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舫山 許薰의 現實認識과 文學世界

        박상희 慶星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개항을 전후한 시기로부터 20세기초까지의 시기를 우리는 '근대전환기'로 본다. 이 시기는 우리민족의 近代史에서 파란만장한 激動期 그 자체였으며, 또한 대내외적으로 자의든 타의든 겪어야하는 현실의 변화에 대해 나름으로 대처해야하는 것은 우리 민족의 생존과 직결되는 중대한 문제이자 시대적 요청이기도 하였다. 우리 학계에서는 이 시기의 역사와 사상 및 문학을 거론하면서 당대 士大夫 知識人들의 현실에 대한 대처유형을 흔히 문호개방을 통한 開化를 주장한 측과, 전통문화의 수호라는 입장에서 衛正斥邪의 길을 취한 측으로 크게 나누고 있다. 이들에 대한 역사적 평가를 쉽게 내릴 일은 아니지만 각기 자신의 입장과 관점에서 제시한 고민의 결과였다고 하겠다. 당시 사대부 지식인들의 성향을 넓은 의미에서 본다면 위정척사의 입장을 지녔다고 할 수 있겠지만, 그렇다고 이들이 모두 똑같은 사상과 주장을 지녔다고 볼 수는 없을 것이다. 동일한 위정척사의 입장을 견지하였다고 하더라도, 당대의 시대현실에 대한 인식의 차이라든지 그에 대한 대처방식과 그들이 주장한 대안 등을 면밀히 살펴보면, 거기에도 다양한 層位가 나타나고 있다. 許薰(1836∼1907)은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살펴봄직한 인물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舊韓末 영남의 대문장가이자, 퇴계의 학통을 계승한 名儒로써, 그 역시 위정척사의 논리를 갖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한편 국내적으로는 위정자들에게 역사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며, 그 방향에 적합하게 현실내부의 문제들을 변화시키고자 노력하기도 하였다. 우리는 그를 통해 당대 사대부 지식인의 한 유형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허훈의 현실에 대한 인식과 그 인식의 표출로써 구현된 문학세계를 통해 근대전환기의 한 학자이자, 문학가로서의 고민과 대응논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허훈은 영남의 鄕班으로 태어나 일찍이 과거를 포기하고 학문의 길을 선택하였다. 이리하여 일찍부터 관심을 두고 있었던 근기학의 開祖로 일컬어지는 眉? 許穆의 학문에 본격적으로 탐익하게 된다. 또한 마침 김해부사로 부임한 性齋 許傳을 만나게 되어, 학문적으로 보다 진일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허전은 높은 학식과 호한한 저술활동으로 星湖-順庵-下廬로 이어지는 근기학의 嫡統을 계승한 학자였다. 기실 19세기 이후 근기실학은 허전을 정점으로 이어졌던 것이다. 허전의 이러한 명성을 익히 들어온 허훈으로서는 큰 행운이 아닐 수 없었다. 허훈에게서 이러한 학문전통을 계승한 온전한 저술을 볼 수는 없지만, ??說? ?車說? 등과 같은 실용적인 글이나, ?海潮說? ?浿水辨?등과 같은 고증적인 논설들은 근기학의 전통을 보여주는 글이라고 하겠다. 이처럼 허훈은 근기학에 자신의 학문 방향을 설정하면서도, 한편 이 시기에 西厓 柳成龍의 9世孫으로 영남에서 퇴계학의 한 지류를 이룬 溪堂 柳疇睦(1813∼1872)을 배알하여 여러 학설을 問難하게 된다. 이들의 만남에서 柳疇睦은 허훈을?마음가짐이 확고하고 공부도 절실하여 得力한 경지에 이르렀다?고 칭찬하였으며, 허훈도 先生이라는 호칭으로 柳疇睦을 공경하였던 것이다. 허훈은 영남학통을 이은 영남지역의 훌륭한 선비로써 柳疇睦을 존경했던 것이다. 사실 그의 처지가 영남학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지만, 반면 영남학 내부의 소모적이고 모순된 경향에 대해서는 초탈하고자 노력하였다. 요컨대 허훈은 성찰과 수양을 중시하는 영남학의 한 축에, 許穆-李瀷-安鼎福-黃德吉-許傳에게 承統된 실증과 실용을 중시하는 근기학의 한 축을 완전히 갖추어 문학가적 자질을 바탕으로 예민한 흡수와 투철한 이해를 쌓아 정감의 세계를 배경으로 한 격조 놓은 학문을 구현할 수 있었던 것이다. 허훈은 당시 세도정권의 현실대처의 무기력함에 강한 불만을 가지고, 일찍이 處士로서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였다. 그의 處士的 삶의 선택은 時義에 대한 준열한 비판에 기반한 것이다. 그러므로 산림에의 은거는 현실을 외면한 도피적인 행위가 아니라, 현실에 대한 비판적 관심의 표명인 것이다. 허훈이 이러한 처사적 삶을 추구하며 중시했던 것 중의 하나는 遊覽이었다. 그가 산수유람에서 얻고자 한 것은 학자로서 眼目을 넓히는 것이었으니, 그의 문학가로서의 기질을 충분히 엿볼 수 있다. 허훈은 안목이 바탕이 된 문장, 옛 글의 바탕 위에 유람을 통한 안목에서 지어진 글이 참다운 문학작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하였다. 허훈의 시대에는 국가 전체의 공동체적 결속은 무너지고, 대신 벌열을 중심으로 하는 중간 지배층의 橫侵과 농단으로 말미암아 국가도 왕권도 백성들도 각기 제자리에 서지 못하고, 쇠잔해 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허훈은 이와같은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강력한 왕권을 통해 이반된 민심을 수습하는 것이라고 주장하고,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서는 인재등용이 바로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親正姻戚 등 벌열을 배제한 고른 인재등용, 인재의 능력중시, 君子의 결단과 공평한 안목, 이것이 바로 허훈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정치론이라 하겠다. 그리고 허훈은 과다한 세금징수로 인한 백성들의 고질적인 고통을 큰 문제로 인식하였는데,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국가재정의 확보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한 것은 역시 소금의 국가전매 방안이다. 그의「鹽說」에는 그에 대한 구체적 제안이 담겨있다. 한편, 허훈은 근대적인 상업의 발전은 쉽사리 받아들이지 못하였다고 본다. 그러나 당시의 경박한 상업주의적 성향에 대한 그의 비판적 시각은 예리하다고 하겠다. 궁핍한 농촌의 현실에 비해 도시의 비생산적 소비성향이 갖는 불균형을 지적했던 것이다. 하지만 허훈은 근대 서구의 과학기술 수용에 대해서는 매우 관심을 가졌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의「胞說」「車說」과 같은 글에서 그러한 인식을 발견할 수 있다. 앞서 살펴 본「鹽說」이 국가경제를 견실하게 하는 방안이라면,「飽說」「車說」은 당시 서구 열강들의 침략기인 점을 고려할 때, 국방의 강화에 대한 관심의 표명이다. 허훈은 당시의 현실을 직시하고 憂國의 衷情에서 자기 지식의 모든 자료를 동원하여 이러한 글을 지은 것이다. 허훈 자신의 시대가 요구하는 문학은 모순된 현실을 극복할 수 있는 정치적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현실의 문제를 진단하고 그 처방을 제시하는 일이 절실히 요구되었고, 문학가의 역할도 여기에 초점이 있다고 보았던 것이다. 그래서 그는 참된 문학이란 학문을 통한 義理의 학습과 그 실천의 결과로써 얻어진 道德의 함양, 그리고 그것들이 실제 현실에서 실현되어 事業으로 이루어지고, 그 事業과 관련된 내용을 글로 표출하는 것, 그것이 바로 옳은 문장이라고 강조하였으니, 이것이 그의'事業文章論'이다. 그가 말하는 事業이란 모순된 현실을 바로잡을 수 있는 현실적인 對策에 다름 아니다. 즉 治國의 대책이라고 하겠다. 그래서 그는 현실에 부응하는 문학을 강조하였으며, 이러한 대책없이 한갖 心性에 관한 논의만을 일삼는 문학적인 태도를 비판적으로 보았다. 허훈의'事業文章論' 당시 論心說性만을 일삼는 道學者들의 편협되고 공허한 경향을 극복하고 당면한 최상의 관심사로 현실문제를 인식코자 한 것이다. 문학의 주제로써 현실의 經世的인 문제에 관심을 둔 것이다. 그는 이것이 곧 옛사람들의 文道合一의 정신이라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문학정신은 그의 시세계를 통해 살펴볼 수 있는데, 그는 자신이 처한 생활현실과 정치적인 현실들을 다양하게 형상화하였다. 그의 自然詩는 국토와 대자연에 대한 깊은 애정과, 자신이 몸담고 살고 있는 향토에 대한 강한 애착심의 발로였다. 그리고 당시 피폐한 농촌현실에서 고달프게 생활하고 있는 백성들의 삶을 묘사한 작품들에서는 그가 민족적·국가적 위기상황을 바로 인식하고 당면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려는 의지와 현실고발적 참여의식이 강하게 표출되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또한 당시 모순된 정치현실과 관리들을 풍자한 작품에서는 19세기말 근대전환기에 민족과 국가를 걱정하는 한 지식인의 참 목소리를 느낄 수 있다. 아직 본고는 연구자의 한계로 말미암아 문헌을 바탕으로 한 내용 중심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면이 있다. 앞으로 그의 시작품을 예술적'심미적인 측면에서 고찰하여 문학성을 밝혀내는 작업도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아울러 그의 산문에 대한 세밀한 분석 및 문학론에 나타난 주장과 실제 작품을 상호 연관시켜 그의 문학을 총체적으로 다루어야 할 작업이 남아 있다. 이러한 연구가 병행된 뒤에라야 허훈 문학의 가치와 본질이 극명하게 밝혀질 것이며, 문학사나 사상사적 위치도 분명하게 드러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앞으로 계속되어야 할 의의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Bangsan, Huh Hoon(1836-1907) was a great writer and Confucian succeeding to Toegye's scholarship. As an intellectual of ruling class, he tried to protect the righteousness and repel the wrong. And he tried to show the politicians of those days the right way and solve the problems of reality. This thesis showed how he understood reality and coped with it, and what his literary characteristics were. First, how did he understand reality and cope with it? In the late of 19th century when Huh Hoon lived, Choson had faced many difficulties and change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Most officers exploited the people in the corrupt political power. Popular uprisings resisting to this broke out all over the country. In addition, foreign powers demanded Choson's opening. These caused the decline of the Dynasty and national crisis. So in order to find a way out of this situation of national crisis, he insisted that strong sovereign power should be exercised and men of ability, not men from powered family, be taken. He wrote the book of「鹽說」(this Chinese characters mean 'the story of salt'), where he insisted that nation should take taxes from Yeomjang(manufacturer of salt) in order to strengthen national finance and enrich the people. And he wrote the book of「鹽設」(this Chinese characters mean "the story of cannon") where he insisted that they should strengthen the national defense against the invasion of foreign powers. These writings of Huh Hoon were meant to inform the people of the fact that their ancestors had excellent scientific technology and to give them the confidence that they could develop something new for themselves, because he knew they were much discouraged before the new wave from the Western. Second, his scholarship and his world of literature were examined. Huh Hoon was born as a son of ruling class in the province of Youngnam and was brought up in the atmosphere of the Youngnam school, but he widened his realm of scholarship by learning from Huh Mook and studying Kungisilak(the practical scholarship peculiar to Youngnam) through Huh Jeon. In other words, he realized his own refined scholarship by accepting both the Youngnam school pursuing self-reflection and mental training, and Kungisilak pursuing positiveness and practice. But because of the complicated reality of the end of the century, he gave up his ambition and chose the secluded scholar's life. Though pursuing the secluded scholar's life, he refused to live comfortably and developed literary judgement by going around the country and inspecting it. The characteristic of his literature was to deal with reality, breaking from the tendency to unreality and prejudice in the contemporary literature. This was so-called "Moonjangsaumlon". And his world of poetry could be divided into two parts-the poems of life and those of politics. His poems of nature were the expression of his strong love for his country and nature, and of the affection for his native land in which he lived. In his poems on the impoverished conditions of the rural communities, which was considered as the last ornament of orthodox poetry expressing the love for people, his mind to reveal reality could be found. And his poems of politics were the severe criticisms of the conflicting political world and the satires on corrupt officers. Therefore, from the view point of only the fact that he had the consciousness of a turning point in history, he should be valued high.

      • 정신간호사의 이직의도와 관련요인

        박상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of psychiatric nurses. Methods: The subjects were 233 psychiatric nurses from hospital psychiatric departments in Deagu, Ulsan, Gimcheon and Youngche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8 to April 11 in 2012. The variables were assessed by research tool of turnover intention, ego-resilience, adult attachment, physical violence and empowerment.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back-test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 means of the variables were as follows: turnover intention 14.6, ego-resilience 36.6, sub-areas adult attachment anxiety dimension 46, avoidance dimension 48.7, physical violence 2.1, sub-areas empowerment was meaning 15.5, competence 14.6, impact 10.2, autonomy 12.3, total 52.6.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positi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ntal hospital, workplace satisfaction and psychiatric department hope. This study showed that turnover inten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adult attachment, physical violence and negative correlation with meaning, competence and impact. Turnover intention was influenced by workplace satisfaction, psychiatric department hope, anxiety dimension and meaning.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uncil of th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in Nursing Science in June 2012. Workplace satisfaction, psychiatric department hope have 41%, anxiety dimension and meaning have 46 % explanation regarding turnover intention. Conclusion: Workplace satisfaction, meaning and anxiety dimension influenced on turnover intention.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intervention program in order to decrease turnover intention for psychiatric nurses. key words : psychiatric nurse, turnover intention, ego-resilience, adult attachment, physical violence, empowerment

      • 대안학교 음악교육현황과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대안학교 중심으로

        박상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학교에서 실시되는 음악교육의 근본적인 목적은 각 사람들의 타고난 음악적 반응을 최상의 가능한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미적 잠재력을 최대한 높은 수준으로 개발하고 경험을 하게 하기 위하여 이들의 잠재력을 양성하고 확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앞서 언급했듯이 입시위주의 교육정책으로 음악수업 일수가 줄어든 학교에서 음악교육을 인간의 심미적 체험을 목적으로 한다고 하더라도 진정한 목적을 향해 교육될 수 없으며, 이러한 경쟁적 삶의 방식이 전 사회에 걸쳐 팽배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음악적 심성과 체험은 그다지 큰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공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학습자 중심의 자율적인 별도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고안된 특별학교가 바로 대안학교이다. 음악교과는 대안학교의 교육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관련된 연구와 논문이 매우 부족했다. 이 논문은 광주광역시 대안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음악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발전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터넷과 각 대안학교의 교육계획서와 교육과정을 분석했고, 음악교육 현장을 조사하기 위해 5곳의 대안학교를 직접 찾아가서 관련 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광주광역시 대안학교 음악교육과정은 국민공통기본교과, 재량활동, 선택과목, 특성화과목에 다양하게 편성되어 있다. 일반학교와 달리 다양한 운영방식과 교과내용의 구성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특성화과목은 일반학교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대안학교만의 특색 과목이다. 둘째, 음악교사들은 대부분 젊고, 성악과 피아노 전공자들이 많았다. 그 중에는 기간제교사라는 신분상의 제약으로 장기적인 계획에 따른 일관된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셋째, 대안학교 음악교육은 학생이 주체가 되는 다양한 실기 중심의 교육으로 음악 관련 동아리활동도 학생들의 높은 관심과 참여 속에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열악한 교육시설, 악기 부족, 재정지원의 미비와 학교의 지리적 위치 등의 제약으로 음악교육이 진로지도와 연계되는 데는 한계가 많았다. 넷째, 대안학교의 음악과 평가는 실기평가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법의 평가로 다각적인 학생평가를 시도하고 있다. 다섯째, 대안학교의 음악교과 사이버 공간의 활용도는 높지 않으며 활동면에서도 아직 미미한 상태이다. <Abstract> Adolescents nowadays are lost in a rapidly changing, stifling reality where they don't know what their dreams are or how to realize their dreams. The teachers of the church-administered Daniel school, which has received the attention of the municipal office of education, and active teachers taking part as members of the Chairs church choir worked through many nights for six months to prepare the musical 'Vision', which has inspired many teenagers to find their dreams. Even in church, most students felt that everyone liked music and that music played an important part in forming friendship within an organization, by seeing how much more effective it was to sing hymns, play instruments, and dance together in order to become closer with God, the church, and other people. The basic purpose of music education conducted in schools is to train and expand the students' potential in order to advance each person's inherent music reaction to its highest possible level, and to develop his or her aesthetic potential to its maximum, and also to allow students experiences. However, as I have mentioned above, music education cannot be taught for its real purpose in the current schools where the number of music classes are reduced because of a education policy centered on college entrance exams even if the purpose of the music education is focused on aesthetic experience, and because this competitive lifestyle pervades throughout society, such disposition to music and experience cannot exhibit any great social influence. The alternative school is a special school which was conceived to make up for the problems of public education and to administer separate education programs which is centered on the learner. Even though the music course held an important status in the education of the alternative schools, research and theses concerning it were extremely lack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music education that is being conducted in the alternative school and to offer a development plan. To accomplish this, I analyzed the education plans and education courses of each alternative school, and conducted a survey to the related teachers by visiting 4 different alternative schools to research the actual site of music education. I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through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as stated in the above. First, the music education course for alternative schools in Gwangju was diversely drawn up as a common basic course for all citizens, a discretionary activity, an optional course, and a specialized subject. Unlike a normal school, the method it was manag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course content varied, while the specialized course was something that could not be found in a normal and was unique to the alternative school. Second, music teachers were mostly young, and many of them had majored in vocal music and piano. Some of them who were part-time instructors were limited in conducting a consistent music course based on a long term plan due to their status. Third, the students becam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various practical examinations which were the center of music education in alternative school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music related extracurricular activities was being accomplished. However, poor education facilities, lack of instruments, insufficient financial support, and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schools limited the connection to it being guided to a career. Fourth, the evaluation and music course of alternative schools tried various methods of student evaluation through practical examination and various others. Fifth, the use of cyber space in music courses of alternative schools was not high, and the rate of activity in cyber space was also insignificant.

      • 알개마스크와 고주파 관리가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

        박상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고주파와 알개마스크를 이용한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복부비만에 미치는 효과와 신체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첫째, 고주파를 이용한 복부관리프로그램이 복부 비만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고주파를 이용한 하체와 복부관리가 복부 비만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고주파와 알개마스크 병합프로그램이 복부 비만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비만관리프로그램이 신체상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이다. 연구대상은 청주시에 거주하는 20~ 50대 여성 중 BMI 수치가 23kg/m²이상, WHR 0.80 이상인 사람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고 제지방량, 체지방량, BMI, 복부지방률,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피하지방 두께를 측정한 결과, 네 군 모두 제지방량, 체지방, BMI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실험군A 알개마스크 25분 샤워 후 고주파를 이용하여 하체 15분, 복부 20분씩 주 2회 실시하여 복부지방률,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피하지방 두께측정결과 WHR 0.1% 감소. 허리둘레 4.1cm감소, 엉덩이 둘레 6.84cm감소, 피하지방 두께 12.05mm가 감소하였으며, 실험군B 알개마스크 25분 샤워 후 고주파를 이용하여 복부에 20분씩 주 2회 실시하여 복부지방률,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피하지방 두께측정결과, WHR 0.1% 감소 허리둘레 3cm 감소, 엉덩이 둘레 4cm 감소, 피하지방 두께 9.8mm 감소하였다. 대조군A 고주파를 이용하여 하체 15분, 복부 20분씩 주 2회 실시하여 복부지방률,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피하지방 두께를 측정한 결과, WHR 0.1% 감소, 허리둘레 2.1cm, 엉덩이 둘레 3cm 감소, 피하지방 두께 6.4mm의 감소 효과가 있었으며, 대조군B 고주파를 이용하여 복부에 20분씩 주 2회 실시하여 복부지방률, 허리둘레, 엉덩이 둘레, 피하지방 두께를 측정한 결과, WHR 0.1% 감소, 허리둘레 1.9cm감소, 엉덩이 둘레 2.6cm 감소 피하지방 두께 3.5mm 감소하여 실험군A의 사이즈 감소 효과가 가장 컸다. 실험 후 사이즈 감소효과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실험군A 4.75, 실험군B 4.25, 대조군A 와 대조군B의 경우 3.5점을 나타냈으며, 몸매 개선 만족도 조사에서는 실험군A 4.5, 실험군B 3.8, 대조군A 3.2 와 대조군B 3을 나타내 실험군A의 신체상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알개마스크와 고주파 병합 프로그램이 성인여성의 복부비만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알개가 비만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위한 실험적 보안과 지속적 임상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일반어린이집원장의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접근태도 유형분석

        박상희 창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1. 요약 본 연구는 일반 어린이집 원장의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접근 태도 유형 분석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주관적 연구방법(Q-방법론)에 의해 실시하였다. 주관성 연구 방법의 절차에 따라 먼저 어린이집 원장 2명, 보육교사 9명, 특수교사 4명, 학부모 2명에 대한 서면조사와 어린이집 원장 3명, 보육교사 1명, 특수교사 1명, 학부모 2명에 대한 심층면담, 그리고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Q-모집단을 선정하였다. Q-모집단을 계속 반복하여 읽어 내려가면서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접근 태도에 대한 진술문을 도출해 낸 결과 최종 37개의 진술문항을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통합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접근태도에 대한 Q-표본으로 선정된 진술문을 경남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국공립, 법인, 민간, 가정 어린이집 원장 45명을 대상으로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태도 관련 Q-카드 분포도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은 QUANL pc program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Q-요인 분석은 주요인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본 연구는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 어린이집 원장들의 접근 태도를 원장의 주관적인 관점에서 이해하고 분석함으로써 어린이집 원장들의 접근 태도에 관련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려고 시도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접근 태도는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세 유형중 제 1유형이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원장의 접근 태도를 가장 많이 설명하고 있다. 둘째, 장애영유아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 어린이집 원장의 접근 태도는 제 1유형은 신념화된 원칙주의형, 제 2유형은 차별적 접근개념 적용형, 제 3유형은 전문지식 및 인식개선 우선형으로 구조화 된다. 각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면, 제 1유형은 통합보육에 대한 당위성을 강조하고, 현실적인 것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원칙에 따라 통합보육을 실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통합보육을 실천함에 있어 보상이나 주어진 환경이 좋지 않더라 하더라도 신념을 가지고 실천해야 한다는 태도를 가지고 있다. 제 2유형의 원장은 장애영유아 보육은 일반 보육과정과는 차별적이고 특별하게 이루어 져야 하는 것으로, 교사의 전문성이나 장애영유아를 특별히 배려해 줄 수 있는 보조교사, 특별한 교육과정, 치료사지원 등 실제 보육현장에서 일반영유아들과 함께 교육이 이루어지더라도 장애영유아에게 특별한 배려가 주어져야 한다는 태도를 갖고 있다. 또한 그러한 차별적 접근을 위한 여러 가지 지원시스템의 필요성도 강조하고 있다. 제 3유형의 원장들은 여러 가지 진술문을 통해 교사나 원장, 학부모의 전문지식 과 인식개선을 위한 다양한 재교육을 강조하고 있는데, 통합보육 실천을 위해서는 시설이나 보조인력 지원보다 장애영유아를 직접 보육하고 있는 교사와 원장들의 책임의식을 먼저 강조하고 있다. 또한 재교육을 통한 인식개선이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믿고 있으며, 일반영유아의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부모교육을 실시하여 학부모의 장애아 인식개선 또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는 태도를 가지고 있다. 셋째, 유형간 차이 분석을 볼 때 제 1유형, 제 2유형, 제 3유형간의 특성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제 1유형과 제 2유형간의 차이에서 제 1유형은 보육현장에서 장애영유아 보육은 일반 보육과정 속에서 당연히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그에 대한 댓가가 주어져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고 있는 반면, 제 2유형은 장애영유아 보육은 특별한 교육에 속하고 일반영유아 보육과 동일하지 않은 차별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고, 장애영유아 보육을 하는 것에는 특별한 인센티브가 주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제 1유형과 제 3유형의 진술문 차이에서 제 1유형은 통합보육 실천에 있어 일반영유아 학부모들의 인식부족이 통합보육의 큰 장애요인으로 생각하고 있는 반면 제 3유형의 원장들은 일반영유아 학부모들의 인식은 긍정적이라 보아지고 통합보육 실천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한 제 1유형의 원장들은 보육전문가들의 부정적인 태도와 책임의식의 부족이 통합보육 실천에 있어 큰 장애요인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하는 반면, 제 3유형의 원장들은 보육교직원의 전문지식 및 인식 부족이 통합보육 실천의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생각하고 있다. 제 2유형과 제 3유형간의 진술문 차이에서 보면 제 2유형은 장애영유아 보육은 특별한 업무라고 생각하고 장애영유아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전문적인 접근이 필요하며, 장애영유아를 보육하는 것은 일반영유아와 다른 특별한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인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태도를 갖고 있다. 이에 비해 제 3유형의 원장들은 장애영유아 보육은 일반 어린이집에서 일반보육교사들이 해야 하고, 특수교사를 통한 교육 보다는 장애영유아를 보육하는 일반 보육교사들의 재교육을 통한 전문지식 및 인식개선을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 매킨타이어 덕 윤리론의 초등도덕교육적 의의

        박상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자유주의 사회에서는 그 문화적 사조인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도덕의 영역에까지 다원주의와 가치 상대주의가 만연해 있다. 극단적인 개인주의와 공동체 상실, 법이 도덕을 대신하는 도덕의 실종 위기에 직면하여 최근 20~30년간 현대 공동체주의와 덕교육의 부활을 주장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데, 매킨타이어(Alasdair MacIntyre)는 이러한 변화의 선두에 서 있다. 제 7차 초등도덕과 교육과정은 이러한 시대적 요청을 수용하여 도덕적 자질과 품성을 기르기 위한 덕교육 또는 통합적 인격교육을 그 이론적 배경으로 삼고 있다. 매킨타이어의 자유주의 비판과 덕 윤리의 부활에 관한 주장이 교육에서 덕교육의 부활을 가져왔다면, 그가 자신의 덕론을 전개하고 정당화하는 기제는 교육이론으로서의 덕교육 정당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의 수정․보완적 측면에서 차기 교육과정을 구상하고 있는 현재, 후자에 보다 중점을 두고 매킨타이어 덕 윤리론의 초등도덕교육적 의의를 밝힌 것이다. 매킨타이어는 현대의 도덕 불일치로 인한 혼란의 원인이 근대 계몽주의 도덕기획의 실패와 그 결과로서의 정의주의(情意主義, emotivism)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본다. 그는 인간이 다양한 사회 집단들에 소속됨으로써만 인격적 정체성을 가질 수 있다고 보며, 정의주의적 자아를 사회적 맥락으로부터 분리된 추상적이고 유령적인 자아로 간주한다. 또한 계몽주의자들의 공통된 실패 원인은 전통적인 목적론적 관점을 상실한 도덕탐구에 있으며, 그 까닭에 현대는 전통의 파편만을 계승한 뿌리 없는 도덕문화를 갖게 되었다고 말한다. 그리하여 현대의 도덕적 위기에 대한 대안으로서 덕의 전통을 재건할 것을 주장하는데, 이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론적 윤리설과 공동선이 실현되는 공동체의 부활을 의미한다. 그의 덕 개념은 관행, 인간 삶의 서사적 통일성, 전통의 세 가지 단계를 거쳐서 설명된다. 첫 번째 단계인 관행(practice)을 통해서는 어느 한 시점을 살고 있는 개인의 여러 활동과 덕의 관계성을, 두 번째 단계인 서사(narrative)는 인간의 전체 삶의 차원에서 덕이 어떻게 관계되는지를, 마지막 전통(tradition) 개념은 덕이 개인의 삶과 공동체 모두와 관계 맺는 형식을 통합적으로 보여준다. 세 단계의 설명을 통해 매킨타이어는 덕 개념이 공동체의 전통 속에서 사회적, 역사적 맥락과의 관련 하에 정의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매킨타이어의 덕 윤리론은 많은 지지와 함께 여러 반론에도 직면해야 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비판인 전통 개념으로 인한 도덕 상대주의 문제와 인간에게 덕이 왜 필요한가의 문제에 대한 매킨타이어의 논변을 검토하였다. 그는 전통의 상대주의화 위험성에 대해 전통 합리성은 전통 내에서도, 그리고 전통 간에도 우월성 판단과 진리주장이 가능하다는 논변으로 도덕에 관한 합리적 주장이 가능함을 밝힌다. 한편 ‘인간에게 덕이 왜 필요한가’, ‘인간은 왜 도덕적이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인간의 동물적 위약성(危弱性, vulnerability)과 의존성(dependence)을 중심으로 해서 논의를 전개한다. 즉 물리적, 정서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는 동물적 나약함을 갖고 태어난 인간이 자율적 이성을 지닌 존재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덕은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이다. 이러한 매킨타이어 덕 윤리론이 초등도덕교육의 이론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서술할 수 있다. 첫째, 매킨타이어가 목적론의 부활을 요청하는 논리는 윤리학과 도덕교육의 메타프락시스(metapraxis)적 성격을 드러내며, 교육의 실천을 통해 확립되어가는 교육목적을 정당화할 수 있는 새로운 장을 열어주었다. ‘이론에 관한 이론’을 의미하는 메타피직스의 보완개념으로서 ‘실천에 관한 이론’을 의미하는 메타프락시스적 사고방식에 의하면, 도덕교육은 윤리학에 의하여 교육목적으로 정립된 도덕성을 실천하는 과정이 아니라, 그 실천을 통하여 도덕성의 의미와 가치를 목적으로 확립해 가는 과정으로 파악된다. 초등도덕교육은 교육목적으로서 일평생 함양해갈 도덕성의 기초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보다 숭고한 위상을 갖는다. 둘째, 매킨타이어의 덕론은 상대주의를 극복하고 덕교육(德敎育)을 정당화한다. 덕교육적 관점에서는 공동체의 가치와 개인의 가치를 분리해서 생각할 수 없으며 필연적으로 공동선을 지향하게 된다. 이러한 공동체적 관점에서 초등도덕교육의 성격을 규정한다면 그것은 ‘사회적 관행에의 입문’이 될 것이다. 인간으로 하여금 전통 합리성을 통해 관행들을 더욱 발전시키기에 앞서, 공동체의 관행을 이해하고 관행 속에 내재한 선들에 헌신하도록 하는 그의 덕교육적 입장은 초등도덕교육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셋째, 매킨타이어는 도덕교육은 정서교육(education sentimentale)이라 단언하며 적극적인 감정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이 행위 자체보다는 행위자의 성향에 초점을 두고 덕 개념을 규정하는데, 이와 같은 품성의 덕은 습관에 의해 습득된다고 보며, 그의 전통 합리성 개념은 습관이 오랜 전통에 걸쳐 그 가치를 인정받은 행위양식임을 보증한다. 또한 인간의 동물적 위약성을 인정하고 극복하는 것을 교육의 본질로 삼는다는 점에서, 초등도덕교육에서 정서교육과 습관교육이 정당화되는 발판을 마련해 준다. 넷째, 전통에 기초한 합리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매킨타이어의 주장은 우리에게 우리 전통의 서사 가운데에서 덕의 전통을 부활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우리의 도덕적 전통을 정확히 진단하는 것은 보다 방대한 문제이나, 그 탐구의 시작으로 동양적 전통에서의 아동도덕교육은 주로 종교적 기반 위에 성립하여 교육의 실천이 교육목적을 확립해가는 메타프락시스적 성격을 띠고 있었다는 점에서, 서양의 덕의 전통과 유사하며 우리가 추구할 전통 합리성의 모태임을 알 수 있다. 그의 덕 윤리론의 많은 시사점 가운데서도 특히 주목할 점은, 서구의 합리주의에 밀려 소홀히 취급되고 무시되어온 윤리학과 도덕교육의 동양적 전통을 우리 스스로 재조명하여 도덕교육 본연의 길을 찾아야 한다는 사실이다. 앞으로 이 점에 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진행되어 그 실천적 방안이 보다 구체적으로 모색될 때, 그의 덕 윤리론은 이 시대의 진정한 대안으로 평가받을 수 있게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