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소셜네트워크분석(SNA)을 활용한 수상운송서비스 무역 네트워크 분석 연구

        박선율 한국무역학회 2022 貿易學會誌 Vol.47 No.3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trade network of Water transport service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for defining the status of Korean Water transport industry. This study use World Input-Output Table of Asian Development Bank from 2000 to 2020 and build the International trade matrix of Water transport service from tha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 Out-degree centrality, In-degree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of Korea and other main countries in the matrix of World Water transport industry. As a result, Korea rank above 10th in the all centralities and the total output also rank 8th in the world, therefore, this study show the importance of Korean Water transport industry in the world. However, Singapore has the highest centrality in the world, even though China has the largest Total output among 63 countries.

      • KCI등재

        부산 해양산업의 지역경제 부가가치 기여도 분석

        박선율,김상열,이민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9 해양정책연구 Vol.34 No.1

        This study attempted to reveal the contribution of Busan Ocean industries on local value-added with regional input-output table. We analyze Input-Output structure, Net value-added effect and GRDP(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s) contribution of Busan Ocean industries. Ocean industries are in possession of 6.6% in Busan GRDP, and it is 5th largest among Busan industries. The Value-added ratio of Busan Ocean industries is 38.1%, and it is higher than National Ocean industries is 26.1%. Busan Ocean industries have the highest Net value-added effect than other industries in Busan. We can consider that Busan Ocean industries contribute to regional economy and they have the domestic competitiveness in S. Korea. 우리나라 해양산업의 중심지인 부산의 지역내총생산(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GRDP)은 절대적인 성장은 하고 있음에도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중앙과 지방정부는 부산지역 특화산업인 전통 해양산업과 신해양산업을 육성시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해양산업의 지역경제 기여도 분석 연구는 해운·항만물류산업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고, 최근에는 첨단산업을 기반으로 하는 신해양산업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산 해양산업의 범위를 해운·항만, 수산, 조선, 해양관광과 신해양산업인 해양과학기술, 해양 정보 및 금융으로 보고, 투입-수요구조, 부가가치 순이입, 지역내총생산(GRDP) 기여도를 중심으로 부가가치 측면에서 해양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부산 해양산업은 부산지역으로 부가가치 순이입 효과가 크며, 국내 타 지역에 대비해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산 지역내총생산(GRDP)에서 해양산업은 6.6%를 차지하며, 이는 국가 해양산업의 총생산 비중인 3.4% 대비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전통 해양산업의 경우에는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신해양산업은 부가가치율이 높아 지속적인 산업 육성 시에 지역경제 부가가치 증가에 높은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주요 국가 및 우리나라 수상운송업 간의 상호 연관구조 분석 연구

        박선율, 한국무역학회 2023 貿易學會誌 Vol.48 No.2

        This study is for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Korean Water transport and the other main countries Water transport. In the Free trade system, Maritime transport has a high impact on the global economy as well as the each countries. The division of labor through the global value chain(GVCs) has became the ordinary activity in business, and in Maritime shipping,, there are the International trade among countri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 relation of Korean water transport and other 13 regions using World Input-Output Table(WIOT) by Asia Development Bank(ADB). The result of analysis, the proportion of intermediate goods in the input structure of Korean water transport is about 70%, and the ratio of using domestic products is higher than the major European countries. However, since 2000, intermediate inputs from foreign countries have steadily increased, and added value has decreased. Countries with a high relation with Korean Water transport industry are United States(USA) on the input structure, Singapore(SIN) and Japan(JPN) on the distribution structure. Analyzing the relation through the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Singapore(SIN) has the high relationship with Korean Water transport industry. 해상운송은 개별 국가만이 아니라 세계 경제에 높은 영향력을 미치며, 글로벌가치사슬(GVSc)을통한 분업 실현에 이바지 하고 있으며 이러한 국제분업 활동은 일상화되어 있다. 해상운송업 사이에도 국제분업을 통한 글로벌 가치사슬(GVSs)이 존재하며 국가 간 해상운송업 사이 혹은 관련 산업사이에도 거래관계가 발생해 상호 연관구조가 긴밀한 국가들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개발은행(ADB)에서 1년 단위로 발표하는 국제산업연관표(WIOT)을 이용하여 63개 국가 중에서 세계30대 선박 보유국 안에 포함되면서 수상운송업의 총 산출액이 높은 14개 국가를 대상으로 수상운송업 간의 상호 연관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서 우리나라 수상운송업과 높은 연관구조를 가진국가와 우리나라 수상운송업의 특징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는 투입구조에서 국산 중간재비중이 약 70%로 유럽의 주요 해운 국가 대비 국내산 이용 비율이 높았다. 하지만 2000년 이후로꾸준히 국외 중간투입이 증가하면서 국외 산업과 연관구조가 높아졌으며, 발생하는 부가가치는 하락하였다. 줄어드는 부가가치에 비해 국내 산업으로 생산유발계수는 크게 변화가 없어 같은 금액 투자에도 국내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은 줄어든 것으로 평가되어 해운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인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수상운송업과 높은 연관구조를 가진 국가는 투입구조 상에서는 미국(USA), 배분구조에서는 싱가포르(SIN), 일본(JPN) 순으로 해당 국가의 생산활동에 높은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생산유발계수를 통한 연관구조를 보면 우리나라 수상운송업과 높은 연관구조를 가진 국가의 수상운송업은 싱가포르(SIN)이다. 싱가포르(SIN)는 유럽 항로의중간지역으로 우리나라 수상운송업과 상호 간에 높은 생산유발효과를 주고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해양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박선율 ( Park Seon-youl ),김상열 ( Kim Sang-youl ),이민규 ( Lee Minkyu ) 한국해운물류학회(구 한국해운학회) 2019 해운물류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36개 산업(대분류 30개, 해양산업 6개)을 중심으로 부산 해양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분석하여, 부산 해양산업의 지역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부산 산업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 과정에서는 수요유도형 모형, 산업간 연쇄효과, 공급유도형 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해양산업 중 해운·항만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가장 크고, 수산업과 조선업은 생산유발계수 및 영향력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양관광산업은 취업유발효과가 크며, 신해양산업은 부가가치유발계수가 높은 수준이다. 전체 해양산업은 생산유발효과 2위, 부가가치·취업유발효과 7위 수준으로 부산지역에 높은 경제적 파급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 해양산업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value-added by the world marine industry will double between 2010 and 2030. The Korean government plans to jointly promote traditional and new marine industries. Busan is the main center of Korean marine industries and hosts many specialized ones. This study attempts to reveal the economic impacts of Busan’s marine industry by applying various methods of 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such as demand- and supply-driven models and the inter-industry chain effect. Busan’s marine industries account for 9.95% of the regional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the second-largest among all its industries; their value-added and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is the seventh-largest. Among the marine industries, the shipping and port industries have the greatest economic impacts. Fisheries and shipbuilding have the highest production inducement, as well as the power of dispersion coefficients. The marine tourism industry is the top employment generator, and New marine industries have the highest value-added coefficient. The analysis results will help in framing relevant policies for regional marine industries.

      • KCI등재

        지역 해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비교 분석 연구

        박선율 ( Park Seon Youl ),호 ( Park Ho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21 지역산업연구 Vol.44 No.2

        바다와 3면이 접해있는 우리나라에서 해양산업은 국가 및 지역경제 발전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지역 해양산업에 대한 연구는 지역 해양산업을 이해하고 육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안을 포함하는 10개 지역을 대상으로 해운·항만, 조선, 수산업 등 주요 해양산업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최근 한국은행에서 발행한 2015년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해운·항만산업은 분석대상 지역 중 부산 해운·항만산업이 지역경제에 기여하는 바가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전남이었다. 조선업의 경우에는 경남 조선업이 지역경제에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는 울산이었다. 수산업은 부산, 경남, 전남 등의 수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컸다. 종합하여 보면 경남, 부산, 전남, 울산 등의 해양 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며, 특히 전남의 경우에는 모든 해양산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생산·부가가치유발계수 측면에서는 지역이 아닌 산업별로 자기지역 타 산업 및 타 지역에 미치는 영향에 공통된 특징을 보였다. 해운·항만업의 경우에는 국외산업과의 거래가 많아 국내에 미치는 영향이 낮고, 생산유발효과는 조선업이, 부가가치유발 효과는 수산업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Ocean industries in Korea has the important role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because Korea has the three sides bordering the s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oviding the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status of Regional Ocean industries for fostering the regional Ocean industrie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regional economic effects of Ocean industries such as Shipping and ports, Shipbuilding, and Fisheries in 10 regions bordering the sea, using 2015 Regional Input-Output table issued by the Bank of Korea. As a result of analysis, Regional shipping and port industry of Busan highly contribute to the regional economy, and the following region is Jeonnam. In the case of shipbuilding, Gyeongnam has the high proportion in their regional economy, and the next is Ulsan. In terms of fisheries, Busan, Gyeongnam and Jeonnam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regional economy. Overall, Ocean industries of Gyeongnam, Busan, Jeonnam, and Ulsa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gional economy. Especially, in case of Jeonnam, all Ocean industries had the equal effects on the regional economy. In terms of production and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s, each industry show the common characteristic in the influence on other industries in their regions and other regions. In the case of Shipping and port, it has the low transactions with domestic economy, so their coefficient is the lowest among Ocean industries. However, Shipbuilding has the highest production inducement coefficient and Fishery has the highest value-added inducement coefficient into the own and other regions.

      • KCI등재

        지역 물류산업의 특화도와 지역경제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박선율(Park, Seonyoul),호(Park, Ho) 한국항만경제학회 2020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6 No.2

        우리나라 물류산업은 산업의 발전과 함께 성장하였으며, 물류산업의 발전은 기업비용을 절감하고, 물가 상승을 억제하여 지역민 삶의 질을 향상시켰다. 이러한 물류산업은 국가와 지역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부에서는 물류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적인 노력을 이어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물류산업의 경쟁력을 분석하고, 물류산업의 지역경제 부가가치 기여도를 분석하여 지역 물류산업 육성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입지계수를 분석하여 지역별 육상운송, 수상운송, 항공운송, 창고 및 운송관련 서비스업의 특화도를 분석하고, 지역산업연관표에서 부가가치율, 지역내총생산(GRDP) 기여도, 부가가치유발계수, 부가가치 순이입을 분석하여 지역 물류산업이 지역경제 부가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물류산업은 산업별로 일부 지역에서 부가가치 순이입이 있고,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 물류산업의 입지계수와 부가가치 기여도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존재하지는 않았다. 우리나라 물류산업은 산업별로 서울, 인천, 경기, 부산, 제주 등을 중심으로 지역에 따라 다른 산업이 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물류 인프라가 잘 발전된 지역과 육성이 필요한 지역을 구분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물류산업이 발전한 지역은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며, 육성이 미비한 지역은 지역 수요에 맞는 인력과 자본을 투입하여 물류산업 육성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 The Korean logistics industry has grown with the development of domestic industries. The indust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the government has continued policy efforts to foster the industry. This study analyzes the competitiveness of the regional logistics industry and its contribution to the regional economy. Location coefficients are used to analyze local specialization in each logistics industry. The value-added rate, GDP contribution, value-added induction coefficient, and net value-added income of regional logistics industries are analyzed using a regional input-output table. As a result, the logistics industry is found to have net value-added income and competitiveness in some regions, and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tion coefficient and the value-added contribution of the regional logistics industry. Seoul, Incheon, Gyeonggi, Busan, and Jeju have the competitiveness of each logistics industry. In addition, we identified the regions where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is well developed and those in which it needs to be supported. The regions where the logistics industry has developed require policies for making high value-added by logistics activity, and regions with insufficient growth need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industry by investing human resources and capital that can meet the local demand.

      • KCI등재

        DEA결합모형을 활용한 아세안(ASEAN)지역 항만의 효율성 분석

        박선율(Park, Seonyoul),김상열(Kim, Sangyoul),호(Park, Ho) 한국항만경제학회 2017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3 No.4

        아세안(ASEAN) 국가 총 컨테이너 처리량은 경제발전에 따라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증가하는 물동량 대비 아세안(ASEAN) 국가 대부분의 항만인프라는 아직 미비한 수준이다. 세계은행 보고서에 따르면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를 제외한 항만들은 항만인프라 순위에서 낮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아세안(ASEAN) 항만개발사업 참여는 아세안(ASEAN) 국가의 항만인프라를 개선하여 물류효율성을 증가시켜 우리나라와의 무역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정부와 기업이 항만개발사업에 진출하여 우리나라 항만 관련 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항만효율성 측정은 이러한 항만개발 및 계획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아세안(ASEAN) 항만 효율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모형 중 가장 효율적인 DEA모형을 알 수 없다는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DEA와 Shannon’s Entropy를 결합한 모형을 활용하여 아세안(ASEAN) 항만의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CCR, 투입기준 BCC, 산출기준 BCC, SBM 모형 등 네 개의 모형의 가중치를 구한 뒤에 가중치를 고려하여 항만별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결과적으로 세계 주요 항만인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항만의 효율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물동량 증가율이 가장 높은 베트남의 항만효율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항만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태국의 림차방(Leam Chabang), 베트남의 호치민(Ho Chi Minh City), 인도네시아 탄중 프리옥(Tanjung Priok)항만은 물동량 처리실적과 효율성이 역의 관계로 나타나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는 효율성 개선이 필요 한 것으로 보인다. 캄보디아, 미얀마, 브루나이 등 아직 경제발전이 미숙한 항만은 경제발전을 위해서라도 인프라 확장을 위주로 하는 항만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total container throughput of ASEAN is expected to increase continuously with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ASEAN port infrastructure is insufficient to handle the increasing trade volume. According to the World Economic Forum, ASEAN ports except Singapore and Malaysia are ranked in low. Participation in ASEAN port development projects can lead an increase in trade efficiency with S. Korea by improving the port infrastructure of ASEAN countries. In addition, the S. Korean port-related industry can be energized through entering ASEAN port development projects. This study, which measures the efficiency of ASEAN ports, can be used as a basic guideline for the development and the planning of the ports. This study used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and Shannon’s Entropy model together to measure ASEAN ports’ efficiency. After measuring each DEA (CCR, I-BCC, O-BCC, SBM) weight, the efficiency of ASEAN ports is measured as reflecting each DEA weight. As a result, the ports of Singapore and Malaysia, the major ports in the world, have the highest efficiency. Further, Vietnamese ports need to raise efficiency along with increasing container throughput. Leam Chabang (Thailand), Ho Chi Minh City (Vietnam), and Tanjung Priok (Indonesia) exhibit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ntainer throughput and efficiency; therefore, the ports need to improve so as to maintain competitiveness. Lastly, Cambodia, Myanmar, and Brunei, which do not have active economic development, need to improve their ports for economic development.

      • KCI등재

        우리나라 수상운송업의 국제적 영향 분석: 국내·외 경제적 파급효과를 중심으로

        박선율 ( Park Seon-youl ) 한국해운물류학회 2019 해운물류연구 Vol.35 No.4

        우리나라 수상운송업은 서비스 수출산업으로 수입과 수출의 비중이 높아 타 국가산업과의 연계가 높은 산업이다. 이러한 수상운송업의 해외의존도와 위상에 대한 연구는 수상운송업 지원을 위한 정책결정 등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국제산업연관표에서 우리나라 수상운송업의 투입-산출계수, 생산유발효과, 전·후방연쇄효과를 통해 국내·외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00년부터 2014년까지 기타국가(ROW)의 투입과 수요 비중이 증가하면서 수입과 수출 다변화가 이루어 진 것을 확인하였다. 배분구조 상에서 우리나라 산업의 산출계수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국내 산업과 거래관계 확대가 필요하다. 부가가치율이 계속해서 하락하는 대신 우리나라 산업에 의한 투입 비중은 증가하였지만, 생산유발효과는 국내 보다 국외로 더욱 많이 증가하였다. 서비스산업 임에도 후방연쇄효과가 컸으며, 후방연쇄효과는 15개 주요 국가 중 8위, 전방연쇄효과는 15위로 주요 국가 대비 영향력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Since Water transport industry has the highly relevant with other countries,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with other countries gives an important data for decision making. In this study, we analyzed Inter-national economic effects through Input-Output coefficient, Production-inducement effect, and Inter-industry linkage effect from 2000 to 2014 with World Input-Output table. As a result, the proportion of Rest of World increased in both input and output structures, it means that the diversification of import and export was increased. While the value added ratio continuously decreased, the intermediate inputs by S. Korean industries increased. However the production-inducement effect to S. Korean industries is less than to other countries. Although it was the service industry, the backward linkage effect is higher than the forward linkage effect. The backward linkage effect is 8<sup>th</sup> of 15 major countries. And the forward linkage effect is 15<sup>th</sup>. it is analyzed to be less influential than major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