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응급구조학전공 학생의 병원 임상실습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소미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Objective: Paramedics are critical in Emergency Medical Services since they undertake the task of emergency treatment and facilitate communication in both prehospital and in-hospital emergency situations. Emergency Medical Services becomes truly valuable when its accumulated theories are translated into practice. Universities divide field training into hospital training and ambulance training.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which is implemented as part of education programs for Emergency Medical Services at universities and hospitals. Therefore, the study will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and provide basic data for more efficient clinical training.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402 paramedic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training, starting from September 6 until October 12. The study was limited to only the cases where the emergency rooms are the most recent department that has undergone clinical training and where they have resident paramedics at the same time. The students were explained about the purpose and intention of the study by phone and the questionnaires have been collected with their concent.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a total of 49 questions. Using SPSS 18.0 frequency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liability of satisfaction ranged from 0.770 to 0.927, as measured by Chronbach's alpha. Results: 1.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hospita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clinical training (F=9.314, p=.000), and how many weeks clinical training continued (F=16.073, p=.000). In terms of the satisfaction of the clinical training also showed difference depending on the frequency (F=8.837, p=.000), and the duration (F=11.215, p=.000).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hospitals varied according to clinical training managers (F=7.322, p=.000), whereas the satisfaction of the clinical training differed depending on clinical training managers (F=5.418, p=.000).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hospitals and clinical training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when the clinical training guidance was given (F=6.563, p=.000).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orientations and lectures were given (F=9.175, p=.000). 2.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showed the strong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training hospitals (r=.694, p=.000).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also indicated relatively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trainees’s preparation before the clinical training (r=.460, p=.000),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Emergency Medical Services(EMS) Department education (r=.405, p=.000), while it had the averag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paramedics (r=.251, p=.000). However,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showed a sligh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clinical training experiences (r=-.195, p=.000). 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As a result, the satisfaction level about clinical training hospitals had the strongest explanatory power of 48.2%, the preparation before the clinical training(5.4%), the satisfaction of EMS Department education(1.0%), the frequency of clinical training experiences(0.8%), and the total duration of clinical training(0.7%). These five variables accounted for 56.1% of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training among paramedic students. Conclusion: Universities should provide clinical training guidances and orientations in order to help students thoroughly prepared before clinical training. Hospitals should designate paramedics as preceptors. A legal revision is necessary to ensure that hospitals’ clinical training is conducted based on relevant laws, which in turn will make clinical training more efficient. Since resident doctors and nurses in emergency rooms have the closest and most immediate relations with paramedics, they should make continuous efforts to facilitate mutual communication and participate in paramedic clinical training and students’ hospital clinical training. As student’s satisfaction of the clinical training increases, the quality of paramedics is expected to improve in the future. As a result, would-be paramedics can be nurtured to be highly skilled in on-the-spot emergency situations right after graduation. Paramedics at emergency sites, hospitals and other various institutions, will contribute to enhancing the survival rates of emergency patients by providing accurate and reliable emergency medical services. Key Words: Clinical Training, Paramedic Students, Satisfaction

      • 광주지역 대학생의 유튜브 음식 콘텐츠 이용과 배달음식 섭취실태에 관한 연구

        박소미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as the so-called 'externalization of eating life' is rapidly progressing due to the nuclear family, busy daily life, and the pursuit of convenience, the so-called 'externalization of food life' is rapidly developing, so the use of ordered food that can be conveniently delivered is rapidly developing. In addition, the use of delivery food is on the rise due to the explosive growth of YouTube food content. In particular, the dietary habits of college students, which prioritize preferences over nutrition, can lead to an increase in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nd an increase in social medical costs, so a solution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ctual consumption of delivered food by university students in Gwangju who have experience in using YouTube food content, and to examine the degree of dietary guidelines implementation, perception of delivery food, general characteristics,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delivery food intake according to the use of YouTube food cont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meaningful basic data for the healthy eating life of college students in the future.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regarding the actual use of YouTube food conten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question 'My viewing needs are satisfied' as male students scored higher than female students (p<0.05). As for the frequency of food menus delivered after watching YouTube food content, male students delivered chicken, Korean food, and Chinese food, and female students delivered junk food, chicken, and fast food the most after watching YouTube food content. The average BMI index for both males and females had the highest normal weight, bu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01) as 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proportion of overweight than female students. 'Exercise frequency', 'Physical health awareness', 'Efforts for health', and 'Stress level'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enders (p<0.05).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also confirmed by gender in the level of compliance with dietary guidelines (p<0.01) and perceptions of delivery food and delivery apps (p<0.05) among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analysis of food content view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delivery food recognition cluster, satisfaction type showed the highest, and development type showed the lowest. As for the total satisfaction with food content, the satisfaction typ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the development type and the trust type (p<0.001). The results of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food content viewing according to health awareness cluster showed that the healthy effort type wanted to recommend watching food contents to the surrounding,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non-effort type (p<0.05).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djusted value was 0.276, which had an explanatory power of about 27.6%, and the regression model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7.356, p<0.001). As a result of testing the significance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 in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Β=-0.194, t=-2.057, p<0.05) and the ratio of food expenses to pocket money (Β=-0.114, t=-3.362, p<0.01) were college students was identified as a factor influencing the implementation of dietary guidelines, health awarenes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Β=-0.357, t=5.579, p<0.001), and viewing satisfaction (Β=0.172, t) among YouTube food content usage =2.668, p<0.01), and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cognition of delivered food (Β=0.253, t=2.779, p<0.01)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ption and consumption of delivered f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n order to achieve a balanced nutrient intake and implement dietary guidelines, dietary education and counseling for college students who use delivery food more frequently than other age groups should be conducted in general, and the perception of viewing food contents such as mukbang to establish a proper dietary culture should be improved.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for college students to raise the quality of their perception of delivery food. 핵가족화, 바쁜 일상, 편리 추구 등으로 인하여 외부에서 식사를 해결하거나 외부의 음식을 가정 내에서 먹는 이른바 ‘식생활의 외부화’가 점차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진현정, 2018). 국내 외식산업은 포화상태이고 매장 위주의 매출보다는 고객에게 배달을 통해 영업하는 시장이 발전되고 있으며(유동규, 2016), 최근에는 배달음식 플랫폼이 경쟁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배달음식 문화가 보편화되었다(박민서, 배현주, 2020).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다양한 종류의 음식 배달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배달음식점의 운영시간도 길며, 간편하게 배달시킬 수 있는 주문 방법이 다양하므로 세계적으로 배달음식 관련 서비스가 빠르게 발달할 수 있었다(박민서, 배현주, 2020). 1인 미디어 확산 및 1인 가구 증가와 더불어 코로나-19로 인해 많은 소비자는 음식점에 방문하지 않고 집에서 조리한 음식을 먹으며 외출을 자제하였다. 따라서 식당의 매출은 크게 감소하였고, 배달음식의 지출은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이영주, 김기진. 2021). 또한, 1인 미디어가 확산함에 따라, 다양한 채널이 등장했고 이 중 가장 인기가 많은 플랫폼은 유튜브(YouTube)라고 할 수 있다. 2018년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보고에 의하면 대표적인 1인 미디어 플랫폼인 유튜브의 기업가치는 약 180조 원에 달하며, 향후 3년 안에 유튜브의 영향으로 TV 광고의 점유율은 현 40%에서 29%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 바 있다(강인원, 손제영,2019). 모바일을 이용한 실시간 상호작용 등을 통해 사용자가 크리에이터들과 소통하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권혁성, 2019). 이처럼 유튜브 채널이 고속 성장함에 따라 다양한 콘텐츠들이 생겨났는데,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따르면 다양한 유튜브 채널 가운데 음식과 관련된 콘텐츠가 게임 (77.5%)에 이어 2위(38.5%)를 차지했고, 이를 통해 음식 콘텐츠가 하나의 독보적인 장르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문영은 외, 2017). 음식 콘텐츠는 대표적으로 BJ가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먹방, 요리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쿡방, 음식 먹는 소리를 들려주는 ASMR, 맛집을 찾아가서 소개하는 맛집 리뷰, 특정 음 식을 먹고 맛을 설명해주는 음식 리뷰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일반 사람에 의해 월등히 많은 양을 먹고, 맛에 대해 소개하는 먹방은 해외에서도 ‘Mukbang’이라고 지칭하는 관련 채널이 생겨날 만큼 인기가 많다. 이러한 콘텐츠의 인기 비결은 친근해 보이는 BJ가 시청자와 소통하면서, 많은 음식을 맛있게, 그리고 오래 먹는 모습을 지속적으로 노출하는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시청하는 일반 시청자들은 그들이 먹는 음식에 대한 궁금증이 있고, 따라 먹게 되는 경향을 보이게 된다. 최근에는 유료광고 표시를 하고, 인기 BJ가 선호도가 높은 특정 음식을 먹으면서 광고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유료광고에도 불구하고 많은 시청자는 선호하는 BJ와 동일한 음식을 먹으면서 공감대를 형성하고자 한다. 유튜브로 인한 배달음식 시장 현황을 살펴보면, 어린이를 비롯한 젊은 시청자층이 유튜브를 통해 배달음식에 대한 메뉴를 고르고, 이는 매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식품 관련 회사들은 제작한 CF를 더 이상 TV 광고에 노출하지 않고, 오로지 유튜브를 통해서만 공격적으로 노출하는 등의 방식을 취하고 있어, 이제 유튜브 음식 콘텐츠는 광고의 지형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유튜브 음식 콘텐츠 성장과 함께 외식 이용 증가로 인한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서윤석 등의 연구에 따르면 외식 빈도가 높은 군에서 허리둘레와 BMI와 함께 혈청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고, 총단백질, 동물성단백질, 총지방, 인, 비타민 B2의 섭취량이 높았던 반면, 비타민 C의 섭취량은 외식 빈도가 낮은 주 1회 미만 군에서 높게 나타났다(서윤석 외, 2010).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건복지부는 ‘국가 비만 관리 종합 대책’을 수립하여, 국민의 건강을 지키는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성인 비만율은 약 35%에 달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41.5%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보건복지부, 2018). 이처럼 한국인의 비만율 상승에는 유튜브의 음식 콘텐츠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관련 방송이 무분별하게 노출되어 무계획적인 고열량 음식물 섭취로 인해 국민건강에 큰 문제가 생길 수 있음이 꾸준히 지적되고 있다(지앙슈에진, 황하성, 2019). 특히 대학생은 성장기로부터 성인으로 성숙되어 가는 과정인 청년기의 마지막 시기로서 독특한 생활 환경을 지니고 있으며, 식습관은 성장기 시절의 식습관을 반영할 뿐 아니라 그다음 단계인 성인기에 정착될 식습관을 예견할 수 있는 시기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이양자 외, 1998). 대학생은 개개인의 식사 시간을 고려하지 않은 수업 시간과 늘어난 자유 시간 및 아르바이트 등으로 인해 생활 리듬이 변화되며, 불규칙한 생활을 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커 영양보다는 기호에 우선하는 식습관 등이 지적되고 있다(홍희옥 외, 2006). 영양보다 기호에 우선하는 식습관의 장기화는 만성질환 유병률과 사회적 의료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도 매스컴을 통하여 많은 먹방 프로그램이 방영되고 있으며(남하얀, 2020), 배달음식 섭취와 관련된 연구로는 경기지역 한국 대학생과 중국인 유학생의 배달음식의 이용 실태 (이예림, 2021), 유튜브 '먹방' 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배달 이용 건수 예측 모형 (최사라, 2021), 20~30대 중국인의 배달음식 섭취빈도와 식행동 및 삶의 질과의 관련성 (Liu, Qing-hua 2020), 인터넷 개인방송 먹방 시청이 실제 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앙슈에진 2019), 성인의 먹방 시청 실태와 식 행동 관련 요인 연구 (남하얀, 2020), 유튜브 음식 콘텐츠의 이용자 특성, 시청 동기, 시청만족도에 관한 연구 (장유민, 2021), 충북 지역 일부 대학생에서 스마트폰 음식 배달앱 이용 실태 (배윤정, 등 2020) 등이 있지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배달음식과 유튜브 음식 콘텐츠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튜브 음식 콘텐츠 성장이 급격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대학생이 주로 이용하는 먹방 콘텐츠의 이용 실태를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배달음식 섭취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연구를 위해 유튜브 음식 콘텐츠 이용 경험이 있는 광주지역 대학생들의 배달음식 섭취 실태를 파악하고, 식생활지침 이행 정도, 배달음식에 대한 인식, 일반적 특성, 신체적 특성, 유튜브 음식 콘텐츠 이용에 따른 배달음식 섭취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향후 대학생들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유의미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국립과천과학관의 전시물과 교육프로그램 분석 및 교육적 활용방안 연구

        박소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학관은 과학 및 기술의 자료를 보존, 전시하며 모든 사람을 위한 과학기술지식을 보급하고 과학의 정신과 탐구능력을 함양하는 시설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2008년에 개관한 국립과천과학관을 사례로 전시물을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조사, 분석하고, 현재의 과학과 교육과정과 연계가 잘 되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과학관의 교육프로그램의 특징을 알아보고, 교육프로그램과 전시물과 관련된 부분을 찾아 이를 통해 학교에서 과학 교수-학습을 하는 데 있어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실제 국립과천과학관에서의 과학교육 전문 봉사활동을 통해 수집한 정보 및 과학관 연구사들에 의한 정책연구자료,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수집한 정보를 분석하는 것을 주요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국립과천과학관은 21세기형 과학관을 지향하는 국내 최초의 대규모 종합 과학관으로서, 전시품의 50% 이상이 첨단 영상매체를 이용한 체험 및 참여형으로서 즐기고 느끼며 감동하는 과학문화공간을 갖추고 있다. 국립과천과학관 상설전시관의 기초과학관, 어린이 탐구체험관, 첨단기술관, 자연사관, 전통과학관과 옥외전시의 천체투영관의 전시물을 분석해본 결과, 교육과정과 많은 관련성을 찾아볼 수 있었다. 전시관의 주제별로 차이가 있지만 전체적으로 가장 많이 관련된 교과는 물리와 지구과학교과였으며, 기초과학관과 첨단과학관에서 교과와의 연관성을 크게 찾아볼 수 있었다. 특히, 국립과천과학관의 첨단기술관 전시물에서는 생명과학, 정보통신, 에너지 환경, 항공우주, 기계 소재의 첨단과학을 보여줌으로써 과학교육의 STS(과학, 기술, 사회와의 상호작용)적 관점을 바탕으로 과학과 관련된 사회문제에 대해 다양한 관점을 제시함으로서 다양한 맥락 속에서 존재하는 과학을 보여주고 있었다. 국립과천과학관의 교육프로그램은 대부분 전시물과 연관되어 전시 관람을 수반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시물소개와 전시물을 통한 자기학습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워크북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교육과정 수준을 고려하여 전시물을 능동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전시물을 이용한 현장학습에서 교사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교사가 이를 지도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또한 자유탐구학습의 날을 신설하고 새롭게 개정된 교육과정과 연계된 자유탐구학습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장기간에 걸쳐 과학의 심도 있는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도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하여 과학관에서의 교육과 학교교육에서의 교육을 효과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과학관을 활용하는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여주어 학생들이 과학적으로 판단하고 탐구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오르페우스 도상의 기독교적 변천 : 초기 기독교 시대를 중심으로

        박소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독교 미술이 본격적으로 확립되기 시작한 것은 기원후 313년 기독교 공인 이후이다. 그러나 이미 그 이전부터 전도와 교육을 위해 기독교 신앙과 교리를 시각화하려는 노력이 있었고 3세기 초에 이르러서는 활발하게 전개되었는데 이러한 시도에서 특징적인 것은 독자적인 기독교 도상을 창조하기보다는 기존의 고대 도상을 수용하여 기독교적 내용으로 변형시켰다는 것이다. 시각적 전통이 없었던 기독교는 단순히 동시대의 고대 도상의 형태뿐 아니라 내용도 차용하였다. 특히 고대 신화에 나오는 신과 영웅들 중에서는 비록 이교도 문화의 산물이지만 교훈적이고 도덕적인 행적과 내용으로 인해 기독교에 수용되어 기독교적인 내용을 전달하는데 사용된 예가 있다. 고대 신화의 인물 오르페우스도 이러한 배경에서 기독교 미술에 수용되었는데 고대 미술에서 볼 수 있던 그의 고유한 특징인 프리지안 모자나 수금을 그대로 가진 채 기독교 미술에 등장한다. 본 논문은 이처럼 오르페우스가 초기 기독교 미술에 나타나게 된 배경과 기독교 도상이 된 후의 변천을 도상학적이고 문헌적인 접근을 통해 살펴보았다. 초기 기독교인들은 인간의 죄를 구원한 구세주이며 천국의 주인인 예수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고 싶었는데 이러한 특징을 오르페우스에게서 발견했다. 신화에서의 오르페우스의 성품과 행적 등이 성경과 유사하고 예수를 연상시키며 나아가 고대 미술에서 오르페우스가 가지고 있던 영혼의 인도자라는 역할은 초기 기독교인들이 예수에게 부여하던 것과 같았다. 기독교 오르페우스 도상은 고대 오르페우스 도상과 외형적인 면에서 유사할 뿐 아니라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도 비슷하다. 오르페우스가 음악으로 동물들을 감화시켜 거친 본성을 순화시키며 평화를 이루는 것처럼 예수는 말씀으로 인간을 구원하고 천국으로 인도한다는 것으로 이것은 초기 기독교의 핵심적인 교력인 구원과 영생을 나타낸다. 따라서 오르페우스 도상은 개종자들에게 이러한 교리를 이해시키려는 기독교적 목적에 따라 선택되었다. 이와 함께 기독교의 우월성을 고대 사회에 알리기 위해 전개된 변증론에서 오르페우스는 모세를 통해 하나님을 알게 되었고 개종하여 기독교인이 되었다고 전한다. 이러한 주장은 초기 기독교인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오르페우스가 단순히 이방신화의 인물이 아니라 역사적인 기독교인으로 인식되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러한 배경에 따라 기독교 미술에 등장한 오르페우스는 공인 이전에는 선한 목자인 예수를 나타내는 도상으로 채택되었고 공인 이후부터는 좀 더 기독교적인 의미를 지닌 그리스도를 나타내는 도상으로 변화하였다. 따라서 초기 기독교 미술에 나타난 오르페우스 도상을 통해 단순히 이교도의 도상인 오르페우스가 기독교에 수용·변천된 양상뿐 아니라 기독교 미술이 생성되고 확립되어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이다. The Christian Art was not eatablished until A.D. 313 when Christianity was recognized offically. But from the early 200's, there had been many efforts to visualize Christian faith and doctrine. Early Christians did not have any tradition of plastic art, they had to take plastic vocabularies of pagan's in the same period for evangelism and education. And thus motives of pagan mythology were admitted to Christian art. This, however, was not just a simple loaning of the form or accetion of contents. It in more aggressive ways became Christianity itself attributing to the prevalence of Christianity. One example is Orepheus and in this thesis the background of his appearance in early days of Christian art and transitions after becoming Christian iconography are explained through iconological and literature approach. Early chrristians wanted to visualize Christ, the saviour of all mankind and the Lord of Heaven. Because Jesus Christ is major charater in Christianity and they found these characteristics in Orpheus. The myth of Orpheus is very similar to than of the Bible and his behavior reminded them of Christ. With it, Christian Apologetics which was developed during A.D. 2-6 century formed logical basis on which Orpheus changed from character of myth to a real Christian live in history. Chriatian Orpheus chaining the animalsis in an pagan mythological figure was admitted to Christian art with Phrygian cap and lyla with him representing Christ guarded his people to heaven. Looking at Christian's admission and evolution of Orpheus iconography, early Christian iconography had taken and changed pagan iconography to the purpose of Christianity. Also it can be seen how early Christian art had transformed from narrative expression to symbolic and abstract expression. After all, Christian Orpheus iconography in early chrisitan period is an example reflecting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ristian Iconography.

      • 노인 환자에서 약물에 의한 저나트륨혈증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 노인포괄평가 시행 환자 대상

        박소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저나트륨혈증은 혈중 나트륨 농도가 135mmol/L 이하로 감소된 상태로, 임상에서 빈번하게 접할 수 있는 전해질 이상 질환이다. 저나트륨혈증은 무증상인 경우가 많지만, 혈중 나트륨 농도가 130mmol/L 이하로 감소 시 메스꺼움, 두통, 무기력함 등의 증상을 시작으로, 심각할 경우 발작이나 혼수 상태를 일으키며,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다. 저나트륨혈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이뇨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와 같은 약물은 저나트륨혈증의 일반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이러한 약물군은 노인 환자에게 널리 처방되어지고 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약물에 의한 저나트륨혈증의 발생빈도와 위험성 또한 높아진다는 것이 수많은 연구를 통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노인은 다양한 생리학적 변화와 다약제복용으로 인해 약물의 부작용에 더욱 취약해진다. 한 연구에 따르면 만 60세 이상 노인 환자군의 저나트륨혈증 발생 위험은 더 젊은 환자군에 비하여 2.54배나 더 높다고 보고된 바 있다. 노인 환자에서 나타나는 저나트륨혈증의 신경학적 증상은 일상생활, 인지 기능, 골밀도, 낙상, 골절 등과 연관되어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한 연구에 따르면 무증상의 저나트륨혈증의 경우에도 노인에서 낙상의 위험을 67배나 증가시킨다고 보고된 바 있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증명되었듯이, 증상의 유무에 상관없이 저나트륨혈증은 노인 환자의 임상 증상 및 예후에 매우 큰 영향을 주는 질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나트륨혈증을 유발하는 약물의 사용에 대한 약사의 처방검토와 중재는 시행율이 낮은 편이며, 노인 환자에서 약물에 의한 저나트륨혈증에 대한 국내에서의 연구 역시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07년 10월 1일부터 2013년 9월 30일까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노인의료센터에 입원하여 노인포괄평가를 시행한 만 65세 이상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약물에 의한 저나트륨혈증의 발생 현황을 조사하고, 약물에 의한 저나트륨혈증 환자군의 특성과 약물 복용 현황, 그리고 노인포괄평가 결과를 혈중 나트륨 농도가 정상인 대조군과 비교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저나트륨혈증이 노인에게 미치는 임상적인 영향성을 평가해보고, 약물에 의한 저나트륨혈증과 위험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약물에 의한 저나트륨혈증의 발생을 예방하고, 나아가 노인 환자에서 저나트륨혈증 유발 가능성이 있는 약물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약사의 역할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해당 연구기간 동안 분당서울대학교병원 노인의료센터에 입원하여 노인포괄평가를 시행한 만 65세 이상 노인 환자 450명 중 입원기간 동안 1회 이상의 저나트륨혈증 기록을 가지고 있는 환자는 총 274명(60.9%)이었으며, 그 중 최종 대상환자군에 포함된 약물에 의한 저나트륨혈증 환자는 51명(11.3%)이었다. 또한 동일한 조건의 환자군 중에서 혈중 나트륨 농도가 136mmol/L 이상 145mmol/L 이하를 벗어나지 않은 모든 환자를 대조군으로 선정하였으며, 총 69명이었다. 대상환자군과 대조군의 특성을 비교 분석해본 결과, 기저질환 중 치매의 비율(p=0.038), 혈중 염소 농도(p=0.000)와 혈중 요산 농도(p=0.020), 응급실 경유 여부(p=0.000), 저나트륨혈증 발생 경험 유무(p=0.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PubMed를 통한 국내외 문헌 검색 및 Micromedex®를 이용하여 저나트륨혈증 유발 가능성이 있는 약물의 목록을 정리하였다. 또한 Naranjo probability scale을 통해 대상환자군에서 저나트륨혈증과 약물과의 인과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25명(49.0%)의 환자에서 hydrochlorothiazide가 원인약물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의 원인약물은 대부분 이뇨제와 desmopressin, 그리고 정신신경계 약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환자군과 대조군의 약물 복용 현황을 비교 분석해본 결과, 복용약물의 수(11.88개 vs. 8.51개, p=0.000)와 저나트륨혈증 유발 가능성이 있는 복용약물의 수(3.88개 vs. 2.54개, p=0.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뇨제(66.7% vs. 30.4%, p=0.000)와 desmopressin(9.8% vs. 0.0%, p=0.000)의 복용비율 또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환자군과 대조군의 노인포괄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해본 결과, K-ADL(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한국형 일상생활 수행능력) 점수(p=0.015)와 여성의 K-IADL(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한국형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 점수(p=0.006), MMSE-KC(Korean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한국형 간이 정신 상태 검사) 점수(p=0.038)가 대조군에 비하여 대상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약물에 의한 저나트륨혈증과 위험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해본 결과, 입원기간(OR: 1.042, 95% CI: 1.007-1.078), 저나트륨혈증 발생 경험 유무(OR: 7.529, 95% CI: 2.426-23.367), 복용약물의 수(OR: 1.151, 95% CI: 1.060-1.249), 저나트륨혈증 유발 가능성이 있는 복용약물의 수(OR: 1.600, 95% CI: 1.254-2.041)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위험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단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유의확률이 0.25 미만인 변수들을 포함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해본 결과, 저나트륨혈증 발생 경험 유무(OR: 11.774, 95% CI: 2.467-56.196)와 저나트륨혈증 유발 가능성이 있는 복용약물의 수(OR: 1.717, 95% CI: 1.099-2.683)가 약물에 의한 저나트륨혈증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위험인자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 약물에 의한 저나트륨혈증은 비교적 높은 빈도로 나타나며, 약물에 의한 저나트륨혈증이 환자의 신체적 기능 및 인지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저나트륨혈증 발생 경험 유무와 저나트륨혈증 유발 가능성이 있는 복용약물의 수는 약물에 의한 저나트륨혈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환자의 경우 저나트륨혈증 유발 가능성이 있는 약물의 사용에 더욱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노인 환자의 약물에 의한 저나트륨혈증에 대해 연구한 최초의 논문이며, 노인 환자에서 약물에 의한 저나트륨혈증의 예방을 위한 약사의 적극적인 역할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바이다. 또한 향후 약물에 의한 저나트륨혈증 예방에 있어서 약사의 임상적 중재의 효과와 추가적인 위험요인에 대한 전향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Hyponatremia, defined as serum sodium concentration 135mmol/L or under, is one of the most frequently observed electrolyte disorders in clinical practice. In elderly patients, drug is the most significant cause of hyponatremia. Especially, diuretics and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SSRIs), which are commonly prescribed to elderly patients as first line drugs of hypertension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respectively, often induce hyponatremia as an adverse drug reaction. In elderly patients, hyponatremia leads to severe health problems related to daily activities, cognitive function, bone mineral density, falling, and fracture. However, researches to deal with prevalence and clinical effects of drug-induced-hyponatremia were insufficient in South Korea. Objectives: This study was aimed to estimate the frequency of drug-induced-hyponatremia, to compare potentially hyponatremia-inducing medications on use and the results of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between the subject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o analyze the association of risk factors and drug-induced-hyponatremia. Methods: This study was retrospective observational case-control study and approved by local Institutional Review Board. From October 1st, 2007 to Semtember 30th, 2013, among inpatients aged above 65 who were hospitalized at geriatric center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and conducted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CGA), patients with serum sodium concentration 135mmol/L or under were selected. Through review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medication lists on use, we included drug-induced-hyponatremia patients in accordance with the Naranjo Probability Scale as subject group. Patients with heart failure, chronic renal failure, and liver cirrhosis were excluded. Also, we selected patients with normal range of serum sodium concentration(serum [Na+]≥136, ≤145) as control group. Patients’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laboratory values, medication records, and results of CGA were collected. Data of subject group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to verify the clinical effect of drug-induced-hyponatremia and the association of risk factors with drug-induced-hyponatremia. All statistical tests were performed by SPSS Ver.21 and we considered p-value<0.05 significant statistically. Results: Among 450 elderly patients who conducted CGA, the number of patients with hyponatremia was 274(60.9%), and 51(11.3%) patients with drug-induced-hyponatremia were selected as subject group. 69 patients with normal range of serum sodium concentration were selected as control group. Hyponatremia inducing drugs of the subject group were mainly diuretics and desmopressin, and the number of medications in subject group(n=11.88) was more than the number of medications in control group(n=8.51)(p=0.000). Also, among results of CGA, activities of daily living, women’s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score in subject group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analysis of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velopment of drug-induced-hyponatremia, the history of hyponatremia(OR: 11.77, 95% CI: 2.467-56.196) and the number of potentially hyponatremia-inducing drugs on use(OR: 1.72, 95% CI: 1.099-2.683) are significant statistically. Conclusions: According to this study, it came out that hyponatremia in elderly patients was very common and frequently induced by drugs. Furthermore, drug-induced-hyponatremia had a negative effect on daily activities and cognitive function. Therefore, hyponatremia-inducing drugs should be used carefully and especially, high-risk patients with history of hyponatremia or taking hyponatremia-inducing drugs should be monitored closely for serum sodium concentration.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pharmacist’s clinical intervention for prevention of drug-induced- hyponatremia in the elderly.

      •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집

        박소미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치료에서 음악은 기본적으로 두 가지 방법, 치료로서(as therapy) 그리고 치료에서(in therapy)로 사용되어진다. 본 음악치료 활동에서도 음악은 치료로서(as therapy)도 사용되었고, 주로 치료에서(in therapy) 사용되었다. 이러한 음악은 연주나 노래부르기, 또는 노래가사나 내용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클라이언트를 공감해주는 도구로써, 클라이언트를 표현해 주는 기회로써, 동료들과 서로 교류하고 의사소통하며 자신을 탐색하고 동기를 부여하는 등(최병철, 2004)의 기능을 하였다. 본 과제는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집으로 행동적, 인지적, 인지행동적인 방법들을 활용하여 구성하였으며, 급증하는 음주나 중독환자들에게 자신 및 주변의 생활을 파괴하는 문제행동으로부터 벗어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음악치료 활동은 총 8회기의 그룹활동으로 되어 있으며, 재창조연주, 악기연주, 노래만들기, 노래부르며 연주하기, 즉흥연주, 노래토의, 음악극, 노래부르며 연주의 내용을 담고 있다. 각각의 활동마다 어떻게 음악이 알코올중독자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지에 대한 설명과 활동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 초등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박소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연계성에 대한 활발한 연구의 촉진과, 최종적으로 중학교 교사의 보다 향상된 교수 활동을 위해, 현행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간 연계성을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내 제시되어 있는 학습과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이의 연계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수와 연산’ 영역의 학습과제 간 연계성은 어떠한가? 2.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문자와 식’ 영역의 학습과제 간 연계성은 어떠한가? 3.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함수’ 영역의 학습과제 간 연계성은 어떠한가? 4.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기하’ 영역의 학습과제 간 연계성은 어떠한가? 5.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확률과 통계’ 영역의 학습과제 간 연계성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의 영역을 기준으로, 각 영역의 내용에 연계되는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내용을 살펴본 후, 그 연계형태를 분석하여 추출하였다. 그런 다음 교과서의 각 영역에서 발견된 학습과제 연계형태의 종합적인 결과와 통계를 나타내었다.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나타났다. 첫째, ‘수와 연산’ 영역에서 10종의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모두 연계 100%, 역연계 0%, 비연계 0%의 결과를 나타내어, 높은 연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자와 식’ 영역에서 10종의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모두 연계, 비연계, 역연계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연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비연계인 것으로 판단되는 학습과제가 존재하였다. 셋째, ‘함수’ 영역에서 10종의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모두 연계 100%, 역연계 0%, 비연계 0%의 결과를 나타내어, 높은 연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하’ 영역에서 10종의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모두 연계 100%, 역연계 0%, 비연계 0%의 결과를 나타내어, 높은 연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확률과 통계’ 영역에서 10종의 중학교 1학년 수학 교과서 모두 연계 100%, 역연계 0%, 비연계 0%의 결과를 나타내어, 높은 연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중학교 1학년 교과서와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학습과제 간 연계성의 정도는 ‘높다’ 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문자와 식’ 영역에서는 비연계인 것으로 판단되는 연계형태가 발견되었다. 이렇게 비연계인 것으로 판단되는 학습과제들은 학습자의 연령, 시기에 따라서 의도적으로 결정되어 배치된 것일 수도 있지만, 연계성 측면에서 관심을 가지고 형식적인 체계화에 대해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비교

        박소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탄력성 요인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일반청소년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경기, 인천, 강원, 충청, 경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일반청소년 112부(남성 43명, 여성 69명)와 다문화청소년 88부(남성 43명, 여성 45명)의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 간에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진로탄력성, 각 변인의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둘째,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진로탄력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 확인하며, 셋째, 진로장벽, 진로탄력성이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최종 분석은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신뢰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t검증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은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보다 높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진로탄력성의 경우, 다문화청소년의 진로탄력성이 일반청소년보다 낮았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진로탄력성 간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은 진로탄력성과 통계적으로 부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장벽이 높을수록 진로탄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은 진로탄력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어 진로장벽이 높을수록 진로탄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다문화청소년과는 다른 결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은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진로장벽,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장벽 중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청소년의 경우에는 진로장벽에서 성역할 갈등 및 성차별, 진로 및 직업정보의 부족, 경제적 어려움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탄력성의 경우에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자립과 변화대처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청소년의 경우에는 진로자립과 관계활용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일반청소년과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진로장벽과 진로탄력성에 대한 적절한 개입의 필요성을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과의 건강한 진로발달을 위해 진로상담의 진로탄력성을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resilience facto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compared with nonmulticultral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s of 112 nonmulticultral adolescents (43 men, 69 women) and 88 multicultural adolescents (43 men, 45 women) located in Seoul, Gyeonggi, Gyeonggi, Incheon, Gangwon, Chungcheong and Gyeongsang areas were analyzed.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areer resilience, and each level of variables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nonmulticultral adolescents, second, how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resilienc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nonmulticultral adolescents is confirmed, and third,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resili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ral adolescents are examined. The final analysis was conducted b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verific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twee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ral adolescents. However, career barrie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higher than career barriers of nonmulticultral adolescent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career resilience, career resilienc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as lower than that of general adolescent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resilienc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nonmulticultral adolescents, career barrie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statistical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career resilience, indicating that the higher career barriers, the lower career resilience. Next,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Finally,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he career barriers of nonmulticultral adolescen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areer resilience, and the higher the career barriers, the lower the career resilience. Next,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onmulticultral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hich was different from tha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Finally,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ffects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resilienc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nonmulticultral adolescen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uncertainty about the future of career barrier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case of nonmulticultral adolescents, gender role conflict and gender discrimination, lack of career and job information, and economic difficulties in career barrier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case of career resilience, career independence and coping with chang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case of nonmulticultral adolescents, career independence and relationship utiliz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necessity of proper intervention on career barriers and career resilience by comparing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ith nonmulticultral adolesc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intervention plan of career resilience of career counseling for healthy career development with multicultural adolescents. Keywords : Multicultural Adolescents, Career Barriers, Career Resili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보건소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프리젠티즘에 관한 연구

        박소미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건소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프리젠티즘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공공부문에 종사하고 있는 공무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프리젠티즘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건강문제를 조기관리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설문지를 이용하여 2007년 3월 5일부터 2007년 6월 15일 사이에 경기도 A병원에서 암관리사업을 담당하는 6급~9급 보건소 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은 189명 이었고,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41.52세 였고, 결혼상태는 기혼인 사람이 82.5% 였으며 학력은 전문대졸과 대졸의 구성비가 거의 비슷하였으며 보건소 평균 근무기간은 15년이었다. 2) 직무스트레스 보건소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점수는 100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47.43점이었다.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급7급, 연봉 4500만원 이상, 기혼, 한달근무일수 순으로 나타났다. 3) 프리젠티즘 업무성과손실의 전체 총점은 100점 만점 중 28.27점이었다. 현재 경험하고 있으며 가장 신경이 쓰이는 건강문제로 ‘어깨결림이나 요통’이 25.9%, ‘위장장애’ 16.9%가 가장 많았고, 건강문제를 가지고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94.7%였으나, 현재 치료중인 사람은 15.3%, 방치 중인 사람은 84.7%였다. 건강문제를 경험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강문제로 인한 지각, 조퇴, 결근, 휴가 등을 한 번도 경험한 적이 없다고 응답한 보건소 공무원이 전체의 89.4% 였으며, 보건소 공무원이 지각하는 생산성을 100점 만점으로 보았을 때, 평균 87.5점 발휘했다고 응답하였다. 업무성과손실은 지각된 생산성과 피어슨 상관관계계수 -.404의 역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지각된 생산성은 결근관련경험과 피어슨 상관관계계수 -.241의 역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업무성과손실이 증가하면 지각된 생산성은 감소하며 지각된 생산성이 증가하면 결근관련경험은 감소함을 의미한다. 4) 직무스트레스와 프리젠티즘과의 관계 보건소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는 프리젠티즘 변수인 업무성과손실, 건강문제, 결근관련경험, 지각된 생산성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보건소 공무원은 일종의 사무직 근로자 이므로 사무직 근로자의 프리젠티즘에 관한 후속연구를 통하여 직무스트레스와 프리젠티즘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으며, 국민의 공복인 보건소 공무원은 직무에 대한 책임감으로 건강문제를 가진 사람이 94.7% 임에도 불구하고 직무스트레스와 건강문제를 조절하고 생산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그러므로 보건소 공무원들의 프리젠티즘과 직무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administration plan on the job stress and Presenteeism of officials in public sector and to develop the program managing the health problems early. Through the study on job stress and Presenteeism of public officials in public health center. From March 5 2007 to June 15 2007, this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of 189 persons who was 6th to 9th grade public officials on cancer control program in public health center,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officials in public health center. The average age was 41.5 and 82.5% was married. In education status, college graduated and more than university graduated was similar and the working period was 15 years. 2. Job stress Job stress of officials in public health center was 47.4 point out of 100. 7th grade, 45million or more a year, the married, and the number of duty day a month were associated with job stress. 3. Presenteeism A total score of work impairment was 28.3 points out of 100. The current health problems were the 'shoulder & back pain' and 'stomach & bowel disorder'. Those who had health problems were 94.7%. For those, however, 15.3% were undergoing medical treatment, 84.7% were not treated. Regardless of these health problem, most participants in this study (89.4%) reported that they didn’t take any late, leave, absence or holiday due to health problems. Pceived productivity Among study subjects was 87.5 in scale of 100. The relation between working impairment and perceived productivi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of -.404. In addition, the relation between perceived productivity and experience of absence was negative correlation of -.241. 4.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s and presenteeism Job stress of was not assoiciated with presenteeism variables, such as work impairment, health problem, experience of absence and perceived productivity. In conclusion,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resenteeism should be explored in detail through future studies on presenteeism of officials. Although most of officials in Public health center have a lot of health problems as a result of responsibility for their job, they contribute to controlling their job stress and health problems, and maintain the productivity. Therefore, social support and the program which can control job stress and presenteeism of public officials in Public health center ar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