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 PCR을 응용한 특정 amoA유전자를 가진 질산화 Archaea 동정

        박병준,박수제,이성근,Park, Byoung-Jun,Park, Soo-Je,Rhee, Sung-Keun 한국미생물학회 2007 미생물학회지 Vol.43 No.3

        Mesophilic Crenarchaeota have been known to be predominant among ammonia-oxidizing microorganisms in terrestrial and marine environment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archaeal phylotypes carrying specific amoA by combining digital PCR and multiplex-nested PCR. Analysis of samples in which amoA and 16S rRNA gene were amplified showed that amoA gene diversity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16S rRNA gene. Nitrifying archaeal group I.1a was dominant over I.1b group of crenarchaota and euryarchaeota. This approach could be applied for interrelating a functional gene to a specific phylotype in natural environments. 해양 및 토양에서의 암모니아 산화는 세균에 비해 Crenarchaeota 그룹의 archaea에 의해 우세하게 일어나고 있음이 알려졌다. 서해 갯벌에서, 배양에 의존하지 알고, 특정 암모니아 산화유전자(amoA)를 가진 archaea을 동정하고자 디지털 PCR법을 응용한 nested PCR법을 개발하였다. amoA와 16S rRNA유전자가 동시에 증폭된 샘플의 분석결과, 16S rRNA유전자에 비해 amoA 유전자의 다양성 이 높았으며, I.1a 그룹의 crenarchaea가 I.1b 그룹의 crenarchaea보다 갯벌지역에서 암모니아 산화에 우점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시도된, 디지털 PCR과 multiplex-nested PCR을 접목한 접근법을 이용하면 특정 기능유전자를 가진 미생물을 환경에서 검증하는데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SCOPUSSCIEKCI등재

        두개골 유아 근섬유증 - 증례보고 -

        박병준,고영초,유헌,이채혁,박효일,Park, Byoung Jun,Koh, Young Cho,Yoo, Heon Yoo,Lee, Chea Heuck,Park, Hyo Il 대한신경외과학회 200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9 No.3

        Infantile myofibromatosis is a rare and benign myofibroblastic tumor that may occur in either solitary or multicentric form in the soft tissue of infants. A 13-month-old girl presented with a painless firm mass, measuring $2.5{\times}2.5cm$ in the right temporal area. Skull X-ray and CT scan revealed a well enhancing soft tissue tumor with a round skull defect and sclerotic margin. The tumor was totally excised with curettage of the skull defect followed by cranioplasty. Pathology was confirmed to be a solitary infantile myofibromatosis. We report this rare solitary infantile myofibromatosis of the temporal bone with review of the pertinent literature.

      • KCI등재

        퍼지관계와 유전자 알고리즘에 기반한 진화론적 최적 퍼지다항식 뉴럴네트워크

        박병준(Byoung-Jun Park),이동윤(Dong-Yoon Lee),오성권(Sung-Kwun Oh)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5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퍼지관계 및 진화론적 최적 다층 퍼셉트론에 기초한 퍼지다항식 뉴럴네트워크(FPNN)의 새로운 구조를 소개하고, 포괄적인 설계방법론을 토의하며, 그리고 일련의 수치적인 실험이 수행된다. 진화론적 최적 FPNN(EFPNN)의 구축을 위해 컴퓨터지능(CI)의 기반 기술을 이용한다. EFPNN의 구조는 규칙베이스 퍼지뉴럴네트워크와 다항식 뉴럴네트워크의 결합에 의한 유전자 최적 구동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시너지 이용으로 얻어진다. 퍼지뉴럴네트워크는 EFPNN의 전체규칙 구조의 전반부에 기여하고, EFPNN의 후반부는 다항식 뉴럴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설계된다. EFPNN의 후반부를 위한 유전론적 최적 다항식뉴럴네트워크의 개발은 두 최적화 기법에 의해 수행된다. 즉 구조적 최적화는 유전자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되고, 파라미터 최적화는 최소자승법 기반의 학습을 통해 행하여진다. EFPNN의 성능 평가를 위해, 모델은 몇 가지 수치 예제를 이용한다. 비교에 의한 해석은 제안된 EFPNN이 이전에 제시된 다른 지능형 모델보다 높은 정확도뿐만아니라 좀 더 우수한 예측능력을 가지는 모델임을 보여준다.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new topology of Fuzzy Polynomial Neural Networks(FPNN) that is based on fuzzy relation and evolutionally optimized Multi-Layer Perceptron, discuss a comprehensive design methodology and carry out a series of numeric experiments. The construction of the evolutionally optimized FPNN(EFPNN) exploits fundamental technologies of Computational Intelligence. The architecture of the resulting EFPNN results from a synergistic usage of the genetic optimization-driven hybrid system generated by combining rule-based Fuzzy Neural Networks(FNN) with polynomial neural networks(PNN). FNN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the premise part of the overall rule-based structure of the EFPNN. The consequence part of the EFPNN is designed using PNN. As the consequence part of the EFPNN, the development of the genetically optimized PNN(gPNN) dwells on two general optimization mechanism: the structural optimization is realized via GAs whereas in case of the parametric optimization we proceed with a standard least square method-based learning.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EFPNN, the models are experimented with the use of several representative numerical examples. A comparative analysis shows that the proposed EFPNN are models with higher accuracy as well as more superb predictive capability than other intelligent models presented previously.

      • KCI등재

        인간, 물음으로서의 존재 -철학적 인간학적, 형이상학적 탐구-

        박병준 ( Park¸ Byoung-j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9 가톨릭철학 Vol.0 No.12

        인간은 물음을 던지는 존재이다. 물음은 인간 정신의 가장 기본적인 수행 방식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물음의 실제적인 행위 실행은 우리에게 감추어져 있는 존재의 심연과 밝힘 사이 그리고 그들 사이의 긴장 안에 놓여 있다. 이러한 통찰을 일찍이 가져온 현대 철학자가 하이데거이다. 하이데거는 물음은 사유의 경건함이라 말하고, 인간의 궁극적이며 본래적인 행위라 할 수 있는 물음을 존재 물음으로 귀착시킨바 있다. 이러한 사유는 칼 라너와 에머리히 코레트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특히 코레트는 한발 더 나아가 물음 자체를 그의 형이상학의 정초를 다지는 방법론으로 삼기까지 한다. 본고는 물음 자체를 그의 철학의 주요 방법론으로 삼는 코레트의 ‘물음’ 사유를 탐구한다. 코레트의 사유에 있어서 물음 자체는 그의 초월론적, 형이상학적 철학의 주요 방법이요 첫출발점이다. 이러한 탐구를 위하여 본고는 1) 물음 자체의 의미와 본질, 2) 인간 정신의 기본 수행으로서의 물음과 판단의 문제, 3) 출발점으로서의 물음과 물음의 초월론적 조건 등을 차례로 탐구하고 검토한다. The human being is the existence that asks. Questioning is a basic performance of the human spirit. But the actual performance of the question begins between the abyss and the presentation of the being that is usually hidden to us, or in the tension between those. One Philosopher who had just that insight, is M. Heidegger. Heidegger, who said that questioning is the piety of thinking, concluded that all questioning is questioning about the meaning of being. This thinking gave influence to K. Rahner and E. Coreth too. Furthermore especially, Coreth makes the question itself as an important method to establish the basis of his metaphysics. This paper searches first of all Coreth’ thinking. Coreth makes the question itself a method and the first starting point of his transcendental, metaphysical philosophy.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tudies 1) what is the essence and meaning of the question itself, 2) the question as a basic performance of the human spirit and the judgment as a thought process, 3) the question as the starting point, and the transcendental condition of the question.

      • KCI등재

        ‘진리’ 이해의 문제에 대한 오늘날의 해석학적 흐름

        박병준(Park, Byoung Ju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7

        모든 지식은 항상 진리를 함축하고 있어야 하지만 과연 진리가 무엇인지 규정하는 일은 쉽지 않다. 이는 진리 개념이 갖는 중층적인 의미 때문이다. ‘진리’ 개념은 무조건적이며 절대적인 진리, 조건적이며 제한적인 상대적 진리, 존재론적 진리, 논리적 진리 등 다양하다. 또한 진리에 관한 이론에는 진리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대응 이론, 정합 이론, 실용주의 이론, 합의 이론 등 다양한 주장이 있다. 본고는 중층적이며 다양한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진리를 해석학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진리 문제에 있어서 도대체 왜 해석학이 문제가 되는 것일까? 해석학은 이해의 학문이며, 모든 이해는 진리를 파악하려한다. 정신적 존재인 인간은 모든 것을 자기 안에 매개하는 본성을 지닌다. 인간의 세계는 정신에 의해 ‘매개된 직접성’의 세계요 바로 그와 같은 정신의 매개된 세계가 이해의 세계이다. 당연한 말이겠지만 인간에게 이해 없는 진리란 불가능하다. 해석학적 진리는 진리의 문제가 본질적으로 이해의 문제라는 기본 입장에 근거한다. 진리와 이해 사이에 놓인 이런 필연적 관계로부터 우리는 진리가 이해되고 해석 될 수밖에 없다는 사실을 인식한다. 이러한 인식은 진리의 문제를 결국 해석학적 진리의 문제로 이끈다. 우리는 하이데거(M. Heidegger)에게서 현사실적 삶의 현존재 이해와 해석에 초점을 맞춰 진리를 시간과 역사 안에서 언표된 존재 역운으로 이해하는 해석학적 진리의 단초를 발견한다. 그리고 이런 경향은 가다머(H.-G. Gadamer)를 통해 철저하게 수용된다. 하이데거와 가다머 이후 해석학적 진리의 문제는 역사성 안에서 드러나는 진리의 객관성과 이해 가능성에 대한 물음으로 한정된다. 그러나 이해가 근본적으로 무제약적이며 무조건적인 존재 지평에서 이루어지는 한 진리의 문제 역시 제한된 영역을 넘어서 존재의 절대 지평에서 이해될 필요가 있다. All knowledge always implies truth, but it is not easy to determine what truth actually is. This is because truth is a concept of multi-layered meanings and because the concepts of ‘truth’ are various. For example: unconditional and absolute truth; conditional, restrictive and relative truth; ontological truth; logical truth; and others. Moreover, there are various theoretical opinions regarding truth, dependent upon one’s point of view, such as: the correspondence theory, the coherence theory, pragmatism, the consensus theory, and others. This paper considers truth in its various multi-layered meanings from a hermeneutical point of view. Why does hermeneutics get involved in the issue of truth? Hermeneutics is the study of comprehension, and it tries to grasp the truth of all understanding. Human beings have a spiritual essence that moves them to mediate all things within themselves. Our world is the world of mediated immediacy achiev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mind. At the same time, it is the world of understanding that is achieved through the mind’s mediation. It might seem obvious, but it is impossible for humans not to be able to understand truth. Hermeneutical truth is based on the basic position that the problems of truth are fundamentally a problem of understanding. From the inevitable relationships between truth and comprehension, we become aware of the fact that truth needs to be understood and analyzed. These realizations eventually draw problems of truth to the basic problem of hermeneutical truth. Understanding and analyzing the ‘dasein’ of ‘faktical life’, Heidegger understands hermeneutical truth in terms of the ‘destiny of being’ in time and history. Gadamer borrows this approach; and after Heidegger and Gadamer, the problems of hermeneutical truth have become questions limited to possibilities of the objectivity and comprehension of truth as manifested in history. Be that as it may, in the present author’s opinion comprehension is fundamentally and unconditionally rooted in the very ‘horizon of being’; so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ruth, not primarily from the horizon of history, but from the horizon of absolute being.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분석철학과 그리스도교 철학

        박병준 ( Park¸ Byoung-jun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1 가톨릭철학 Vol.0 No.17

        ‘분석적으로 철학한다는 것’은 오늘날 중요한 철학적 전통이 되었다. ‘분석적으로 철학함’은 단순히 분석적으로 사유한다는 의미를 넘어서 있다. 그것은 분석철학이 종합적 사유에 대응하는 분석적 사유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기존의 철학과 구별되는 철학의 경계 짓기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분석철학과 전통 철학의 입장에 서 있는 그리스도교 철학을 비교한다. 서로 분명한 입장차를 가지고 있는 분석철학과 그리스도교 철학은 서로 양립 가능할 수 있는 것인가? 대화를 단절하고 자기주장만을 고집한다면 모를까 현격한 입장차를 보이는 두 철학을 비교해 봄은 그 자체로 의미 있는 일이다. 두 철학을 비교함에 있어서 우선하는 질문은 두 철학의 본질과 관련된 정체성 문제이다. 본고는 기본적으로 두 철학의 기본 입장을 커다란 윤곽 아래서 살피고, 분석철학의 그리스도교 철학의 수용의 관점에서 두 철학을 비교할 것이다. 본고는 우선 분석철학을 두 가지 관점에서 본다. 하나는 ‘철학적 방법론’으로서의 분석철학이고, 다른 하나는 ‘체계적 철학’으로서의 분석철학이다. 그리스도교 철학이 방법론으로서의 분석철학을 수용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다. 그러나 체계적 철학으로서의 분석철학과 그리스도교 철학의 조우 가능성은 간단하지 않다. 그것은 분명한 차이를 보이는 두 철학의 본질과 정체성에 기인한다. 그럼에도 오늘날 전통 철학의 주제들에 대한 분석철학의 관심 표명을 통하여 두 철학의 조우 가능성을 타진해 볼 수 있다. 본고는 우선 분석철학과 그리스도교 철학의 본질과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검토함으로써 두 철학의 일반적 특성과 차이를 드러낸다. 이어서 오늘날 분석철학의 ‘분석적 형이상학’과 전통 형이상학의 비교, 그리고 존재 개념의 검토를 통하여 두 철학의 만남의 가능성을 타진한다. 참된 지식과 실재의 근거 물음은 오래전부터 사유를 갈라놓는 철학의 핵심적인 물음 가운데 하나였다. 두 철학도 예외가 아니다. 지식과 실재의 근거를 경험에 국한시킬 것인지 혹은 경험을 넘어서까지 둘 것인지는 사실 우리가 철학적으로 어떤 태도를 취하며 어떤 관심을 갖느냐에 따라서 상당한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이것은 두 철학을 비교함에 있어서 우리가 분석철학을 방법론의 철학으로 취해도 여전히 선택이 요구되는 과제로 남는다. Analytical philosophy has become an important philosophical tradition in the present time. ‘To philosophize analytically’ goes beyond the meaning of simply thinking analytically. This is because analytical philosophy naturally draws a boundary from the existing philosophies through analytical thinking against general synthetical thinking.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alytical philosophy with Christian philosophy which stands on the side of more traditional philosophy. Could these two philosophies that have distinctly different stances be compatible? Comparing these two philosophies with their widely different positions would be meaningful in the comparison itself unless either side stubbornly sticks to one’s philosophy with severance of conversation. In comparing the two philosophies, the first question is the issue of identity related to the fundamentals of those philosophies. This study will examine the basic stance of each philosophy within a large category, and the two philosophies will be compared from the point of view in which analytical philosophy accommodates Christian philosophy. First of all, this study sees the analytic philosophy from two points of view. One is analytical philosophy as one of the ‘philosophical methodologies’, and the other is analytical philosophy as a ‘systematic philosophy’. It is comparatively easy for Christian philosophy to accept analytical philosophy as a methodology. However,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analytical philosophy with Christian philosophy in that sense is not that simple. That is because of the nature and identity of two philosophies that show distinct differences. Nevertheless, through the expressions of interest from analytic philosophy on the themes of traditional philosophies in present time, we could still gauge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the two philosophies. This study primarily aim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the two philosophies by examining the issues regarding the nature and identity of the analytical philosophy and Christian philosophy. And subsequently, through comparing ‘analytic metaphysics’ of analytical philosophy with traditional metaphysics, and examining the existential concepts,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the two philosophies will be gauged. True knowledge and fundamental questions on existence were among the core questions that separate different thoughts of philosophy from long time before. These two philosophies are no exceptions. Whether the grounds of knowledge and existence should be limited in the experience or beyond experience, in fact, could show considerable difference according to what attitude and what interests we have philosophically. Therefore, in comparing these two philosophies, the issue of selectiveness still remains even if we take analytic philosophy as a philosophy of methodology.

      • KCI등재

        철학상담과 철학 교육

        박병준(Park Byoung Jun)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9 인간연구 Vol.0 No.38

        본 논문은 삶에 활력을 주지 못하는 오늘날의 철학의 한계를 인식하고, 그 대안으로서 주목받고 있는 철학상담의 목표와 방향을 철학교육과 그 제도적 차원에서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첫째, 철학상담은 철학 교육의 차원에서 당연히 이론적 지식 추구가 아닌 ‘인격의 성숙’, ‘의식의 확장’ 그리고 정서적 체험을 불러일으켜 인간 상호 간의 관계를 중시하는 ‘성찰과 성장’을 목표로 인간의 ‘자기변화’를 도모해야 한다. 둘째, 철학상담은 제도권 안에서 상담에 응용할 수 있는 철학적 지식과 철학적 훈련을 익힐 수 있는 양질의 프로그램을 통해 철학상담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상담가 양성에 주력해야 한다. 이러한 두 가지 목표와 방향은 철학상담이 현재 제도권 안에서 뿌리를 내리고, 확산하고, 발전하는 데 필요한 기본 요소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철학 교육 안에서 철학상담의 방향을 설정하는 사유의 근거를 키르케고르(S. Kierkegaard), 하이데거(M. Heidegger), 야스퍼스(K. Jaspers)의 실존철학과 짐멜(G. Simmel)의 개인법칙, 그리고 볼노우(O. F. Bollnow)의 실존주의적 교육학에서 찾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to recognize the limitations of today’s philosophical education in its inability to provide vitality to individuals’ lives and to examine the aim and direction of philosophical counseling, which has been garnering attention recently both in philosophical education and at the institutional level. First, philosophical education should not only pursue simple theoretical knowledge; it should also promote human “self-change,” that is, “reflection and growth,” nurturing students’ maturity of character and expansion of consciousness and emotional experience. Second, philosophical counseling in a program of philosophical education should focus on cultivating counselors who can practice philosophical counseling professionally. It should do so through the use of high-quality programs aimed at fully developing philosophical knowledge and training that can nurture skills in philosophical counseling. These two goals and directions are fundamental to the establishment, proliferation, and development of philosophical counseling within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This paper examines the basis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philosophical counseling within philosophical education in the context of S. Kierkegaard, M. Heidegger, K. Jaspers, and O. F. Bollnow’s existential philosophies, as well as in light of G. Simmel’s Law of the Individual.

      • KCI등재

        그리스도교의 전통적 죽음관의 현대적 해석: 실존 철학적·형이상학적 관점에서

        박병준(Park, Byoung-Jun),홍경자(Hong, Keung-Ja)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神學展望 Vol.- No.209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죽음의 해석은 실로 다양하다. 오늘날 대부분 자연 과학이 주장하듯 자연 현상을 바라보며 단순히 ‘생명의 단절’(Ableben)로서 죽음을 바라보는 시각부터 일반적인 종교에서 주장하듯 ‘영원불멸로서의 죽음’(Tod als Unsterblichkeit)까지 그 범위는 매우 넓다. 노년의 생을 다하는 것을 의미하는 유물론적-무신론적 사유에 기반하는 ‘자연적 죽음’(natürlicher Tod)도 있으며, 이와는 달리 실존 철학에 기초한 자유로운 정신에서 비롯된 실존적 ‘행위로서의 죽음’(Sterben als Tat)도 있다. 본고는 매우 오래된 전통적 죽음 해석인 그리스도교 관점의 ‘영원불멸의 죽음’에 초점을 맞춰 이와 대척점에 있는 현대의 유물론적-무신론적 경향의 ‘자연적 죽음’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중재하는 사유로서 실존 철학의 죽음 해석을 제시한다. 죽음이 ‘생명의 단절’이나 ‘자연적 죽음’ 이상의 것, 곧 ‘삶을 구성하는 중요한 근본 요소’이자 ‘삶의 의미가 집중되는 중심’으로 파악하는 실존 철학의 죽음 해석이 오늘날 여전히 전통적 죽음 해석과 철학적으로 어떤 비전을 공유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과 함께 한계와 전망도 검토한다. ‘자연적 죽음’은 현세의 삶에 절대적 가치와 의미를 부여하며, 자기 생명을 다하고 죽는 ‘행복한 노년기의 죽음’을 적극적으로 지지한다. 그러나 이 개념은 모호할 뿐 아니라, 작위적이다. 오늘날 과학 기술의 놀라운 발전에도 불구하고 죽음은 그 자체로 여전히 우리에게 신비로운 사건으로 머물러 있다. 문제는 어둠 속에 은폐된 종말로서의 죽음 자체의 의미를 파악하지 않고서는 우리의 삶 전체 의미를 완전하게 밝히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절대적이며 최종적인 것에 관한 사유 없이 죽음의 신비에 근접해 갈 수 없다는 것이다. The interpretation of death from ancient to modern times truly varies. Today, death is viewed within a wide range, from most natural sciences viewing ‘death as a simple natural phenomenon’(Ableben) to ‘death as immortality’(Tod als Unsterblichkeit) as claimed by most religions. The notion of ‘natural death’(natürlicher Tod) caused at the end of life as old age proceeds from materialistic and atheistic(non-religious) thought; conversely, that of ‘death as an act’ (Sterben als Tat) originates from the concept of the freedom of the spirit(Geist) in existential philosophy. This paper focuses on the old traditional idea of ‘death as immortality’ from a Christian point of view and examines the problem of the opposing modern notion of ‘natural death.’ The existential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death seeks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se two approaches. It understands death as more than just ‘the end of life’ or ‘natural death’; it is ‘an important fundamental element that constitutes life’ and ‘the center in which the meaning of life is concentrated’. This paper examines the limitations, prospects, and possibilities of how this interpretation of death brings a philosophical vision into play with traditional death interpretations. ‘Natural death’ gives absolute value and meaning to the present life, and actively supports one who completed and passed away from a ‘death due to a happy old age’. However, this concept is not only ambiguous but also arbitrary. Despite the remarkable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today, death itself remains a mysterious event. However, the problem is that it is impossible to fully reveal the meaning of our entire life without grasping the meaning of death itself concealed in the dark. It is also impossible to approach the mystery of death without absolute and final rea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