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박하와 계피 혼합 추출물의 모발화장품 소재개발 연구

        박보연 남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박하와 계피 혼합 추출물의 모발화장품 소재개발 연구 박보연 지도교수 : 유민정 남부대학교 대학원 향장미용학과 모발은 피부의 외속기관으로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키며, 두피는 모발로 덮여있는 특수화된 피부조직으로 두피 이상으로 생기는 가장 대표적인 질환은 탈모, 비듬, 가려움증으로써 일상생활 중에 쉽게 나타나지만 치료는 쉽지 않다. 본 연구는 박하와 계피 혼합 추출물의 기능성 모발화장품 개발을 위해 항산화효과, 항염증효과, 항히스타민효과, 모유두 세포 증식효과,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 그리고 소취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를 제조하여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박하와 계피 혼합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실험 결과 1 mg/mL에 포함되어 있는 총 폴리페놀은 박하 추출물은 80.22 μg/mL, 계피 추출물은 101.20 μg/mL, 혼합 추출물은 135.27 μg/mL의 함량이 확인되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는 박하 추출물은 26.12 μg/mL, 계피 추출물은 56.31 μg/mL, 혼합 추출물은 72.65 μg/mL의 함량이 확인되었다.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한 결과 400 μg/mL의 농도에서 박하, 계피, 혼합 추출물은 각각 78.63, 86.25, 89.22% 으로 확인되었다. ABTS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각각 72.20, 88.12, 90.24% 으로 확인되었으며,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각각 56.10, 57.53, 66.22%의 소거능이 확인되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400 μg/mL의 농도에서 박하 추출물은 55.21%, 계피 추출물은 60.53%, 혼합 추출물은 74.14%으로 확인되었다. 항산화효과를 측정한 결과 혼합 추출물이 가장 높은 효과가 확인되었다. 박하와 계피 혼합 추출물의 항염증효과는 LPS에 의해 RAW 264.7 세포로부터 생성되는 NO에 대한 억제효과를 측정한 결과 농도 유의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00 μg/mL 농도에서 박하, 계피, 혼합 추출물은 14.18, 13.15, 12.24 μM/mL으로 NO 생성 억제능이 확인되었다. LPS로 염증 반응을 유도한 후, TNF-α 분비량을 측정한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박하 추출물은 370.7 pg/mL, 계피 추출물은 338.6 pg/mL, 혼합 추출물은 302.2 pg/mL로 감소하였다. 항히스타민효과는 β-hexosaminidase의 방출 억제를 조사한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박하, 계피, 혼합 추출물은 각각 68.57, 65.35, 60.36%로 억제효과가 확인되었다. 모유두 세포의 증식효과는 박하, 계피, 혼합 추출물을 72시간 배양하여 MTT assay를 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100 μg/mL 농도에서 각각 110.27, 120.42, 140.13%의 모유두 세포증식이 확인되었다. 박하와 계피 혼합 추출물의 항균효과는 S. aureus, S. epidermidis, P. acnes, P. ovale, M. furfur, C. albicans, T. mentagrophytes에서 박하, 계피, 혼합 추출물은 모든 농도에서 항균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혼합 추출물이 항균효과가 높게 확인되었다. 박하와 계피 혼합 추출물의 가스 검지법을 이용하여 암모니아에 대한 소취효과를 측정한 결과 박하 추출물은 30분부터 83%의 소취효과를 나타냈으며, 계피 추출물은 93%, 혼합 추출물은 96%의 소취효과를 나타났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120분에는 박하 추출물은 91%, 계피 추출물은 95%, 혼합 추출물은 98% 소취효과를 보였다. 혼합 추출물이 가장 높은 소취효과가 확인되었다. 혼합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를 제조하여 12주 동안 25℃, 40℃ 및 60℃에서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분리 및 침전, 변색, 변취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pH를 12주를 보관하여 1주, 4주, 8주, 12주 단위로 측정한 결과 약간의 pH의 변화는 있었지만 수치상의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pH가 안정함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 혼합 추출물은 박하, 계피 추출물에 비해 항산화효과, 항염증효과, 항히스타민효과 및 모유두 세포 증식효과,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항균효과, 그리고 소취효과가 높게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혼합 추출물이 함유된 샴푸를 제조하여 온도의 안정성과 pH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온도에 큰 변화 없이 안정하게 유지하였고, pH도 큰 변화는 나타나지 않아 샴푸의 안정성이 확인되었다. 추후 두피 및 모발에 대한 기능성 임상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기능성 모발 화장품 소재로서 제품화가 가능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사회복지기관 중간관리자의 슈퍼비전 경험에 관한 연구

        박보연 숭실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 중간관리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슈퍼비전 경험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가 일선 사회복지사(슈퍼바이지)였을 때와 중간관리자(슈퍼바이저)로 전환했을 때, 현재 중간관리자로서의 슈퍼비전 경험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기관의 슈퍼비전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과 경기에 위치한 사회복지기관에 근무하는 중간관리자 8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심층 면접에 의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Giorgi가 제시한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사회복지기관 중간관리자의 슈퍼비전 경험은 3개의 본질 주제와 9개의 도출 주제, 29개의 의미단위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연구의 본질 주제는 ‘슈퍼바이저가 되기 전, 울타리 사이를 넘나들다’, ‘슈퍼바이저로 전환, 미로 속을 헤매다’, ‘슈퍼바이저가 된 후, 경계 너머를 향해 나아가다’로 드러났다. 첫째, ‘슈퍼바이저가 되기 전, 울타리 사이를 넘나들다’를 보면, 연구 참여자는 사회복지기관에 첫발을 내딛는 순간부터 다양한 실천 현장을 경험했다. 어느 기관에 입사하였는지, 그리고 어떤 사람을 상사로 만났는지에 따라 배움의 갈림길에 놓이게 되고, 이러한 경험은 이후 조직에서 인정받으며 보람을 느끼게도 했지만, 조직의 비합리적인 모습에 회의를 느끼게도 하였다. 이는 연구 참여자의 소진으로 이어졌고, 이직을 통해 찾아간 다른 현장에서도 여전히 배움의 갈림길에 놓이게 되고 이어 보람과 회의를 느끼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다양한 울타리 사이를 넘나들었다. 둘째, ‘슈퍼바이저로 전환, 미로 속을 헤매다’를 보면, 연구 참여자는 어느 날 갑자기 떠밀리듯 슈퍼바이저 자리에 앉혀졌고, 슈퍼바이저로서 역할을 해야 했지만,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몰라 두렵고 답답했다. 준비되지 않은 상황에 정신없이 바쁘고, 권한보다 책임만을 강조하는 현실은 이를 더 가중할 뿐이었다. 그렇게 연구 참여자는 높은 장벽에 둘러싸인 채 슈퍼바이저로서 역할을 해내기 위해 과거 자신의 슈퍼비전 경험에서 그 방법을 찾아 헤매며 고군분투하였다. 셋째, ‘슈퍼바이저가 된 후, 경계 너머를 향해 나아가다’를 보면, 연구 참여자는 팀장 역할에 대한 기준과 자신감, 노하우가 생기고, 도움을 주는 동료집단이 늘어나면서 슈퍼바이저로서 힘이 생겼다. 이러한 힘은 슈퍼바이저로 하여금 다시 마주한 실천 현장의 경계 사이에서 흔들리지 않는 버팀목이 되었다. 기관의 관심 속에 권한을 부여받기도 했지만, 간섭 아래 지시받고 보고만 해야 하는 현실을 마주한 연구 참여자는 슈퍼바이저이자 슈퍼바이지인 중간관리자로서 위와 아래 사이를 잇는 가교 역할(Kadushin, 1992)을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기존의 평가제도로 인해 형식적으로 변해버린 슈퍼비전을 넘어 슈퍼바이저와 슈퍼바이지가 함께 성장하고 도움이 되는 슈퍼비전으로의 변화를 그리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는 슈퍼바이지로 입사한 시점부터 중간관리자(슈퍼바이저)가 되기까지 적절한 시기별 역할 수행을 위해 단계적이고 지속적인 슈퍼비전이 필요하다. 둘째, 슈퍼비전은 슈퍼바이저와 슈퍼바이지 간에 이루어지는 공동과정으로 각자의 욕구에 기반한 슈퍼비전이 이루어지려면 서로를 바라보는 시각이 강점관점으로 변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사회복지기관의 슈퍼비전 방침은 슈퍼비전의 필요성에 대한 조직 구성원의 합의를 바탕으로 마련해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학계와 전문직 협회 차원에서 슈퍼비전이 필요하다는 인식변화와 함께 이를 뒷받침하는 교육과정을 개설해야 한다. 다섯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실천에 도움이 되는 슈퍼비전이 이루어지려면 기관 외부 평가의 변화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rying to investigate the supervision experience of supervisors in social welfare agencies. We examined the supervision experience of participants as they were promoted from social workers-supervisees- to middle managers-supervisors-, and proposed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ose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were supervisors working in social welfare agenc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nd the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A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was proposed by Giorgi wad us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the experience of supervisors in social welfare agencies was categorized as below: Three essential themes, nine deductive themes, and twenty nine meaning units. The essential themes were ‘crossing the fence before becoming a supervisor,’ ‘wander around in amaze as turning to a supervisor,’ ‘toward beyond the boundary after becoming a supervisor.’ First, ‘crossing the fence before becoming a supervisor’, the participants experience various fields and events as they began to work in social welfare agencies. They were put a crossroads of learning according to which agencies they worked in, and whom they met as their superior. These experiences brought about not only being appreciated in the organization but also being awaken scepticism as they facing the irrational attitudes of the organization. These caused them exhaustion and made them move to another working field. However, the process above was being repeated, and they came to cross various boundaries back and forth in the end. Second, ‘wander around in amaze as turning to a supervisor’ represented their struggling of being supervisors all of a sudden, and had to perform a role, and the fear about not knowing what to do. They were urgent before they were ready, and the conditions of emphasizing the responsibility more than the authority aggravated frustration. Third, ‘drawing beyond the boundaries’ expressed their possibilities in the process of those; they acquired the authority as they set their own criteria, built up know-hows, and had more empowering peer groups. This power firmly supported them between the boundaries as supervisors. Moreover, they made efforts to build bridges(Kadushin, 1992) of understanding between the agencies which are reported and the supervisees who are in real field. The participants are drawing new supervision helping the supervisors and the supervisees grow together and exceeding the old supervision which was degenerated due to the evaluation system. The proposal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social workers need stepwise and continuous supervision from the beginning of working as supervisors in order to perform the roles appropreatly as time goes by. Second, for the supervision based on both sides‘ desires, the viewpoints on one another need to be changed into more focusing on the strengths between the supervisors and the supervisees since a supervision is a collaborative process. Third, actual supervision policies based on the agreement about the necessity of supervision from constituent individual of organization in a dimension of social welfare agencies. Fourth, the academia of social workers and the professional association need to establish the supporting curriculum on changing attitude of acknowledging the necessity of supervision. Fifth, the external estimations on social welfare agencies need to be changed for the purpose of the supervision for social worker’s professionalism.

      • 미용소비가치가 미용실 이용동기와 점포선택기준에 미치는 영향

        박보연 대구가톨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beauty salon customers' beauty consumption value on the current status of beauty salon usage and the store choice criteria, also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customers' usage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beauty salon customers' usage in accordance with age and important things for consideration, and also to examine differences between beauty salon customers' usage motivation and store choice criteria depending on their age. Targeting female adults(20-more than 50 year) residing in Daegu region, from August 24th to September 4th 2015, total 49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tal 46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Using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for the data analysis on the collected data, it also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cross tabulati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ANOVA, Duncan-test for post-test, and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nd conclusion are like following. First, in the survey on the actual status of beauty salon usage depending on age, the downtown received the most responses from the 20s(33.0%) and the 30s(42.1%) while the apartment shopping area received the most responses from the 40s(55.7%) and the 50s(44.0%). In the survey on the number of using beauty salon, once in 2-3months received the most responses from every age group like 44.3% of the 20th, 28.9% of the 30th, 50.4% of the 40th, and 43.1% of more than the 50th. Regarding the type of procedure, haircut was the most responses from the 20s(49.6%) while permanent received the most responses from the 30(40.5%), the 40th(64.3%), and more than the 50th(50.5%). In regard of the expenditure, the most responses included 20,000-50,000won from the 20th(27.8%), 50,000-100,000won from the 30th(38.0%) and the 40th(42.6%), and 20,000-50,000won from more than the 50th(53.2%). In the survey of asking who they would be mostly influenced by when choosing beauty salon, the most responses from all the age groups were themselves.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beauty consumption value on beauty salon usage motivation, the social value, emotion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regular use. The social value and emotional valu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special use. Thir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beauty consumption value on store choice criteria, the social value, emotion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basic choice while the functional valu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physical choice. All the beauty consumption values such as social value, emotion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luxury choice. Fourth,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influence of beauty salon usage motivation on store choice criteria, the regular use and special us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basic choice. The regular use had positive influence on the physical choice and luxury choice. Lastly,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beauty consumption value, beauty salon usage motivation, and store choice criteria in accordance with age, the social value and functional valu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age. The regular use and special us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age. The basic choice and luxury choi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age while the physical choice showed no differences.

      • 옛 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배려 및 배려적 사고

        박보연 동덕여자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아들이 현대 사회의 한 일원으로서 가치관을 회복하고 도덕적 삶의 지향을 추구하며 행복한 미래를 구축하는데 도움을 주려는 동기에서 출발하였다. 유아에게 친근하고 삶의 지혜와 전통문화적인 요소가 많이 내포되어 있는 우리나라 옛이야기 그림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림책에 나타난 배려의 주체, 배려의 의미, 배려적 사고를 분석함으로써, 유치원이나 가정에서 도덕교육 교재 또는 유아의 배려적 사고를 함양할 수 있는 철학적 탐구교재로 활용할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옛 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배려의 주체는 누구인가? 2. 옛 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배려의 의미는 무엇인가? 3. 옛 이야기 그림책에 나타난 배려적 사고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2000년에 출판된 옛 이야기 그림책 74편이다. 연구대상인 옛이야기 그림책을 선정하고자, 1단계로 우선 다양한 옛이야기를 찾기 위하여 전집류를 채택하였으며, 이 때 아동문학 전문가가 편집 또는 추천하거나 아동문학과 관련된 상을 받은 옛이야기 그림책을 채택함으로써, 가능한 한 유아들에게 적절한 “좋은” 그림책의 기준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에 최래옥·박완서·정채봉이 편집한 고려원 한국전래동화(2004) 30편, 교육산업대상을 받은 한샘 닷컴의 한국전래그림동화(2004) 20편, 한상수의 팔도 전래 이야기(2006) 24편, 시공주니어의 우리 옛이야기(2006, 최인학·서정오 추천)18편 등 총 92편을 수집하였다. 2단계로 수집된 94편의 그림책 중에서 배려의 의미나 배려적 사고가 내포되어 있지 않거나, 그림책 내용이 서로 중복되는 경우에 배려의 의미나 배려적 사고가 비교적 덜 내포되어 있는 것을 제외한 그림책 74편을 최종 연구대상 그림책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74편의 그림책에 나타난 배려의 주체 분석을 위해서 최운식․김기창(1998)의 연구에서 제시한 등장인물의 유형 분류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 This study has started with the motivation to recover the value for our children to become a part of contemporary society and pursue the ethical life as well as helping to structure the happy future. With the subject of study in the Korean folktale picture books that contain significant wisdom of life and traditional cultural element that are familiar to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ubject of care, the meanings of caring, and caring thinking shown in the picture books, and seek the possibility to facilitate them as the philosophical search materials to improve the caring thinking of children or teaching material for ethics education at kindergarten or home. The issues following the study purpose are shown as follow. 1. Who is the subject of caring shown in the folktale picture books? 2. What is the meaning of caring shown in the folktale picture books? 3. What is the caring thinking in Korean folktale picture books? The subject of analysis for this study is 74 volumes of folktale picture books published in 2000. In order to select the folktale picture book, the first stage is to select the series of complete collection to find various folktales, and at this time, the selection is made for the folktale picture book that is edited or recommended by the specialists in children’s literature or one that received the award related to children’ literature that the standard of “good” picture book for children is secured. Therefore, it has collected a total of 92 books including Korea’s Story Tales (2004) for 30 books that were edited by Choi Rae-ok, Park Wan-seo and Jung Chae-bong at Goryeowon, Korea’s Traditional Picture Books of Hansem.com (2004) of 20 volumes that received the grad prize for education, 24 Stories in the Korea Peninsula by Han Sang-soo (2006) and 18 Books of Our Ancient Stories by Sigong Junior (2006, recommended by Choi In-hak and Seo Jung-oh). For the second stage, from the 94 collected picture books, 74 picture books were selected as the final research subject picture books after excluding the picture books not containing the meaning of caring or caring thinking, or overlap the contents of the picture books. In order to analyze the caring subject shown on the 74 selected picture books, the type classification of emerging characters presented in the study of Choi, Woon-Sik and Kim, Ki-Chang (1998) had the amendment and supplement to fit into this research, and in order to analyze the meaning of caring, it used the classification of caring implication used in the Nodddings (1984, 1992) and Mok, Yong-Hae (2002) after amending and supplementing to fit for this study. The analysis of the aspect and property of the caring thinking is formed following the amended and supplemented system with the classification system used in the studies of Lipman (2003) and Jung, Yeon-Kyeong (2001). The following is the summarized result of this study. First, from the characters appeared on the 74 research subject picture books, the subject of caring were human beings, animal, and supernatural things, and human being had the biggest ratio of 80.6%. As the subject of caring, animal takes up 12.45% while supernatural things take up 6.95%. For the subject of caring for each age, adult was substantially higher than children; and in the event that human beings are the main characters, the adults were 67.44% that appeared for five times or more frequently compared to the children (13.2%). In the picture books for animal appearing as human, the subject of caring had the neutral gender with unknown age (10.1%) appeared in higher ratio than the adult (2.35%).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main characters who acted as the main subject of caring within the folktale picture book were adults that it is the result reaffirming that the subject of caring from the advance studies (Mayeroff, 1971; Gilligan, 1977; Noddings, 1984).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aning of caring appearing in 74 folktale picture book, the caring for self was 20.1% while the caring for other was shown to be 79.9%. As diverse as the characters and incidents in folktales, the caring for others showed 3.98 times more than the caring for self, and the personality of the subject is diversely composed. From the caring of others, the caring for intimate showed highest with 67.3%, and the caring for couple, friend, colleague, neighborhood, lover and other equal or horizontal relationship was 31.8% while the caring for the relationship with parent-child, adult-child, brother-sister, king-servant and the other unequal or vertical relationship had 35.5% that it showed more caring than the relationships with difference in age or personal status. From caring on others, the caring for strange or distant object was 23.4% while the caring for Animals/Plants/Earth showed the ratio of 9.3%.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meaning of caring in the folktale picture book handled the caring on others, and as the medium to indirectly experiment by the children together with the folktale picture books drawing the caring for self, the folktale picture book has the positive value as the teaching material for the children’s ethics education.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ring thinking aspect and property under the folktale picture book, the behavior aspect is highest with 25.1% from the five aspects of the caring thinking, followed by valuation aspect (23.5%), empathy aspect (21.1%), normative aspect (19.5%), and affective aspect (10.8%). In addition,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property of the caring thinking, the ethical property was highest with 41.9%, followed by preservative property (17.8%), curatorial property (17.05%), appreciative property (13.95%), and nurturing property (9.3%). This is the basis of having the aspects and properties of caring thinking in active ways in the folktale picture book, that the folktale picture book is possible to be facilitated as the philosophical search material to improve the caring thinkin

      • 옥신 발견 과정의 과학사를 적용한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과 분석

        박보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ocess of discovering auxin, a plant hormone, contains the history of research conducted by many scientists for about 50 years. This study aimed at developing a teaching program by researching the scientific history of the discovery process of auxin and arranging it chronologically from the era Pre-Darwin, that of Darwin, Rothert, Fitting, Boysen Jensen, Paal, Went, and Post-Went. Focusing on helping students experience the discovery process of auxin, the developed teaching program was applied to the class so as to examine the aspects in which students form an accurate concept of the scientific discovery and how their attitude toward and understanding of science changes. The study first developed a preliminary teaching program, which was applied to nine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at H High School in Pyeongtaek-si, Gyeonggi-do, in 2006.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 and subsequent adjustments of the teaching program, the study developed a finalized teaching program. The program went to the verification process for validation by 13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was consulted by one scientific education specialist. The result of the validation process showed that the content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adequate and well-structured in terms of the history of science, and that the program could help students form a wholesome concept of auxin and improve students' capacity for research. Finally, the developed program was implemented to 16 second-year high school students at H High School in Pyeongtaek-si, Gyeonggi-do. The class met six times, each class lasting from one hour and thirty minutes to three hours and thirty minutes, from Aug. to Oct. 2007. To analyze the program, the study conducted a test for students' concept of auxi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s implemented, as well as a qualitative analysis for each question, and finally another qualitative analysis for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after each activity. First, the study arranged the scientific history of the discover process of auxin by surveying the literature, and based on the survey, the study created a 4-step program: I, II, III-1, III-2, III-3, and IV. Particularly, the step III was based on a completely open investigation method in which, with corn coleoptile as a material, students set a hypothesis in the stage of raising questions, design and execute a test, analyze the result, make a conclusion and present it. This helped students experience the process that scientists in the past adopted for their research. Second, through the developed program, the students could acquire the concept of plant hormone auxin accurately. Just as the scientists' concept of auxin in the plant's stimuli delivery process changed, the students' concept also changed from electric potential to material. Third,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tists changed, and their attitude toward science became proactive and positive. All in all, various positive changes could be observed in the affective domain. Therefore, it can be argued that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played positive effect on students in the affective domain by helping them experience the research process and effectively form the accurate concept of plant hormone auxi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promote more programs that help students experience the history of science by having them, when they are engaged in research activities, use the same material that was used by the scientists in the past, and that such curricula can help advance the education in the field of bioscience as they are actively utilized in special activities in biology, research club or gifted children education activities. 식물 호르몬 옥신의 발견 과정은 약 50년 동안 많은 과학자들의 연구 역사를 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옥신 발견 과정의 과학사를 조사 연구하고 그 내용을 다윈 이전부터 Went 이후의 시대 순으로 정리하여 옥신이 발견되는 과정을 학생들이 경험하게 하는데 중점을 두어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올바른 개념 형성, 과학적 태도 및 인식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옥신 발견 과정을 순차적으로 정리한 내용으로 먼저 예비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006년 경기도 평택 소재 H 고등학교 2학년 9명에게 파일럿 적용을 하였고, 이를 분석·수정하여 본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수업 프로그램은 과학교육 전문가 1명의 조언과 중·고등학교 현직 교사 13명에게 타당도 검증을 받았으며, 검증 결과 프로그램에 과학사 내용이 잘 포함되어 있으며, 옥신의 올바른 개념 형성과 학생들의 탐구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본 수업 프로그램은 경기도 평택 소재 H 고등학교 2학년 16명을 대상으로 2007년 8월부터 10월까지 총 6회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1회분에 해당하는 수업 시간은 1시간 30분에서 3시간 30분까지 다양하였다. 개발된 수업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전과 사후에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문항별로 정성분석을 하였고, 각 활동 후에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정성 분석하였다. 첫째, 문헌 조사를 통해 정리한 옥신 발견 과정의 과학사를 정리했으며 정리된 내용을 적용하여 다윈, Rothert, Fitting, Boysen Jensen, Paal, Went, 그리고 Briggs의 연구를 중심으로 한 탐구활동으로 4단계의 수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특히 수업 프로그램 Ⅲ은 옥수수 자엽초를 재료로 하여 의문제기 단계에서 가설을 설정하고 실험 설계를 하고 수행을 하여 결과를 스스로 얻어 분석하고 결론을 내려 발표하는 완전 개방식의 탐구 방법으로 구성하여 학생들이 과거 과학자들의 연구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개발된 수업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식물 호르몬 옥신에 대한 개념을 분명하게 획득할 수 있었다. 식물의 자극 전달 과정을 연구한 과거 과학자들의 개념 변화처럼 학생들도 전위에서 물질로 개념이 전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생들이 과학자들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였으며, 학생들의 태도가 과학에 대해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로 변화하는 등 정의적 영역에서의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된 수업 프로그램은 학생들로 하여금 탐구과정을 경험하도록 하여 식물 호르몬 옥신에 대한 개념 형성에 효과적이었고 과학의 정의적인 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생명 과학의 다른 주제 영역에서도 과거 과학자들이 실제 연구에 사용했던 재료를 가지고 학생들이 직접 탐구활동을 하여 과학사를 경험하게 하는 과학사 적용 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은 생물학 관련 특별 활동이나 과학 영재교육에 적극 활용되길 바란다.

      • 공무원의 직무열의에 관한 연구 :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의 탐색

        박보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job engagement of public officials. It also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by exploring the validity of paths among the factors. Today’s organizations facing multifaceted and complex environmental changes struggle to obtain their sustainability. A high level of uncertainty inside and outside of organizations, regardless of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requires managers to provide a proper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should be the primary concern for obtain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organization.” Considering that the members within the organization are the ones who respond to and are most directly affected by organizational changes, it is clear that there should be an emphasis on human resources management. Managers in organizations should establish a desirable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at motivates employees to have positive perceptions and emotions about their jobs, and should also observe the actual improvement of job performance created in such an environ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cept of job engagement. Job engagement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positive perceptions and emotions of organization members about their job can be sustained with practical energy input. Previous studies on job engagement have often been limited to considering the antecedents only from job level, and just a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influence of job engagement on the extra-role behavior of members.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s the antecedents of job engagement by considering multi-level factors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influence of job engagement on the work behavior of public officials. Using the data of a two-wave survey of 400 public officials in South Korea, this study conduc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demonstrate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orizontal communication within the organiza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increase job engagement, whereas job demands decrease it. Regarding the influence of job engagemen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and a negative effect on 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 Furthermore, by conducting bootstrapping, it shows that the antecedents that improve job engagement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job performance. By verifying the importance of job engagement, the current study implies that there should be a continuous discussion for establishing an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at promotes job engagement of public officials. 오늘날의 조직은 다면적이고 복잡한 변화 하에서 단지 생존이 아닌 성장을 목표로 지속가능성 있는 운영을 꾀한다. 조직 내외부의 높은 불확실성은 민간과 공공을 불문하고 관리자로 하여금 ‘조직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가장 중점에 두어야 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적실성 있는 해답을 제시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때 조직의 변화에 대응하며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이 조직 내 구성원임을 고려한다면, 무엇보다도 인적자원에 관한 관리적 차원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조직의 관리자는 조직구성원이 직무에 대해 갖는 긍정적인 인식과 감정을 긍정적인 행태로 지속되도록 하는 조직환경의 구축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그것이 또한 실질적인 성과의 향상으로 이어지는지를 관찰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직무열의의 개념에 주목하였다. 직무열의란 조직구성원이 직무에 관한 그들의 긍정적인 인식 및 감정을 실질적인 에너지의 투입으로 지속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직무에 관한 긍정적 정서와 실질적인 헌신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구성원에 대한 관리적 차원의 개선에서부터 긍정적인 직무행동의 증진 및 성과의 향상으로 이어지는 총체적인 경로를 관찰하기에 적합한 변수이다. 그동안의 직무열의에 관한 연구는 이를 유발하는 직무적 차원의 선행요인을 고려하는 데에 국한된 경우가 많았으며, 특히 직무열의가 구성원의 역할 외 행동에 대해 지니는 영향력을 함께 살펴본 연구는 상당히 적은 편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공무원의 직무열의를 유발하는 다면적인 선행요인들을 탐색함과 더불어, 직무열의가 구성원의 역할 내·외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직무열의의 선행요인 및 결과요인을 탐색하고, 변수 간 관계에서 직무열의가 지니는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도출하였다. 분석에는 한국 공무원 400명을 대상으로 총 2차에 걸쳐 진행된 설문조사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의 주요한 결과가 확인되었다. 조직지원인식 및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은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직무요구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내재적 동기는 정(+)의 영향을 미쳤다. 직무열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직무열의는 공무원의 혁신행동에는 긍정적 영향을, 반생산적 과업행동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와 더불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해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열의를 증진시키는 긍정적 선행요인들은 궁극적으로 직무성과의 향상에 또한 기여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연구의 함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직무열의를 중심으로 다면적 변수들을 포함한 분석틑을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모형의 확장이라는 이론적 함의를 지닌다. 둘째, 분석대상을 한국 공무원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한국적 맥락에서의 직무열의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였다. 셋째, 직무열의가 지니는 중요성이 검증된 만큼 이를 제고하기 위한 바람직한 조직환경의 구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넷째, 직무열의와 인적자원관리 간의 연계를 통한 실천적인 정책 마련을 위한 논의가 지속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각각의 역할 외 행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다면적인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공무원의 적극적인 자세에 대한 강조만큼이나 그를 지지하고 장려하려는 관리적 측면에서의 전략 또한 중요할 것임을 역설한다.

      • 경기지역 초, 중, 고교 영양(교)사의 근로환경과 근로가치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보연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경기지역 초, 중, 고교에 근무 중인 영양(교)사 220명을 대상으로 영양(교)사의 근로환경과 근로가치관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2022년 9월 28일부터 2022년 10월 5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은 일반사항, 근로환경, 근로가치관, 직무만족도이다. 근로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급식인원에 따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급식인원이 적어야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업무강도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업무의 양이 과중되지 않고, 행정업무가 업무수행에 차질을 주지 않으며, 고유업무 외의 일이 주어지지 않아야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내적 근로가치관과 직무만족도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내가 행하는 업무가 피급식자 학생들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한다’, ‘영양(교)사들의 직무만족도는 피급식자의 급식 만족도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등의 내적 근로가치관에 해당될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외적 근로가치관과 직무만족도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좋은 직업을 가지고 있으면 사회적 존경을 받는다고 생각하고, 사회적 지위와 명성이 있는 직업이 좋다고 생각하며, 승진에 관심 없는 사람은 잘못되었다고 생각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학교급식의 목적을 더욱 올바르고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교급식을 실질적으로 이끌어가는 영양(교)사의 근로환경을 개선하여 근로가치관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 그것을 바탕으로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working condition and working value on the job satisfaction for 220 dietitian(nutrition teachers) who currently work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8, 2022, to October 05, 2022.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general information, working conditions, working values, and job satisfaction. As a result, job satisfaction related to working conditions showed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students for school meals. Higher job satisfaction was found in case the lower number of students for school meals. There is also a correlation between work intensity and job satisfaction. Higher job satisfaction of the dietitian(nutrition teachers) was found in the situations such as no overburdened work, not much administrative work, and no work other than their job. The inner working value also showed ameaningful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Higher job satisfaction was found when they agreed with the following questions such as ‘The work for student meals can affect the lives of students’, and ‘The job satisfaction is closely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for school meals’. The outer working value also showed a meaningful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higher job satisfaction was found when they agree that ‘the better occupation, the higher social respect’, ‘the higher social position and fame, the better occupation,’ and ‘the higher interest in promotion is more desirable’. In conclusion, it is strongly required to make a way to increase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the dietitian(nutrition teachers) who are substantially leading the school meals by making an environment that can improve the working value and working conditions.

      • 영어 차용어의 모음삽입에 대한 최적성 이론적 분석

        박보연 부산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Words assimilated to other languages are referred to as ‘loanwords’. Loanwords undergo appropriate phonological changes in the course of loan process. Most loanwords follow the phonetic forms of loanwords. However, some loanwords retain the forms of source languages as they are, and some loanwords take different forms other than the forms of source languages. For example, native English speakers pronounce the English word (source language) stress as [strɛs], whereas Korean speakers pronounce English loanword of stress(target word) as [sɨtʰɨresɨ], indicating a vowel [ɨ] is inserted after [s] and [tʰ] in prefix consonants cluster after the consonant [s] in the final consonants clusters. In other words, ‘vowel insertion’ process of phonological phenomena that occur in the course of loan process seeks to accomplish the principle ‘fidelity to source language’ and the vowel [ɨ] changes in such a way as to satisfy the phonological system and phonetic structure of the target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owel insertion pattern of English loanwords on the basis of a constraint-based theory. English loanwords incorporated into Korean words sometimes incur vowel insertion in such a way as to satisfy the constraints of phonetic structure of Korean. In this study, Optimality Theory, suggested by Mccarthy and Prince (1995) is used as an analytical tool for analyzing loanwords. This thesis is organized in the followings. Chapter 2 briefly explains Optimality Theory which serves as the basis of this study correspondence theory and Silverman's ‘Loanword Model’(1992). Also included is the examination of changes induced by the differences in phonological system between the English and Korean language. Chapter 3 examines the general vowel insertion phenomena of English loanwords on the basis of Optimality Theory which associates vowel insertion phenomena with phonological factors. Chapter 4 presents the conclusions and suggests limitations of this study.

      • 짝 점검 협동학습을 통한 문제 만들기가 수학학습에 미치는 효과 : 중학교 3학년 인수분해와 이차방정식 단원을 중심으로

        박보연 동국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effect of problem posing with the pairs check cooperative learning on mathematics learning. Especially, we apply lessons based on it to factorization and a quadratic equation. To accomplish the object of this research, the goals are set up as followings.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mathematics achievement according to the learning ability levels (high·medium·low subgroups) between a group of problem posing with the pairs check cooperative learning and those in traditional one-way teacher-centered group?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mathematics attitude according to the learning ability levels (high·medium·low subgroups) between a group of problem posing with the pairs check cooperative learning and those in traditional one-way teacher-centered group?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howed were as followings. First, according to the learning ability levels, medium subgroup and low subgroup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mathematics achievement. Second, according to the learning ability levels, medium subgroup of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learning attitude factor of mathematics attitu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