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북한의 선군정치와 대외관계

        박선우 조선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1994년 김일성 주석의 사망으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전면에 등장한 후 선군정치는 북한의 가장 중요한 통치방식이 되었다. 김정일이 공식적으로 국방위원장이 되면서 ‘선군정치’, ‘선군영도 혁명’, ‘군 중시 사상’, ‘강성대국’ 등의 각종 슬로건은 북한체제 변화의 상징물로 여겨지고, 군부대 중심의 현지시찰과 지도, 행사참석 등 군 관련 활동에 적극성을 보이고 있으며, 주요행사시 발표되는 주석단 서열에서도 현역 및 군 출신 비중이 늘어나고 상위 서열로 불리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재편되는 21세기 국제질서와 급변하는 동북아 세력판도에 핵무기 개발이라는 카드를 들고 나온 북한 김정일 체제 중 가장 중요한 특징인 ‘선군정치’가 대외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 것은 현실적 국가안보와 미래적 민족통일에 더없이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북한의 선군정치가 대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특히 북한의 선군정치는 동북아시아 등 주변국에 위협과 불안감을 가지고 왔으며,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적 통일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라는 가설을 논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결과적으로 선군정치는 권력구조와 대외정책에 대한 변화를 가지고 왔는데, 거의 모든 역량을 국방공업에 투자하다보니 경제 피폐화 현상이 거듭되는 강성대국에 대한 딜레마를 경험하고 있으며, 권력구조의 변화에 따라 군부의 영향력이 강화됨으로써 주변국에 대한 위협과 도발이 증가하게 되었고, 핵・미사일이라는 도발적 카드를 제시함으로써 오히려 국제적으로 강경대응에 의하여 고립되고 경제압박에 의해 악순환이 계속되는 등 붕괴를 자초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남한과 미국, 일본, 중국 등 주변국에 대한 안보위험성이 증가하여 군비경쟁을 초래하는 등 상호 국방력 증가를 위한 노력이 계속되는 등 지속적인 불안감이 증가하고 있으며, 한・미・일 간 상호 협력체제를 굳건히 하여 북한에 대해 계속적인 견제를 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또한 항상 우호적일 줄만 알았던 중국조차 변화하고 있다. 즉, 완충적 역할을 위해 북한의 체제의 유지에 대해 어느 정도는 힘을 불어 넣어주고는 있지만, 북한의 군사적 조치와 도발현상은 심각한 부정요인으로 생각하는 등 점점 관계에 있어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북한은 선군정치에 의한 강경한 입장 보다는 핵과 미사일, 화학탄과 같은 대량 살상무기는 폐기하고 주변국이 완전히 믿을 수 있도록 조치한 뒤 개혁・개방에 의해 평화적 체제를 유지할 수 있는 노력을 해야 한다. Since Kim Jong Il, Chairperson of the National Defense Commission, became the official leader after Kim Il Sung’s death in 1994, the Songun policy (Military First policy) has become the most important way of rule. As Kim Jong Il becomes the Chairperson, officially, slogans like ‘Military First policy’, ‘Military First Revolution’, ‘Military Centered Ideology’ and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have turned to a symbol of the North Korean regime’s transformation; Kim is active in military-related activities like visit to military troops and events, and the portion of active or reserve officers on the presidium is increasing and in higher ranks. From this perspective, and given the reorganizing international order of the 21st century and ever-changing Northeast Asian power structure, it is most important subject to study what impact ‘Songun policy’,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the Kim Jong Il regime, has on the international relation, for national security and future reunification. Therefore, the thesis has an objective to study ‘North Korea’s Military First Policy’s Impact on Foreign Relations’, and it focuses on demonstrating the hypothesis that says North Korea’s military first policy has brought threat and anxiety in Northeast Asia’s neighbors, and it is a negative factor to the Korean peninsula’s stability and peaceful reunification. Consequently, the military first policy has brought change in power structure and foreign policy; since all of the capacities are invested in defense industry, so it is experiencing a dilemma of Strong and Prosperous Nation, which is chronic economic difficulty, and since influence of the military is strengthened due to change of power structure, confrontation toward neighbors increased; and by presenting provocative option of nuclear weapon and missile, it causes further isolation and economic sanctions from the international society’s hard response, resulting gradual collapse. Therefore, anxiety is continuing in neighboring countries, as South Korea,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are expanding military buildup as security threat increases, and restraint against North Korea by South Korea, the US and Japan are intensified and continuing. Also, China, the old ally, is changing. In other words, Chinese government has supported the North Korean regime’s survival to a certain extent, but at the same time, it considers North Korea’s military measure and provocation as seriously negative factor, meaning the relationship is changing. Therefore, North Korea must give up nuclear, chemical and missile weapons and work hard to build a peaceful regime through reform and opening, instead of hard-line stance of military first policy.

      •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가 체험한 배움의 의미 탐구

        박선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가 체험한 배움에는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탐색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1. 유치원 교사 B가 체험한 배움은 어떠한가?2. 유치원 교사 B가 체험한 배움은 어떤 의미가 있는가? 본 연구에는 자신이 경험한 배움 체험을 심도 있게 공유할 수 있는 유치원 교사 B가 참여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한 자료수집은 2019년 10월 11일 ~ 2020년 8월 7일의 기간 동안 총 22회의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그 외 교사B의 배움의 배경과 맥락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면담은 참여자의 심도 있고 자유로운 생각을 이끌기 위하여 비구조적인 대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수집한 자료를 반복적으로 읽고 분석하여 교사 배움 체험의 의미를 발견하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는 쓸모 있는 교사가 되기 위해, 교사로서 주어진, 사회적으로 당연하다고 여겨지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배웠다. 그는 교사에게 요구되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일’이라는 것을 잘 수행하기 위해, 그리고 하루하루 교실에서 아이들과 살아가기 위해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이거나 필수적이라고 여겨지는 것들을 배웠다. 둘째, 유치원 교사로서 기존에 주어졌던 기준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각을 배웠다. B는 자신 주변, 구체적 사람들의 시선을 공감하며 유치원 현장에서 관습처럼 내려오던 당연한 지식이나 행동 양식에 의문을 제기하였고, 이를 통해 현장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는 법을 배웠다. 셋째, 스스로가 원하는 자신의 모습에 도달하기 위하여 배웠다. B는 자기 자신에 대해, 스스로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해 계속해서 배웠다. 그는 ‘유치원 교사로서 나’가 아니라, ‘내가 되고 싶은 나’가 되기 위하여 배웠다. B가 체험한 배움의 모습 그 깊숙한 곳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의미들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B의 배움은 자신의 삶 속 사람들과 존재와 존재로서 만나고 싶어하는 욕구로부터 출발했다는 것이다. B의 배움 경험 속에는 학부모로부터의 인정, 아이들로부터의 사랑에 대한 갈구가 들어 있었다. 이러한 인정과 사랑 그 근원에는 그들과 교사라는 역할로서 만나는 것을 넘어 자신이라는 존재와 맞닿길 바라는 마음이 존재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둘째, B의 배움은 그의 삶 속에서 마주한 위기로부터 출발했다는 것이다. B는 교사로서, 그리고 한 사람으로서 삶을 살아가며 예측할 수 없는 눈앞의 사건들과 마주하였다. 그는 그 모호함에 혼돈과 불쾌함을 느끼지만 이러한 위기에 스스로 자신을 변화시키며 기존의 자신에서 벗어나 눈앞의 모호함에 새로운 이름을 지어나감을 발견할 수 있었고, 이러한 근원적인 움직임이 배움으로 드러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와 논의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첫째, 교사의 배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배움을 바라보는 보다 유연한 시선이 필요하다. 삶을 살아가며 마주하는 낯선 경험들을 통해 자신을 변화시키는 과정으로서의 배움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교사는 주체, 세계는 객체라는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교사가 주변의 환경과 함께 생동하는 존재임을 인정하고 받아들일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교사의 배움에 있어서 개개인의 존재적 의미를 존중해줄 필요가 있다. 교사의 배움은 교사 개인의 관심사와 가치관에 기반한 존재적인 되기의 욕구를 기반으로 하고 있었다. 따라서 개인의 관심사, 개인의 가치관과 연관된 배움을 경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 개별요소법을 이용한 지반함몰 붕괴양상 추정연구=

        박선우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도심지에서 발생하는 지반함몰은 대규모공사로 인한 지하수교란, 상하수도 누수 등이 직접적인 원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서울에서 발생한 지반함몰은 총 3,897건으로 발생빈도가 높아지는 추세여서, 시민의 안전에 위협이 되고 있어 이에 대한 원인파악과 방지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에서 발생하는 지반함몰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개별요소법 기법을 이용한 EDEM(DEM Solution, 2018)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모델링은 서울의 한강상류지역과 한강하류지역을 상하수도 누수로 인한 지반함몰 발생과 지하철 공사로 인한 지반함몰 발생 두 가지 상황으로 각각 사질토와 점성토 지층으로 모사하여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지반함몰 양상을 다양화하기 위해 공동의 크기를 10가지로 변화시키면서 총 40번의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또한 모델링 시 선행연구의 결과와 M.J.Tomlinson과 Ohsaki, Terzaghi-peck, Dunham, 국토해양부의 제안식을 사용하여 입자의 물성을 정의하였다. 사질토 모델에서의 시뮬레이션 결과는 지하공동이 깊어지고 규모가 증가할수록 지반함몰이 커지고, 지반함몰이 쉽게 발생하는 양상을 보였다. 점성토 모델에서는 사질토 모델에 비해 지반함몰이 작게 발생하였고, 깊이가 얕아질수록 지반함몰이 쉽게 발생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점성토 모델에서는 지하공동의 깊이가 깊을수록 입자 간에 작용하는 점착력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실제 지반함몰이 발생한 지역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델링하여 시뮬레이션 한다면 신뢰성이 높아질 것이므로, 실제 모델을 이용한 지반함몰 붕괴양상 분석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 Land Subsidence in urban areas is directly caused by groundwater disturbance due to large scale construction, and water and water leakage. Since 2010, the total number of increased to 3897, which is increasing the land subsidence, which poses a threat to the safety of citizens. In this study, we used the EDEM(DEM Solution, 2018)program using the discrete element method to analyze the subsidence patterns in the Seoul area. Simulation modeling simulated the upper part of the Han river and the lower part of the Han river as sandy soil and clayey soil. And the simulated the occurrence of soil depression due to water and sewage leak and land subsidence due to subway construction. In addition, a total of 40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with 10 different sizes of cavities. An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in modeling and properties of M.J.Tomlinson and Ohsaki, Terzaghi-peck, Dunham, the Ministry of land. Maritime Affairs were used to define the properties. Simulation results in the sand model show that the depth of the underground cavity increases and the depth of the underground cavity increases. Simulation results of the clayey soil model showed that the ground depth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sandy soil model. because the adhesion force between the particles increases as the depth of the underground cavity increases due to the adhesive force of the clayey soil model.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modeling and simulating using the data of the actual ground subsidence area will be enhanced, and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subsidence of the subsurfave subsidence using the actual model should be continuously carried out.

      •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박선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ociety we live in is an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IT new technologies are changing our lives and industries as a whole. Beyond replacing simple repetitive tasks of humans, digital technology is affecting the legal and medical circles regardless of scope. As a result, software education has become important to nurture talented people who can create new values by utilizing digital, which is not replaced by digital.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China, and Japan, which are leading the software sector worldwide, have included software education in their national curriculum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talent training. Korea has also conducted software education since 2019, with fifth to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first to third graders in middle school operating compulsory education as elective courses for first to third graders in high school. However, there is a lack of discussion on the current status of software education or development, especially the lack of investigation into the perception of teachers, who are education policy implementers. In addition, software education is a new curriculum that has not existed before, so there is a lack of related research despite the importance of practicing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substantial teacher training. In respon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need, problems, and perceptions of software education, which includes teacher training due to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oftware education and the specificity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First, what is the need for software education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what is the status and problem of software education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rd, what is the improvement plan for software education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leading software education schools across the country, analyzed data through t-test and one-way ANOVA, and additional Sheffe's post-hoc analysis was conducted. To summarize the results for the research problem derived from such a process, the following is shown below. First, the need for softwar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both positive. It was confirmed that all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are highly aware of the need for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and that they agree on the school site that education is essential for this era. Second, the problems of softwar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emerged in various ways. First of all, as for the problems of software education, it was recognized that software education was normally operated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standards of achievement, but was less effective, indicating that there was a high level of dissatisfaction at the site. The lack of educational facilities and insufficiency, lack of consultation on the direction of classes for the same school/same year, and lack of promotion of subjects for teachers gained high consent. On the problem of software education teacher training, it was recognized that software education teacher training was not operated in accordance with government guidelines and was not effective. The main hindrance to the effectiveness of software education teacher training was the highest gap between training tools and actual teaching tools, followed by a lack of methodological training and training biased toward coding education. Although the perception of softwar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may differ significantly by teacher background variables, all of them are found to have high common understandings with similar scores on average. Third, the improvement of softwar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in line with the aforementioned problems. The expansion of classroom facilities was the most agreed as a way to improve software education, followed by the need for a level-by-level curriculum that considered children's competency differences. However, the second-highest level of disruption in class was found to be below the overall average of improvement measures. This is a major hindrance to classes, but it is interpreted to avoid situations that could lead to conflicts in the same school/year. Improvements in softwar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have also been linked to solving problems. The methodological training center gained the highest consent, followed by the sum of training and real field teaching tools. In addition, training centered on unplugged education, which is opposed to coding training, also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teacher training with high consent. Software education and teacher training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but all recognized the lower limit as being similar to the average. Policy suggestions based on research results and suggestions on follow-up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national policy support is needed to raise the need for software education and improve problems. While there is a high interest in and need for software education as a key element of school reform or future education, support for the enactment of class-based laws, expansion of the city, infrastructure and teacher training is still insufficient. Unit schools shall systematically support teachers to participate in various training programs to recognize the need for software education and enhance their expertise. Based on the institutional support of these schools, teachers should demonstrate collective intelligence such as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software education by creating a forum for discussion and consultation with teachers in the same school and grade. Third, primary school teachers sh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eacher training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oftware education. This is because it is a software educa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education, so the curriculum of the class may vary depending on the understanding of the understanding.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re diverse approaches are needed to target and research areas for elementary school software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eachers, but there are also various implementers of software education policies, including principals, parents, and students. When conducting research on different subjects, it may provide different perspectives on necessity, current status and problems, and recognition of improvement measures.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examine the necessity, status, problems, and improvement of software education in various ways. Although this study conducted quantitative studies on teachers' awareness of elementary school software education, interviews and interviews of qualitative studies may be appropriate to identify key factors in the school's climate, such as teachers' perceptions and relationships in unit schools. 우리가 사는 사회는 디지털 전환의 시대로 IT 신기술이 우리 삶과 산업 전반을 송두리째 바꾸며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다. 디지털 기술이 인간의 단순 반복업무를 대체하는 것을 넘어서서 법조계, 의료계까지 영역을 가리지 않고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디지털에 대체되지 않는, 디지털을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소프트웨어교육이 중요해졌다. 세계적으로 소프트웨어 분야를 선도하고 있는 주요 국가 미국, 영국, 중국, 일본 등은 국가 발전과 인재 양성을 위해 국가 교육과정에 소프트웨어교육을 포함시켰다. 우리나라 또한 2019년부터 소프트웨어교육을 실시하여 초등학교 5~6학년과 중학교 1~3학년은 의무교육으로, 고등학교1~3학년 선택과목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현황 점검이나 발전에 관한 논의가 부족하고, 특히 교육정책 실행자인 교사의 인식에 대한 조사가 미흡하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또한, 소프트웨어교육은 이전에 없던 새로운 교육과정이기 때문에 내실있는 교원연수를 통한 교수·학습 실천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관련 연구가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교육 특성과 초등학교 교육의 특수성의 이유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으로 교원연수까지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교육의 필요성, 문제점, 인식을 조사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소프트웨어교육의 필요성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소프트웨어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은 어떠한가?’이다. 전국의 소프트웨어교육 선도학교에 재직 중인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t-test 및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Scheffe’s post-hoc analysis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도출된 연구문제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소프트웨어교육과 교원연수의 필요성은 모두 긍정적이었다. 교사의 모든 배경 변인이 교육과 교원연수의 필요성을 높게 인지하고 있어 이 시대에 꼭 필요한 교육임을 학교 현장에서 동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소프트웨어교육과 교원연수의 문제점은 다양한 방면에서 나타났다. 먼저 소프트웨어교육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소프트웨어교육이 정부의 성취기준에 따라 보통으로 운영되지만 효과성은 낮다고 인식하여 현장의 불만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낮은 효과성을 야기하는 교육 저해요인으로는 수업 시설 미비 및 불충분과 동학교/동학년의 수업 방향 협의 부족, 교원 대상 과목 홍보 부족이 높은 동의를 얻었다. 소프트웨어교육 교원연수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소프트웨어교육 교원연수가 정부 지침에 따라 운영되지 않으며 이에 효과성이 낮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소프트웨어교육 교원연수 효과성의 주요 저해요인으로 연수도구와 실제 수업 도구의 괴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방법론적 연수 부족, 코딩교육에 치우친 연수가 뒤를 이었다. 소프트웨어교육과 교원연수의 저해요인에 대한 인식은 교사 배경 변인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기도 하지만, 모두 평균에 비슷한 점수로 공통적으로 저해요인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소프트웨어교육과 교원연수의 개선방안은 앞서 언급한 문제점과 일맥상통하였다. 소프트웨어교육 개선방안으로 수업 시설 확충이 가장 많은 동의를 얻었고, 아이들의 역량 차이가 고려된 수준별 교육과정 필요가 그 뒤를 이었다. 하지만 두 번째로 높은 수업 저해요인이었던 동학교/학년 교원들의 수업 방향 협의는 개선방안 전체 평균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의 주요 저해 요인이지만 동학교/학년 갈등을 생길 수 있는 상황을 피하려 것으로 해석된다. 소프트웨어교육 교원연수의 개선방안 또한 문제점의 해결과 맥을 이었다. 방법론적 연수 중심이 가장 높은 동의를 얻었으며, 다음으로는 연수와 실제 현장 수업 도구의 합이 뒤를 이었다. 또한 코딩교육과 반대되는 언플러그드 교육 중심의 연수 또한 높은 동의를 얻어 향후 교원연수의 방향을 시사한다. 소프트웨어교육과 교원연수 또한 교사의 배경 변인 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기도 하였지만, 모두 평균과 비슷한 값으로 저해요인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한 정책적 제언 및 후속연구에 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필요성 제고와 문제점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학교개혁이나 미래교육의 핵심요소로서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은 높지만, 수업 근거 법령 제정, 시수 확대, 인프라 및 교원연수 등에 대한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다. 단위학교는 교사들로 하여금 다양한 연수에 참여하여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전문성 제고를 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교사는 이러한 학교의 제도적 지원을 바탕으로 교원학습공동체와 같은 집단지성을 발휘하며 동학교/동학년 교사와 소프트웨어교육 수업에 대한 논의와 협의를 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 소프트웨어교육의 효과성을 도모해야한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소프트웨어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적극적으로 교원연수에 참여야한다. 전문교과의 특성을 가진 소프트웨어교육이기 때문에 교사의 이해도에 따라서 학급 교육 과정이 상이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결과와 제한점을 기반으로 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접근 대상 및 연구 영역에 대한 보다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지만, 이 외에도 소프트웨어교육 정책 실행자는 학교장, 학부모, 학생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있다. 대상을 달리 하여 연구를 진행할 경우 필요성, 현황 및 문제점, 개선방안 인식에 대한 다른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다양한 방법으로 소프트웨어교육의 필요성, 현황 및 문제점, 개선방안을 살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양적연구로 진행하였지만, 교사의 인식 내면과 단위학교 내 관계 등 학교 풍토에 있는 핵심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선 질적연구의 면담, 인터뷰등이 적절할 수 있다.

      • 발레교육이 군 사병의 감성지능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박선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ballet education on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army soldiers. Applied samples were limited to 60 active-duty soldiers, who serve in Gyeong Gi-do province.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test group 30 persons and control group 30 persons. And each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f 10 attention soldiers and 20 normal soldiers, respectively. In this study, the attention soldier means one who needs a lot of attention in military life. In case of test group, ballet education was enforced for 12 weeks, and the education program of each day was organized as 5 stages (total 120 min.) such as follows; tension relaxation (15 min.), introduction for entering (20 min.), basic motion (30 min.), subject activities (35 min.), and finish of the activities (10 min.). The Subjects of ballet education for each week were organized and proceeded as follows; week 1-2 (building rapport), week 3-4 (monitoring own emotion), week 5 (watching related performance), week 6-7 (monitoring the other person’s emotion), week 8-9 (building a harmonious personal relationship), and week 10-12 (improving the spirit of team work). Measurement tool used in this research consisted of scale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former uses itself due to one of measurements, the later only uses an organizational commitment scale among three measurements such as (1) a military life adaptation scale, (2) a military life satisfaction, and (3) an emotional commitment. All of scales were modified and revised and optimized to be suitable for this study. A statistical program, SPSS 21, was used in order to produce research results, and diverse analysis was executed such a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aired sample t-test,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nalysis after ballet educat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entire sub-factors’ estim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attention soldiers and normal soldiers were meaningfully increased comparing to the previous status of the ballet educa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attention soldiers according to whether military soldiers had attended to the ballet education or not. But, in case of normal soldier, the estimations for thre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such as self-awareness, others awareness, and emotional application. And the entire sub-factors’ estimation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re increased than the group, which does not experienced the ballet education. Third, ballet education had no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attention soldiers, but, in case of normal soldier, the ballet education had influenced to self-awareness, emotional control, emotional application, and the entire sub-factors’ estimation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Last, there was no control effect of the ballet education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attention soldiers and normal soldiers, but, we could find positives change in terms of soldiers’ physical, mental and attitudes that higher officers feel. On the basis of research result, as a future study to be carried out, we need to develop a ballet education program including overall ballet contents for attention soldiers with enlargement of research region and objects, and also in order to develop emotional intelligence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attention soldiers. Finally, we think that ballet education included diverse ballet programs should be long lasting. And the education is necessary that they can be applied to the ballet education expanded in the entire military unit. In the future, if such efforts should be carried out, further studies can be developed deeper. 본 연구는 발레교육이 군 사병의 감성지능과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육군부대 군 사병 60명이다. 군 사병 60명을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으로 나누어 각 집단별로 10명은 관심사병, 나머지 20명은 일반사병으로 구성하였다.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으며 실험집단의 경우 12주에 걸쳐 120분 동안 발레교육을 실시하였다. 발레교육은 120분 동안 긴장풀기(15분), 들어가기(20분), 기본동작(30분), 휴식(10분), 주제활동(35분), 마무리(10분)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각 회기별 발레교육의 주제는 1-2 회기 라포형성, 3-4회기 자신의 감정 들여다보기, 5회기 공연관람, 6-7회기 상대의 감정 들여다보기, 8-9회기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 10-12회기 협동심 기르기로 구성되어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감성지능 척도와 조직효과성 척도이다. 감성지능은 하나의 척도이므로 그 자체를 사용하였고, 조직효과성 척도는 군 생활적응 척도, 군 생활만족도 척도, 조직몰입 척도 중 정서적 몰입 부분만을 사용하였다. 모든 척도는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였으며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21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대응표본 t검정, 독립표본 t검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발레교육 전보다 발레교육 후에 관심사병과 일반사병의 감성지능과 조직효과성의 모든 하위요인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둘째, 발레교육 유, 무에 따라 관심사병의 감성지능, 조직효과성에 차이가 없었으나 일반사병의 경우 감성지능 하위요인 중 자기감성, 타인감성, 감성활용 요인과 조직효과성의 모든 하위요인이 발레교육 무경험 집단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발레교육이 관심사병의 감성지능과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일반사병의 경우 발레교육이 감성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감성이해, 감성조절, 감성활용과 조직효과성의 모든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관심사병과 일반사병의 감성지능과 조직효과성에서 통계적으로 발레교육 조절효과는 없었으나 군 사병이 느끼는 신체변화, 내면의 변화와 간부들이 바라본 결과에 의하면 발레교육을 받은 군 사병들의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지역과 연구대상의 확대 및 동일한 특성을 지닌 군 사병들로 구성된 집단을 대상으로 발레교육을 진행 한다면 발레교육의 효과가 극대화 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더불어 관심사병을 대상으로 발레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이들에게 발레교육의 효과가 나타나는 시점(시간, 기간)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발레 동작 위주의 교육이 아닌 발레 전반적인 것을 교육하는 레파토리 형식의 발레교육프로그램 개발 또한 필요하다. 관심사병의 경우 감성지능과 조직효과성 향상을 위해 발레교육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병행하여 진행하는 연구와 군대 내에서 발레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방안 모색에 대한 연구가 진행된다면 심도 있는 연구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 색면집적에 의한 도자표현 연구

        박선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예학과 도자공예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 문 개 요 우리가 건물을 짓고 살아가는 지층은 인간이 상상 할 수 없을 정도로 오랜 시간 꾸준히 쌓여져왔다. 그 위에 건물을 새로 짓는 것과 허무는 것을 반복하며 인간은 시간을 쌓고 경험을 쌓고 또 다른 지층들을 만들어왔다. 현재의 건물이 아닌 과거의 건물에서 과거의 사람들이 그들만의 시간을 쌓아왔고, 그러한 시간 또한 지층의 시간이 된다. 우리는 그러한 과거 위에 현재의 것들을 세워 우리들의 현재를 살아가는 것이다. 이 시간들 또한 과거가 되고 그 흔적은 지층과 과거의 건물들로 남는다. 꾸준히 쌓인 시간의 흐름을 시각화하기 위해 색면집적의 제작방식을 활용하였다. 색면집적이란 색으로 이루어진 흙 면을 집적하여 두꺼운 판을 제작하는 것이다. 이는, 지층이 집적된 모습과 유사하여 시간의 흐름을 표현하기에 적합하였다. 색면집적에 대한 개념을 조사하기 위해 색면과 집적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색면은 색과 면을 나눠 조사하여 그 의미를 구체화 하였다. 색면은 색면추상파에서 파생된 단어로 색으로 이루어진 면을 의미한다. 비록 색면추상파 화가들은 작품을 완성하는 과정에서 행위의 흔적에 비중을 두지 않았지만 본 연구자는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색면이 쌓이는 과정에 집중하였다. 집적은 주로 공학 분야에서 쓰이는 단어이다. 미술에서 집적의 시작은 큐비즘의 콜라주에서 출발하여 아상블라주로 발전하였다. 아상블라주란 모으다, 수집, 집합, 결합하다의 의미로 주로 물건의 단편이나 폐품을 모아 만든 작품을 의미한다. 제작과정에서 압축되면서 꾸준히 쌓인 지층의 모습을 표현하기 위해 색슬립이 흐른 조형적 흔적을 활용하였다. 또한 색면이 집적된 모습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부분적으로 무광택유를 시유하였다. 형태적으로는 건물의 이미지, 지층의 단면이미지를 차용하여 작품을 구성하였다. 건물은 형태를 최대한 단순화 시켜 건물이 가진 형태가 시각적으로 전달되기 보다는 집적되어 나타날 수 있는 조형적, 비례적 이미지에 중점을 두어 제작하였다. 특정한 부분에는 굴뚝, 창문 등 건물이 가진 대표적 이미지를 단순화하여 상징성을 부여하였다. 또한 시멘트를 이용하여 재료적 다양성을 주었고 본 연구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강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시간과 경험이 쌓여 현재가 되고 또 그 현재는 다시 과거가 되는 시간의 방향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시간, 경험, 지층과 같이 서로 의미적으로 연관되어 쌓여진 것들의 시각화 과정은 감상자와 연구자 모두로 하여금 시간의 흐름에 대한 의미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게 하였다. Abstract A Study of Expressions in Ceramic Art through the Accumulation of Color-Slabs by Park, Sun Wou Department of Ceramic Arts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Directed by Professor Jung, Jin Won The earth's stratum on where humans build structures, have gone through and is still going through ages of accumulation for longer than we can imagine. By repeating the cycle of constant building and demolishing, us humans have been creating our own layer of stratum embedding time and experience. People in the past have accumulated their time by building structures in their era, and those “times” transform into another meaning of stratum. We build upon their time and live in the contemporary era given to us. Likewise, our evidence of time will soon reach a near future and become the past eventually guided to another formation of layers of stratum. Based on my interest above, I have invented the ceramic making process of layering slabs in order to visualize the accumulation of time. By repetitively coating thin colored slip on top of each other one layer at a time, a thick ceramic slab is formed. The visual effect I obtain from this process well represents the integration of the stratum. I have studied about color-fields and layering in order to explain the notion of my invented process of layering color slabs. I have specified the meaning of "color-slabs" by presenting my research in separate of color and facades. The notion of "color-field" derives from the term "Color-field Painting", meaning a face or area of flat color. Though Color-field Painting is less about the process and action of making the work, I have focused on the process of color slabs overlapping and layering. "Accumulation" is mostly recognized as a term mainly used in the discipline of engineering or physics. In the history of art, the concept of accumulation has appeared first in Cubism's Collage and the meaning has developed through Assemblage. Assemblage, mainly describing works made out of waste articles, debris or parts of various objects, connotes the meaning of collecting, gathering and combining. In order to visualize the compressing forming process of stratum, I have left some part of the slip to leave a natural drip. Furthermore, I have glazed certain parts of each piece in matt clear glaze in order to emphasize the layering of color slabs. In terms of form, I borrowed the image of buildings and cross-sections of the earth's stratum and re-arranged them. By utilizing the most simplified form of buildings, I intended to put the focus more on the formal aspect of my technique rather than the representational aspect of the image of buildings. Yet I left possibilities for symbolism by adding structures of windows and chimneys. Lastly, in effort to highlight my topic of interest and experiment with various materials, I have combined the ceramic materials with cement. Through this research I am willing to articulate my thoughts based on the direction of time; the present is formed by the accumulation of time and experience, which eventually becomes a past as time goes by. By the attempt of visualizing the accumulation of time, experience and stratum, I intend to lead both the researcher myself and viewers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he passage of time.

      • '감정 노동' 연구의 이론적, 경험 연구, 실증 연구 리뷰

        박선우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감정 노동 연구에 관한 약 25년간의 국내와 국외의 연구 논문과 학위 논문을 수집하였다.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경험 연구적, 실증 연구적인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이론적 측면에서는 기존의 선행 연구들이 감정노동을 어떻게 정의하며, 이루기 위해서는 어떠한 요소가 필요한지에 대하여 정리했으며, 경험적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된 것 중 국내와 국외에서 조직 행동분야와 관련된 감정 노동 연구가 어느 정도로 이루어 지고 있고, 그 방법론적 도구는 어떻게 사용하여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수치적인 조사를 행하였다. 실증 연구 측면에서는 경험 연구에서 분류하였던 감정 노동 연구들 중 방법론적인 차이를 보이는 연구들을 보다 자세히 다루고, 그 각각의 논문에 대하여 한계점과 의의를 다루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의 감정 노동의 실증연구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도구가 존재하지 않고, 다른 많은 감정에 대한 연구와 중복되는 경향과, 그 대상이 서비스업 종사자들에게만 편중되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향후에는 HRM 과 OB 관점에서 조직 내의 감정 노동이 어떠한 방향성이 있는지, 조직의 형태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러한 감정 노동이 기업측면에서 보았을 때 어느 정도로 조직 내의 구성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간이 수직농장 설계하기’에서 나타나는 초등 교사들의 창의적 설계 과정 분석

        박선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공학적 설계를 적용한 ‘간이 수직농장 설계하기’활동에 참여한 초등 교사들의 창의적 설계 과정의 변화와 담화에서 나타나는 행동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2단원 ‘생물과 환경’ 단원을 공학적 설계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간이 수직농장 설계하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이 활동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창의적 설계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간이 수직농장 설계하기’에서 창의적 설계 과정은 5단계(문제파악하기, 조사하기, 설계하기, 제작하기, 평가하기)로 진행되었다. 각 단계의 설계 과정은 비선형적이며, 앞 단계로 되돌아가거나 여러 과정들이 한 번에 복합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간이 수직농장 설계하기’에서 나타나는 교사들의 창의적 설계 과정은 아이디어 생성 및 정교화하는 피드백이 활발하였고, 하나의 발화 안에서 동시에 여러 과정이 나타나는 의미 있는 대화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설계와 합의에 초점을 둔 모둠과 제작 및 테스트에 초점을 둔 모둠의 창의적 설계 과정을 토대로 창의적 설계 과정의 바람직한 형태를 얻을 수 있었다. 문제 파악 및 조사 단계에서 문제 파악, 명료화, 재료 및 배경 지식의 조사 과정을 거치고 설계 단계까지 충분한 아이디어 생성, 정교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모둠 구성원과의 합의를 통해 아이디어를 결합 및 수용해야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STEAM 및 DBL 관련 연수 이수 경험이 있는 교사가 많은 모둠의 창의적 설계 과정에서 많은 상호작용이 있었고, 아이디어의 생성, 정교화 및 구체화가 더 잘 이루어졌으며 교실에서 지도할 때 어떤 점을 개선할지 대화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교사들의 창의적 설계 과정에 STEAM 및 DBL 관련 연수들이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을 통해 교사들은 창의적 설계 과정에서 활발한 피드백을 통해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키고 반성적 사고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이 창의적 설계 과정을 경험해 보고 바람직한 설계 과정에 대해 고찰하는 기회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교사들이 창의적 설계 과정을 직접 경험 및 훈련할 수 있고, 다양한 창의적 설계 과정 수업 주제를 배워갈 수 있는 연수들이 확대되어 교사들이 설계학습 및 협업 과정에 익숙해지도록 지속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미술치료를 활용한 애도 프로그램이 배우자 사별노인의 애도, 우울 및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박선우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술치료를 활용한 애도 프로그램을 배우자 사별노인 대상으로 실시하여 애도, 우울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복지관을 이용하는 배우자 사별노인이다. 부산광역시 노인복지관의 복지사들을 통해 배우자 사별로 인해 대인관계, 생활적응에 어려움을 보이는 65세 이상 노인 중 인지기능과 의사소통이 양호한 대상자를 추천받아 프로그램 참여의사를 밝힌 남녀 노인들을 대상으로 부산시 A복지관과 B복지관에서 각각 15명씩 30명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노인들에게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을 하고 참여의사를 밝힌 총26명의 남녀 노인이 최종 대상으로 선정된 후 실험집단에 13명, 통제집단에 13명을 배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주 1회, 1회기씩, 회기 당 180분씩 총 8회기의 미술치료를 활용한 애도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 통제집단에 대해서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애도, 우울과 자아통합감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WIN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척도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각 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두 집단 간의 사후검사 점수에 대해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통계적 분석의 양적 연구를 보완하고자 참가자의 프로그램 회기별 평가서를 바탕으로 집단원의 효과를 분석한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이러한 연구절차를 통하여 나타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를 활용한 애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애도가 감소되었다. 둘째, 미술치료를 활용한 애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우울이 감소되었다. 셋째, 미술치료를 활용한 애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자아통합감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본 프로그램은 배우자 사별노인의 애도와 우울의 감소와 자아통합감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mourning program using art therapy on grief, depression, and ego-integrity of elders bereaved of the spouse. For the study, elders bereaved of the spouse visiting elderly welfare center located in Busan were recommended by professional counselors in the center. Among them, 26 elderly participants aged 65+ who had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life adjustment were selected. The selected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13 and a control group of 13 for the experiment. A mourning program using art therapy was provid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 8 sessions, once a week, 180 minutes each. No action was taken for the control group during the same period time. SPSS/WIN 24.0 was used to obtain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ach scale. To look for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MANCOVA was utilized to analyze the posttest scores of the two groups by selecting their pretest scores as a covariable. To make up for the shortcomings of the quantitative research by statistical analysis, the written evaluation of the participants on each session of the program was analy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mourning program using art therapy showed less grief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mourning program using art therapy showed less depression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mourning program using art therapy showed more improvement in ego-integrit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s that this program is effective at reducing grief and depression, and improving ego-integrity of elders bereaved of the spou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