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립암센터에서 동정된 적혈구 비예기항체의 빈도 및 분포

        박병민,송윤경,김택수,이건호,최지선,성문우,이도훈,공선영 대한수혈학회 2009 大韓輸血學會誌 Vol.20 No.2

        Background: Performing antibody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tests before blood transfusion are important since unexpected red cell antibodies can cause acute or delayed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s.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unexpected red cell antibodies that were detected in cancer patients at National Cancer Center (NCC) and we compared our results with the previously published data.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June 2009, 56,660 sera of the cases from NCC were screened and 197 sera were identified with using the Ortho BioVue System (Ortho-Clinical Diagnostics, Raritan, USA) and the conventional tube method. In case of the presence of autoantibody, the ZZAP method was performed to distinguish alloantibody from autoantibody. Results: 759 cases (1.34%) showed positive results out of all 56,660 cases that underwent unexpected antibodies screening. Among them, unexpected antibodies were identified in 197 cases.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antibody was anti-Lea in 62 cases (31.47%), followed by anti-E in 32 cases (16.24%) and anti-Leb in 18 cases (9.14%). Unidentified antibodies were detected in 43 cases (21.83%). In the cases with a previous history of transfusion at the NCC and the screening results were altered from negative to positive, anti-E was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antibody (8/30 cases, 26.67%), and this included the mixed antibodies. Conclusion: Compared with the previous repor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frequency and distribution of the unexpected red cell antibodies of cancer patients were not different from those of general patients. Moreover, there was no apparent difference of frequency of the unexpected red cell antibodies among the diagnosed cancers. Our research may provide data for the frequency and characteristics of red cell antibodies because we targeted only cancer patients. 배경: 비예기 항체는 급성 및 지연성 수혈 부작용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므로 수혈 전 비예기항체 선별 및 동정검사는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국립암센터에서 적혈구 비예기항체의 빈도 및 분포를 조사하고 기존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Ortho BioVue System (Ortho-Clinical Diagnostics, Raritan, USA)과 시험관법을 이용하여 본원에 선별검사가 의뢰된 56,660건을 대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였고, 197건을 동정하였다. 자가항체가 존재할 경우에는 ZZAP법을 이용하여 자가항체로부터 동종항체를 구별하였다. 결과: 선별검사가 시행된 56,660건 중 759건(1.34%)에서 양성을 보였고, 197건에서 비예기항체가 동정되었다. 가장 많은 빈도로 검출된 비예기항체는 항-Lea 62건(31.47%), 항-E 32건(16.24%), 그리고 항-Leb 18건(9.14%) 순이었다. 정확하게 동정되지 않은 항체는 43건(21.83%)이었다. 비예기항체 선별검사가 음성에서 양성으로 바뀐 수혈기왕력이 있는 30건 중 복합항체를 포함하여 항- E가 8건(26.67%)으로 가장 높은 빈도로 동정되었다. 결론: 이전에 보고된 연구 결과와 비교할 때 암환자와 다른 질환을 포함한 환자간 비예기항체의 빈도와 성상이 다르지 않았다. 더욱이 암종간의 빈도 차이도 뚜렷하지 않은 양상을 보였다. 암환자만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는 비예기 항체 빈도나 성상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삼소음(蔘蘇飮)이 백서(白鼠)의 국소뇌혈류량(局所腦血流量)과 혈압(血壓)에 미치는 영향(影響)

        박병민,홍재의,고영철,신조영,이시형,Park, Byong-Min,Hong, Jae-Eui,Ko, Young-Chul,Shin, Jo-Young,Lee, Si-Hyeong 대한한방내과학회 2002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3 No.1

        Objectiv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change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rCBF) and blood pressure(BP) in rats with the following injection. Methods : The measurement was continually monitored by laser-doppler flowmeter-Transonic Instrument, USA- and pressure tranducer(Grass, USA) in anesthetized adult Sprague-Dawley rats about for two hour to two hour and a half hours through the data acquisition system composed of Maclab and Macintosh computer. Result : This experiment with Samso-eum increased the changes of rCBF in rats, significantly, but did not change the blood pressure. The rCBF of Samso-eum decreased by pretreated propranolol, and was not changed by pretreated L-NNA and ODQ. Conclusion : It is considered that the dosage-dependent increase on rCBF is mediated by adrenegic ${\beta}$-receptor.

      • 민사소송절차에서 비밀 보호에 관한 연구 : in camera 심리절차를 중심으로

        박병민(Park, Byung-Min),이주연 사법정책연구원 2022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Vol.2022 No.2

        재판청구권이라는 헌법상 기본권이 실질적으로 보장되기 위해서는 소송에서 권리·의무의 존재가 제대로 다투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증거의 원활한 유통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증거를 소지하고 있는 측에서 비밀이라고 하면서 증거를 내어줄 수 없다고 한다면 위와 같은 논리는 거꾸로 흘러 결국 재판청구권의 부실화, 더 나아가서는 민사재판 제도 자체에 대한 무력감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결과는 관념에 그치지 않는다. 민사소송이 아닌 형사고소를 통해 수사기관에게 증거를 수집하게 하고 이를 민사소송에 제출하는 관행이라든지 우리나라 기업끼리의 소송이 원활한 증거수집을 위해 미국에서 이루어지는 이른바 ‘원정소송’의 문제 등은 우리 민사재판 제도가 제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위와 같은 문제의 돌파구로 흔히 미국의 디스커버리 제도가 언급되고, 각자 나름의 범위를 정해 제도의 도입을 주장하는 연구가 많다. 이 연구는 디스커버리 도입 등과 같은 증거개시 전반을 점검하는 것은 아니다. 증거개시의 확대라는 지향점을 전제로, 민사소송절차에서 검토해야 할 비밀보호의 장면을 문서제출명령 등 증거수집 단계, 공개변론의 단계, 소송기록 접근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요구되는 비밀보호 장치에 관하여 검토한 것이다. 먼저 문서제출명령 제도의 경우, 제출 대상을 ‘정보’로 확대하면서 조문의 구조를 단순하게 다듬을 필요가 있고, 정보제출 여부를 재판부가 주재하는 사전협의를 통해 원활하게 진행하되, 제출거부 사유는 엄격하게 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제출 여부 심리 단계에서 비밀의 정도를 구분하여 그 열람범위를 세분화하고, 가장 높은 수준의 비밀이 소송법적 이익을 위해 반드시 제출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변호사만이라도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미국의 attorney s eyes only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서제출 거부사유 판단을 위한 in camera 심리에 대한 구체적 규정은 없는데, 이는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 국가의 상황도 마찬가지이다. in camera 심리에 재판부의 적정한 소송지휘나 쌍방 당사자의 협조가 반드시 요구되는 이유이다. 당사자에게 in camera 심리에 관한 신청권을 인정할지 여부와는 별도로, 당사자가 in camera 심리를 요구하면 가급적 절차에 착수하는 것이 타당하고, 제한된 요건 하에서 신청인 측의 의견진술 기회를 부여하는 입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비밀 자료의 원활한 제출을 담보하기 위해 특허법에 마련된 열람제한 범위 지정제도 및 비밀유지명령을 민사소송법에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비밀보호 장치는 특허침해사건에서만 문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물 책임소송 등 민사재판 전반에서 요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변론 비공개 사유를 규정한 법원조직법 제57조 제1항의 ‘선량한 풍속을 해칠 우려’에 사생활의 비밀이나 영업비밀의 보호가 포함될 수 있는지 실무상 혼선이 있다. 사생활의 비밀이나 기업의 영업비밀도 헌법상 기본권의 영역에 포함되므로, 그 비밀로서의 가치가 재판공개의 원칙보다 우월하다고 판단될 때는 법원조직법 제57조 제1항에 따라 비공개가 가능하다고 본다. 다만 이는 독일 법원조직법 규정과 같이 입법으로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본안에서의 in camera 심리, 즉 본안의 증거조사 단계에서 비밀보호를 위해 상대방 당사자를 배제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는 당사자의 절차적 권리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입법이 마련되지 않는 한 가능하지 않다. 마지막으로 비밀보호를 위해 당사자의 소송기록 열람·복사를 제한할 수 있는지 문제되는데, 이 또한 입법적 근거가 없는 한 가능하지 않다. 이를 입법으로 도입하더라도 비밀보호의 필요가 절차적 권리의 보장보다 우월한 경우에 당사자의 의견을 존중하여 비밀부분의 열람·복사 제한을 허용하되, 가급적 변호사만이라도 비밀 기재 부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민사소송절차에서 비밀의 보호는 그 자체로 목적이 될 수 없고, 원활한 증거개시, 더 나아가 적정한 민사재판을 위한 수단을 구성한다. 그러므로 적정한 민사재판절차가 법률문화로서 형성될 수 있도록 좋은 제도를 마련하는 것 외에 여기에 생명을 불어넣으려는 실무가들 사이의 소통과 진지한 노력을 기대하여 본다. In order to effectively guarantee the constitutional right to trial, the existence of rights and obligations must be properly contested in litigation, and for this, evidence must be smoothly introduced. However, if the party in possession of the evidence claims it falls under the confidentiality subject to protection against production, such kind of challenge would be prone to the consequential retreat to the insubstantiality of the constitutional right to trial, and thus causing a sense of helplessness in the civil proceedings itself. These consequences would not be limited to concerns. The practice of having an investigative agency collect evidence and submitting it in a civil lawsuit through a criminal complaint ahead of a civil lawsuit, or the so-called ‘expedition lawsuit’ in the United States for the convenience of evidence collection between Korean companies compels us to ask whether our civil trial system is fulfilling its inherent role. The discovery system of the United States is often addressed as a breakthrough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re are many studies that advocate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by setting their own scope. This study does not intend to delve into the overall disclosure of evidence, such as the introduction of discovery. On the premise of the envisioned expansion of the disclosure of evidence, the scenes of confidentiality to be reviewed in civil proceedings are divided into the evidence collection stage, such as subpoena to produce documents, the open hearing stage, and the access to court record stage, and the confidentiality protection devices required for each stage are reviewed in this research. First, in case of the subpoena to produce documents,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relevant rules and regulations while expanding the subject of production to information. The court needs to proceed case management conference to decide the scope of the production, and strictly examine the reasons for refusal to produce documents. The court should classify the degree of confidentiality in the process of the subpoena to produce documents, and subdivide the scope of access, and permit only lawyers to gain access to the documents when even the highest level of confidentiality shall be subject to submission for litigation interests. So, it is desirable to have a ‘U.S. attorney s eyes only’ system introduced for this purpose. There are no detailed regulations on the in camera proceedings to determine the reason for refusal to submit documents, and this is also the case in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This is the reason why the proper case management of the court and the cooperation of both parties are indispensably required for in camera proceeding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o grant the party the right to request for an in camera proceedings, provided that the party requests an in camera proceedings, it is appropriate for the court to initiate the proceedings if possible, and the enactment aiming to give the applicant an opportunity to express his/her opinion under limited conditions shall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ensure smooth submission of confidential data, it is desirable to incorporate the system for designating the scope of access restrictions and the order to maintain confidentiality provided for in the Patent Act into the Civil Procedure Act. This is because such confidentiality protection is not only a problem in patent infringement cases, but is required in all civil cases such as product liability litigation. …

      • 민사소송절차에서 비밀 보호에 관한 연구 - in camera 심리절차를 중심으로 -

        박병민 ( Park¸ Byung-min ),이주연 사법정책연구원 2022 연구보고서 Vol.2022 No.2

        재판청구권이라는 헌법상 기본권이 실질적으로 보장되기 위해서는 소송에서 권리·의무의 존재가 제대로 다투어져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증거의 원활한 유통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증거를 소지하고 있는 측에서 비밀이라고 하면서 증거를 내어줄 수 없다고 한다면 위와 같은 논리는 거꾸로 흘러 결국 재판청구권의 부실화, 더 나아가서는 민사재판 제도 자체에 대한 무력감을 불러일으킨다. 이러한 결과는 관념에 그치지 않는다. 민사소송이 아닌 형사고소를 통해 수사기관에게 증거를 수집하게 하고 이를 민사소송에 제출하는 관행이라든지 우리나라 기업끼리의 소송이 원활한 증거수집을 위해 미국에서 이루어지는 이른바 ‘원정소송’의 문제 등은 우리 민사재판 제도가 제 역할을 감당하고 있는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위와 같은 문제의 돌파구로 흔히 미국의 디스커버리 제도가 언급되고, 각자 나름의 범위를 정해 제도의 도입을 주장하는 연구가 많다. 이 연구는 디스커버리 도입 등과 같은 증거개시 전반을 점검하는 것은 아니다. 증거개시의 확대라는 지향점을 전제로, 민사소송절차에서 검토해야 할 비밀보호의 장면을 문서제출명령 등 증거수집 단계, 공개변론의 단계, 소송기록 접근 단계로 나누어 각 단계별로 요구되는 비밀보호 장치에 관하여 검토한 것이다. 먼저 문서제출명령 제도의 경우, 제출 대상을 ‘정보’로 확대하면서 조문의 구조를 단순하게 다듬을 필요가 있고, 정보제출 여부를 재판부가 주재하는 사전협의를 통해 원활하게 진행하되, 제출거부 사유는 엄격하게 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보제출 여부 심리 단계에서 비밀의 정도를 구분하여 그 열람범위를 세분화하고, 가장 높은 수준의 비밀이 소송법적 이익을 위해 반드시 제출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는 변호사만이라도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미국의 attorney's eyes only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서제출 거부사유 판단을 위한 in camera 심리에 대한 구체적 규정은 없는데, 이는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 국가의 상황도 마찬가지이다. in camera 심리에 재판부의 적정한 소송지휘나 쌍방 당사자의 협조가 반드시 요구되는 이유이다. 당사자에게 in camera 심리에 관한 신청권을 인정할지 여부와는 별도로, 당사자가 in camera 심리를 요구하면 가급적 절차에 착수하는 것이 타당하고, 제한된 요건 하에서 신청인 측의 의견진술 기회를 부여하는 입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비밀 자료의 원활한 제출을 담보하기 위해 특허법에 마련된 열람제한 범위 지정제도 및 비밀유지명령을 민사소송법에 흡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러한 비밀보호 장치는 특허침해사건에서만 문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물 책임소송 등 민사재판 전반에서 요구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변론 비공개 사유를 규정한 법원조직법 제57조 제1항의 ‘선량한 풍속을 해칠 우려’에 사생활의 비밀이나 영업비밀의 보호가 포함될 수 있는지 실무상 혼선이 있다. 사생활의 비밀이나 기업의 영업비밀도 헌법상 기본권의 영역에 포함되므로, 그 비밀로서의 가치가 재판공개의 원칙보다 우월하다고 판단될 때는 법원조직법 제57조 제1항에 따라 비공개가 가능하다고 본다. 다만 이는 독일 법원조직법 규정과 같이 입법으로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본안에서의 in camera 심리, 즉 본안의 증거조사 단계에서 비밀보호를 위해 상대방 당사자를 배제할 필요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는 당사자의 절차적 권리를 제한하는 것으로서 입법이 마련되지 않는 한 가능하지 않다. 마지막으로 비밀보호를 위해 당사자의 소송기록 열람·복사를 제한할 수 있는지 문제되는 데, 이 또한 입법적 근거가 없는 한 가능하지 않다. 이를 입법으로 도입하더라도 비밀보호의 필요가 절차적 권리의 보장보다 우월한 경우에 당사자의 의견을 존중하여 비밀부분의 열람·복사 제한을 허용하되, 가급적 변호사만이라도 비밀 기재 부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민사소송절차에서 비밀의 보호는 그 자체로 목적이 될 수 없고, 원활한 증거개시, 더 나아가 적정한 민사재판을 위한 수단을 구성한다. 그러므로 적정한 민사재판절차가 법률문화로서 형성될 수 있도록 좋은 제도를 마련하는 것 외에 여기에 생명을 불어넣으려는 실무가들 사이의 소통과 진지한 노력을 기대하여 본다. In order to effectively guarantee the constitutional right to trial, the existence of rights and obligations must be properly contested in litigation, and for this, evidence must be smoothly introduced. However, if the party in possession of the evidence claims it falls under the confidentiality subject to protection against production, such kind of challenge would be prone to the consequential retreat to the insubstantiality of the constitutional right to trial, and thus causing a sense of helplessness in the civil proceedings itself. These consequences would not be limited to concerns. The practice of having an investigative agency collect evidence and submitting it in a civil lawsuit through a criminal complaint ahead of a civil lawsuit, or the so-called ‘expedition lawsuit’ in the United States for the convenience of evidence collection between Korean companies compels us to ask whether our civil trial system is fulfilling its inherent role. The discovery system of the United States is often addressed as a breakthrough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re are many studies that advocate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by setting their own scope. This study does not intend to delve into the overall disclosure of evidence, such as the introduction of discovery. On the premise of the envisioned expansion of the disclosure of evidence, the scenes of confidentiality to be reviewed in civil proceedings are divided into the evidence collection stage, such as subpoena to produce documents, the open hearing stage, and the access to court record stage, and the confidentiality protection devices required for each stage are reviewed in this research. First, in case of the subpoena to produce documents,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relevant rules and regulations while expanding the subject of production to information. The court needs to proceed case management conference to decide the scope of the production, and strictly examine the reasons for refusal to produce documents. The court should classify the degree of confidentiality in the process of the subpoena to produce documents, and subdivide the scope of access, and permit only lawyers to gain access to the documents when even the highest level of confidentiality shall be subject to submission for litigation interests. So, it is desirable to have a ‘U.S. attorney's eyes only’ system introduced for this purpose. There are no detailed regulations on the in camera proceedings to determine the reason for refusal to submit documents, and this is also the case in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Germany, and Japan. This is the reason why the proper case management of the court and the cooperation of both parties are indispensably required for in camera proceedings.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o grant the party the right to request for an in camera proceedings, provided that the party requests an in camera proceedings, it is appropriate for the court to initiate the proceedings if possible, and the enactment aiming to give the applicant an opportunity to express his/her opinion under limited conditions shall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ensure smooth submission of confidential data, it is desirable to incorporate the system for designating the scope of access restrictions and the order to maintain confidentiality provided for in the Patent Act into the Civil Procedure Act. This is because such confidentiality protection is not only a problem in patent infringement cases, but is required in all civil cases such as product liability litigation. In practice, there is some confusion as to whether the protection of privacy or trade secrets can be included in Article 57(1) of the Court Organization Act, which stipulates the grounds for court sealing. Since confidentiality of privacy and trade secrets of companies are also included in the realm of fundamental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when the value of confidentiality is deemed to be superior to the principle of public trial, it would be considered that court sealing is possible in accordance with Article 57(1) of the Court Organization Act. Nevertheless, this needs to be clarified by means of legislation as the provisions of the German Court Organization Act. There may be a necessity to exclude the opponent party from attending evidence hearings in the trial in order to protect confidentiality. However, this shall not be possible unless legislation to that effect is enacted as it constrains the procedural right of the party. Lastly, for confidentiality protection, there may arise a question as to whether it is possible to restrict the parties' access to court records, however it also could not be allowed unless there is a legislative basis. Although the relevant system is introduced into legislation, in cases where the need for protection of confidentiality is superior to the guarantee of procedural rights, and where the opinion of the party is seriously considered, the court can grant restrictions on the access of the confidential part. Under this situation, it is recommended that only lawyers have access to the confidential part as much as possible. In civil procedure, the protection of confidentiality cannot be an aim in itself, but constitutes a means for the smooth disclosure of evidence and further, a proper civil litigation. Therefore, besides implementing a good legal system so that the proper civil procedure can be established as a legal culture, we look forward to communications and sincere efforts taken among practitioners who want to breathe life into this system.

      • KCI등재

        임신 중 BDE-47 및 BDE-209에 노출된 어미와 새끼 Sprague-Dawley 랫드의 Global DNA 메틸화 양상과 비만 감수성과 연관된 유전자 발현

        박병민 ( Byeong-min Park ),윤옥진 ( Ok-jin Yoon ),이도훈 ( Do-hoon Lee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17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49 No.1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은 후성학적 메커니즘과 비만의 발달에 영향을 줄 수가 있다. 폴리브롬화 디페닐 에테르는 주요한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 중 하나이며, 난연제로 널리 쓰인다. 출생전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과 같은 내분비교란물질에 노출시 LINE-1 (long interspersed nuclear elements)의 global DNA메틸화와 비만 위험도의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임신한 스프라그-돌리 백서를 이용하여 태반과 모유를 통하여 전달된 BDE-47, BDE-209가 LINE-1에서의 후성학적인 변화와 obesogen으로서 발달과정에 따른 유전적 비만감수성의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서 보고자 하였다. 어미와 새끼에서 LINE-1의 광범위 DNA 메틸화와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은 methylation-sensitive high resolution melting analysis (MS-HRM), direct bisulfite sequencing와 quantitative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을 사용하여 각각 분석하였다. MS-HRM 결과는 출생 후 4일의 노출군 새끼에서 (4마리 중 2마리) LINE-1의 광범위 DNA 저메틸화 양상을 보여주었지만, bisulfite sequencing은 노출군과 비노출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β-산화 경로와 adipokines과 관련된 어미의 유전자 발현은 두 그룹간 차이를 보였다. 반면에, 새끼의 유전자 발현은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β-산화 경로와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중 PPAR-α를 제외하고는 출생 시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는 BDE-47, BDE-209의 동시 노출이 태반과 모유를 통해서 새끼에서의 후성학적인 변화와 비만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can affect epigenetic mechanisms and obesity development. Polybrominated diphenyl ethers (PBDEs)-widely used to make flames-are one of the important POPs. Prenatal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 such as POPs, may affect global DNA methylation in long interspersed nuclear elements (LINE-1), increasing the risk of obesity later in life. Therefore, pregnant Sprague-Dawley (SD) rats were used to elucidate whether BDE-47 and BDE-209 transferred through placenta and breast milk cause epigenetic changes in LINE-1 and increase genetic susceptibility to obesity as obesogen during the developmental periods. Global DNA methylation in LINE-1 and gene expression related to obesity were measured in dams and offspring, using a methylation-sensitive high resolution melting analysis (MS-HRM) and direct bisulfite sequencing and quantitative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PCR), respectively. The results of MS-HRM showed global DNA hypomethylation patterns in LINE-1 of exposed offspring (2 of total 4) at PND 4, but bisulfite sequencing showed no difference in both the exposed and non-exposed groups. Gene expression in dams related to β-oxidation pathway and those related to adipokines showed different patterns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contrary, gene expressions of offspring showed a similar pattern. Gene expressions related to β-oxidation pathway and obes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at birth`, but not PPAR-α.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that co-exposure to BDE-47 and BDE-209- via the placenta and breast milk-may affect epigenetic changes and modulate gene expression levels related to obesity.

      • KCI등재

        교통약자의 행동특성과 이동편의시설 설치요소를 통한 여객시설 디자인방법에 관한 연구

        박병민(Park, Byung Min),심은주(Shim, Eun Ju)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2 No.5

        Due to implementation of legislations for translation poor such as handicapped people, elderlies, children most public buildings are now integrating barrier free design methods. However, barrier free design is still considered as constraints of physical elements that only serve to meet functional aspects for minors and conflict with designs of the space. The authors believe that it is time that barrier free design is considered not as constraints but opportunities that both meet functional and aesthetical needs serving the growing population of transportation poor and others as well. This paper has looked into characteristics of transportation poor and barrier free design elements of passenger terminals and developed 4 categories of design methods. applied by using human sense, form, furniture, and architectural elements. Then the authors analyzed Gunsan International and coastal passenger terminal existing conditions which is considered to be designed to meet barrier free guidelines and legislations through the developed design categories and elements. The result turned out that the subject in regard of barrier free designs for transportation poor lack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forms that can be used as symbolic and directional elements that assists as wayfinding cues. Also, flexible and multi functional approaches in furniture arrangements, structural approaches are needed.

      • KCI등재

        디자인문화 확산을 위한 국내 디자인진흥정책의 유형과 변화에 관한 연구

        박병민(Park, Byung Min),심은주(Shim, Eun Ju)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3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2 No.3

        Since 1993, Korea Institute of Design Promotion has carried out Design Promotion Comprehensive Plan every 4 years and due to the institutes founding purpose the plans are mainly focused on enhancing quality of merchandise goods. However due to social and economic changes now enhancing quality of cultural living through design is becoming important as ev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r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design policies and programs to diffuse design culture in the plans. The researchers have inquired proceeding studies on cultural and design policies and also looked into cases that were carried out in Europe to diffuse design culture. By analyzing EU"s Cultural Policies four means were found: Education, Exchange, Participation, and Shar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beginning main focus was to educate people about the importance of design and what good design is, in bureaucratic ways. In the Secondary plan, reaching out to local regions begin to show in order to diffuse design culture that was and still is mainly centered around Seoul. Thirdly plan shows more exchanges but not only limited to domestic regions but international wide. In the Forth plan, participation programs and those engaging design to solve social problems are shown but still not much attention is payed to sha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