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SL 환경에서 영어일기쓰기에 나타난 오류분석

        박선옥(Sun Ok Park) 언어과학회 2010 언어과학연구 Vol.55 No.-

        This study examines writing errors and self-corrections in two college ESL learners` journals and tries to answer following questions. (1) What kind of errors do Korean ESL learners make frequently? (2) Can learners` writing skills be improved without teacher`s feedback?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error types and self-corrections between advanced learners and less advanced learners?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ESL learners make the most errors in the use of articles. The advanced learners and less advanced learners showed different error distribution, which suggests they need different approaches to teaching and feedback Both groups showed improvement in writing through English journals, but the so-called treatable category such as nouns, articles and verbs still require teachers` feedback Advanced learners showed that some errors are fossilized, which could be easily corrected with teacher`s little help. Less advanced learners turned out to require direct error correction. To improve writing skills, it is suggested that teachers make learners write journals without feedback for some time, provide them with their error distribution table, have them recognize repeated errors themselves, and explain ESL learners` common errors compared with their native language. (International University of Kore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쓰기 활동 분석과 구성 방안 제언

        박선옥(Sun-Ok Park) 한국중원언어학회 2011 언어학연구 Vol.0 No.1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writing books and to improv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riting skills. This study analyzes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writing books and shows things that should be changed in the Korean books. We define ‘writing’ in the area of language education and choose principles of writing education and decide on the appropriate types of writing activities. We also examine the 13 Korean books that have been published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 so far. As a result, the activities are controlled writing activities, such as those that make students focus only on grammar. Most of the activities are for real writing skills including spelling, vocabulary and grammar. Since the purpose of learning language is to communicate, we should teach students how to write systematically. That’s why the Korean text books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should be well organized. In particular, the activities should be well organized with variety activities such as controlled writing activities, leading writing activities, and free composition. Also, Korean books should be organized by the activities that can fulfill education principles such as learner-centered writing, progress-based writing, and genre-based writing.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요청상황에 따른 요청전략의 분포와 공손성 정도

        박선옥(Sun Ok Park) 언어과학회 2003 언어과학연구 Vol.25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at kinds of request strategies are used in specific request situations and what determines the degree of politeness. The study examines the data completion test and the assessment test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checks if they can apply to all possible request situations. It also examines if there are any other social variables affecting request strategies. The main findings are: (1) request strategies need to be reclassified as the movie transcripts include a lot of data which are difficult to classify. (2) the distribution of the request strategies are affected by familiarity, request situation, power, risk and affect in order. The sex and age of the speaker and the addressee do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quest strategies in the data. (3) The frequent request strategies are mood derivable (42.9 %), suggestory formulae(l2.9%) and want statements(11.3%). However, past modals were not used frequently except between strangers, although it is the typical request form learned by foreign learners. (4) power and familiarity affect the degree of politeness. The speaker tends to actively use + politeness or - politeness in the request rather than 0 politeness. When the addressee has power and is not familiar with the speaker, the speaker uses a more polite request. As the speaker tries to avoid the face threatening act when the addressee is no familiar with the speaker, the request data for such cases were few.

      • KCI등재

        인터넷 토론글 사례 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인터넷 토론 의사소통 방식에 관한 연구

        박선옥 ( Sun Ok Park ) 한국화법학회 2006 화법연구 Vol.9 No.-

        이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 토론글 사례에 나타나는 언어 사용 양상을 살피고, 내용 구성 방식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인터넷 토론 의사소통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인터넷 글쓰기의 일반적 특징으로 빠른 커뮤티케이션 진행을 위한 경제성 추구, 대면 상황과 비대면 상황의 중간층위에 해당하기 때문에 감정표현이 병행된다는 것, 변형과 조작을 통한 오락성 추구, 익명성에 기인하는 심리적 해방감 추구 등을 꼽을 수 있다. 인터넷 토론에서는 비문법적인 표현, 은어나 비속어 등의 무분별한 사용 예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내용 전개 양상에서도 주장만 짤막하게 제시한 즉흥적인 글, 토론 논제와는 관계없는 글을 전개하여 전체 토론장의 분위기를 격화시키거나, 주장은 있지만 비논리적인 글의 사례를 많이 발견할 수 있다. 인터넷 토론글 가운데 논증적인 글의 논증 구조를 살펴보았다. 좋은 토론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주장하는 바가 명확히 드러나야 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주장의 근거이다. 근거를 바탕으로 주장을 논리적으로 전개하여 의견을 피력하기 위해 추론 과정도 적절해야 하며, 반대편 의견을 설복시키기 위해 미리 반증의 의견도 내놓는 것이 바람직한 토론글의 작성일 것이다. 그런데 우리가 살펴본 많은 인터넷 토론글에서는 그와 같은 논리 정연한 글이 많지 않았다. 이상을 바탕으로 볼 때 인터넷 토론은 많은 곳에서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 바람직한 인터넷 토론 문화가 자리 잡지 못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이 나타나는 그 첫째 이유는 인터넷을 통한 토론이 익명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라는 데 있다. 비록 실명을 밝힌 글이라 하여도 대면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비논리적 전개를 하여도 부끄럽다는 생각이 결여되기 때문일 것이다. 두 번째 이유는 토론 진행 방식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토론자들이 많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토론 진행을 원활하게 해야 할 사회자 부재 때문이다. 그리고 인터넷 매체의 특징 때문에 이와 같은 양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종이 매체를 통한 토론이라면 논리적인 한편의 글을 작성해야 한다는 기준에 따라 좀더 엄격하게 의견을 전개할 것이고, 대면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토론이라면 상대편의 즉각적인 반응을 고려하여 좀 더 논리적이고 격식적인 토론을 진행할 것이다. 그런데 인터넷 토론에서는 이 두 양상을 모두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 매체는 종이 매체 또는 대면 상황의 중간층 정도의 매체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의사소통 측면에서 볼 때 올바른 인터넷 토론 문화 형성은 복잡한 현대 사회의 다양한 의견 제시와 수렴 및 여론 형성에서 매우 중요하다. 인터넷 토론이 인터넷 매체의 특성에 따라 올바른 토론 문화를 형성할 수 있도록 토론 참여자들의 주의와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aim for this study is taking a close look the aspect of language usage of debating written on the internet so that analyze the way of contents make-up and then find out the efficient alternative for internet debating through it. It is fundamental in democratic society to solve the problem through debating which people who have different perspectives for a certain matter are trying to prove their priority by criticizing other``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debating has been emerged so, real-time, face-to-face debating is activated. Nowadays, besides, not-real-time, not-face-to-face debating is spreading by internet network development. However, debating culture on the internet seemed not mature enough yet to show many problems in terms of phonological errors and grammar errors. In terms of story their improvised short opinion is expressed and showed story which is not related with and debating or cursing. There are some cases of debating which were proving logically through suitable inference but most of them are found to be not logical. Internet is expected to be developed further and the communicating using this media will be improved. Making appropriate internet-debating culture is very important in light of communication in complicated modern society.

      • KCI등재

        한국어능력시험의 읽기 평가 틀 체계화 방안 연구

        박선옥(Park, Sun-ok) 중앙어문학회 2012 語文論集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ssessment framework and to suggest a systematize assessment framework based on the assessment framework which is the national test standard. TOPIK became a broad test and it should developed it’s quality. Korean as a second language does not have a national standard curriculum. That is why TOPIK is mostly affected by language center curriculum, text books and teaching method. So TOPIK should develop a national standard. Now the TOPIK system has a guide question plan for each language skill. However, there is not a systemic sub-category of specific sikills. The reading assessment framework focused on aspect alone. Whereas texts and situations are not seen in it. We looked at the national assessment framework so that TOPIK can be systemized and consistently be of a higher standard as a reading skill test. In addition, through this work, the basic requisite should be aspect, situation, and texts. In addition, the sub-categories should be made more accurate. Also, the number of questions should be different based a level. The last thing is the length of texts should be chosen based on level and closed-ended questions, open questions, and composed questions should be used.

      • KCI등재
      • KCI등재

        SIOP 모델 기반, 다문화 문학 작품을 활용한 다문화 이해와 한국어교육

        박선옥(Park, Sun-O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8

        이 연구는 SIOP 모델(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 Model)을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다문화 이해와 수용성을 높이고 한국어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ㆍ학습 모형을 구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두 가지 면에 초점을 두었는데 첫째는 다문화 이해 및 수용성 증진을 위한 교육 내용을 한국어교육의 내용 범주로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문화주의나 다문화 교육은 한국 사회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인 현상이다. 외국어로서 또는 제2언어로서 한국어를 학습하는 학습자야말로 다문화적인 환경에 놓여 있으므로 다문화 교육의 직접적인 대상자가 된다. 그러므로 한국어교육의 내용 항목으로 다문화 이해 교육을 설정한다. 둘째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다문화 이해 교육 교수법으로 내용 중심 교수법(CBI: Content-based instruction)의한 유형인 SIOP 모델을 설정하였다. 이 모델은 EFL이나 ESL에서 그 효용성이 입증되어 각광받고 있는 교수법으로 KFL이나 KSL에도 충분히 적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이에 따라 중급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다문화 문학 작품인 ‘사라, 버스를 타다’를 교육 자료로 하여 SIOP 모델의 수업 계획 아우트라인(SIOP Lesson Plan Outline with Guidelines)을 기반으로 한 교수ㆍ학습 모형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education model and to help Korean learners could understand multiple cultures through SIOP model(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 Model). This study focused on two aspects. Firs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categories of the Korean content education. Korean learners should learn about the multiple cultures. Therefore, I set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to the categories of Korean education. Second, I set the SIOP model which is content-based instruction to understanding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model has proven the effects in EFL and ESL, so it is worthy to apply for KFL, KSL. Accordingly, I chose the literature, ‘Sara took the bus.’ which is about multiple culture and I presented teaching model based on SIOP lesson plan outline.

      • KCI등재

        PBL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수업의 문제 개발 사례 분석 연구

        박선옥(Park, Sun-ok) 중앙어문학회 2016 語文論集 Vol.67 No.-

        이 연구의 목적은 PBL(Problem-Based Learning, 문제중심학습)을 활용한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사용한 문제의 개발 과정을 살피고, 문제에 대한 학습자 평가 등을 종합, 분석하여 PBL 활용 글쓰기 문제를 개발할 때 유의할 사항을 살펴보는 데 있다. PBL을 대학 글쓰기 교육에 활용하여 얻을 수 있는 교육적 가치는 충분하다. 그런데 대학 글쓰기 교재에는 PBL 활용 글쓰기 문제가 없고, 연구 논저에서도 문제 개발 과정에 대한 논의는 찾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는 PBL을 활용한 글쓰기 교육 분야에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PBL을 활용한 글쓰기 문제의 개발 과정은 ‘교과목 학습 목표와 내용 선택→학습자 특성 파악→학습 내용과 관련된 실제적 맥락의 주제 선정→문제 초안 작성→(필요시) 학습 지원 자료 준비→문제 작성→문제 타당성 점검’이다. 그리고 PBL을 활용한 글쓰기 문제는 ‘비구조성, 실제성, 복잡성, 학습자 관련성, 교육과정에 근간을 둠, 활동의 명확성’ 등의 특성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들에게 설문조사를 해서 얻은 의견을 종합하고 분석하여 문제 개발을 위해 유의할 사항을 정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blems used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using Problem-Based Learning (PBL), to analyze learners’ assessments of these problems, and to determine what to pay attention to when developing writing problems using PBL. The educational value that can be gained through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using PBL is tremendous. However, there are no writing problems that use PBL in university writing textbooks, and so it is difficult to find problem development processes in statement writing research. The development process of writing problems using PBL is as follows: choosing subject learning goals and contents → understanding learner characteristics → choosing a topic of practical context related to the learning contents → writing a problem draft → (when needed) preparing study support material → problem making → examining problem validity. Additionally, writing problems using PBL mus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non-structural, practical, complex, related to the learner, based on educational courses, and clear in activity.” Surveys were conducted with learners to obtain their assessments of problems. The collected opinions were analyzed, and matters that need attention for problem development were highligh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