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변공간 계획의 디자인적용 요소에 대한 연구 : -건축물외부공간활용 및 개선으로

        박보영 대전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planning and design elements of waterfront -of the revitalizing and regenerating of building outdoor Spaces- Park Bo-Young Dept. of Architectural and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Daejeon University Directed by Prof. Kim Byung-Yoon M.S. Abstract Today, while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clean water to result in people’s changing view of value about waterfront spaces, recreation of attractive waterfront space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executing a town plan. Waterfront spaces can be interconnected as one and the same part of a city to be an open space in the city and can contribute to encouraging people’s leisure activities. Most cities have developed along rivers and rivers in a city are used as a linear water-friendly open space accessible to people in diversified manners. I intend to find the meaning of recreating and reviving the waterfront spaces which has not been included from the viewpoint of regenerating cities and a strategy for using the waterfront space in a city on the basis of some exemplified case in this stud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both of plans for using land around waterfronts and building space plans to embody them in order to create the waterfront spaces in a city as a place for people there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us to analyze details of the plans to contemplate the characteristics of waterfront spaces and city culture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city regeneration planning in Korea. For the scope and manners of study, in step 1 (overview), I will examine academical definition for waterfront spaces in literatures and identify the concept of the waterfront environment against this backdrop of city structure. On the basis of contemplation through literatures. In step 2 (analysis of each field: problems and characteristics), I will identify current problems of waterfront spaces in a city and the necessity of design through review of cases in developed countries to derive design elements and thus to classify items for buildings in connection with the buildings to develop an analysis model. In step 3 (analysis of strategies for using the model in the future), I will generally analyze characteristics of waterfront spaces on the basis of steps 1 and 2 to analyze the direction of approach through design whether the waterfront spaces in a city can be used as an external space of a building. An external open space of a building allows physical and visual access as compared to internal spaces, and is even varied in terms of access by users. A waterfront is an optimum natural element for pleasant living in a city. I classified the organic characteristics of such a waterfront into totality, compositiveness, dynamics, and interconnection with which I derived feasible diversified design elements. Considering that the waterfront design elements are not properly used and more alternatives are required, infinite possibility is implied in studying design elements of waterfront spaces. This study focuses on developing feasible design elements centered on “creation on the basis of building plans in which waterfront spaces in a city keep continuity without damaging the natural environment and context and which ensure water-friendly spaces and consider cityscapes. The waterfront spaces in Korean cities currently imply many problems in comparison with the international level. One great problem is absence of water-friendliness although it is a waterfront space. The precondition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tep-by-step design elements to recover water-friendliness of a river in this study. Evaluation of plan elements of each case is at the beginning stage and does not show satisfactory result because of insufficient capacity, but it will be useful for deriving key execution elements for strategies in developing waterfronts, provided that further studies ensure more developed frames and further evaluation. keywords: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of outdoor space, ecological waterfront

      • AHP를 활용한 스마트기기 게임 어플리케이션 구매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박보영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스마트기기의 보급으로 인해 스마트기기 게임 어플리케이션 시장은 급격한 성장과 빠른 변화를 보이고 있으며, 기존 PC게임과 모바일 게임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스마트기기 사용자들의 게임 어플리케이션 구매 결정에 작용하는 요인을 파악하여 게임 어플리케이션 산업 종사자들이 어떤 요인에 중점을 두고 게임 개발을 하고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AHP를 이용하여 구매결정 요인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도출된 요인과 대안을 쌍대 비교하여 결과를 도출 하였다. 또한 블루오션전략을 활용하여 스마트기기 게임 어플리케이션 산업에 대한 전략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선정된 요인들로는 내적인 특성요인과 외적인 특성요인으로 구분하여 전문가 1차 설문을 통하여 내적인 특성요인에서는 난이도, 조작성, 그래픽, 스토리, 실행속도, 캐릭터가 외적 특성요인으로는 명성, 가격, 정보, 장르를 추출하였다. 또한 2차 전문가 설문을 통하여 추출된 항목들과 대안을 쌍대 비교 하여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구매할 때 고려하는 우선순위로 스토리, 명성, 그래픽, 조작성, 정보, 난이도, 실행속도, 캐릭터, 가격, 장르 순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내적인 요인에서는 스토리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고, 외적인 요인에서는 명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이것은 스마트기기에서고 게임의 스토리텔링 요소가 중요하고 시장에서 평판이 좋은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소비자들이 선호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내적인 요인, 외적인 요인 모두에서 가장 높은 선호도성 보인 스마트기기 게임은 RPG로 나타났는데 이는 스마트기기에서도 그저 단순한 게임뿐만 아니라 복잡하고 정교한 게임을 즐기는 이용자들이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블루오션을 활용한 게임 어플리케이션 산업 전략을 도출 해보면 게임 구매 시 유료앱을 기피하는 소비자들의 인식을 제거하기 위해 게임 업계가 보다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하고, 난이도를 조정을 통해 이용자들이 지속적으로 흥미 있게 이용할 수 있는 게임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또한 게임 이용자들을 위한 최소한의 게임 정보와 이벤트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다양한 방식과 기술을 이용하여 조작성을 높일 수 있는 게임의 개발이 시급하다. 스마트기기의 고성능화는 점점 빨라지는 추세이므로 게임 어플리케이션 업계도 이에 발 맞춰 스마트기기에서 빠른 실행속도와 좋은 그래픽을 만날 수 있는 게임을 준비해야 하고, 기존의 온라인 게임을 기반으로 한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이 좀 더 활발히 이루어 져야 한다. 이를 통하여 시대별로 유행하는 요소와 스마트기기의 장점을 이용한 게임 어플리케이션만의 장르와 스토리를 창조하여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고, 게임외의 사업 분야에서도 이익을 창출 할 수 있는 추가적인 캐릭터의 개발이 필요하다. 온라인 게임과 더불어 게임 어플리케이션 산업도 게임 산업에서 중요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으며 성장이 기대 되므로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요인들과 블루오션 전략이 게임 어플리케이션 산업에 지침으로서 기업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의료산업 내 공급 - 구매 관계의 구성원 간의 공정성과 신뢰성 인식이 관계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보영 淑明女子大學校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 산업 내에서 공급- 구매 관계 내 구성원들이 공정성과 신뢰성을 인지할 경우 관계의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의료 산업 내 존재하는 공급- 구매 관계에 대해 구매업체로는 병원을, 공급업체로는 제약회사, 소모품회사, 의료기기 회사, 보험회사, 도매상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공정성은 기존의 문헌 고찰을 통해 분배적 공정성, 절차적 공정성, 상호 공정성으로 검정하였다. 신뢰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선의, 진실성, 능력을 측정항목으로 선택하였으며 관계 행태는 몰입, 공유, 투자 3가지 항목으로 측정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자료는 총 209부를 활용하였다. 특히 보다 정확한 관계 측정을 위해서 공급업체와 구매업체 양 측 모두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들을 분석하기 위해서 degree-symmetry 방법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SPSS for Windows 12.0 을 활용하였다. 또한, 3가지 사례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먼저 구매업체, 공급업체 그리고 양 측을 일대일로 정확히 매칭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급-구매 관계에 있어 업무의 절차나 거래 과정이 공정하다고 인지되거나 상대가 본인 혹은 회사에 선의를 가지고 거래를 수행할 경우 마지막으로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물리적 • 인적자원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관계행태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즉, 구성원이 위와 같은 경우 공정성이나 신뢰성을 인지하게 되어 그 관계에 더욱 몰입하고 서로 정보나 지식을 공유하거나 물리적 자원이나 인적 자원을 투자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공급-구매 관계에서 심리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문헌 고찰을 근간으로 하고 있으나 의료산업이라는 특이성을 고려하여 탐색적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의료산업 내 아직 완전하게 정착되지 않은 유통 관계를 탐색적 의미에서 살펴보았다는 점과 공급과 구매 양 측 모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관계를 측정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향 후 연구에서는 의료 산업을 대표할 수 있는 보다 다양한 표본 수집과 산업 고유의 특성을 반영한 측정항목 및 도구 개발 등 보다 명확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 충북지역 학교급식 부식납품업체의 위생품질 분석

        박보영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grope alternatives for establishment of safety in food stuff by understanding the sanitary quality evaluation of food suppliers provide essential data for school foodservice suppliers effective hygiene control and supplementation of the current policy which was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execution.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4, 2008 to July. 31, 2008 and then 36 copies (80% return rate) distributed to the school food suppliers and 215 copies (71% return rate) distributed to the dieticians out of 347 copies were collected. 36 copies from school food suppliers and 212 copies from the dieticians were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suppliers delivered almost all products except stock farm products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23 suppliers (63.9%) registered as food service business, and no HACCP authentic one. The dieticians performed checking twice per year and visited 1-3 suppliers concerning the general items. Second, almost of the employees working for the suppliers practiced health inspection once per 6 months concerning the suppliers' individual hygiene, and the performance in this section was high. In respect of operational sanitation control, 24 suppliers (70.6%) kept the dealing document for 2 years and 13 suppliers (38.2%) saved documents on coming and going with inspection. Despite most suppliers using water supply service, some of them didn't implement any inspection, however, the overall performance was high. The dieticians put in effect sanitary training monthly toward the suppliers at almost all schools with tests for evaluation, and the appraisal about the utilization of the training was normal. 23 suppliers performed self-sanitary training monthly through observation and the appraisal about the utilization of the training was normal. The performance in sanitation of facilities was 3.26 points as the dieticians, moreover, temperature control in the place for food separation got the lowest points. The total average on the suppliers was 4.06 points, while they got 3.67 points respectively low concerning temperature control in the place for food separation. Average was 3.40 points about the dieticians' sanitation in transportation and the dieticians as well as the suppliers showed the lowest points on the protection against cross-contamination from the vehicles. The responses upon the ranking of sanitation quality from the dieticians and the suppliers were as follows; personal hygiene, sanitation of transportation and facilities. Third, the comparison between registered and non-registered suppliers presented difference only in the items concerning the proper action against infected employees by the medium of food, and washing & disinfection of hand before & after the work out of 9 items. As to operational sanitation, there weren't any items which showed meaningful gap. Regarding sanitary training, the performance of training was high in registered suppliers. In case of sanitation of facilities waterproof of the floor, maintenance of proper temperature in the storage space, subsidiary facilities and the separation of place was high whil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two items. Amongst the 4 performance items 1 item on moth and rat proof at work place was high as for registered suppliers meaningfully. The items associated to compartment of transportation and cleaning with disinfection of carriage vehicles were high meaningfully in sanitation of transportation. In the others, 5 items out of 8 items were high on registered suppliers, and overall average showed an gap between registered and non-registered ones.

      • 배우자 동거와 노년기 건강의 연관성 : 노년기 건강행동이 대사질환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매개효과

        박보영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pouse cohabitation and health of the elderly and to use it as basic data of health intervention in consideration of spouse cohabitation and gender. The subjects were 2682 elderly people who answered as one-person households or couple households in household survey among those over 65 who participated in the 5th KNHANES. Cross-tabulations, analysis of variance and logistic regression of complex samples were used by means of SPSS Version 21 to analyze and compare the health behaviors and the health results. The analysis on model’s goodness of fit was performed using the AMOS 18.0 program with the application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which the household type of the elderly influences on metabolic diseases and suicidal ideation through the variables such as health behaviors and eating patterns.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household type on metabolic disease and suicidal ideation. The result showed the differences in the health behaviors, eating patterns and health results based on the gender according to spouse cohabitation of the elderly. Male elders living with spouse showed the best health result caused by the spouse cohabitation. The study proved the positive effects of care and emotional support from their spouse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male elders. Female elders living with spouse were shown to have the weakest mental health(OR:1.62, 95%CI:1.17-2.25) caused by spouse cohabitation. The study showed the negative effects on female elders of traditional gender role practices such as spouse care, housework and conflict.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spouse, male elders living alone had vulnerable health habits and mental health(OR:2.35, 95%CI:1.34-4.10). In the case of male elders, as their vulnerability is shown to be caused by the lack of spouse care and support, the spouse cohabitation is proven to work significantly. Female elders living alone had the weakest physical health(OR:2.43, 95%CI:1.84-3.20) with the relations of the highest average age and the lowest educational status and income level. Also, in the case of female elders, spouse cohabitation did not seem to have significant impact on them. Health behaviors of the elderly showed the mediating effect on metabolic disease result based on household type. Exercise and high risk drinking were shown to have the primary mediating action. In particular, exercise worked on diabetes(Standardized Coefficients:-0.65) and lowered the rate of metabolic diseases. High risk drinking also worked on diabetes(Standardized Coefficients:-0.18) and lowered the rate of metabolic diseases. Influenced by health behaviors, diabetes was shown to have the secondary mediating effect(Standardized Coefficients:0.77) in the model to metabolic diseases. Health behaviors, physical health degree, stres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had the mediating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based on household type. Exercise(Standardized Coefficients:-0.24), high risk drinking(Standardized Coefficients:0.09) and activity limitations(Standardized Coefficients:0.08) had the primary mediating action. Stress(Standardized Coefficients:0.35) and depression(Standardized Coefficients:0.76) had the secondary mediating action on the path to suicidal ideat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ntal health degree of the elderly living with other family members was not comparatively analyzed. Second, as of the limitation of cross-sectional study, the sequence of time was not clear. However, since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as used as analysis materials, this study should show the representative of the whole nation compared to those which were done in specific areas or groups. And also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to investigate programs based on gender to promote health of the elders in one-person households or couple households which are representative of the elderly.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의 배우자 동거여부와 건강과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동거여부와 성별을 고려한 보건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중 가구공통설문의 세대유형에 1인 가구 및 부부가구로 응답한 2,682명이다. 건강행동 및 건강결과를 분석 비교하기 위해, SPSS 21버전을 활용하여 복합표본 교차분석, 북합표본 분산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노년층의 세대유형이 건강행동과 식생활행태 등 다양한 변인들의 매개를 거쳐 대사질환과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Amos 1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모형적합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세대유형이 대사질환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소벨 테스트(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노년기 배우자와의 동거여부에 따라 성별로 건강행동, 식생활 행태, 건강결과에 차이가 있었다. 배우자 동거 남자노인의 경우, 배우자와의 동거로 인해 건강결과가 가장 좋은 유형으로서 배우자의 수발과 정서적 지지가 신체적 ․ 정신적 건강에 가장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 동거 여자노인의 경우, 정신건강(OR:1.62, 95%CI:1.17-2.25)이 취약한 집단으로서 배우자와의 동거로 인한 수발과 가사노동, 갈등 등의 전통적인 성 역할 수행이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 남자노인은 배우자와 함께 사는 남자노인에 비해 건강습관 및 정신적 건강(OR:2.35, 95%CI:1.34-4.10)에 취약하였다. 이것은 배우자의 지지와 수발의 결여로 인한 결과로 보여 지며, 남자의 경우 배우자와의 동거가 건강에 중요하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 독거 여자노인은 신체적 건강(OR:2.43, 95%CI:1.84-3.20)이 가장 취약한 유형으로서, 평균연령이 가장 높고 교육과 소득수준이 가장 낮은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여 지며, 노년기 여자의 경우는 배우자와의 동거가 정신건강결과에 지지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의 건강행동은 세대유형별 대사질환결과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과 고위험 음주는 1차 매개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운동은 비만에 작용(Standardized Coefficients:-0.65)하여 대사질환률을 낮추는 작용을 하였다. 고위험 음주도 비만에 작용(Standardized Coefficients:-0.18)하여 대사질환을 낮추는 작용을 하였다. 비만은 건강행동의 영향을 받아 대사질환으로 가는 모형에서 2차 매개작용(Standardized Coefficients:0.77)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년기의 건강행동과 신체건강정도, 스트레스, 우울은 세대유형별 자살생각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Standardized Coefficients:-0.24)과 고위험 음주(Standardized Coefficients:0.09), 활동제한(Standardized Coefficients:0.08)은 스트레스로 가는 경로에서 1차 매개작용을 하였다. 스트레스(Standardized Coefficients:0.35)와 우울(Standardized Coefficients:0.76)은 자살생각으로 가는 경로에서 2차 매개작용을 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첫째, 다른 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노인의 정신건강 정도와는 비교분석하지 못하였다. 둘째, 시간의 선후관계가 분명하지 않다는 단면조사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특정지역이나 특정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전 국민에 대한 대표성을 나타낼 수 있다고 보여 진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노년기의 대표적인 가구형태인 부부가구 및 독거가구 노인에 대해 성별에 따라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연구 및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통계적 문제해결에 관한 중등교사의 통계 교수 지식 분석

        박보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양한 맥락에서 통계자료나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인 통계적 소양이 강조됨에 따라 학교 통계에서 통계적 문제해결 전 과정을 지도해야 할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통계적 문제해결의 공통적인 맥락은 통계적 문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해석하고 설정된 문제에 대한 타당한 결론을 도출해내는 과정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통계적 문제해결의 전 과정을 학생들이 경험하도록 해야 함을 새롭게 강조하고 있다. 최근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과 관련된 국내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주로 교과서 중심 연구로 수행되었으며, 교사 및 예비교사 대상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통계적 문제해결 지도를 위한 현직 중등 수학교사들의 통계 교수 지식을 분석함으로써 통계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통계적 문제해결 지도를 위한 중등 수학교사의 통계 교수 지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문지를 활용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와 문헌을 바탕으로 통계적 문제해결 지도를 위한 핵심개념들을 선정하고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은 현직 중등교사 35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응답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계적 문제해결 각 과정에 대한 중등교사의 지식은 문제설정, 자료수집, 결과해석 단계에 대한 이해가 자료 분석 단계에 비해 다소 낮은 이해를 보였다. 특히 대부분의 교사들이 통계적인 계산을 요구하는 문항들보다는 주어진 맥락에서 통계적 정보를 판단하는 해석하는 문항을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들은 변이성과 표본개념에 대해 어려움을 보였다. 표본 개념의 경우 표집 방식이나 결과 해석 시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 표본의 크기에만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이 실생활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적 문제해결의 전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교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예비교사교육 체계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자료 분석’단계의 문항에 치중되어 있는 현재 교과서를 개선하고 통계적 문제해결 전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문항 및 학습 자료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수학교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박보영 경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celebration of the era of multicul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to substantially carry 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foster students' cross-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s, maintain their cultural unique identity, and help them to understand various classes and ethnic cultures. To accomplish this, after conducting literature study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e lesson of mathematics to include educational content of multicultures is selected, targeting at eight mathematics teachers in Pung-Mu middle school. In the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2nd grade mathematics,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which develops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in 6th period's middle school mathematics is written by including the contents about multicultural diversity, identity, and social justice. And targeting at 121 2nd grad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from 3 classes, before and after applying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awareness about and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es and a change i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math classes were respectively surveyed by questionnaire. To statistically prov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t-test using SPSS 12.0 package was carri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conducting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multicultural awareness has been indicated significantly high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99% confidence interval. It has been proven that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multicultural perception. Secondly, after conduct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 classes, the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e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99% confidence interval. And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have been proven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reducing the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es. Third, after conduct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 classes, a change i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dentity,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in math classes has appeared statistically and meaningfully high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99% confidence interval.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have been ver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the change i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dentity,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in math classes. This study naturally includes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and helps middle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minority cultures and foster the attitude which realizes social justice and overcome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es. Therefore, this study is very significant and gives effective aid to mathematics teachers in the field.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를 맞이하여 수학시간에 학생들이 다문화적 인식과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 문화의 다양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여 그들 문화의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계층과 민족의 문화를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반영하여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사들이 수학시간에 실질적으로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문헌 연구를 실시한 뒤, 풍무중학교 수학과 8명 교사를 대상으로 중학교 2학년 수학의 내용 중에 다문화 교육내용을 포함시킬 수학의 단원을 선정하였다. 중학교 2학년 수학의 내용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의 다양성, 정체성, 사회정의의 내용을 포함시켜 6차시의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교수·학습과정안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2학년 3개반 학생 121명을 대상으로 하여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다문화에 대한 편견과 수학시간의 인식변화를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한 후 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2.0 패키지를 이용하여 t-test 를 실시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다문화 인식이 유의수준 99% 신뢰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다문화에 대한 편견이 유의수준 99% 신뢰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게 나타났으며,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에 대한 편견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중학교 수학시간의 인식변화, 수학시간의 정체성, 다양성, 사회정의 반영에 대한 인식변화가 유의수준 99% 신뢰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중학교 수학시간의 인식변화, 수학시간의 정체성, 다양성, 사회정의 반영으로 학생들의 인식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중학교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자연스럽게 포함시켰으며 중학생들이 소수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다문화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고 사회정의를 실현하려는 태도를 육성하게 만들었으므로 매우 의미가 있으며 현장의 수학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 활동중심 수감각 학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박보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학은 아동의 인지발달과 학습에 기초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교과이지만, 수학의 위계적 특성으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상당수의 학생이 수학학습에 문제를 보이고 있다. 수학학습에서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은 나중에 수학학습장애를 보일 위험이 있는 아동을 조기에 선별하여 적절한 중재를 하고 이들의 진전도를 가능한 한 자주 확인하는 것이다. 초기 수학 능력인 수감각(Number Sense)이 향후 수학 학습에 영향을 미치므로 조기 중재의 방법으로 수감각 교육을 들 수 있다. 수감각은 수에 대한 느낌이나 직관력을 의미하는데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발달을 고려하면 수감각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해서는 활동중심으로 교수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활동중심 수감각 학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수감각 발달과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12명의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을 4주 동안 10회기에 걸쳐 중재하였다. 실험은 사전·사후검사 실험설계를 사용하여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 순으로 실시되었다. 사전·사후검사 도구로 수감각 검사와 BASA-Math Ⅰ단계 검사를 사용하였고 대상 학생들의 진전도를 함께 살펴보기 위해 매 2회기가 끝날 때마다 BASA-Math Ⅰ단계 검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중재 프로그램은 김희선(2000)의 활동중심 수감각 교육 프로그램을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수준에 맞게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후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 학생의 수감각이 발달하였다. 둘째, 대상 학생의 수감각 능력 중에서 ‘숫자 따라하기Ⅰ’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11개 영역(수세기Ⅰ과 Ⅱ, 수읽기, 수 의미, 수량변별, 빠진 수 찾기, 덧셈, 뺄셈, 숫자 따라 하기 Ⅱ, 규칙 찾기 Ⅰ과 Ⅱ 영역)에서 효과가 있었다. 셋째, 대상 학생의 수학 성취도가 향상되었다. 넷째, 대상 학생의 수학 성취의 진전도를 보면 중재 후기에 학습고원현상을 보이지만 대체로 향상되었다. 위의 결과를 통해 활동중심 수감각 학습이 수학학습장애 위험학생의 수감각을 발달시키며, 더불어 수학 성취도를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수학학습장애로 이미 진단을 받은 학생의 수감각을 발달시킬 수 있는 수감각 발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수학학습장애 학생들에게 효과적인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Mathematics is a crucial subject to execute a fundamental role in the learning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students. A number of students, however, are looked to have a problem about math learning as they get to be higher grades in school because of the graduated characteristic of mathematics. The best way to prevent the problem of math learning identifies early students, who will be at risk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and appropriately intervenes and checks their progress frequently as soon as possible. Number sense which is incipient capability of math affects to math learning in the future, thus the number sense program as the method of early intervention can be used. Number sense which means intuition and feeling should be taught to active-based program in order to effectively teach the number sense considering the cognitive development of the first 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activity-based number sense program has influence on math achievement and number sense development for students at-risk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has examined 12 students at-risk with learning disabilities 10 times for 4 weeks. This experiment has executed pre-test, intervention, post-test through using the experimental design of pre-test and post-test. Number sense and BASA-Math first step examination as instruments of Preliminary and post test was used and also, every second time it finish BASA-Math first step examination was performed additionally so as to inspect students’ progress. The researcher has modified Hee-seon Kim’s program for activity-based number sense education to the appropriate level of students at risk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as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used accordingl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number sense of students as experimental subject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gram. Second, the number sense of students as experimental subject had an effect on 11 areas (Skip counting, Counting backward, Number identification, Number meaning, Quantity discrimination, Missing number, Addition, Subtraction, Digits backward, Pattern analysis, Number pattern analysis) except ‘Digits forward’. Third, the math achievement of students as experimental subject was improved. Forth, the math achievement progress of students as experimental subject was generally progressed even though it revealed plateau phenomenon in the latter term of mediation. These results have shown that Activity-based number sense program has developed number sense of students who are at risk with math learning disabilities and also improved the math achievement of them. Future research needs to examine development of the program which aims to improve number sense for the students who are already diagnosed math learning disabilities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 기억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지털텍스트 강조기법들에 관한 연구

        박보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람들은 모든 정보를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정보 중 중요한 내용만을 선별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때 특정 정보가 선별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강조기법이다. 강조기법은 텍스트를 구성하고 있는 시각적 구성 요소들의 형태 속성을 변형시켜 텍스트의 특정 정보가 눈에 띄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강조기법이 적용된 항목은 그렇지 않은 항목보다 주의를 끌고, 기억을 향상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인쇄 매체에서 읽기 및 이해의 과제로 관찰되었으며, 소수의 강조기법만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이에 디지털텍스트를 처리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강조기법들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텍스트를 이용한 단어 재인 과제에서 강조기법이 적용된 단어와 그렇지 않은 단어의 수행을 비교하여 강조기법이 기억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개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Ⅰ은 여섯 가지 강조기법의 비교를 통해, 어떠한 강조기법이 단어 재인 과제의 수행을 가장 많이 향상 시키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세 개의 변인이 조작되었다. 첫 번째 변인에는 검사단어가 제시목록에 포함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은 조건이 있다. 두 번째 변인에는 강조기법 유형으로 크기, 굵기, 글자색, 글자 배경색, 기울기, 밑줄 조건이 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변인에는 강조기법이 적용되거나 적용되지 않은 조건이 있다. 실험 Ⅱ는 실험 Ⅰ결과 강조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난 두 가지의 강조기법을 동시에 적용하여, 한 가지 강조기법만을 적용했을 때와 비교하였다. 마지막 실험 Ⅲ은 실험 Ⅱ와 동일한 과제를 실시하면서, 추가로 안구 운동을 추적하여 강조기법이 안구 운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강조기법을 적용한 조건에서 그렇지 않은 조건보다 단어 재인 과제의 수행이 향상되었다. 또한 크기, 굵기, 글자색, 기울기, 글자 배경색, 밑줄 중 강조효과가 가장 큰 강조기법 두 가지는 크기 기법과 굵기 기법이었다. 그러나 크기 기법과 굵기 기법을 동시에 적용했을 때와 하나의 강조기법만을 적용했을 때의 강조효과 차이는 거의 없었다. 마지막으로 강조기법의 적용은 그렇지 않을 때보다 더 먼저 주의를 끌고, 오래 응시하게 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디지털텍스트에서 강조효과는 주의를 끌고 기억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크기, 굵기, 글자색, 기울기, 글자 배경색, 밑줄의 강조기법 중 크기와 굵기 기법이 단어 재인 과제 수행을 가장 많이 향상시켰다고 볼 수 있다. It is required that people would select only the important contents of the information because it is impossible to remember all the information. The one of the methods to select specific information is highlighting. The highlighting is that the type of attribution into visual elements transforms to stand out the specific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any reported studies, the parts that emphasized such highlighting is applied would be given more attention and improve memory performance. However, most studies have been observed as a task for reading and comprehension in printed media with little highlighting type. Therefore, the studies of highlighting for digital text are comparatively insuffici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s of highlighting to memory performance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highlighted word and non-highlighted word in word recognition task with digital text. In this study, it performed three experiments. The experiment 1 examined which highlighting would improve the performance of word recognition task thorough the comparison of six highlighting types. To design the environment for experiment 1, three variables were defined. The first variable is that target word is included in the word list or not. The second variable is that highlighting type presented Big, Bold, Font color, Background color, Italic, Underline conditions. The last one is that highlighting was granted or not. The experiment Ⅱ compared between two highlighting types with the most highlighting effect from the Experiment I at the same time and one highlighting type applied environment. The last experiment was conducted that the effect of highlighting to eye movement through the tracking eye movement. The results of experiments, the highlighting applied condition improved the performance of word recognition task than non-applied condition. In addition, Big and Bold conditions are the strongest highlighting type among Big, Bold, Font Color, Italic, Background color, Underline. However,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highlighting when it was applied Big and Bold conditions compared with one highlighting applied. Finally, the condition applied highlighting would give more attention and gazing. The result of this study explains that highlighting effects in digital text give attention and improve memory. Furthermore, the most efficient method is that Big and Bold than Font Color, Italic, Background color, Underl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