 보인다. 실제 『燕巖集』에는 고체시보다 근체시 형식의 작품이 더 많이 남겨져 있기도 하다. 박지원의 근체시는 5언보다 7언의 작품이 많아, 그가 근체시를 쓸 때 7언의 형식을 더 선호했다고 이해된다. 7언은 5언보다 글자 수를 더 많이 쓸 수 있어서 가슴속의 회포를 막힘없이 드러내기에 한결 편리했기 때문이라 여겨진다. 그의 한시 작품에서는 寫實적 繪畵性이 두드러진 典實함의 풍격이 돋보인다. Yeonam Park Ji-won was a famous prose writer of the later period of Chosun dynasty(especially the king Yeongjo and Jeongjo period). His poems are not so much, but the literary level was estimated very highly. The conspicuous point is the Old style long form poem on the Park Ji-won’s poems. His the Old style long form poem was created very long, that showed his force of writing as an excellent prose writer. Park Ji-won didn’t like the restriction of the New style poem. So he wrote many poems using the Old style which broke rules of the New style. His the short Old style poem showed the Chosun style which he wanted to make on his literary works. Park Ji-won hated restriction of the New style poem, so he quit writing that form works very often. But he was a writer of Chosun dynasty, he did not exclude writing the New style poems. Actually there are many the New style poems on his works collection 『Yeonamjib』. He wrote more poem works as 7 letter form than 5 letter form. On his poem works, the realistic inclination is remarkable such as realistic paint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창강(滄江) 김택영(金澤榮)의 「잡언(雜言)」에 나타난 신운(神韻)의 문학론(文學論)

        박수천 ( Park Soo-cheon ) 한국한시학회 2017 韓國漢詩硏究 Vol.25 No.-

        滄江 金澤榮의 「雜言」은 대부분의 기사가 문학 비평을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별도로 한 편의 詩話書라 해도 좋을 만큼 한시와 고문 문장에 대한심도 있는 논의를 집중적으로 펼쳐내 보인 저작이다. 김택영이 「雜言」에서 보여준 그의 문학비평은 神韻에 대한 논의에 중점이 놓여 있다. 김택영은 평소 여러 문인들의 문학에 대한 비평 작업을 했고, 「雜言」에서도 작가와 작품의 실제비평을 두루 수행해 보였다. 김택영의 작가비평은 기본적으로 神韻의 문학론을 그 준거로 삼고 있다. 그가 자신의 문학론을 神韻이라 직접적으로 피력하지는 않았으나, 「雜言」의 여러 기사에서 그가 문학의 神韻을 추숭한 내용들이 자주 나타난다. 그는 神韻을 처음 제창한 淸나라 王士禎의 시에 대해 그 格法이 지극히 脫灑한데다 調律이 기묘해 쉽게 도달할 수 있는 바가 아니라 평가했다. 格法과 調律은 작품의 神韻을 이루기 위한 기본적인 요건이었다. 김택영이 「雜言」에서 논의한 ‘調律’과 ‘聲’은 ‘聲律’의 또 다른 표현이라 할 수 있다. 그는 神韻의 문학성에 관여하는 聲律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했던 것이다. 그는 작품의 意趣가 聲律과 어우러져 天然의 자연스러움을 이루어야 神韻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했다. 김택영은 한시뿐만 아니라 고문의 창작에서도 神韻의 경지를 지향하였다. 그는 문장의 문학성을 이루는 중요한 측면으로 香, 味, 色, 聲을 거론했다. 옛 문장가들의 명편에는 향기, 맛, 빛깔, 소리가 갖추어져 있으니 그것의 아름다움을 독자가 느낄 수 있어야 한다는 견해였다. 김택영은 문장에 있어서도 天然의 자연스런 법칙을 강조하였다. 그가 말하는 훌륭한 문장은 그렇게 쓰지 않을 수 없는 자연스러움을 구현한 것이었다. 그는 神韻의 문장에는 沛然한 기세를 갖추어내야 하지만, 이것은 억지로 글자를 만들고 억세고 험난한 구절을 만든다고 해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했다. 문장의 沛然한 기세를 이루려면 起承轉合의 법식에 의해 적절한 순서를 얻어서 반복과 출입에 그 변화를 다해야 하고, 墜抗과 長短에 그 기세가 거세게 물결치듯이 표현되어야 한다고 논의했다. 김택영은 고문의 오묘함이 神에 있다고 말했는데, 神은 작가가 지닌 창작능력으로 情이나 氣를 넘어선 더 높은 단계를 의미한다. 그런 신묘함은 변화가 자유로워 작품에서 淺深과 强弱과 大小를 자연스럽게 구현해 낼 수 있으니, 구태여 억지로 험괴하고 난삽한 글자와 구절을 쓰지 않더라도 문학성 높은 고문 작품을 지을 수 있다는 견해이다. 김택영은 「雜言」에서 고문의 높은 문학성을 神韻이라 표명한 것이라 하겠다. Kim Taeg-young(金澤榮)’s 「Jabeon(雜言)」 is a kind of book mainly written literary critique thought. Almost of the articles are concerned to literary critique, so that book can be called one of Sihwa(詩話). He emphasized on the literariness of Shinoon(神韻) on the 「Jabeon(雜言)」. Kim Taeg-young(金澤榮) estimated Yi Jea-hyun(李齊賢) and Shin Wee(申緯) as the best poet during Korean literary history. He used the literariness of Shinoon(神韻) as his criterion on discussing writers. He didn’t argue Shinoon(神韻) as his own literary theory directly, there were many articles about Shinoon (神韻) on the book 「Jabeon(雜言)」. The formality and rhythm were any basic requirement to make the literariness of Shinoon(神韻). The rhythm which he discussed was more than the simple Pyeongcheuk(平仄) of the poem works. H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sound euphony considering Shinoon(神韻). He thought that Shinoon(神韻) could be made by natural harmony of meaning and sound of works. Kim Taeg-young(金澤榮) wanted to make the literariness of Shinoon(神韻) on writing the Old style prose(古文). He showed fragrance(香), taste(味), color(色), sound(聲) as the important side making the literariness of the Old style prose. He stressed the natural law coming from sky(天然) on the Old style prose. He argued that the outstanding prose works were making the natural law coming from sky(天然). He discussed that the outstanding prose works made the law of four steps of composition(起承轉合). The four steps of composition is an order of unfolding argument, that means the prose must have well-ordered logic. He discussed that the prose must have strong sprit. So the prose make a proper well-ordered meaning written by the law of four steps of composition.

      • KCI등재
      • KCI등재

        이계(耳溪) 홍량호(洪良浩)의 문학론(文學論)과 시문학(詩文學)

        박수천 ( Soo Cheon Park ) 한국한시학회 2015 韓國漢詩硏究 Vol.23 No.-

        홍양호의 문학론은 자연스런 天機의 발현으로 집중되고 있다. 그의 문학론에서 여타의 비평가들과 대비되는 독자적인 면은 문학을 經과 緯로 풀어내고 있다는 점이다. 그는 문학이란 바로 經緯라 할 수 있는데, 날줄인 經은 道로 이루어지고 씨줄인 緯는 氣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베틀에서 베가 짜지듯이 날줄의 道와 씨줄의 氣가 서로 교차해 얽혀져 자연스럽게 篇章을 형성하게 되면 이것이 바로 문학 작품이라 말한 것이다. 이러한 道와 氣가 錯綜되어 문학 작품이 되는데, 道는 문학에 실려야 밝게 드러나게 되니 상호간의 의존관계는 서로 떼 낼 수 없는 것이란 생각이었다. 그의 道는 성인의 윤리적 道學에 매인 것이 아니라 천지자연의 본래적인 모습을 수용한 道였다. 홍양호는 문학의 典範과 표준으로서 至高不變하는 道가 존재함을 인정하고, 단지 시대에 따른 문학적 현상이 그 道와 이격되어 나타났음을 지적하였다. 불변의 道는 언제나 존재해 왔으나 그것을 체득해 문학으로 드러낸 모습은 시대마다 달랐고, 특히 근체시 성립 이후로는 문학이 지나친 격식에 치우쳐 자연스런 道의 발현은 더욱 멀어지게 되었다는 진단을 했다. 홍양호의 문학관은 天機之眞과 性情之正이 자연스럽게 발현된 작품이 바로 至高不變의 道에 합치하는 것이란 견해인데, 우리나라의 근체시 작품은 전혀 그렇지 못함을 안타까워했다. 홍양호의 고체시 작품에 대해 淸의 紀윤은 和平하면서도 溫厚해 재주를 부리는 사람의 곱게 꾸미고자 하는 모습이 없다고 평가를 했다. 또 그 내용이 백성들과 나라를 늘 잊지 않고 생각하고 있어 일반적 名士들의 放誕하거나 풍류를 드러내는 기운이 없음을 지적하였다. 이는 그의 고체 작품들이 보인 道氣의 詩敎적 면모를 높이 평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홍양호는 그의 시 창작에 있어서 古調의 장편시만 고집하지 않았다. 오히려 고체의 형식을 이용한 작품은 실제 그의 문집에서 극히 일부분에 지나지 않고, 그의 詩稿는 대부분이 근체시로 채워져 있다. 그는 근체시의 폐단을 깊이 인식했기에 그 폐단을 스스로 극복하고 자연스런 율조를 구사하면서 天眞한 道氣를 드러내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홍양호는 자신의 근체시에서 자연스러움을 이루어내고자 하였다. 비록 근체의 형식을 활용했지만, 격식에 매인 흔적이 없이 자신의 정서를 자연스럽게 표출하고 있다. 홍양호는 자신의 평생 시작품에 唐風을 구현하고자 했다. 그의 唐風 추구는 꾸밈없는 자연스러운 道를 강조한 그의 문학론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홍양호가 처음 燕京으로 사신갔을 때 만났던 戴衢亨은 홍양호의 시작품을 보고 그것의 ‘淸주老健’함을 높이 칭찬했다고 하였다. 淸주와 老健은 작품이 淸新하면서도 힘이 있으며 솜씨가 익숙해 대가의 노련함을 갖추고 있음을 지목해 말한 것인데, 이것이 바로 홍양호가 그의 시작품에서 추구한 문학성이었다. The literary theory of Hong Yang-ho(洪良浩) was the presentation of the profound secrets of Nature(天機). He insisted that the literary was such as Warp and Woof(經緯). It means that literary is same making clothes using cotton machine. He recognized the existing Tao(道) as a standard and model of literary which was not changing with highest level. Especially he thought that the new style poem(근체시) followed strict form so that was far from natural Tao(도). As his view point of literary, he estimated highly the works that showed the true presentation of the profound secrets of Nature(天機). Hong Yang-ho(洪良浩) emphasized the beauty of the Old style poem(고체시), his Old style poems were evaluated as moderation and deep gentle(和平 溫厚). But he didn`t write only the Old style poems. His Old style poems are not so many, on the contrary he wrote the new style poems much more. He wanted to make Nature on his New style poems. Although he used the New style poem, he expressed his emotion naturally without restricted by formality. Hong Yang-ho(洪良浩) wanted to make the T`ang style(唐風) on his poem works. His T`ang style(唐風) goes along with his literary theory that emphasizes pure natural Tao(道). His New style poems were estimated as being fresh strong and stout experienced(淸주老健). That was the literariness which Hong Yang-ho(洪良浩) pursued to establish on his poem works.

      • KCI등재
      • KCI등재

        연천(淵泉) 홍석주(洪奭周)의 시론과 한시문학

        박수천 ( Park Soo-cheon ) 한국한시학회 2018 韓國漢詩硏究 Vol.26 No.-

        연천(淵泉) 홍석주(洪奭周)의 시론은 성정(性情)과 천기(天機)에서 출발해 감인(感人)과 기실(紀實)의 문제로 집약된다. 그는 사람의 성정에서 근본한 시란 작가의 천기가 발현된 것이라 단적으로 말하였다. 그의 성정과 천기의 문학적 논의는 시작품의 ‘감인(感人)’이란 효용론으로 이어진다. 홍석주는 시의 비평적 층위를 ‘의(意), 사(辭), 기(氣)’의 셋으로 나누고 그 각각이 구현해야 할 문학성이 ‘진지(眞摯), 조달(條達), 유동(流動)’이라 말했다. 시작품에 담아낼 작가의 의(意)는 진지해야 하고, 그것을 위해 작품에 구사하는 사(辭)는 조리[條]가 있고 잘 전달[達]될 수 있어야 하며, 작품의 전체적 기세는 자연스럽게 흘러 움직여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이어 시작품의 쓰임[用]은 사람을 감동시키는 것[感人]이라 말해, 그의 시론의 가장 독자적인 측면은 바로 감인(感人)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홍석주는 자신의 시대에서 모의(模擬)와 부화(浮華)한 형식에만 빠져 있는 문단을 비판적 시각으로 보아, 이에 시문학의 근본적 문제를 거론해 감인(感人)의 논리를 한층 더 크게 부각시킨 것이었다. 결국 감인(感人)의 시론은 홍석주 자신이 살았던 그 시대 문단이 지닌 현실적 폐단에 대한 문제 인식과 그 진단에서 도출된 논의라 할 수 있다. 홍석주는 시작품이 진정한 감인(感人)의 효용을 가지기 위해서는 의도된 인위적 꾸밈을 철저히 배격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그는 근체시가 지닌 인위적 율격에 대해 부정적인 논의를 펼쳐 보였다. 시의 올바른 길은 응당 사람을 감동시키는 것인데, 율시가 나온 이후에는 억지로 규정된 율격을 맞추려다 보니, 자연스러운 천기(天機)의 발현과는 거리가 멀어져 마침내 감인(感人)의 시가 되지 못했다고 논의하였다. 홍석주는 당시의 문단을 비판하면서 올바른 문학 창작의 한 방법으로 기실(紀實)을 제시한다. 홍석주는 시작품이 천기자연(天機自然)의 참된 성정을 온전히 발현해 내려면 서정을 하면서 기실(紀實)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기실(紀實)의 논의는 홍석주가 기존의 진경(眞景)과 진시(眞詩) 주장을 끌어와 다시 창작방법론의 핵심적 지향점으로 부각시킨 것이었다. 홍석주의 한시작품에서는 평담(平淡)과 사실(寫實)의 문학성을 대표적인 시적 성취로 거론할 수 있다. 그가 시론으로서 개진한 감인(感人)과 기실(紀實)의 논의가 자신의 작품에서는 평담(平淡)과 사실(寫實)의 문학성으로 표출된다고 하겠다. 평온(平穩)하고 담박(淡泊)한 작품적 풍격(風格)은 홍석주의 시편에서 일찍부터 나타나 보인다. 홍석주는 주로 근체시에서 자신의 작품적 문학성을 이루어냈는데, 별도로 일반적 문인들에 비해 고시(古詩) 작품을 많이 남긴 점이 하나의 특징적 면모라 할 수 있다. 홍석주의 시편에는 기실(紀實)의 시론에 따른 사실적(寫實的) 표현이 상당히 두드러지는 편이다. 눈앞의 실경(實景)을 진솔하게 그려내는 작품들이 시문집에 두루 나타나 있어, 기실(紀實)의 지향은 그의 시론과 작품 창작의 기본적 토대였던 것으로 보인다. 홍석주가 자신의 시편에서 평담(平淡)과 사실(寫實)의 문학성으로 지향한 귀결점은 바로 감인(感人)이었다. 작품에서 자신의 진정(眞情)을 자연스럽고 솔직하게 표현함으로써 결국은 그것을 읽는 사람들의 공감을 기대한 것이었다. The poem theory of Hong Seog-joo(洪奭周) is focused on Impressing-someone( 感人) and Recording fact(紀實) that were starting from One’s real nature(性情) and the profound secrets of Nature(天機). He insisted directly that the poems expressed one’s own real nature were expressing of writer’s the profound secrets of Nature. His such theory of literature related on the pragmatic theory named Impressing-someone. Hong Seog-joo(洪奭周) had the censorious view on the current literary circles which showed only imitation and splendid appearance. So he emphasized the theory of Impressing-someone more. After all, his theory of Impressing-someone was come from recognizing problems and diagnosis of the his days literary circles. He showed theory of Recording fact(紀實) as the new and correct literary writing method. He stressed on the Recording fact if literary works expressed One’s real nature(性情) wholly without missing truth. Hong Seog-joo(洪奭周) expressed the literariness of Plane light(平淡) and Realistic(寫實) on his poems especially. His theory of Impressing-someone(감인(感人)) and Recording fact(紀實) made the literariness of Plane light and Realistic on his poems. Such literariness came out several poem works his early days. According to his poem theory, he made realistic expression frequently on his many poem works. So intending to Recording fact(紀實) was his basic theory of making poem work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